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 학교행정가, 상담교수 간 전문상담교사 직무에 대한 인식의 차이

        임은미,조남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학교행정가, 상담교수 간 전문상담교사 직무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상담교사 직무관련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전문상담교사들과의 면접을 통해 전문상담교사의 직무 설문지 초안을 구성하고, 전문상담교사 30명, 학교 행정가 10명, 그리고 상담교수 20명을 대상으로 각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상담의 정의, 학교상담의 목적, 전문상담교사의 직무, 학교상담 지원방안, 학교상담의 내담자 보호 영역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가 도출되었다. 또한 전문상담교사, 학교행정가, 상담교수 간의 학교상담 정의, 학교상담지원방안, 학교상담의 내담자보호 영역 등에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전문상담교사가 직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교상담의 정의와 목적을 점검하고, 행정 책임자의 관심과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지원이 필요하며, 내담자 보호방안 또한 명확히 해야 한다는 연구참여자들의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기초로 전문상담교사 직무와 학교상담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school counseling teacher, counseling administrator and counseling professor on job of school counseling teacher. For this purpose, it was summariz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job of school counseling teacher. Through interviews with school counseling teachers, it was prepared a questionnaire for the job of school counseling teachers. 30 school counseling teachers, 20 counseling professors, and 10 school administrators participated in the delphi survey of three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finition of school counseling, the purpose of school counseling, the job of school counseling teacher, school counseling support system, protecting the clients of school counseling were derived.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mong school counseling teacher, school administrators and counseling professor in the definitions of school counseling, school counseling support system, protecting the clients of school counseling. In order for school counseling teacher to perform their jobs smoothly,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school counseling.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 support based on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administrative officer is needed. the participants suggested to clarify how to protect their cli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y wer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job of the school counselor teacher and school counseling.

      • KCI등재후보

        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방안 연구

        유형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교직과목으로 상담관련 과목을 이수하여 전문상담교사 자격증을 받게 되는 학생들의 교육실습을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그 방안으로 첫째, 학교상담의 전문성과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직무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의 영역과 목표를 제안하였다. 둘째,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을 이끌어갈 인적 주체인 대학 실습지도 교수, 협력학교 실습지도 교사, 교육실습생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직과목 이수를 통해 전문상담교사 2급 자격증을 받게 되는 학생이 2009년에 처음으로 배출되어 당장 내년부터 이들에 대한 교육실습을 실시해야 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준비와 연구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교육실습 운영과 효율성 제고방안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고, 나아가 이러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전문성 있는 전문상담교사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unselor education programs prepare students to be effective in a profession. It is imperative that programs explicitly prepare students to be counselors first and counseling specialists seco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tudent-teaching practic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school counselors. The result from this study include as following : a) The specialty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roles of school counselors. b) The area and goals of student-teaching practice for school counselors. c) The role of university supervisors and site supervisors. d) The tasks for development of student-teaching practic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school counselors.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 to improve effectiveness of student-teaching practic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school counselors and to cultivat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ossessing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와 일반상담교사 배치 학교 학생들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

