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도 부사와 중첩식 형용사의 공기(共起) 관계에 대한 계량적 연구

        윤애경 한국중문학회 2021 中國文學硏究 Vol.0 No.82

        많은 언어학자들이 중국어의 중첩식 형용사는 그 자체에 양을 나타내는 정도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정도 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가 없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중국어에서는 정도 부사가 중첩식 형용사를 수식하는 예문들이 종종 발견되곤 한다. 정도 부사 중에서는 ‘有点(儿)’이 가장 잘 중첩식 형용사와 결합하며 그 다음이 ‘太’이다. 중첩식 형용사 중에서는 ABB식 형용사가 가장 쉽게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다. 중첩식 형용사가 정도 부사와 공기한다는 것은 중첩식 형용사가 본래 지니고 있었던 정도의 의미가 약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중첩식 형용사가 지녔던 정도 의미의 약화는 ABB식 형용사로부터 시작하여 AA식과 AABB식 형용사로 확장되고 그 다음에 기타 유형의 중첩식 형용사로 확장되고 있다. 같은 유형의 중첩식 형용사 가운데에서는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정도 의미의 약화가 빨라지고 따라서 정도 부사와 더 잘 공기한다. ‘정도 부사+중첩식 형용사’ 구조에 들어갈 수 있는 정도 부사는 화자의 주관적 색채가 뚜렷한 것에서 덜 뚜렷한 것으로, 절대적 정도 부사에서 상대적 정도 부사로 확장이 이루어진다. Many linguists say that Chinese adjective reduplications can not be modified by degree adverbs because they have implied the meaning of the degree to indicate quantity in themselves. However, in Chinese currently used, examples of degree adverbs modifying adjective reduplications are often found. Among degree adverbs, “youdian(er)” is best combined with adjective reduplications, followed by “tai”. Among adjective reduplications, ABB-type adjectives are most easily modified by degree adverbs. The fact that adjective reduplications and degree adverbs co-occur frequently means that the meaning of the degree that the adjective reduplications originally held has weakened. And the weakening of the meaning of the degree that these adjective reduplications had started with ABB-type adjectives, then expanded to AA-type adjectives and AABB-type adjectives, and then extended to other types of adjective reduplications. Among adjective reduplications of the same type, the higher the frequency of use, the faster the meaning of the degree is weakened, and thus the easier it is modified by degree adverbs. The degree adverbs that can enter the structure of “degree adverb + adjective reduplication” are extended from having a clear subjectivity to having a less distinct subjectivity of a speaker, and from absolute degree adverbs to relative degree adverbs.

      • KCI등재

        정도 표시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 연구

        장은화 한국어문학회 2024 語文學 Vol.- No.163

        정도의 의미에서 중요하게 밝혀져야 하는 두 가지인데 하나는 정도의 등급 즉 , 표시하는 정도값이 얼마인가의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정도가 표시되는 대상의 의미 자질이다 정도 표시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이 표시하는 정도값의 측정을 위하여 본 연구는 정도 부사의 등급 체계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는 정도를 표시하는 가장 보편적 방식이 정도 부사에 의한 것이며 보통 중급 이상의 고급 단계에서 제시, 되는 정도 표시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은 초급 단계에서 제시되는 정도 부사로 의미 풀이되는 것이 효율적인 교수법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모든 형용사는 정도가 표시될 수 있지만 모든 형용사가 정도 부사를 포함한 모든 정도를 표시할 수 있는 표현과 의미 호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용사의 의미 자질을 주·객관, 긍·부정으로 나누고 여기에 '긍·부정'의 가치면에서 중립이면서 객관 형용사인 척도 반의어를 포함하여 '주관·긍정', '주관·부정', '객관·중립', '객관·긍정', '객관·부정'의 의미와 정도 표시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의 결합 의미 호응 제약을 밝혔다. Two things should be revealed importantly in the meaning of degree. One is the grade of the degree. That is, it concerns how much the degree value represents. The other is the semantic feature of the object whose degree is marked. This study set the grading system of degree adverbs as the standard to measure the degree values marked by the item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to mark the degree. It is because the most universal way to mark the degree is to use a degree adverb. It is also because it is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to explain the meanings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items to mark the degree at the advanced stage over the intermediate stage with the degree adverbs at the elementary stage. All the adjectives to indicate the state of an object can mark the degree, but not all adjectives have meanings corresponding to all the expressions to indicate the degree including degree adverbs. The present study thus divided the semantic features of adjectives into "subjective and objective" and "positive and negative" and examined correspondence limitations between the meanings of "subjective and positive," "subjective and negative," "objective and neutral," "objective and positive," and "objective and negative" including measure antonyms that were neutral in terms of "positive and negative" value and were objective adjectives and the combined meanings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items to indicate the degree.

