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유형 탐색

        김지연,김동일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djustment process pattern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provide an appropriate basis for the ideal role model to adapt in schools. Th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patterns were classified within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djustment process? Second, how is the process of each work adjustment pattern? To accomplish this purpose, 15 professional incumbent school counselors who have adjusted relatively well and have more than 2 years of experience in school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s(1990, 1998). In order to achieve the validity of the result, a validation process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2 patterns of adjustment process were revealed: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pursuing type” and “the counseling professionalism pursuing type”. In additi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pursuing type” was classified as ‘a taking-charge adjustment type’, and ‘a life experience center adjustment type’. Understanding the specific aspects of the adaptation of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ould be helpful to conduct in providing support according to each individual's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유형을 탐색하여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적절한 역할 모델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유형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둘째, 전문상담교사 각 직업 적응 유형은 어떠한 적응의 과정을 거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상담교사로서 잘 적응하였다고 평가되는 학교 근무경력 만 2년 이상의 전문상담교사 15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각 참여자들의 적응의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고 각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사한 특징을 지닌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적응의 모습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적응의 단계 및 절차를 제시하였다. 자료의 분석 과정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은 근거이론 접근방법(Strauss & Corbin, 1990, 1998)이었으며 각 단계에서 현직 전문상담교사와 학교상담 및 진로상담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현상에 대한 사실적 가치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경험 유형은 교직전문성 추구형과 상담전문성 추구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교직전문성 추구형은 그 적응의 특징에 기반하여 변화주도형, 경험통합형이라는 2가지로 세부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직 전문상담교사의 구체적인 적응의 양상을 이해하고 각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지원 노력을 위한 기초자료가 제공되었다는 의의를 지닌다.

      • 초등학교 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일 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한숙경 圓光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2003 敎育硏究 Vol.- No.22

        학교상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는 현재까지 학교상담, 특히 초등학교 상담 및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들이 매우 부족하며, 특히 도입 4년이 지난 전문상담 교사 양성과정상의 문제점과 배출 후 그들의 위상 및 역할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전문성 확립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의 초등학교에서 학교상담 활동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합학교상담프로그램 중, 가장 최근의 이론인 학교상담 프로그램을 위한 국가모델에 기초하여 학교상담의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그리고 초등 전문 상담교사 자격을 갖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리 나라 초등학교 상담의 실태와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및 역할 수행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응답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전문성 확립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여, 전문상담교사 자격 취득의 동기 전환, 상담교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개선, 상담활동의 공식화, 전문상담교사의 적극적 활용, 체제지원, 상담 인력 및 상담 지원인력의 확보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

