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횡월류에 의한 점진적 제방붕괴의 동수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수영,윤광석,이승오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최근 세계 곳곳에서 강우량증가에 의한 홍수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돌발적으로 집중되는 강우에 의해 하천이 범람하고 제방이 붕괴되는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도 내 홍수위가 증가하여 제방이 월류하면 제방은 그 기능을 상실하여 점진적인 붕괴가 진행된다. 제방의 점진적인 붕괴는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나 복잡한 붕괴 메커니즘과 다양한 영향인자들로 인해 이론적으로 명확게 규명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기존연구들이 제방의 붕괴를 댐붕괴와 동일하게 가정하거나 급격한 붕괴 또는 하도의 흐름에 횡방향으로 분류가되는 횡월류 위어와 동일하게 가정하여 실제 제방붕괴 양상과는 상이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착성 재질로 제방을 축조하고 하도의 흐름이 존재할 때, 하도의 횡방향으로 제방이 월류하는 수리실험을 수행하여 하도의 Froude 수와 제방의 붕괴폭 및 붕괴유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방의 붕괴유량은 횡월류 위어와는 다르게 하도의 흐름과 제방 단면의 충돌에 의한 2차적인 영향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붕괴유량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붕괴유량이 수평한 제내지를 전파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하도조건에 따른 붕괴홍수파 전파각의 시간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붕괴홍수파 전파각은 붕괴의 발달 정도에 따라 상류 또는 하류전파각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댐붕괴나 횡월류 위어와는 구분되는 제방의 붕괴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이 제방붕괴에 대한 비상대처계획 수립 시에 적용한다면 최종 침수면적이나 침수심을 고려한 공간적인 계획뿐만 아니라 붕괴양상에 따른 시간적인 인자를 함께 고려한 계획이 수립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2차원 수리해석에 의한 하천 제방 위험도 평가분석

        박준형,김태형,한건연 한국습지학회 2016 한국습지학회지 Vol.18 No.1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방의 안전도 평가는 여러 가지 붕괴원인 중 하나의 요인에 대해서만 평가를 하거나 주로 제방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한 1차원 수리분석을 통한 평가에 국한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기법들은 제방의 다양한 붕괴원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없으며, 정확한 지형정보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지형정보를 반영한 2차원 수리해석을 결과를 이용하여 제방의 다양한 붕괴원인인 월류, 침투, 침식위험도를 동시에 고려한 제방 위험도 지수를 제안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주요 합류부에 대해 하천준설사업 전·후의 지형 변화를 고려하여 2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한 수리해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해 제방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정확한 하천의 형상을 반영한 수리해석 결과를 이용한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제방위험도 평가에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evee safety is being evaluated using one of the several failure causes including overtopping, infiltration and erosion or 1D hydraulic analysis conside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evee in practical engineering works. However, mentioned evaluation methods are not able to consider various failure causes of levee at the same time and to get reliable results where requires the accurate topographic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flood hazard index which is able to consider several hazard factors involving overtopping, infiltration and erosion risk simultaneously. The index was generated from results of 2D hydraulic analysis reflecting accurate topographic information. The study areas are the confluences of the Nakdong River and two streams(Gamcheon and Hoecheon). Levee safety was evaluated using results based on 2D hydraulic analysis considering riverbed changes of before and after dredging work in the study area.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imate the reliable safety evaluation of levee where may have hazards during extreme flood events.

      • KCI등재

        제방 리스크 분석을 통한 하천재해 위험지구 선정

        박준형(Park Jun Hyung),이재영(Lee Jae Yeong),최현구(Choi Hyun Gu),한건연(Han Kun Yeu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2

