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경관연구 동향과 주제 분석 - 한국경관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변재상 ( Byeon Jae-sang ),서자유 ( Seo Jayoo ) 한국경관학회 2020 한국경관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경관학회지 분석을 통해 과거의 경관연구 동향과 주제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가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경관학회에서 출판하는 한국경관학회지는 총체적인 경관의 조성과 이에 대한 평가 등 종합적인 접근을 주요 관심 분야로 하여 학술적 논문을 모집 및 수록하고 있다. 한국경관학회지는 도시를 비롯한 국토 공간의 경관에 관한 전문학회지로서 2009년 12월 제1권 제1호 발행을 시작으로 2019년 12월 제11권 제2호까지 총 21호 발행하였다. 매년 2회씩 매호 4∼6편의 논문을 발간하여 현재까지 게재된 논문은 총 101편이며, 호당 평균 4.8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경관학회지의 모든 논문의 국문 초록, 영문 초록, 주제어, 서론, 결론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대량의 텍스트로부터 중심을 이루는 키워드를 찾아내 연구의 경향을 찾아내었다. 연구의 동향은 연도별로 주제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내용 분석은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방법을 통해 연구의 목적, 연구 대상지, 연구 관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경관연구의 특성은 다음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경관학회지의 성격은 경관의 분석, 계획, 설계, 관리를 위한 실용 연구이다. 둘째, 시기별 연구 동향은 경관법과 제도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계된다. 셋째, 경관학회지 연구는 도시학과 맥을 함께 하는 학문이다. 넷째, 연구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의 목적은 장소성·인식, 디자인·설계, 평가·보전, 개발·사업, 이미지·선호도 조사로 유형화되었다. 연구 대상지별 연구 관점은 농촌 지역은 보전과 인식, 역사문화 지역과 기반시설은 장소성과 환경 보존, 자연경관은 조망과 변화 관찰, 공원 및 녹지는 경관협정 및 사업, 아파트는 조망과 이미지를 관점으로 하였다. 다섯째, 경관 분야의 과제로서, 경관행정은 공간의 보전, 장소성, 이미지를 위하여야 하며 경관연구는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환경을 보존하는 공익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한국경관학회 태동부터 최근까지 모든 학술 논문들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몇 가지 과제를 얻었다. 한국경관학회지의 게재 논문의 분량 확대, 비슷한 방식으로 한국경관학회에서 수행한 연구용역의 주제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경관 정책 파악, 앞으로의 경관연구의 방향과 정책적 담론 고찰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rends and topics of landscape research in the pa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 Landscape Council(KLC) and to envisi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KLC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LC, recruits and contains academic paper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pproaches such as the composition of overall landscape and evaluation of it. KLC, a Journal of landscape with respect to the nationwide land space including cities, issued its first edition in 2009, December and published the 11th edition in 2019, December, completing its 21th one in total. KLC publishes 4∼6 papers per issue twice a year, reaching its total sum 101 papers with an average of 4.8 papers per issue. We use the research method of studying Korean abstracts, English abstracts, keywords, introduction, and conclusion in entire KLC, deducing the pivotal keywords from the massive amount of texts through text mining in order to find the research tendency. The trend of the study was observed by year. The analysis of content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method, which derived research purpose, research area, and research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LC study is a practical one for the analysis,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landscape. Second, the research trends by period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landscape law and system. Third, KLC study shares the theme of urban studies. Four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tegorized into place and perception, design, evaluation and preservation, development and business, image and preference as a result of detailed analysis in study. The research point by research subject is as follows; preservation and recognition in rural area, place and preserving environment in historical, cultural and infrastructure area, observing landscape and change in natural scenery, landscape agreement and project in parks and green spaces, view and image in apartment. Fifth, as a task in the field of landscape, it is concluded that landscape administration should conduct in line with preservation of space, placeness and image, and landscape research should follow the public value of formation of city image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research trend, applying text mining method to entire academic journals covering from the very beginning of KLC to the most recent one, and also several assignments can be obtained in the course of it. To creasing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KCL, to identify landscape policy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opics of research services conducted by KLC in a similar way, and to review the direction of future landscape and policy discourse is necessary.