      • 한국어 정도부사와 베트남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탄투이밀린 한국베트남학회 2021 한국베트남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01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한국어 정도부사 {‘가장’, ‘제일’}과 ‘더’의 베트남 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가장’, ‘제일’}와 베트남어 ‘nhất’ 그리고 ‘더’와 {‘hơn’, ‘thêm’}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즉, 의미적 측면과 통사적 측면 형 용사, 동사, 명사, 부사, 관형어, 관형사 등에 관한 대조 연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문장구조에서 정도부사의 통사적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즉, 양국 정도부사는 형용사, 동사, 명사, 부사, 관형어, 관형사 등을 수식할 수 있는 경 우를 살펴보고 양국 정도부사의 통사적 특징에 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할 것이다. 이 연구를 활용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정도부사에 관하여 더 깊게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정도부사를 잘 이해하면 말과 정보를 정확 하게 전달할 수 있다. A Study on Contrast Korean Degree Adverbs and Vietnamese Corresponding Expression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 Comparison of degree Adverbs {'Ga chang', 'Je Oil'} and 'nhat'; ‘Doe’ and {‘hon’, ‘them’}-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this study will study the comparison of the Vietnamese counterparts of adverbs {'most', 'the best'} and 'doe' in Korean. Through this stud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ost', 'the best'} and Vietnamese 'nhat' and 'doe' and {'hơn', 'thêm'} are revealed. In other words, we will study contrasting semantic and syntactic aspects of adjectives, verbs, nouns, adverbs, adjectives, adjectives, etc.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xamine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degree adverbs in the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and Vietnamese. In other words, we will examine the cases in which adverbs of precision in both countries can modify adjectives, verbs, nouns, adverbs, adjectives, and adjectives, and analyz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s of precision in both countries. Utilizing this study, Vietnamese Korean learners will help them to understand and learn more deeply about Korean language adverbs. If you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Korean and Vietnamese adverbs of degree, you can accurately convey speech and information.

      •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노화 인지정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김선영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7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서 건강상의 문제를 지닌 노인환자를 돌봐주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노화 인지정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내 노인전문병원 간호사로 하여 162명의 응답을 얻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4.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변수간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ANOVA 등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노화의 신체적 인지정도와 심리적 인지정도가 높음에 따라 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노화 인지정도는 개인적 요인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노화 인지정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관련 요인에서 직위가 높을수록 노화 인지정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노인과의 접촉요인에서 노인관련 자원봉사를 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노화 인지정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과의 접촉 요인 중 노인과 동거를 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평가해 볼 때, 노인전문병원 간호사들의 노화 인지정도가 높은 집단이 대체로 노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노인전문병원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전체 노화인지의 정도를 높일 것을 조심스럽게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차등 비교 구문과 정도차 표현

