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의 전공 연계 글쓰기 교육에 관한 고찰

        이희영 ( Hee Young L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인문학연구 Vol.0 No.25

        이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는 전공 연계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검토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이 지향할 방향에 맞춘 전공 연계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제반 상황을 살펴보고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현재 중점을 두고 있는 학술적 글쓰기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학술적 글쓰기가 학문적 담화 공동체의 글쓰기 규약에 기반을 둔 글쓰기라고 할 때 전공과목과의 연계성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 문제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대학의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도 연관을 맺는다. 글쓰기의 계열별 교육 시도는 유의미하나 계열 내의 세부 전공들의 담론을 모두 포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전공 글쓰기 교육을 위해서 크게 세 가지의 전공 연계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공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한 전공 연계 교육이다. MIT대학이나 하버드대학의 예를 참고하여 전공과 관련된 글쓰기 주제를 다루는 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둘째는 특정 전공과목의 심화 글쓰기 교육 방안으로, 현실적 요구를 바탕으로 한 실용적 글쓰기 교육을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융합 학문으로 관심을 돌린 대학의 교육 방향에 맞춘 통합적 전공 연계 글쓰기 수업의 시도이다. 이 세 가지 교육 방안은 각 대학의 학제별 전공 구성을 고려하여 글쓰기 교수자, 전공교수들과의 협의를 통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세 가지 방안은 대학별 학제 구성과 세부 전공에서 필요로 하는 글쓰기 유형에 대한 조사, 전공교수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llege writing systems, and suggests the three alternatives for WAC based on the new trends of college education and knowledge convergence age. For this study, the overall writing systems and writing situations of college has been considered, and the feature of the ``academic writing`` has been examined. If academic writing is based on regulations and styles of its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it is also related with major course writing. The field writing education which is ongoing in colleges, has several problems including its ambiguities in terms of academic character. To solve those problems, three kinds of methods in writing classes are suggested. First, in WAC writing classes, various topics that relat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can be discussed instead of practicing just a couple of types of academic writings. Second, writing intensive classes for intrinsic writings can be carried on. Third, major convergence writing classes can be carried on for students who are asked to be multi-players in their work after graduations. For detailed class settings, collaborative work with professors in each majors is essential.

      • KCI등재

        대학교 문학 전공 교과목의 전공연계글쓰기(WAC) 수업 제안 - 국어국문학과 문제해결형 수업을 중심으로 -

        정하늬(Jung, Ha-Ni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8

        대학교의 문학 전공 교과목에서 보고서 작성은 글쓰기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에게도 쉽지 않은 영역의 글쓰기인 듯하다. 문학 전공 교과목에서 과제에 해당하는 보고서 제출은 거의 필수 사항처럼 여겨지지만 많은 학생들은 문학전공 교과목의 학문적 규범과 체계를 쉽게 숙지하지 못한 채 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문학 전공 교과목을 문제해결형으로 설계하고 그에 따라 수업했을 때,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비형식적인 짧은 글쓰기(WTL)과 형식을 갖춘 보고서(WID)의 간극이 큰 경우도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문제해결형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전공연계글쓰기(WAC)을 접목할 것을 제안한다. 이 글에서는 국어국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개설된 <현대문학연습>을 문제해결형 수업으로 진행한 사례를 제시하면서 그 수업에서 필요성을 느끼게 된 전공연계글쓰기 접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문제해결형 문학 전공 교과목 수업에서 전공연계글쓰기를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Writing a report for university literature major subjects seems to be a difficult task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a composition course. Although submitting a report on a major in literature seems almost necessary, many students do not know the academic norms and systems of major in literature easily. In particular, when literature majors were designed to solve problems and taught accordingly,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informal short writing (WTL) and formal reports (WID) conducted during classes.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oblem-solving classes, it is suggested to combine WAC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In this article, we will present a case in which the "Modern Literature Exercise" for fourth graders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was used as a problem-solving course,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grafting WAC.

      • KCI등재

        공학과의 연계성에 기반을 둔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공학 교수자와 학생들의 기대 및 요구 사항 분석과 적용을 중심으로