      • KCI등재

        경관숲 조성 기본계획 연구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2

        본 계획은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경관숲을 조성하기 위한 기본계획이다. 최근 경관숲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대부분이 제도와 관련된 연구에 그치고 있어 실제 경관숲을 조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계획은 경관숲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설계 절차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수행된 경관숲에 대한 기초 연구와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경관숲 조성을 위한 계획틀을 도출하였다. 계획틀을 도출함에 있어 생태적 측면과 경관미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하였다. 본 계획에서는 경관숲 기본계획을 위해 경관권역을 구분하였고, 경관권역별로 생태적 특성과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경관등급을 구분하였다. 도출된 경관권역별 행위기준을 제안하여 경관계획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아름다운, 인상적인 산'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여 이를 실제 계획안에 적용하기 위한 패턴을 도출함으로써 경관숲 조성을 위한 수목의 종류와 식재 장소 선정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경관숲 조성에 필요한 식재 기법을 도입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lan is to establish the method and process for planning and design a landscape forest. Recently the issues related on a landscape forest is under active discussion. But they are almost the researches on the law and the legislation. We need the research and discussion for actual and definite planning methods. We analyzed the established researches and abroad cases and drew a implications. So we made a framework of a landscape forest planning. It was considered ecological and visual esthetic aspects at once. This plan involved classifying the landscape districts oriented watersheds. We evaluated the conservation rating for each a landscape district. And we proposed the permitted actions at each rating. We searched what is the beautiful mountain. We found the planting patterns by analyzing the beautiful mountain pictures and the planting methods by analyzing the abroad cases. We applied them to planning a landscape forest.

      • KCI등재

        지원성(Affordance)이 경관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연경관이 우세한 지역을 중심으로

        권니아 ( Kwon Ni-a ),임승빈 ( Im Seung-bin ) 한국경관학회 2010 한국경관학회지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원성(affordance)이 경관선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 예측변수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지원성의 특성이 어떠한 것인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일반인이 찍은 자연경관이 우세한 사진 40장을 이용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실시하였다. 선호 예측변수로는 신비감, 통일감, 지원성을 사용하였다. 경관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지원성이 나타난 경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신비감과 지원성(affordance)이 경관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경관과 가장 선호도가 낮은 경관에서 경관선호도 예측변수로서 지원성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다. 경관선호도의 예측변수로서 지원성이 타당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경관선호도에 지원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원성이 높은 경관의 특성은 인공구조물이 있어 행위를 유발하는 기능이 있고, 주변 경관과 경사, 바닥포장 상태 등이 지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성이 높은 경관은 접근성이 뛰어나고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것이 많았다. 반대로 지원성이 낮은 경관은 표고차, 시각적 차단, 물에 의한 차단 등으로 인해 접근성이 낮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고, 위험성이 감지되어 행동유발성이 떨어지는 경관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엇을 하기 위한 경관인지 모르는 모호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지원성의 특성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분명한 계획목적을 가진 공간 조성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ity image in devising landscape planning by examining the image, the identity of cities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image of the cities as a method to deduce a fundamental course of landscape planning before establishing landscape planning.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whether affordances affect landscape preference or not and analyze it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characteristic of affordances. For this study college students were shown 40 photographs of nature landscapes for evaluation. Mystery, coherence and affordances were used for the in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landscape evaluations open-en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experts to determine the specific landscape character of affordances. The study indicated that Mystery and affordances affect landscape preference. The affordances are the most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 of landscape preference both in the highest landscape preference and the lowest landscape preference. This shows that affordances are a reasonable variable as an independent variable of landscape preference and its effects on landscape preference. The result shows that specific landscapes with high affordance have artificial structures that induce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affordance can be affected by the neighboring landscape, slope and ground packing state. High affordance landscapes are highly accessible and spaces in which one can hold recreational activities. In contrast, landscapes with low affordance have low accessibility due to vertical drop, visual interception and blocked by water. Moreover, it looks dangerous. This result shows if affordances were properly utilized they could be useful in creating a space with clear purpose.