        송홍규(Song, Hong Kyu)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9 No.-

        본고에서는 정도차 표현을 포함한 비교 구문의 구성을 살피면서, 정도차 표현이 비교 구문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도차 표현은 비교 대상들이 일정한 특성이나 성질과 관련하여 갖는 정도의 차이를 표현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본고에서는 그것이 비교 대상들이 어떠한 속성과 관련된 일정한 기준을 초과하여 갖는 정도의 차이를 표현하는 것임을 보였다. 비교 구문은 일반적으로 동등 비교 구문과 차등 비교 구문으로 나뉘는데, 정도차 표현은 차등 비교 구문과만 쓰일 수 있다. 정도차 표현으로 쓰이는 것은 정도부사와 수량화구가 있는데 이들은 구성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정도성 서술어가 쓰인 차등 비교 구문에서 우세 차등 비교를 표현하는 ‘더’는 수의적으로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정도 부사가 정도차 표현으로 쓰이는 경우에 이런 일반화는 유지되지만, 수량화구가 정도차 표현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더’의 쓰임이 의무적이 된다는 점이 논의를 통해 밝혀졌다. 이런 차이는 ‘더’의 쓰임 여부가 차등 비교 구문의 의미 차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검토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더’가 쓰인 차등 비교 구문에서는 비교되는 두 대상이 정도성 서술어와 관련된 속성을 지녀야 하는 특징을 보이며, 이것이 ‘더’가 쓰이지 않는 구문과 차이를 보이는 점이라고 주장하였다. 본고에서는 ‘보다’에 ‘는’과 ‘더’가 결합한 형태가 쓰인 비교 구문의 의미를 비교 기준 대상의 속성과 관련하여 살핀 연구를 바탕으로, ‘더’가 쓰인 구문과 ‘더’가 쓰이지 않은 구문이 그 의미에서 기본적으로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본고는 오히려 정도차 표현의 출현 여부가 비교 구문의 의미 차이에 영향을 미침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정도차 표현이 정도성 표현과 관련하여 비교 대상들이 갖는 일정한 기준을 넘는 정도의 차이를 표현하는 것임을 주장했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더’의 출현이 두 비교 대상이 정도성 서술어와 관련된 속성을 가짐을 전제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모국어 화자의 경향이 정도성 표현이 수량화구로 나타나는 경우 ‘더’의 출현이 의무적인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일반적으로 우세 차등 비교 구문에서 ‘더’의 출현이 수의적임을 고려할 때, ‘더’가 쓰인 비교 구문의 의미 해석에서 정도차 표현의 존재가 함의되는 방향으로 모국어 화자들의 인식이 굳어져가는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While examining the formation of comparative construction,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 appearance of the differential expression affects the meaning of comparative construction. Even though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differential expression is used to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s of the compared objects which are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degree represented by gradable predicates, this paper claims that the differential expression is to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s of the compared objects which exceed a relevant standard value. The construction expressing the meaning of comparison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he equative construction and comparative construction, and the differential expression can be used only with the comparative construction. Degree adverbs and measure phrases are used as the differential expression, and they show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of comparative construction. It has been known that ‘deo’ being used to form the superior comparatives optionally appears, but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use of ‘deo’ is obligatory when a measure phrase is used as the differential expression. In a previous research, it is claimed that the comparative construction with ‘deo’ has semantically understood differently from the construction without ‘deo’. However, this paper argued that it is the appearance of differential expression, not the appearance of ‘deo’ that affects the meaning difference of the comparative construction. What is claimed here is that the differential expression expres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s of the compared objects which exceeds the contextually determined standard. Thus, the compared objects are understood as having the property of a gradable expression used in the comparative construction. In addition, this paper pointed out tha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ppearance of ‘deo’ in the superior comparatives is optional in general, the perceptual propensity of native speakers that the appearance of ‘deo’ presupposes the compared objects having the degrees over the certain standard value seems to show that their perception becomes to be fixed in a way that the appearance of ‘deo’ entails the existence of the differential expression, especially a measure phrase.

      • 초음파 정도관리 영상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

        박혜리,최준호,박정훈,공경림,임지영,이원홍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4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5 No.1