        배인수,이윤주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6

        This study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ctual counseling conditions, the expected roles of counselors, the satisfaction with their service, and the measures to improve school counseling between the schools that plac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the schools that place general counseling teachers who teach regular curriculum with proper counseling certificate. This study carried out and analyzed a national survey with 1,650 stud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1,662 students in those with certified general counseling. The survey found that the students in the schools with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overall factors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higher rates in the role expectation for and satisfaction with counseling teachers. Both groups turned out to have been highly aware of the need for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school as a leading role and for a way to improve student counseling. However, it turned out negativel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chool counseling, the lack in the understanding of and distrust with school counseling and the roles and qualification of counseling teacher.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objectivities in suggesting the measures and plans to improve the problems in school counseling regarding the perceptual change of students on professional and general counseling teachers for school counseling, the advancement in the conditions of school counseling, the qualification and expertise of counseling teachers and the expansion of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schoo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tres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counseling conditions in school and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qualification and expertis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high quality of counseling. This study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findings propose the opportunity of more active and live counseling performance,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school and better counseling services.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와 일반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들의 학교상담 실태, 역할 기대, 상담 만족도, 학교상담 발전 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과 학교상담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 1,605명, 일반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 1,6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상담교사 배치 학교 학생들이 학교상담 실태 전반적 요인에서 긍정적 인식을 하였으며, 상담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 수준과 상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학교상담의 주체 요인과 발전 방안으로 상담만을 전담하는 전문상담교사 배치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상담 여건과 환경, 상담에 대한 이해 부족과 불신, 상담교사 역할과 자질 등에 대해서 부정적 인식의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와 일반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들의 인식에 따른 학교상담에 대한 이해와 인식변화, 상담활동 여건과 환경 개선, 상담교사의 역할 자질과 전문성 신장, 전문상담교사 배치 확대 시행 등 학교상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과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학생들에게 질 높은 상담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담 여건과 환경을 개선하고,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역할 자질과 전문성 신장의 중요함을 일깨워 준다. 아울러 적극적이고 활발한 상담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각 급 학교에 전문상담교사를 배치하여 만족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과 전문상담교사효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김민혜,선혜연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5 교사교육연구 Vol.64 No.2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전문상담교사효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초, 중, 고, 위(Wee)센터에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최종 421명의 자료를 SPSS 21.0,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마음챙김, 전문상담교사효능감, 상담자 소진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전문상담교사효능감이 각각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상담교사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전문상담교사효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나타났다. 이후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전문상담교사 소진에 대한 교사교육 지원 방안 및 연구의나아갈 방향과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ounselor burnout among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an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s well as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The final dataset, comprising 421 responses, was subjected to analysis using SPSS 21.0 and AMOS 26.0.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mindfulness,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efficacy, and counselor burnout. Additionally, mindfulnes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efficacy independently mediated, as well as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ounselor burnout. Thes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support measures and programs to prevent counselor burnout, and offer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

        조윤경(Cho Youn Kyung),정지영(Jeong Ji Young),임은미(Lim Eun Mi)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이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에게 8개 영역의 39항목으로 구성된 전문상담교사 역할을 제시하고, 각 역할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2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는 5점 만점 중 4.50으로 매우 높았으며, ‘내담자 보호’, ‘위기상담’,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의 순이었다. 순회교사가 배치된 학교의 담임교사는 ‘생활지도 체제지원’, ‘학교상담 행정업무’, ‘위기상담’, ‘부모교육’, ‘아동이해 정보제공’에서 기대가 낮은데 비해, 미 배치 학교의 담임교사는 ‘생활지도 체제지원’, ‘위기상담’, ‘아동이해를 위한 정보제공’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상담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들은 전체 하위영역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높은 기대를 보였다.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평가는 5점 만점에 3.65로 전체적으로 기대(4.50)에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은 ‘내담자 보호’, ‘위기상담’,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 등이었다. 상주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에 근무하는 담임교사들은 ‘내담자 보호’, ‘학교상담 행정업무’, ‘부모교육’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높은 평가를 내렸다. 전문상담교사 미 배치 학교의 담임교사는 ‘내담자 보호’, ‘학교상담 행정업무’, ‘부모교육’에서 기대보다 유의하게 낮은 평가를 보였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 초등 상담의 현장에서 전문상담교사와 가장 긴밀한 협조를 해야 할 담임교사의 시선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expectations and evaluation about school counselors’ role in Jeonbuk.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s perform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39 items of 8 sub-factors for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Jeonbuk. The role expectation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bout school counselors were very high(M=4.50 points out of 5.00). While the expectations of the Client Protection, the Crisis Counseling,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were high, that of guidance was low. The homeroom teachers of the schools which have visiting school counselors had low expectations in the Systemic Support for Guidance,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Crisis Counseling, the Parents Education, the Information Giving for Understanding Children, whereas the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the schools without school counselors had high expectation about the Systemic Support for Guidance, the Crisis Counseling, the Information Giving for Understanding Children. Teachers who did not receive counseling training showed high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in all sub-factors.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about school counselors’ role performance(M=3.65 points out of 5.00) was lower than expected. School counselors’ role performances received high evaluation were the client protection , the crisis counseling ,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 and th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 Homeroom teachers who have full-time school counselors evaluated high about the roles of school counselors such as the Client Protection,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Parents Education. The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schools without school counselors evaluated significantly lower than expected about school counselor’s roles in the Client Protection, the Clerical Job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Parents Educa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on the expectations and evaluation of school counselors’ roles in the view of homeroom teachers who should cooperate closely with school counselors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전문상담 교육실습 내실화 방안 연구