        조윤경(Cho Youn Kyung),정지영(Jeong Ji Young),임은미(Lim Eun Mi)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이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에게 8개 영역의 39항목으로 구성된 전문상담교사 역할을 제시하고, 각 역할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2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는 5점 만점 중 4.50으로 매우 높았으며, ‘내담자 보호’, ‘위기상담’,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의 순이었다. 순회교사가 배치된 학교의 담임교사는 ‘생활지도 체제지원’, ‘학교상담 행정업무’, ‘위기상담’, ‘부모교육’, ‘아동이해 정보제공’에서 기대가 낮은데 비해, 미 배치 학교의 담임교사는 ‘생활지도 체제지원’, ‘위기상담’, ‘아동이해를 위한 정보제공’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상담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들은 전체 하위영역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높은 기대를 보였다.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평가는 5점 만점에 3.65로 전체적으로 기대(4.50)에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은 ‘내담자 보호’, ‘위기상담’,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 등이었다. 상주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에 근무하는 담임교사들은 ‘내담자 보호’, ‘학교상담 행정업무’, ‘부모교육’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높은 평가를 내렸다. 전문상담교사 미 배치 학교의 담임교사는 ‘내담자 보호’, ‘학교상담 행정업무’, ‘부모교육’에서 기대보다 유의하게 낮은 평가를 보였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 초등 상담의 현장에서 전문상담교사와 가장 긴밀한 협조를 해야 할 담임교사의 시선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expectations and evaluation about school counselors’ role in Jeonbuk.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s perform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39 items of 8 sub-factors for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Jeonbuk. The role expectation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bout school counselors were very high(M=4.50 points out of 5.00). While the expectations of the Client Protection, the Crisis Counseling,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were high, that of guidance was low. The homeroom teachers of the schools which have visiting school counselors had low expectations in the Systemic Support for Guidance,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Crisis Counseling, the Parents Education, the Information Giving for Understanding Children, whereas the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the schools without school counselors had high expectation about the Systemic Support for Guidance, the Crisis Counseling, the Information Giving for Understanding Children. Teachers who did not receive counseling training showed high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in all sub-factors.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about school counselors’ role performance(M=3.65 points out of 5.00) was lower than expected. School counselors’ role performances received high evaluation were the client protection , the crisis counseling ,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 and th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 Homeroom teachers who have full-time school counselors evaluated high about the roles of school counselors such as the Client Protection,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Parents Education. The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schools without school counselors evaluated significantly lower than expected about school counselor’s roles in the Client Protection, the Clerical Job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Parents Educa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on the expectations and evaluation of school counselors’ roles in the view of homeroom teachers who should cooperate closely with school counselors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이지희,이상민,김희대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As there is a doubt about expertise of Kore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t requires the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ability of counseling. Even though Korean school counselors need to be reeducated, few studies are there on systematic analysis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ors.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ty of educational needs. First, to establish the list of duties,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ere asked to answer what are their current works. In addition, the special panel of school counseling review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was tha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duties were made up of 24 duties. Second, by using Borich's formula and Herschkowits' critical functional formula, the areas of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school counselors desired to be reeducated for small group counseling, large group guidance, and education of parents and teachers. Especially, career and academic areas were needed to improve school counselors' expertis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utilized to promote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xpertise in Sou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으로, 전문상담교사들이 현재 하고 있는 업무를 파악하고, 그 업무를 기준으로 하여 어떠한 부분에서 교육이 필요한 것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요구분석의 내용이 되는 전문상담교사의 업무 목록 구성을 위하여 전국 16개 시도에서 현재 근무 중인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도는 보리치의 요구도 공식과 허쉬코비츠의 임계 함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개 영역의 24개 현행 전문상담교사의 업무들 중에서 집단상담과 집단교육의 교육요구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교육청과 학교 소속 전문상담교사 모두 학부모와 교직원의 집단교육 및 연수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담내용에 있어서는 진로와 학업 영역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이 미비한 실정에서 실제로 활동을 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함으로써 그들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서 필요한 교육요구 업무가 무엇인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 학교행정가, 상담교수 간 전문상담교사 직무에 대한 인식의 차이

        임은미,조남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학교행정가, 상담교수 간 전문상담교사 직무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상담교사 직무관련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전문상담교사들과의 면접을 통해 전문상담교사의 직무 설문지 초안을 구성하고, 전문상담교사 30명, 학교 행정가 10명, 그리고 상담교수 20명을 대상으로 각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상담의 정의, 학교상담의 목적, 전문상담교사의 직무, 학교상담 지원방안, 학교상담의 내담자 보호 영역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가 도출되었다. 또한 전문상담교사, 학교행정가, 상담교수 간의 학교상담 정의, 학교상담지원방안, 학교상담의 내담자보호 영역 등에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전문상담교사가 직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교상담의 정의와 목적을 점검하고, 행정 책임자의 관심과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지원이 필요하며, 내담자 보호방안 또한 명확히 해야 한다는 연구참여자들의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기초로 전문상담교사 직무와 학교상담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school counseling teacher, counseling administrator and counseling professor on job of school counseling teacher. For this purpose, it was summariz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job of school counseling teacher. Through interviews with school counseling teachers, it was prepared a questionnaire for the job of school counseling teachers. 30 school counseling teachers, 20 counseling professors, and 10 school administrators participated in the delphi survey of three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finition of school counseling, the purpose of school counseling, the job of school counseling teacher, school counseling support system, protecting the clients of school counseling were derived.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mong school counseling teacher, school administrators and counseling professor in the definitions of school counseling, school counseling support system, protecting the clients of school counseling. In order for school counseling teacher to perform their jobs smoothly,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school counseling.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 support based on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administrative officer is needed. the participants suggested to clarify how to protect their cli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y wer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job of the school counselor teacher and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DACUM법을 활용한 전문상담교사 양성 및 계속교육과정 개발 연구