        주민재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 리터러시 연구 Vol.-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writing education program by linking with engineering professors and engineering students and to supplement the most important research report writing program in science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is basic data.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major professors of engineering department and engineer students who completed writing courses, in - depth analysis of recognition of writing education, connection of writing education of major subject, and recognition of science writing education. The major professors recognized that the engineering students’ writing ability was very low, especially the lack of logical description ability. Major professors recognized that writing ability was an essential skill for completing major courses. However, some expressed the position that writing ability and major subject are not very connected with writing at the undergraduate level. The opinions of these professors can be used as a basis to secure diversity of contents in science writing education. The engineering students recognized that writing lessons helped them complete their major curriculum. Report writing preference was high. In the writing learning contents,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aragraph and sentence writing was high. This recognition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major, which is necessary to write accurate and concise sent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analyze the opinion on the writing education and to apply it to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order for the science writing education to be more effective. In particular, it is the new achievement of this study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make practical contribution to writ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engineering where the writing is hardly carried out according to major. 본 연구는 공학 계열 교수자들 그리고 공학 계열 학생들과의 연계를 통해 과학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학 글쓰기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 보완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공학계열의 전공교수자들과 글쓰기 과목을 이수한 공학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전공교과의 글쓰기 교육의 연계성, 과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등을 심층 분석하였다. 전공교수자들은 공학계열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이 매우 낮은 수준이며 특히 논리적 서술 능력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전공교수자들은 글쓰기 능력이 전공교과를 이수하는데 필수적인 능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일부는 학부 수준에서 글을 쓰는 경우가 거의 없어 글쓰기 능력과 전공교과의 연계성이 높지 않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러한 전공교수자들의 의견은 과학 글쓰기 교육에서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공학계열 학생들은 글쓰기 학습이 전공교과를 이수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보고서 쓰기 학습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글쓰기 학습 콘텐츠에서는 단락과 문장 쓰기에 대한 유효성 인식이 높았다. 이러한 인식은 정확하고 간결한 문장 쓰기가 필수적인 공학계열 전공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 글쓰기 교육이 보다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실제 교육 수혜자인 공학계열 학생들과 전공교수자들이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고 이를 교육 콘텐츠 개발에 적용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일깨우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공학 계열의 경우 전공에 따라 글쓰기가 거의 수행되지 않는 현실에서 글쓰기 교육이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한 것은 본 연구가 거둔 새로운 성과이다.

      • KCI등재후보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을 연계한 의과대학 전공 연계 글쓰기(WAC) 모형 제안

        전대석 철학연구회 2023 哲學硏究 Vol.- No.141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ossible model for integrating specialized writing into medical education through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WAC)’. To demonstrate this purpose, I will first show how the content of medical education can become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when integrated with academic writing. Next, under the constraints of medical schools in Korea, I will propose two types of WAC models for integrating specialized writing into medical education, and outline their educational processes and contents. The first model is the ‘task-linked writing intensive’ model, which combines ‘task-linked writing’ and ‘Writing Intensive(WI)’ that is already being implemented in many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Korea. It follows the general educational process of academic writing, which includes summarizing, critical remarks, and writing essay, but emphasizes the ‘writing essay’ process with a focus on medical topics such as medical ethics, medical law, and medical sociology, etc. The second model is the ‘problem-solving writing’ model, which is a writing education that is based on logic and critical thinking, and analyzes and evaluates dilemmas or conflicting cases in medicine and healthcare. This model can be divided into ‘thought experiments’ and ‘case report.’ The former is a thinking technique traditionally used in philosophy and ethics, while the latter involves analysis and evaluation similar to clinical case report in medicine. Lastly, I will present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se two types of writing education, as well as the requirements for integrating writing education into medical education. 이 글은 의학교육에 전공 연계 글쓰기(WAC)를 적용할 수 있는 가능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을 보이기 위해 먼저 의학교육에 WAC을 적용하고자 할 때 글쓰기와 연계할 수 있는 의학교육의 내용이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 교육이 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의과대학이 가진 제약조건 아래서 의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유형의 WAC 모형을 재안하고, 그것의 교육 내용과 구성을 보이고자 한다. 첫째, ‘과제 연계형 글쓰기 집중’모형은 우리나라의 많은 대학에서 이미 적용하여 시행하고 있는 과제 연계형 글쓰기 교육과 글쓰기 집중(WI)을 융합한 형태의 글쓰기 교육이다. 이것은 학술적 글쓰기의 <요약-논평-에세이 쓰기>의 일반적인 교육 절차를 따르고 있지만, 의료윤리, 의료법, 의료사회학 등의 의학 관련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에세이쓰기> 과정을 강조한다. 둘째 ‘문제해결형 글쓰기’ 모형은 논리와 비판적 사고에 기초하여 의학과 의료에서 딜레마 상황 또는 두 입장이 충돌하는 사례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글쓰기 교육이다. 이 모형은 ‘사고실험’과 ‘사례 보고서’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철학과 윤리학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생각하는 기법이고, 후자는 의학의 임상 사례 분석과 유사한 형태의 분석과 평가의 기법을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두 유형의 글쓰기 교육이 가진 장점과 한계를 제시하고 의학교육에 글쓰기 교육을 연계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예체능 계열의 전공 연계 글쓰기 시론 - 사진학과의 작품해설문 쓰기를 중심으로