      • KCI등재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로 본 경관특성 고찰

        하혜경 ( Ha Hye-kyung ),김한배 ( Kim Han-bae ) 한국경관학회 2016 한국경관학회지 Vol.8 No.1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에 서울지역 외곽에 1기 신도시 5개를, 2000년대에는 제2기 신도시 12개가 건설되었거나, 현재 건설 중에 있다. 1기 신도시와 2기 신도시간의 개발방식 차이를 보이는데, 전자가 교통·동선계획 후 공원·녹지계획 방식이라면, 후자는 공원·녹지계획을 고려한 교통·동선계획 방식을 보인다. 본 연구는 신도시의 공원·녹지 계획의 차이가 도시의 경관특성에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1기 산본신도시와 2기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를 비교하여 경관특성을 고찰하였다. 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를 분석하고자 공원녹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공원·녹지체계의 유형', '보행환경 유형', '오픈스페이스 유형' 3가지 분석항목이 도출되었다. 각 분석항목에 따라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공원·녹지체계 유형'으로는 산본신도시는 산본천을 복개하여 교통동선계획의 중심도로로 계획되어 하천경관자원이 활용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수리산을 활용하여 근린공원 위주의 점적인 '분산형'으로 분포하여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적인 경향을 보인다. 그에 비해 김포한강신도시는 운유산, 가현산, 한강 등 자연경관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원과 녹지가 '환상형'과 '원호형'을 보인다. 두 번째는, '보행환경 유형'으로 김포한강신도시는 보행공간 및 보행을 유도하는 공간(소로, 보행자전용도로, 광장)이 많아 보행 접근성과 보행 연계성이 뛰어나 선형적 공원·녹지체계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오픈스페이스 유형'으로 김포한강신도시가 공원 종류가 다양하고, 미관광장이 곳곳에 분산 배치되어 있어 커뮤니티 공간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산본신도시는 공원, 녹지, 기타 지역으로 단순하게 세분되는 것에 비해 김포한강신도시는 공원 및 녹지뿐만 아니라, 기타 지역으로 분류되었던 유수지, 하천, 저수지 등이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기존의 자연경관자원을 활용한 오픈스페이스가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1기 산본신도시와 2기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를 통해 기존 자연경관자원 활용 여부에 따른 신도시의 경관특성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2기 김포한강신도시는 1기 산본신도시와는 달리 자연경관자원을 공원·녹지계획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도시 경관을 고려하여 연결된 공원·녹지체계로 계획관점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보다 거시적인 경관계획으로서 신도시 공원·녹지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이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라 하겠다. 앞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실제 거주민들이 생각하는 도시의 경관 이미지가 계획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거주민이 실제 공원·녹지를 활용하는 행태분석을 바탕으로 신도시만의 특화된 선형적인 공원·녹지체계로서 도시 경관의 골격을 유지하는 방안으로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In the late 1980s, 5 newtowns of stage 1 were constructed in the outskirt of Seoul and in 2000s, 12 newtowns of stage 2 were constructed or under construction. The method of development differs between the stage 1 newtowns and stage 2 newtown. The former took 'development first, and then planning' method and the latter took 'planning first, and then development' method.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the park and green system of Sanbon Newtown of Stage 1 and Kimpo Hangang Newtown of stage 2 and observe the townscape characteristics of each town. First, to analyze the park and green systems of newtown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on parks and greens, 3 items of analysis, 'the type of park and green system', 'the type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the type of open space', were deducted. 1. The 'park and green system type' is limited because Sanbon Newtown could not capitalize on the townscape resource of Sanboncheon since it was covered and planned as a central road in the traffic movement scheme. It is also not consecutive but disconnected because neighborhood parks were dispersed in 'disparate type' point system using Surisan. In contrary, Kimpo Hangang Newtown actively capitalized on townscape resources and the parks and greens were arranged in 'radial type' and 'circular type'. 2. In terms of 'pedestrian environment type', many pedestrian areas or areas which induce walking exist in Sanbon Newtown, so it can be seen to have a linear park and green system with high pedestrian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3. Regarding 'open space type', Gimpo Hangang Newtown was revealed to have many community spaces with various kinds of parks and disperse squares with fine views. Parks and greens in Sanbon Newtown are categorized simply as parks, greens, and other areas but Gimpo Hangang Newtown has a variety of other areas such as running ponds, streams, and reservoirs along with parks and greens, which means that open spaces using the existing townscape resources have increased. Follow-up research on how the perception of the citizens of newtowns on the park and green system and townscape images differ from the original scheme and measures to maintain the frame of townscape as a specialized park and green system for newtowns based on behavioral analysis on actual citizens using parks and greens is needed.