        목적 : 초음파 정도관리 교육을 받지 않은 직원을 대상으로 정도관리 교육 전과 교육 후의 정도 관리 영상을 비교, 평가하여 교육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초음파 정도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경력 5년 미만의 방사선사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TS-539 다목적 초음파 팬텀과 PHILIPS IU-22 장비의 Convex probe 5-2 MHz를 사용하였다. 이론교육은 회당 1시간, 총 5회의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실기교육은 회당 2시간, 총 6회의 교육이 진행되었다. 초음파 정도관리 교육의 중요성 평가를 위해 정도관리 교육 전 기존의 지침대로 정도관리를 시행한 영상과 이론교육 시행 후 정도관리 영상, 실기교육 후 정도관리 영상을 총 8개 항목에서 40점 만점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 초음파 정도관리 교육 전 시행한 정도관리 영상 평과 결과 교육생 3명의 평균점수는 30.3점이었으며, 이론교육 후의 시행한 정도관리 영상 평가 결과는 평균 35.2점으로 전체적인 평균 점수가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정도관리 교육 전과 이론교육 후를 비교하였을 경우 3명의 교육생에서 모두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P=0.136, P=0.284, P=0.151). 이론교육과 실기교육을 모두 이수한 후 시행한 정도관리에서의 영상 평가 결과는 평균 39.5점으로 교육 전, 이론교육 후의 평균점수와 비교하여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도관리 교육 전과 이론교육과 실기교육을 모두 이수한 후와 비교하였을 경우 3명의 교육생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6, P=0.038, P=0.038). 결론 : 초음파 정도관리 지침에 따른 정도관리 이론과 실기교육을 수행한 후에 정도관리를 시행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고 적절한 정도관리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초음파 정도관리와 초음파 분야의 전문방사선사로써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Dynalog file을 이용한 동적다엽조준기의 Leaf 속도 정도관리 평가

        김주섭,안우상,이우석,박성호,최원식,신성수,Kim, Joo Seob,Ahn, Woo Sang,Lee, Woo Suk,Park, Sung Ho,Choi, Wonsik,Shin, Seong Soo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4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6 No.2

        목 적 : 동적다엽조준기(dynamic multileaf collimator, DMLC)에서 leaf 속도 정도관리 시 획득된 dynalog 파일을 이용하여 leaf 속도 정확성을 평가하고 정도관리와 모터 교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정도관리의 유용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leaf 속도 정도관리의 적절한 주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폐암의 정위적체부방사선치료시 실제 적용하고 있는 최대강도투사(MIP) 영상과 호흡위상별(0~90%)영상에서 3차원적으로 재구성된 선량 분포 차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다엽조준기(multileaf collimator, MLC) 모터 120개에 대해 2012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leaf 위치의 정확성과 치료 중심점(isocenter) 일치도 및 leaf 속도의 정확성에 대해 정도관리를 하였다. leaf 위치 정확성은 모눈종이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leaf의 치료 중심점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약 1~2 주에 1회씩 총 92회의 leaf 속도 정도관리를 통해 모터 교체회수를 파악하여 leaf 속도 정도관리와 모터 교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교체된 모터로부터 leaf의 RMS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로 나누어 적절한 정도관리 주기를 평가하였다. 또한 정도관리를 통해 획득된 RMS 값과 전혀 무관하게 그리고 정도관리를 통해 교체된 모터 횟수를 분석하여 leaf 속도 정도관리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 leaf 위치의 정확성과 치료 중심점 일치도를 측정한 결과는 TG-142 보고서에서 권고 하는 허용 범위 이하의 정확성으로 관찰되었고, leaf 속도 정도관리는 총 92회를 시행한 결과 MLC 모터 교체 회수는 56회 이었다. 정도관리를 통해 교체된 모터에서 leaf의 RMS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한 경우가 급격하게 증가한 경우에 비해 많았으며, RMS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우는 평균값이 0.298 cm 이었고 급격하게 증가한 경우는 평균값이 0.273 cm 이었다. 모두 에러 히스토그램이 1 cm 이상 벗어난 횟수가 측정되어 교체하였다. RMS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모터가 교체될 때까지의 소요기간은 평균 22일 정도 였다. 