        우리나라에서는 태풍 차바(2016)와 같은 강력한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대비한 하천재해 위험지구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토교통부에서 국가하천에 대하여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였으며, 각 지자체에서는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을 통해 재해 위험지구를 선정하여 홍수 피해를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제방의 월류 및 붕괴시나리오를 구성함에 있어 대상 제방 선정이 중요하나 정확한 고위험 제방의 선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리해석 결과를 이용한 제방의 물리적인 위험도(Hazard)와 제방 자체의 성질에 대한 취약도(Vulnerability) 평가를 통해 고위험 제방을 선정하고 이를 재해 위험지구 선정에 활용하고자 한다. 위험도와 취약도의 연계를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중치를 산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제방 리스크(Risk)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제 유역에 대한 적용을 위해 대상유역인 안성천에 적용하여 각 제방에 대한 리스크를 산정하고, 가장 높은 리스크를 나타내는 제방에 대한 월류 및 붕괴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종합적인 제방 평가 기법을 제시함으로써 제방 안전도 평가 및 하천재해 위험지구 선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Korea, flood damage caused by typhoons and heavy rains such as Typhoon Chaba (2016) is greatly increasing, and a new illumination for the river disaster hazard area is needed.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created a flood risk map for national rivers, and each municipality has selected a disaster hazard area through a Comprehensive Plan for Storm and Flood Damage Reduction. However, this is only an approximate hazard area selection using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cross section by the design frequenc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high risk levee is selec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physical hazard (Hazard) of the levee using the hydraulic analysis results and the vulnerability of the levee itself (Vulnerability). In addition, expert survey were conducted to link hazard and vulnerability, and weights were calculated and used to evaluate the risk of levee. For application to the actual basin, the project was applied to the target basin, Anseong stream, and the risk for each levee was calculated and the flood awareness map was made by setting up the overflow and collapse scenarios for the levee which shows the highest risk.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levee and the selection of river disaster hazard area by introducing a comprehensive levee assessment technique.

      • KCI등재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침수재해 위험도 산정기법 개발

        박재홍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6

        제방붕괴로 인한 제내지의 침수 예측은 하천의 흐름, 제방의 붕괴과정 및 제내지의 침수양상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정상 해석에 의해 동시에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방붕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범용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방 붕괴해석과정을 시나리오에 의한 선형적 붕괴나 순간적 완전 붕괴로 가정하여 실제 제방붕괴의 비선형성을 제대로 구현할 수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지양하고 제방의 토질역학적 이론을 도입하여 제방 안정이론에 기반한 하천 흐름에 의한 제방붕괴과정을 물리학적으로 모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제방붕괴 해석모듈의 도입을 통해 하천흐름과 제방붕괴 그리고 제내지의 침수해석이 유기적으로 계산될 수 있는 종합적 제방붕괴 제내지 침수해석 모형으로 구축되도록 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감천 유역에적용한 결과 하천 부정류 홍수흐름의 경우 제방 붕괴폭의 발달정도에 따라 제내지에서의 침수위, 2 차원 홍수파 전파 양상 및속도 등이 합리적으로 모의되고 있었다. 본 모형을 보다 실제 제방붕괴 사례의 다양한 적용을 통해 정확성과 실용성이 검증되어진다면 제방붕괴로 인한 제내지 침수해석에 크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하천 붕괴 침수예상 및 대처방안 수립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inundation prediction of protected area due to river levee failure should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by unsteady analysis of the time-varying aspects of the flow in the river and the process of the collapse of the levees and inland flooding. However, previous studies associated with levee failure cannot exactly explain actual non-linearity of levee failure, because of using multi-purpose commercial model with assuming instantaneous or linear levee collapse. In this study, the modelling of the process of levee failure by river flow is tried, introducing soil mechanical theory based on levee stability theor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levee failure analysis module, inundation analysis, the river flows and levee failure model are organically combined to comprehensive levee failure analysis model.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Gamcheon and the results shows that in case of river flood, this model simulate reasonably inundation depth on the inland area, 2 dimensional floodwave propagation, breach flow velocity etc. according to aspect of development of breach width. If the accuracy and applicability of this model is improved by the more application to practical cases, the model is expected to effectively analyze levee collapsed flooding and establish action plan against inland inundation.