      • KCI등재

        경관협정 체결에 기반한 경관사업 후 거주상인의 인식 및 평가 - 수원 거북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

        고하정 ( Ko Ha-jung ),손용훈 ( Son Yong-hoon ) 한국경관학회 2016 한국경관학회지 Vol.8 No.2

        최근 주민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경관사업은 기존의 공공주도에서 벗어나 주민주도 사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과도기적 상황에서 주민주도적 경관사업이 잘 정착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경관협정 중 유일하게 주민주도로 경관협정을 체결하고 사업을 진행한 수원시 거북시장 길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공사 전부터 현재까지 영업을 하고 있는 거주상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협정부터 출발한 사업이니 만큼 상인들의 만족도가 높아야함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둘째, 긍정적인 부분은 가로의 깨끗함 외에는 개선 의지나 장기적인 기대에 관한 것을 포함한 것에 불과하며, 셋째, 상인들은 가로활성화를 목적에 두었으나 경관사업은 물리적인 가로경관 개선에 치중되어 있어 경관사업 후 내부적인 갈등이 심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업자로의 단일 사례 연구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연구대상지가 주민주도적인 경관협정에 기반 하여 경관사업이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면 개선사업의 과정과 개선 후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부분은 향후 상업가로 개선사업 진행시 고려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With a growing interest in resident participation, the landscape business has transformed from the existing government-driven to the resident-led project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how well resident-led landscape projects have taken root under such transformative circumstances, the Gobuk market road in Suwon, on which a project had been implemented as the only resident-led agreement among landscape agreements, was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resident merchants having done business before the project started till now.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use of a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showed first, there were quite a number of negative opinions even though the merchants' satisfaction level should have been higher given that this had kicked off from an agreement. Second, positive views were no more than things that were inclusive of their willingness for improvement or long-term expectations, except for the cleanliness of the streets. Third, it was able to be confirmed that internal conflicts got worsened because as opposed to the merchants' aim to revitalize their streets, the landscape project had mainly revolved around improving physical landscapes. Although it might be difficult for this study to elicit generalization from a single case of commercial road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process of the enhancement project was differently conducted from what the merchants had in mind, even after the landscape enhancement project was carried out based upon the resident-led landscape agreement, and such a poi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commercial road improvement projects are to be conducted down the road.