        김인규,조남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DACUM법을 사용하여 전문상담교사의 양성과 계속 교육과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와 관련된 연구 및 문헌을 분석하였고, 여러 지역의 학교 및 교육청 소속 상담센터를 방문하였으며, 전문가협의회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의 필수과목 7개와 선택과목 11개를 선정하고 각 교과목에서 다루는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요목을 구체화하였다.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의 필수과목으로는 상담이론과 실제, 성격이론, 청소년문제와 상담, 집단상담, 심리검사, 진로상담, 가족상담 등이 제시되었고, 선택과목으로는 학습상담, 심리통계 및 연구방법, 청소년 발달과 상담, 이상심리학, 상담윤리와 행정, 위기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프로그램 개발, 대화기술, 지역자원 개발과 연계, 미술치료 등이 제시되었다. 현직 전문상담교사와 상담교육전문가를 통해 각 교과목의 중요도와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전문상담교사 계속교육과정의 필수과목으로는 고급상담실습, 수퍼비젼, 고급 상담기법, 상담행정, 리더쉽, 상담컨설팅 등이 제시되었고, 선택과목으로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의 전 과목이 제시되었다.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의 발전방안과 연구의 제한점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structed a curriculum of school counselo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using DACUM method. We anlysed articles about job of school counselor, visited 11 school and counseling center of local education office, held 2 professional committee. As a result, 7 essential subjects and 11 optional subjects were selected, and job elements which each subject deals with were clarified. The essential subjects include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theory of personality', 'youth problems and counseling', 'group counseling', 'psychological assessment', 'career counseling', and 'family counseling'. And optional subjects includes 'learning counseling', 'psychological statistics and research method', 'youth development and counseling', 'abnormal psychology', 'counseling ethics and administration', 'crisis counseling', 'practice and case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dialogue skills', 'local resources development and networking', and 'art therapy'. The level of importance and suitability were estimated by school counselors and counselor educators. ‘Advanced counseling practice', 'supervision', 'advanced counseling techniques', 'counseling admministration', 'leadership', and 'counseling consulting' were suggested as essential subjects for school counselor continuing education, and all subjects of school counselor education were suggested as optional subects for school counselor continuing education. Several suggestions for deveopment of school counselor education were made and som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임 전문상담교사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김희정,정주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9

        목적 본 연구는 초임 전문상담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초임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실행하여 효과를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문헌연구, 초점집단면담, 델파이조사를 바탕으로 초임 전문상담교사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근무경력 3년 미만의 전문상담교사 7명을 멘티로, 7년 이상 경력의 전문상담교사 5명을 멘토로 하여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 분석을 위해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심층면담 후 질적내용분석(QCA)을 하였고, 전문상담교사 역량 척도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비모수통계기법(nonparametric method)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질적내용분석 결과, 멘토가 경험한 초임 전문상담교사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는 전문성 향상 및 유능감 증진, 성장욕구 발현, 전문상담교사 영역확장이었다. 다음으로 멘티가 경험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는 학교상담 적응의 초석, 전문상담교사로서 전문성향상, 전문상담교사로서 정체감 형성이었다. 비모수 통계분석 결과, 전체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전문상담교사 전문적 자질영역 중‘교육역량’과 ‘행정역량’이 멘토링 프로그램 이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전문상담교사 요구를 바탕으로 초임 전문상담교사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하여 전문상담교사 역량향상에 기여했다는 점에서는 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임 전문상담교사 멘토링 프로그램이 널리 활용된다면 전문상담교사의 역량을 높이고 학교상담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들의 Wee센터 근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희정,정주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4

        본 연구는 J도 교육지원청 Wee센터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들이 Wee센터 전문상담교사로서 자신의 역할과 직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수행해나가는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년 이상 Wee센터 근무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들 9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Van Kaam(1969)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범주, 11개의 주제, 43개의 부주제를 추출하였다. 이들은 자신의 기대와 Wee센터 전문상담교사로서 요구되는 역할 간에 괴리를 느꼈다. 이들은 상담 외의 업무에 대한 과도한 요구로 전문상담교사로서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기도 하고, 명확하지 않은 업무 경계와 충분하지 않은 보상, 순회상담의 어려움으로 인해 Wee센터 근무에 불만족을 느끼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도전과 어려움을 헤쳐 나가며 자신의 직무에 적응해나가면서 Wee센터 전문인력과 행정직원들과의 협업을 통해 상담역량이 증대되었고, 지역사회 학교상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상담 저변을 확장하였고, 다양한 상담경험을 쌓음으로써 전문상담교사로서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었다고 느꼈다. 또한, 자신들의 경험을 통해 Wee센터 근무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문제의식이 생겨났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Wee센터 배치되는 전문상담교사의 경력이 고려되고, 다양한 업무 수행을 위한 충분한 직무연수 기회가 제공되며, Wee센터 근무 특수성에 대한 추가적인 보상이 주어지며, 전문상담교사로서 성장과 소진 예방을 위한 기회가 확대되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전문상담교사 경력개발에 관한 질적 연구