      • 하천제방 붕괴 특성 및 유지관리 고도화를 위한 안전도맵 구축 방안

        김진만(Kim Jin Man),문인종(Moon In J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 및 홍수사상의 변화에 따라 홍수 빈도가 잦고, 홍수로 인한 하천제방 붕괴 및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나, 월류, 침식, 파이핑 등 하천제방 붕괴 원인에 따른 하천제방 붕괴 특성을 규명한 관련 연구 실적의 경우 미미한 실정에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네덜란드 DAM(Dike strength Analysis Module)과 같은 수재해 대응성 및 하천제방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도 평가기술의 경우 실시간 수위특성 및 안전도 변화특성 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내 기술여건을 개선하고자 1) 하천제방 붕괴의 가장 큰 원인인 월류에 대한 하천제방 붕괴모형실험에 의한 붕괴특성 분석, 2) 수재해 대응성 및 하천제방 유지관리 효율을 극대화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 등을 제안하였다. 이때 제방붕괴모형실험은 프루드(Froude) 상사 법칙을 적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제방고 변화(0.2m, 0.25m, 0.3m, 0.4m 등)에 따른 1) 월류에 의한 제방 붕괴 특성, 2) 월류 붕괴모형 매개변수인 붕괴각(θ) 및 붕괴율(κ)의 변화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하천제방 안전도맵은 홍수침수면적을 위험도 형태로 표시한 수재해 해저드맵(hazard map)과 유사한 개념으로서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등 기존 안전도 지표를 GIS맵 상에 지도형태로 표출하여 하천관리자의 하천제방 유지관리 효율을 극대화한 평가체계이다.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 구축을 위하여 1) 관련 안전도 지표의 평가지수 정량화, 2) 시범구간을 통한 적용성 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동양 古典에서 죄악을 예방하는 제방으로서 법의 비유와 예방법학

        김지수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아주법학 Vol.9 No.2

        전통법문화에서는 흥미롭게도 법을 그물, 의약, 제방으로 비유하는데, 그물과 의약의 비유는 필자가 이미 연구결과를 발표했기에, 본고는 이제 죄악을 예방하는 제방으로서 법의 비유와 예방법학을 연구한다. 주지하듯이 형법에는 일반예방기능과 특별예방기능이 있는데, 본고는 유가 경전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고전에 나타나는 예법의 예방기능을 제방의 비유에 초점을 맞춰 원전을 분석하는 귀납 방법으로 탐구한다. 고대 인류가 수렵에서 농경으로 전환해 정착사회를 이루면서, 특히 홍수방지 및 수경에 필요한 제방이 출현하였다. 인구가 많아지고 사회가 복잡하게 발달하면서 사람의 탐욕과 분노가 넘쳐 갖가지 다툼과 싸움이 일어남을 보면서, 성현은 강물을 가두어 막는 제방처럼 사람 감정의 물을 다루는 둑으로서 예법을 理智적 사유로 고안해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시작했다. 고대 동아시아에 일반보편의 사회규범인 예가 죄악을 예방하는 제방으로서 작동한 사실은, 유가의 禮論에 널리 나오며 특히 禮記 坊記편에 집중해 나타난다. 본고는 사회규범 전반을 제방에 비유한 일반 禮論을 비롯하여, 개별적 五倫에 따라 다양한 인간관계를 규율하는 예의 제방을 군신유의, 부모에 대한 효와 상례 및 제례, 음란을 예방하는 남녀분별, 사양지심의 不爭之德의 차례로 살펴본다. 이어 예법의 역사상 펼쳐진 다채로운 제방 비유와 예방법학의 철학사상을 종합 정리한다. 그밖에 저수지 물을 갈무리하는 제방의 비유, 병법상의 제방 비유, 담장 및 성곽의 비유 등 특별한 내용을 추가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한비자가 펼친 예방법학의 원천으로서 『老子』와 『周易』의 예방철학을 간단히 언급하면서, 법가의 예방법학 사상에 얽힌 오해 및 한계를 지적하고, 과유불급의 진리에 따라 지나친 예방주의의 폐해를 일깨운다. 그리고 본 연구의 기대 효과와 향후 전망 및 과제를 적어 맺음말을 대신한다. It is very interesting to compare courtesy & law as the net, medicine and dike in East Asian traditional legal culture. The present writer already published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metaphor of law as net or medicine, now study the metaphor of law as dike to prevent sin and philosophy of preventive law. As is generally known, criminal law has functions of general & special prevention against crime, this paper study the preventive functions of courtesy and law found in East Asian classics centering around confucian scriptures by inductive method based on making analysis of texts. As ancient mankind had converted from hunting to agriculture and settled down, invention of dike appear driven by necessity to prevent flood & demand of hydroponic culture. As population had increased and human society had become complicated, various quarrels & struggles had arisen from human avarice & anger. So saints & sages with wisdom for living had devised courtesy and law as the dike to prevent human emotions flow from flooding out in order to keep social order. The historical evidences that courtesy as general social norm had functioned as dike to prevent crime and sin are found universally in confucian scriptures, esp. concentrated examples in Fang-ji, the 30th chapter of 『Li-ji(禮記)』. So this paper surveys at first the thoughts on general courtesy as dike as well as individual courtesy about five major human relations that is courtesy between king & subject, filial piety to one’s parents,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to prevent lechery, and the mind of declining in favor of another & the virtue of non-struggle. Next it searches for various metaphors of dike & philosophy of preventive law developed in East Asian history, and then investigates special metaphors of dike as saving water in reservoir, dike in military strategy, and metaphor of wall & castle similar to dike in addition. Finally it mentions briefly preventive philosophy of 『Lao-zi(老子)』 & 『Zhou-yi(周易)』 as origin of Hanfei’s(韓非) preventive law, and points out misunderstandings & mistakes in the reasoning of the Legalist school, and emphasizes the bad effects of preventive thoughts. I’d like to anticipate that this work will have a good effect and shall be followed by more interests and deepening studies esp. comparative researches on western legal cultures.