        현아롬,안하얀 한국상담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6 No.2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와 현직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을 토대로, 전문상담 교육실습 내실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전문상담 교육실습에 참여했던 전문상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형식의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설문에 참여한 현직전문상담교사 중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사전조사 시 질문했던 내용을 보다 상세화하여 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전조사 및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통합한 결과, 전문상담 교육실습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 및 운영 개선방안으로 3개 영역, 9개 범주, 23개 핵심개념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육실습 내용 구성요소’ 영역에는 상담 실습활동, 상담 교육활동, 위(Wee)클래스 운영 및 행정활동의 범주가 포함되며, ‘교육실습 내용 조직방법’ 영역에는 윤리적 측면, 구조적 측면, 환경적 측면의 범주가 포함되고, ‘교육실습 운영을 위한 관계기관 협력방안’ 영역에는 실습학교의 역할, 교원양성기관의 역할, 교육(지원)청의 역할 범주가 포함되었다. 교육실습의 내용적 측면에서 구성요소 및 조직방법 뿐만 아니라 운영적 측면에서 관계기관에 기대되는 역할을 토대로, 예비전문상담교사의 현장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상담 교육실습 내실화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approaches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acticum for school counselor trainees by reflecting on the practicum experience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se counselors to capture their insights,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in-servic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Data analysis yielded 3 main domains, 9 categories, and 23 key concepts. The ‘Practicum Content Components’ domain included categories such as counseling practice, counseling education, and Wee-class operation. The ‘Practicum Content Organizing Method’ domain included ethical,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The ‘Cooperation Plan with Related Agencies for Practicum Operation’ domain included categories such as the roles of training schools,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offers suggestions for refining the educational practicum, aiming to bolster the practical competencies of pre-service school counselors.

      • KCI등재

        Q방법론 적용을 위한 전문상담교사 역량에 관한 탐색연구: 중고등학교교사의 FGI를 중심으로

        정희정(Heejung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6

        목적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표적집단인터뷰(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전문상담교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Q방법론 적용을 위한 Q모집단 구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교 내의 전문상담교사 현황을 파악하고 전문상담교사의 역량에 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서울, 경기 지역의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Giorgi(1985)가 제시한 네 가지 현상학적 분석방법 적용과 삼각검증(triangulation)을 통한 자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첫째, 학생들의 다양한 심리적 문제와 부적응 문제가 증가하고 있는 현 중고등학교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증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내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관련된 문제로 학교 내 구성원들과 전문상담교사의 갈등이 일어나고 있다고 인식하여 전문상담교사의 명확한 역할확립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전문상담교사의 지위 강화와 처우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상담교사의 자격과 채용 기준에 대한 개편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중고등학교 내 전문상담교사의 원활한 직무수행을 위해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과 전문상담교사의 학교 내 지위, 처우 개선 및 권한에 대한 정책적,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고등학교 내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직무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subjective and individual competenci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FGI). The findings will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orming a Q sample for the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Methods To achieve this, we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counselo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on the capabiliti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and conducted FGI(Focus Group Interviews)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nd Giorgi(1985)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four presented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and triangulation,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re is a recognized need fo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fessional counselors due to the rising psychological issues and maladjustment problems among students in current secondary schools. Second, there is a perceived necessity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professional counselors. Third, conflicts have arisen between school member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indicating the need for a clear establishment of the counselors' roles within the school. Fourth, there is a recognition of the need to strengthen the status and improve the treatment of professional counselors. Fifth, there is a perceived need for a revision of the qualifications and recruitment standards for professional counselors. Conclusions Therefore, in order for professional counselo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o perform their duties smoothly, it is judged that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to enhance the expertise of professional counselors and to improve the status, treatment, and authority of professional counselors in schools. It is hop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roles and duti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 초등학교 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일 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한숙경 圓光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2003 敎育硏究 Vol.- No.22

        학교상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는 현재까지 학교상담, 특히 초등학교 상담 및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들이 매우 부족하며, 특히 도입 4년이 지난 전문상담 교사 양성과정상의 문제점과 배출 후 그들의 위상 및 역할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전문성 확립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의 초등학교에서 학교상담 활동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합학교상담프로그램 중, 가장 최근의 이론인 학교상담 프로그램을 위한 국가모델에 기초하여 학교상담의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그리고 초등 전문 상담교사 자격을 갖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리 나라 초등학교 상담의 실태와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및 역할 수행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응답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전문성 확립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여, 전문상담교사 자격 취득의 동기 전환, 상담교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개선, 상담활동의 공식화, 전문상담교사의 적극적 활용, 체제지원, 상담 인력 및 상담 지원인력의 확보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들의 Wee센터 근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희정,정주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4