      • KCI등재후보

        젠트리피케이션에 의한 상업 가로경관 변화 인식 연구- 가로수길, 상수동, 연남동, 이태원, 대치동을 중심으로 -

        장혜원,김다영,염혜리,주신하 한국경관학회 2018 한국경관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경제․도시적인 현상으로 해석되었던 젠트리피케이션을 경관적으로접근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내 5곳의 상업 지구를 선정하고, 각 장소의 젠트리피케이션 전후 모습에 대한 설문을 통해 사람들이 대기업의 진출에 의한 경관변화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설문하였다.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가로경관이 단순해지고 획일화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연구대상 지역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은 경관의 다양성 향상을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젠트리피케이션의 진행이 가로경관의 아름다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의 경관이 가진 특성에 따라 원래 다양하고, 개성이 뚜렷한 지역에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된 경우 오히려 획일화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노후하고 지저분한 지역의 경우는 대기업의 세련된 매뉴얼의 디자인 요소가 도입되어도 그차이를 긍정적으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개성이 묻어나고, 지역의 맥락을 가진 가게 중심으로 상업이 형성되면 경관의 다양성 증가뿐아니라, 그 다양성을 인지하는 민감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본 연구는 도시 전체적인 맥락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의 진행이 경관의 획일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기에는 연구 방법과 설문 방법에 의해 한계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을 새로운관점으로 접근하였기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속도로 터널 경관요소에 대한 경관 선호도 분석 - 원통절개형 터널 입구 경관을 중심으로 -

        이송희 ( Lee Song-hee ),주신하 ( Joo Shin-ha ) 한국경관학회 2012 한국경관학회지 Vol.4 No.2

        본 연구는 고속도로의 터널에 초점을 맞추어 고속도로 터널 경관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를 도출하고, 각각의 요소가 고속도로 터널경관에 미치는 영향력과 상호 관련성 분석을 통하여 향후 터널 조성 시 경관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터널의 대표 경관사진을 촬영하고, 터널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24개의 시뮬레이션 사진 작성 후 대상경관에 대한 경관선호도를 설문하였다. 설문내용은 기술통계분석, t-test, 4 way-ANOVA를 활용하여 경관선호도에 미치는 요소의 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라이닝 두께에 따라서 경관선호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라이닝 두께를 아래쪽은 두껍고, 위쪽은 얇게 테이핑 기법을 적용하여 변형한 경관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닝 표면 디자인의 3가지 주요 요소에 따라서 경관선호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라이닝 표면 디자인을 도입하지 않은 원형보다 조각이나 색채 디자인을 도입한 터널경관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 영향 요소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요소에 대하여 4 way-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라이닝 표면 디자인과 입·출구 주변 식재 요인이 상호작용하였을 때 경관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복합적인 고려가 필요한 경관 대상에 대해서 경관 영향 요소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경관 계획에 필요한 정량적인 자료와 분석방법을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고속도로 터널 이외의 다양한 고속도로 시설물 경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경관적으로 우수한 고속도로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visual preference on highway tunnel landscape Compon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4 items on tunnel landscape com- ponents by the photo-montage scenes, which were synthesized by computer graphic programs. Visual preference is used to survey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unnel,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est, t-test, descrip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ee main factors of visual landscape were contracted; Tunnel lining design, tunnel lining thickness, and combined with tunnel lining design and tunnel gates area vegetation. Especially,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tunnel lining thickness transformed into slim was the most preferred type among tunnel lining structure. And, tunnel lining color design was the most preferred type among tunnel lining design. Finally, the combined effects of tunnel lining color design and tunnel gates area single color vegetation were more notable than other combined effects. It is recommended to set the proper goal based on the current highway landscape condition and future improvements.