      •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 해석

        김진홍 중앙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01 環境科學硏究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월류에 의한 제방의 붕괴 양상을 검토하여, 실측치를 바탕으로 제방붕괴 폭의 크기와 제방붕괴 지속시간 및 제방붕괴 폭의 시간적 변화를 결정짓는 공식을 도출하였다. 제방 붕괴는 상류부의 판박형세굴, 중간부의 와류형세굴 및 하류부의 퇴적으로 구분되었다. 중간부에서는 선형와에 의해 세굴이 발생되었으나, 흐름의 유입량이 크면 선형와가 아닌 세굴공의 바닥을 타고 흐르는 jet류에 의해 발생하였다. 제방붕괴 폭의 시간적 변화를 결정짓는 공식은 붕괴 지속시간을 60분으로 제한한 기존 식을 개선한 것으로서, 임의의 붕괴 지속시간에 적용 가능하다. Mathematical formulations on the width and the duration time of the embankment failure were presented. Embankment failure was characterized by the upstream sheet erosion, the intermediate vortex erosion and the downstream deposition. Erosion occurred by the line vortex in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embankment, but occurred by the wall jet in case of large inflow. Proposed formulas on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variation of the emvankment failure, which can be applied to any type of the duration time, showed the considerable improvement for the existing formulae.

      • KCI등재

        Sensitivity analysis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of leve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Lee Hoo Sang,Lee Jae Joon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11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하고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에 대하여 제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제방의 침투거동을 분석하여 침투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침투거동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환경여건을 고려하는 제방의 취약성 분석 기술이 필요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제방의 취약성 분석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여 제방의 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에 의한 취약성 평가기법을 새로이 개발 하였다. 대상지역을 한강 본류 서울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도별 제방의 크기를 조사하였고 조사한 제방을 상류부, 중류부, 하류부로 구분하여 3개의 대표 제방을 선정하였다. 이들 대표 제방지점에서 현재의 계획홍수위와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8.5를 고려한 계획홍수위를 적용하여 제방의 활동 안전율과 제방 홍수취약성지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구성하는 각각 인자들에 대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들 인자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 값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취약성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is study, a new methodology was proposed to evaluate the flood vulnerability of river leve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levee where the water level chang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stability of levee against seepage was evaluated using SEEP/W model which is two-dimensional groundwater infiltration model. In addition to the infiltr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the embankment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iver due to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was newly developed by deriving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analysis of the levee vulnerability. The size of river levee was investigated by selecting the target area. The selected levees were classified into upstream part, midstream part and downstream part at the nearside of Seoul in the Han river, and the safety factor of the leve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design flood level of the levee. The safety ratio of the leve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design flood level considering the current flood level and the scenario of climate change RCP8.5. The degree of change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was identified for each factor that forms the 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By using the 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value utilizing these factors comprehensively, it was finally possible to estimate the vulnerability of levee due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홍수취약성지수 민감도 분석