전체 모터 교체 중 정도관리와 무관하게 그리고 정도관리를 통해 교체한 경우가 각각 28회씩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사선치료 도중 MLC 모터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치료 지연 시간은 약 20분 정도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최근 IMRT 치료가 증가함에 따라 MLC 사용 빈도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leaf 위치 정확성 및 치료 중심점 일치도 그리고 속도 정확성 평가를 2년 6개월 동안 수행하였다. leaf 속도 정도관리를 통해 분석한 결과로부터 2 주에 한 번씩 정도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주기를 통해서 leaf 속도 저하를 추적 관찰하여 최종 모터의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방사선치료 중 leaf의 모터 고장으로 인한 방사선치료 지연을 방지하여 좀 더 정확한 IMRT 치료가 이루어지겠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chanical and leaf speed accuracy of the dynamic multileaf collimator (DMLC)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 period of quality assurance (QA). Materials and Methods : The quality assurance of the DMLC equipped with Millennium 120 leaves has been performed total 92 times from January 2012 to June 2014. The the accuracy of leaf position and isocenter coincidence for MLC were checked using the graph paper and Gafchromic EBT film, respectively. The stability of leaf speed was verified using a test file requiring the leaves to reach maximum leaf speed during the gantry rotation. At the end of every leaf speed QA, dynamic dynalog files created by MLC controller were analyzed using dynalog file viewer software. This file concludes the information about the planned versus actual position for all leaves and provides error RMS (root-mean square) for individual leaf deviations and error histogram for all leaf deviations. In this study, the data obtained from the leaf speed QA were used to screen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leaf speed and determine the need for motor replacement. Results : The leaf position accuracy and isocenteric coincidence of MLC was observed within a tolerance range recommanded from TG-142 reports. Total number of motor replacement were 56 motors over whole QA period. For all motors replaced from QA, gradually increased patterns of error RMS values were much more than suddenly increased patterns of error RMS values. Average error RMS values of gradually and suddenly increased patterns were 0.298 cm and 0.273 cm, respectively. However, The average error RMS values were within 0.35 cm recommended by the vendor, motors were replac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no counts with misplacement > 1 cm. On average, motor replacement for gradually increased patterns of error RMS values 22 days. 28 motors were replaced regardless of the leaf speed QA. Conclusion : This study performed the periodic MLC QA for analyzing the mechanical and leaf speed accuracy of the dynamic multileaf collimator (DMLC). The leaf position accuracy and isocenteric coincidence showed whthin of MLC evaluation is observed within the tolerance value recommanded by TG-142 report. Based on the result obtained from leaf speed QA, we have concluded that QA protocol of leaf speed for DMLC was performed at least bimonthly in order to screen the performance of leaf speed. The periodic QA protocol can help to ensure for delivering accurate IMRT treatment to patients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leaf speed.