        장환영,김경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school counselors about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the activities for career development, the obstacles of development activities, and the support needs for their career. The study used in-depth interview method for 14 subjects who enrolled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Seoul. Major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important role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y made mention of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psychological diagnosis and measurement, administrative work, hospitals referenc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and promotion, and career guidance for students. Secondly, they utilized non-formal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rather than formal learning as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Thirdly, as the obstacles of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they indicated financial difficulties,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the lack of confidence. They also pointed out the unsystematic school counseling system, a great deal of pressure of work that requires diverse roles, teachers' misunderstanding for counseling job, the lack of school support, and the unfair treatment for school counselors as organizational obstacles of their career development. Fourthly, to overcome the above obstacles, they want to receive the assistance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expert networks, the development of pragmatic curriculum, and the improvement of counselor training program.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knowledge base for school counselors in terms of basic research to shed light on the direction of career development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al policy for school counselors' career assistance. 본 연구는 14명의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생각하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은 무엇인지, 역할 수행을 위한 경력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경력개발을 하는데 있어 저해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심층면접을 통하여 탐색해 봄으로써 전문상담교사 수행 능력 개발의 시사점을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가 개인·집단 상담, 심리 검사 및 측정, 행정업무, 센터·병원 연계, 부적응학생 상담,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상당홍보 및 교육, 또래 상담동아리 운영, 진로지도, 학부모 교육연수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역할 수행 능력을 획득하기 위한 실질적인 활동은 대부분 비형식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경력개발의 개인적 측면의 저해요인은 1)금전적·시간적 어려움 2)정보 부족 3)기회의 부족 4)자신감 부족이었고, 조직적 측면의 저해요인은 1)다양한 역할 수행 요구 2)교장·교감·일반 교사의 상담 몰이해 3)전문성의 의심과 부당한 처우 4)질 좋은 연수 프로그램 부재와 학교 지원 미비 등이었다.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 능력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경력개발의 방향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국가 및 단위학교, 양성기관 등이 전문상담교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경력개발 지원책을 설계할 수 있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와 일반상담교사 배치 학교 학생들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

        배인수,이윤주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6

        This study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ctual counseling conditions, the expected roles of counselors, the satisfaction with their service, and the measures to improve school counseling between the schools that plac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the schools that place general counseling teachers who teach regular curriculum with proper counseling certificate. This study carried out and analyzed a national survey with 1,650 stud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1,662 students in those with certified general counseling. The survey found that the students in the schools with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overall factors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higher rates in the role expectation for and satisfaction with counseling teachers. Both groups turned out to have been highly aware of the need for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school as a leading role and for a way to improve student counseling. However, it turned out negativel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chool counseling, the lack in the understanding of and distrust with school counseling and the roles and qualification of counseling teacher.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objectivities in suggesting the measures and plans to improve the problems in school counseling regarding the perceptual change of students on professional and general counseling teachers for school counseling, the advancement in the conditions of school counseling, the qualification and expertise of counseling teachers and the expansion of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schoo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tres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counseling conditions in school and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qualification and expertis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high quality of counseling. This study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findings propose the opportunity of more active and live counseling performance,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school and better counseling services.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와 일반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들의 학교상담 실태, 역할 기대, 상담 만족도, 학교상담 발전 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과 학교상담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 1,605명, 일반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 1,6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상담교사 배치 학교 학생들이 학교상담 실태 전반적 요인에서 긍정적 인식을 하였으며, 상담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 수준과 상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학교상담의 주체 요인과 발전 방안으로 상담만을 전담하는 전문상담교사 배치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상담 여건과 환경, 상담에 대한 이해 부족과 불신, 상담교사 역할과 자질 등에 대해서 부정적 인식의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와 일반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들의 인식에 따른 학교상담에 대한 이해와 인식변화, 상담활동 여건과 환경 개선, 상담교사의 역할 자질과 전문성 신장, 전문상담교사 배치 확대 시행 등 학교상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과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학생들에게 질 높은 상담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담 여건과 환경을 개선하고,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역할 자질과 전문성 신장의 중요함을 일깨워 준다. 아울러 적극적이고 활발한 상담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각 급 학교에 전문상담교사를 배치하여 만족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