        본 연구는 J도 교육지원청 Wee센터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들이 Wee센터 전문상담교사로서 자신의 역할과 직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수행해나가는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년 이상 Wee센터 근무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들 9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Van Kaam(1969)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범주, 11개의 주제, 43개의 부주제를 추출하였다. 이들은 자신의 기대와 Wee센터 전문상담교사로서 요구되는 역할 간에 괴리를 느꼈다. 이들은 상담 외의 업무에 대한 과도한 요구로 전문상담교사로서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기도 하고, 명확하지 않은 업무 경계와 충분하지 않은 보상, 순회상담의 어려움으로 인해 Wee센터 근무에 불만족을 느끼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도전과 어려움을 헤쳐 나가며 자신의 직무에 적응해나가면서 Wee센터 전문인력과 행정직원들과의 협업을 통해 상담역량이 증대되었고, 지역사회 학교상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상담 저변을 확장하였고, 다양한 상담경험을 쌓음으로써 전문상담교사로서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었다고 느꼈다. 또한, 자신들의 경험을 통해 Wee센터 근무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문제의식이 생겨났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Wee센터 배치되는 전문상담교사의 경력이 고려되고, 다양한 업무 수행을 위한 충분한 직무연수 기회가 제공되며, Wee센터 근무 특수성에 대한 추가적인 보상이 주어지며, 전문상담교사로서 성장과 소진 예방을 위한 기회가 확대되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퍼비전 모형 개발

        남순임,유형근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4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of supervision model and to improve abilities that is required in an educational field for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Based on th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the supervision model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omposed of the developmental stage, the contents of supervision, and the supervision methods was developed. Then, the results and validity of the model were examined using the Delphi method with 42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 results yielded 59 supervision contents and 13 areas i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roles such as ‘counseling’, ‘consultation and instruction’, ‘linkag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and ‘reinforcement of profess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areas that should be supervised with priority according to school counselor’s developmental stage; ‘counseling’, ‘linkage’, and ‘planning and administration’ for formation stage, ‘consultation and instruction’ for growth stage, and ‘reinforcement of profession’ for proficiency stage. Moreover, the contents that should be supervised with priority according to school counselor’s developmental stage were classified; 38 contents for formations stage, 22 contents for growth stage, and 6 contents for proficiency stage. Regarding the supervision method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supervision by expert appeared suitable for ‘counseling’ and the supervision by peer appeared suitable for the rest of the areas such as ‘consultation and instruction’, ‘linkag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and ‘reinforcement of profess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ask-oriented supervision model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school counselor’s developmental stages,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identified the range of required competencies as well as the methods to reinforce them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이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퍼비전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시켜 전문성 발달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 수퍼비전 내용, 수퍼비전 방법을 구성요소로 하는 수퍼비전 모형을 구안하고, 수퍼비전 내용 도출과 타당화를 위해 42명의 전문가들에게 3차에 걸쳐 델파이 방법(Delphi method)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상담교사 직무전반인 ‘상담활동’, ‘자문 및 교육’, ‘연계’, ‘기획 및 행정’, ‘전문성 증진활동’ 에서 13개 영역 59개의 수퍼비전 내용이 도출되었다.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라 우선적으로 수퍼비전 받아야할 영역은 ‘상담활동’, ‘연계’, ‘기획 및 행정’ 영역은 형성기 교사들에게 더 필요한 수퍼비전 영역이고, ‘자문 및 교육’ 영역은 성장기 교사들에게 보다 더 적합하며, ‘전문성 함양’ 영역은 형성기, 성장기, 숙련기 전문상담교사 모두에게 수퍼비전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각 발달단계에서 우선적으로 수퍼비전 받아야 할 내용과 관련하여 형성기에는 38개, 성장기는 22개, 숙련기는 6개의 수퍼비전 내용이 도출되었다. 수퍼비전 방법과 관련하여 ‘상담활동’은 전문가 수퍼비전이 적절하고, 그 외의 ‘자문 및 교육’, ‘연계’, ‘기획 및 행정’, ‘전문성 함양’ 영역 등은 대부분 동료 수퍼비전이 적절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적 개입이 가능한 직무중심의 수퍼비전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학교상담의 주체인 전문상담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의 범위와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