      • KCI등재

        국가장학금 Ⅱ유형에 대한 대학의 자체노력 정도 결정요인 분석

        이희숙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1

        2012년부터 시작된 국가장학금 정책 중 Ⅱ유형은 학생이 국가장학금을 받기위해 요구되는 소득 및 성적요건을 충족하더라도 본인이 재학 중인 대학의 자체노력 정도에 따라 장학금 수혜 여부 및 규모가 결정되기 때문에 대학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수적인 제도이다. 그러나 국가장학금 Ⅱ유형에서 요구하는 대학의 자체노력이 대학의 재정과 직접 관련이 있는 등록금 인하 및 장학금 확충이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지속적으로 자체노력을 경주하기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의 자체노력이 부족하여 소속 학생들이 정부가 배정한 장학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정부 배정액을 초과하여 적극적으로 자체노력을 기울이는 대학들도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가장학금 Ⅱ유형에 대한 대학들의 자체노력 실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장학재단 및 대학알리미 자료를 활용하여 국가장학금 Ⅱ유형 제도도입 이후 대학의 자체노력 정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았고 대학특성에 따라 대학의 자체노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끝으로 대학의 자체노력 정도에 영향을 주거나 대학의 자체노력 초과/미달 여부를 결정하는 대학특성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국가장학금 Ⅱ유형의 도입 1년 만에 대학의 자체노력 정도는 큰폭으로 감소하였는데 특히 국공립대학 및 지방소재 대학의 감소율이 높았다. 둘째, 2013년도 대학의 자체노력 정도는 대학에 따라 최소 8.2%에서 최대 436.9%의 차이가 있었는데, 대학특성에 따라서는 사립대학이나 수도권소재 대학의 자체노력 정도가 국공립대학이나 지방소재대학에 비해 높았다. 뿐만 아니라 사립대학은 국공립대학에 비해 배정금액을 초과하는 수준의 자체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대학의 자체노력 정도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립대학일수록, 학생 1인당 교육비가 높고, 전년도 자체노력 정도가 높은 대학일수록 2013년도에도 자체노력 정도가 높았다. 또한 재정지원제한대학의 자체노력 정도가 재정지원 대학에 비해 높았다. 배정액을 초과하여 자체노력을 달성한 대학의 특성과 관련해서는 자체노력 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전년도 자체노력 정도가 높은 대학일수록,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일수록 자체노력 인정액이 정부배정액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국공립대학에 비해 사립대학이 국가장학금 Ⅱ유형의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가장학금 Ⅰ유형의 기준금액이 4년제 국립대학의 평균 등록금의 109%, 사립대학 평균 등록금의 60.9% 수준임을 감안할 때, 재학생 학자금 부담완화를 위한 사립대학의 적극적 노력의 측면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이 정부재정지원대학에 비해 자체노력의 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정부 배정액을 초과하는 금액의 장학금을 지급받을 확률이 높은 것은 국가장학금 정책을 대학의 구조조정과 연계한다는 Ⅱ유형 정책 도입의 취지에 역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개선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국가장학금 Ⅱ유형이 대학 구조조정 연계 취지와는 달리 전개되는 부분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둘째, 국가장학금 Ⅱ유형의 핵심 조건인 대학의 자체노력에 대한 대학측의 참여가 현저히 낮아지고 있는 부분과 관련해서는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자체노력 유형의 다양화 및 장학금 활용의 자율성 제고 등 고려된다. As National Scholarship Type Ⅱ newly initiated in 2012 determines whether a student can receive the benefit and how much a student can get the grant based on the degree of a college's self-efforts, the active efforts of colleges are very crucial. The self-efforts of colleges comprise colleges' endeavors to lower tuition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for scholarship. It has happened that students can't receive National Scholarship Type Ⅱ only because colleges which students are attending didn't make self-efforts. Some colleges on the other hand make self-efforts exceeding the amount of national scholarship assigned by government. Therefore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and Higher Education in Korea and analyzed 1) whether the degree of self-efforts of colleges has chang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olicy, 2) whether there exis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elf-efforts according to colleges' characteristics, 3) What factors are affecting on the degree of colleges' self-effort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elf-efforts of colleges has decreased since 2012. Second, the degree of self-efforts of private colleges or metropolitan area located colleges is higher than the degree of public or local area located colleges.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gree of efforts, the degree of self-efforts are higher as for the colleges are characterized as higher college scholarship per a student, higher composition rate of tenure tracked faculty members, the supplement rate. of freshmen, and lower drop-out rate.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nd further countermeasures are suggested as below; First, the various kinds of colleges' self-efforts, autonomy of operation and distribution of National Scholarship Type Ⅱ in the colleges, and the ongoing monitoring of the system's actual conditions and impacts on colleges are taken into account.

      • KCI등재

        인터넷 1인 게임방송의 이용 동기와 만족도,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참여정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정서현,박주연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3

        본 논문은 이용과 충족 접근을 기반으로 인터넷 1인 게임방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행위(실시간/비실시간 시청, 댓글, 채팅, 공유, 후원)에의 참여 정도와 이용 동기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참여 정도의 높고 낮음에 따른 이용 동기와 만족도 및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터넷 1인 게임방송 이용자들의 정보 추구 동기와 상호작용 추구 동기는 참여 정도와 정(+)의 관계를, 재미 추구 동기는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참여 정도에 따라 나누어 보면, 참여 정도가 높은 집 단의 경우 정보 추구, 재미 추구, 크리에이터 속성 동기가 이용 후 만족도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 정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재미 추구와 크리에이터 속성 동 기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정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정 보 추구 동기가 게임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참여 정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재미 추구 동기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 서는 참여 정도에 따라 인터넷 1인 게임방송 시청 후 만족도와 실제 게임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참여 행위를 구현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 영역에서 이용자를 단일 집단으로 보지 않고 참여 정도를 나누어 이용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internet game broadcasting and the motivation for use based on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o that end, an online survey of 245 adults was conducted. The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Firs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motivations for information-seeking and interaction-seeking of Internet one-person game broadcasting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participation, while the motivations for fun-seeking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Second, In the group with high participation level, information, fun, and creator attribute motivation appeared to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after use, while in the case of groups with low levels of participation, only fun and creator attribute motivation were found to affect satisfaction after use. Finally, in the case of groups with high level of participation, the motivation to pursue information affects the purchasing intention of the game, while in the case of groups with low participation, the motivation to pursue fun affects the purchasing intention. Overall,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motivation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after watching internet game broadcasting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gam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users were not viewed as a single group in the area of Internet broadcasting where various participatory activities can be performed, but the effects of the use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 AMC G-Box를 이용한 영상유도장치의 효율적인 정도관리