      • KCI등재

        경관심의의 정립을 위한 경관조례 개선방안 연구

        김충식 ( Kim Choong-sik ) 한국경관학회 2016 한국경관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지자체 경관심의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경관조례의 개선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관법이 개정된 2014년을 기점으로 전국의 17개 광역자치단체, 133개 기초자치단체의 경관조례를 전수 조사하였다. 경관조례의 경관심의대상에 대한 상위법령과의 적합성, 근거의 부재, 선정기준, 명확성 등이 검토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자체별로 상이한 사회기반시설사업의 심의대상에 대한 규정이 경관조례에서 명확하게 정의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심의대상의 선정에 지자체의 사업추진건수, 심의대상의 경관적 중요도, 타 법령과의 중복성 고려가 중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건축물의 경관심의에 경관지구 또는 중점경관관리구역 등에 대한 경관계획의 내용이 반영되어야 함을 밝혔다. 셋째, 경관조례에 위임되지 않는 개발사업의 심의 규정은 정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기반시설이나 건축물과 중복된 규정이 나타나는 경관사업은 사업의 시기, 절차 등을 명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지자체 경관조례의 제·개정시 경관심의 대상에 대한 기준 및 절차의 정립에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plans for improving landscape ordinances for local governments' efficient landscape deliberation. To meet this purpose, the study made an exhaustive search on the landscape ordinances in 17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133 primary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nation from the year of 2014 when the landscape law was amended. Focusing on the major objects of the landscape deliberation in the ordinances, correspondence with the upper ordinances, regulations not based on ordinances, criteria for selecting the objects of landscape deliberation, and duplicity between the objects of deliberation were reviewed. The following were revealed by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clear definitions of infrastructure projects were needed in the landscape ordinances as they were defined differently for each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results showed that it might be important that the number of projects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the landscape values of the objects of deliberation, and the duplicity with other ordinances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criteria for selecting the objects of deliber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laws, the regulations of building landscape deliberation need to reflect landscape plans established for landscape district or major landscape management areas. Third, correction is needed for the deliberation of development projects not delegated to the landscape ordinances. Fourth, for the landscape projects with much duplicity with other objects of landscape deliberation, the duplicity should be lowered by specifying the time, procedures, and main agents of deliberation by project. In addition, overlapping deliberation with other commissions for landscape projects needs to be minimiz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data for establishing the criteria and procedures for selecting the objects of landscape deliberation when landscape ordinances are enacted or amended.

      • KCI등재

        현장조사를 통한 경관가이드라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송도 1공구 공공주택지구 중심으로

        김유림 ( Kim Yurim ),안예봄 ( Ahn Yebom ),주신하 ( Joo Shin-ha ) 한국경관학회 2021 한국경관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경관가이드라인이 어느 정도 적용되고 있는지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지는 경관가이드라인이 충실하게 작성된 IFEZ 송도 1공구 중 공공주택지구 15단지를 선정하였다. IFEZ 경관가이드라인 중 대상지에 적용되는 구성요소별 가이드라인, 중점경관관리구역 가이드라인 분석을 통해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연구대상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지도사이트의 로드뷰를 활용한 사전조사를 통해 중경, 원경에서 확인해야 하는 경관가이드라인을 파악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근경에서 확인해야 하는 가이드라인 적용여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단지 전체의 가이드라인 적용여부는 3점을 기준으로 전체 단지 평균이 2.58점으로 전반적으로 가이드라인이 잘 준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개 단지 중 중점경관관리구역에 해당하는 7개 단지에서 가이드라인이 더 잘 준수되고 있었다. 경관가이드라인 별 적용여부 분석결과 도출된 28개 가이드라인 중 9개 가이드라인은 전반적으로 잘 지켜지고 있었으나 5개의 가이드라인은 잘 지켜지지 않았다. 각 가이드라인에 대해 단지별로 가이드라인 적용에 대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단지별 상황에 따라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가 달라지기도 했으나, 가이드라인의 내용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인해 편차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경관가이드라인에 대한 작성에 집중되었던 기존 연구와 달리 현장조사를 통해 경관가이드라인의 실제 현장적용 현황을 파악하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다만, 가이드라인 적용 여부 판단에 주관적인 측면이 있으며, 연구대상도 적다는 한계가 있다. 보다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 방지를 위한 절차를 보완하고 연구대상과 유형을 다양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경관 가이드라인 적용 여부와 경관미와의 관계를 밝히는 종합적인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향후 현장에서의 적용을 고려한 경관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xtent to which landscape guidelines are applied in the actual field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The study site is 15 apartment complexes in Songdo District 1 in which the landscape guidelines are faithfully suggested. Among the various landscape guidelines, the guidelines for each component and the guidelines for the intensive landscape management zones were analyzed whether they were well followed in the fil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using the online map, the Roadview, the landscape guidelines that should be checked in the middle and long distance views were identified, and the application of the guidelines to be confirmed in the near distance was reviewed through a field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of the overall complex was 2.58 points based on 3 points as to whether the guidelines were applied to the entire complex, indicating that the guidelines were well observed overall. Among the 15 complexes, 7 complexes corresponding to the intensive landscape management zones were better observing the guidelin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each landscape guideline, 9 of the 28 guidelines were generally well followed, but 5 guidelines were not well followed. For each guidelin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guideline application for each complex. Compliance with the guidelines differ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each complex, but there were also deviations due to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s of the guideline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field application of landscape guidelines through field surveys. However, there is a subjective aspect in determining whether to apply the guidelines,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is small. For more objective and general result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cedures for preventing subjective judgment by researchers and to diversify research subjects and types. Also, more comprehensive research should be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cape guidelines and the scenic beau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preparing landscape guidelines considering future field application.