        이후상,이재준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S-1

        In this study, a new methodology was proposed to evaluate the flood vulnerability of river leve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levee where the water level chang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stability of levee against seepage was evaluated using SEEP/W model which is two-dimensional groundwater infiltration model. In addition to the infiltr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the embankment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iver due to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was newly developed by deriving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analysis of the levee vulnerability. The size of river levee was investigated by selecting the target area. The selected levees were classified into upstream part, midstream part and downstream part at the nearside of Seoul in the Han river, and the safety factor of the leve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design flood level of the levee. The safety ratio of the leve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design flood level considering the current flood level and the scenario of climate change RCP8.5. The degree of change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was identified for each factor that forms the 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By using the 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value utilizing these factors comprehensively, it was finally possible to estimate the vulnerability of levee due to climate change.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하고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에 대하여 제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제방의 침투거동을 분석하여 침투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침투거동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환경여건을 고려하는 제방의 취약성 분석 기술이 필요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제방의 취약성 분석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여 제방의 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에 의한 취약성 평가기법을 새로이 개발 하였다. 대상지역을 한강 본류 서울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도별 제방의 크기를 조사하였고 조사한 제방을 상류부, 중류부, 하류부로 구분하여 3개의 대표 제방을 선정하였다. 이들 대표 제방지점에서 현재의 계획홍수위와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8.5를 고려한 계획홍수위를 적용하여 제방의 활동 안전율과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구성하는 각각 인자들에 대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들 인자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 값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취약성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공학적 분석에 의한 고대 수리시설 제방 원형복원

        김진만(Kim, Jin Man),손수원(Son, Su Won)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9 No.-

        국내에는 고대에 지어진 김제 벽골제, 제천 의림지, 밀양 수산제 등 많은 저수지 제방이 오랜 세월을 견디며 현재까지 남아있다. 이처럼 수리시설이 오랜 세월을 견디며 무너지지 않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축조 및 유지 관리를 위한 측량, 성토, 다짐, 수문 설치, 그리고 계측 등 높은 수준의 토목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대에도 현대의 중·소형 댐과 비슷한 규모의 수리시설을 축조할 수 있는 경험에 기초한 토목기술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대 수리시설의 축조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자료가 상대적으로 풍부한 울산 약사동 제방과 함안 가야리 제방 유적 자료를 공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또한 현대의 중소형 저수지의 제체구조를 조사하여 고대 저수지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비교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인류의 생존에 있어 매우 중요한 토목구조물인 수리시설에 대해 토목공학적 연구를 통해 고고학과 토목공학이 융합된 고대 유적 복원 연구모델을 제시하고, 고대 저수지 제방의 축조기술에 대해 공학적으로 분석하였다. 함안 가야리 제방과 울산 약사동 제방의 고고학적 자료를 분석하여 지반의 토층을 토목공학적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토층으로 모델링을 하여 컴퓨터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두 고대 수리시설 제방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고학적으로 추정한 저수지 제방 사면에 대한 침투해석 및 사면안정성 분석 결과,함안 가야리 제방과 울산 약사동 제방 모두 침투 침윤선이 제내지 사면 경사면에 위치하고 사면파괴 가능성을 보였다. 이는 가야리 제방과 약사동 제방 모두 원래의 제내지측 사면이 현재 고고학적으로 추정한 것보다 상당히 완만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보다 완만한 사면경사에 대한 수치해석을 추가로 수행하여 함안 가야리 제방과 울산 약사동 제방의 원형복원을 시도하였다. There are many water reservoir embankments like Gimje Byokgoljae, Jecheon Uirimji, Miryang Susanje which still remained after a long time after being built. The reasons that these structures have been surviving for such a long time are civil engineering technologies such as survey, embankment, compaction, sluice installation, and monitoring. It is, thus, supposed that there were experience-based civil engineering technologies in ancient time for constructing irrigation facilities similar to modern small and medium dams. This study analyzes the archeological excavation data of Haman Gayari and Ulsan Yaksadong reservoir embankment ruins by using engineering approaches. The embankment structures of ancient reservoirs and modern small and medium size reservoirs were compared. This research tried to suggest a new original shape restoration model of ancient ruins based on the combinational approach of archaeological and civil engineering methods. In this research, archaeological excavation soil data of Haman Gayari and Ulsan Yaksadong ruins are analysed, and are classified by the civil engineering classification system. Reservoir embankments are numerically analysed and seepage and slope stability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These results shows that seepage lines of both reservoirs reach inland slope surfaces.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original slopes might be considerably gentler than the slope angles currently suggested by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Finally, this study presents the original forms of reservoir embankments of Haman Gayari and Ulsan Yaksadong ruins based on further numerical analyses on a variety of gentler slo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