        김정미,Kim, Chong Mi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4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6 No.2

        목 적 : 최근 영상유도 방사선치료의 급증에 따라 영상유도장치의 정도관리를 철저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영상유도 방사선치료는 장치의 정확성을 기본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도관리가 필수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본원에서는 영상유도장치의 정도관리를 기존의 팬텀(Phantom)보다 효율적인 팬텀을 자체 제작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도관리를 이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영상유도장치의 정도관리 항목으로 매우 중요한 5가지를 설정하고, 그 항목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도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는 팬텀(AMC G-Box)을 자체 제작하였다. 정도관리 항목은 Iso-center와 영상유도장치의 중심 일치성, 구현된 영상의 실측 정확성, 4 방향의 중심일치성, 영상유도 이동의 정확성 및 CBCT(Cone Beam CT)에서 구현된 HU(Hounsfield Unit)의 재현성으로 설정하였다. 이 항목에 대하여 $10cm{\time}10cm{\time}10cm$의 정사각형 팬텀을 1 cm두께의 아크릴로 제작하였으며 CBCT HU을 측정하기 위해 팬텀안에 각각 밀도가 다른 3개의 물질을 삽입하였다. 팬텀에는 중심과 일정한 위치를 가리키는 표식을 만들어서 중심과 일치성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은 기존 각각의 팬텀을 이용한 정도관리를 실시하고, 새로 제작된 AMC G-Box로 실시한 후 그 결과 값을 비교하고 소요되는 시간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치료기는 Varian사의 4개의 모델이고, 1주 간격으로 2회 측정하였다. 결 과 : 완성된 AMC G-Box를 이용한 영상유도장치의 정도관리를 시행하였을 때, 기존 개별로 구성된 팬텀을 이용한 정도관리 결과를 보았을 때, $0.2mm{\pm}0.1$이내에서 결과 값이 같았다. 또한 기존의 방법일 경우 최소 30분에서 45분이 소요되었으나, AMC G-Box를 이용하였을 때는 15분~20분이 소요되어 50%이상 시간을 감소하였다. 결 론 : 영상유도장치는 사용기간이 지남에 따라 일치성과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관련된 정도관리를 주기적으로 철저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일치성 검사는 매일 점검해야하는 항목이다. 이러한 정도관리를 AMC G-Box를 이용할 경우 정확한 정도관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장치와 환자 치료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었다. Purpose : According to the rapid increase recently in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 It is necessary to control of the image guidance system completely. In particular for the main subject to the accuracy of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device to be done essentially the quality assurance. We made efficient phantom in AMC for the management of the accurate and efficient. Materials and Methods : By setting up of five very important as a quality assurance inventory of the Image guidance system, we made (AMC G-Box) phantom for quality assurance efficient and accurate. Quality assurance list were the Iso-center align, the real measurement, the center align of four direction, the accuracy of table movement and the reproducibility of Hounsfield Unit. The rectangular phantom; acrylic with a thickness of 1 cm to $10cm{\time}10cm{\time}10cm$ was inserted the three materials with different densities respectively for measure the CBCT HU. The phantom was to perform a check of consistency centered by creating a marker that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center fixed. By performing the quality assurance using the phantom of existing, comparing the resulting value to the different resulting value using the AMC G-Box, experiment was analyzed time and problems. Therapy equipment was used Varian device. It was measured twice at 1-week intervals. Results : When implemented quality assurance of an image guidance system using AMC G-Box and a phantom existing has been completed, the quality assurance result is similar in $0.2mm{\pm}0.1$.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it was 45 minutes at 30 minutes. When using AMC G-Box, it takes 20 minutes 15 minutes, and declined to 50% of the time. Conclusion : The consistency and accurate of image guidance system tend to decline using device. Therefore, We need to perform thoroughly on the quality assurance related. It needs to be checked daily to consistency check especially. When using the AMC G-Box,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accuracy of the patient care and equipment efficiently performing accurate quality assur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