      • KCI등재

        안좌도의 경관이미지와 경관잠재력 제고를 통한 문화 경관의 형성에 관한 연구 ― 신안군 안좌도의 경관 테마 공원을 사례로

        이춘홍 ( Lee Choon-hong ) 한국경관학회 2012 한국경관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일상적으로 대하는 자연경관의 다름과 차이를 이해, 분석하고, 경관이미지와 경관의 잠재력을 도출하여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경관형성 계획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계획대상지가 입지한 전라남도 신안군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아파트가 전무한 지역으로 도서지방의 원형경관이 보전되어 있는 지역이다. 이와 같이 원형경관을 고려한 새로운 경관의 형성이 이루어져야만 지역 고유의 경관미를 지속적으로 보전할 수 있고, 이는 지역의 정체성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안군 안좌도 원형경관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경관의 특성을 파악, 의미의 재구성을 통한 문화 인프라, 즉 경관테마공원을 조성하고자 했다. 특히 안좌도가 지닌 인물 콘텐츠인 수화 김환기 화백의 명성과 예술세계를 차별화된 문화경관자원으로 이해, 계획에 반영하고자 안좌도 자연환경의 경관미와 그 잠재력을 재해석, 경관이미지를 도출하고, 개념정립과 설계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계획대상지를 경관구역으로 나누어 각 특징을 기술하고, 경관 조망점과 경관 변이점을 설정, 동선 및 경관의 연속적인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근의 자연경관과 시각적 충돌이 이루어지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 부지 내외부가 하나의 경관으로 인지되도록 하여 경관의 조화를 꾀하고자 한 것이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시도는 일상적인 자연경관이 미래지향적인 가치를 가지는 자원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경관계획을 통해 자연경관의 보전 및 관리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landscape planning which harmonize with the existing natural landscape through the drawing landscape image and the deducing landscape potential. Accordingly the difference and diverseness of natural landscape must be analysed. The planning site is located in the province Shin-an, which has none of the high rise appartment houses and as a result the landscape prototype in islands is preserved. It must be considered landscape formation and development with the prototypal landscape in order to preserve the landscape identity and original landscape beauty sustainedly. In this study we make an on-site survey of the Anjwa island and the landscape of island is analysed. There by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 landscape grants the reformation of landscape meaning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theme park as a culture infra structure. Especially the Artist Kim, Whanki is the unique personal contents in Anjwa island, who has his world of art and world wide fame. His personal and artistic character is symbolized in Anjwa culture landscape. By the landscape image and landscape potential in Anjwa islands the planning concepts and design strategies are deduced. The main issue in this study is to avoid the visual impact with the natural landscape and to provide the harmonized sceneries with natural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