        강숙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5

        This essay's purpose is for trying WAC. From 2014 first semester, at the Chungang University Anseong campus, a literary work explanation writing is added to liberal arts education writing for Arts and physical course of study. There are some reasons for composing A literary work explanation writing in writing textbook and teaching it for students. First, students can discern the fact that experience writing toward their own major is more helpful means of their work's creation. Second, WAC is helpful to students' creation. Before creation of work, it can ready for creation work to document work's planning intention, topic, constitution, title, materials and expressive technique. In addition students can exactly arrange creation of work to document work process of progress and further, in case of problem in production of work progress, supervise the creation of work as apprehending error. Third, through a literary work explanation writing, students can objectify their own creation of work. This experience is helpful to students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their own creation of work. Fourth, Arts and physical students will have friendly feeling to writing. 이 글은 전공 연계 글쓰기를 위한 시론이다. 중앙대학교 안성 캠퍼스에서는 2014년 1학기부터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작품해설문 쓰기>를 공통교양 글쓰기 강의에 첨가 하였다. <작품해설문 쓰기>를 글쓰기 교재에 구성하고 강의를 하게 된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을 글로 쓰는 경험을 통하여 글쓰기가 자신의 전공 창작에도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한다. 둘째, <작품해설문 쓰기>는 실제로 학생들의 창작에 도움을 준다. <작품해설문 쓰기>에서는 작품 창작에 과정 중심 글쓰기의 방법론인 계획하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아이디어 조직하기 과정을 도입하였다. 창작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작품의 기획 의도, 작품의 주제와 구성, 작품의 제목과 소재, 작품의 표현 기법 등을 명확하게 기록함으로써 창작 작업에 충실히 대비할 수 있다. 또 작품 진행 과정을 기록하여 창작 작품을 정확히 점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품 제작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수정할 수 있다. 셋째, <작품해설문 쓰기>를 통하여 학생들은 자신의 창작 작품을 객관화하는 시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은 자기의 창작 작품으로 타인과 소통할 때 유용한 의사소통 도구가 될 것이다. 넷째, 예체능 계열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소외감을 줄일 수 있다. <작품해설문 쓰기>는 학기 중에 지속적으로 언급되기 때문에 글쓰기에 친밀성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안성 캠퍼스 글쓰기에서 시도한 <작품해설문 쓰기>는 엄밀히 말하면 전공 연계 글쓰기의 영역에서 벗어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은 중앙대학교의 계열별 분리 글쓰기와 전공 연계 글쓰기 강의 개설을 위한 초석이자 작은 시도의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전공 한국어 능력 함양을 위한 전공연계글쓰기(WAC)의 방향

        이인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2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의 지속적인 전공 한국어 쓰기 능력 함양을 위해, 학부 교육과정에 ‘전공연계글쓰기(WAC)’를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대학의 WAC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서 유학생을 위한 WAC 적용의 가능성을 살폈다. 해외 대학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WAC은 전공 단위로 교육과정 전체를 가로질러 구성되어 운영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WAC을 운영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해당 전공에서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전공 글쓰기 능력이 무엇인지 전공 교수자들이 논의하고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셋째, 글쓰기 전문가와의 협업이 필요하며, 정기적 워크숍을 통해 WAC에 대한 이해와 글쓰기 피드백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WAC 운영 및 WI 수업 설계에 대한 지침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2~3학년 WI 교과목은 이들이 다중문화 문식성을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내용의 수업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하되, 본고는 국내 대학의 상황을 고려하여, 외국인 유학생 중심 학부의 경우와 그렇지 않은 학부의 경우로 구분하여 WAC 개발 및 운영의방향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WAC이 안착되기 어려운 현 대학 상황에서, 오히려 전공한국어교육의 일환으로 전공 글쓰기 교육이 절실한 유학생 대상 교육과정 및 교과목에서 WAC을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읽기능력 향상을 통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 연구

        김현경 ( Hyun Kyung Kim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5 사회복지경영연구 Vol.2 No.1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 대학의 글쓰기는 어떤 교육목표를 가져야 하는가? 합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어떤 주장이나 견해가 옳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학술적 글쓰기뿐 만이 아니라 대학의 경우 실용적 글쓰기도 요구된다. 대학과 기업과 사회의 연계성을 고려하면 실용적 글쓰기 또한 대학의 글쓰기에서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대학의 글쓰기는 결코 학점을 채우려는 교양과목으로 치부되기 보다는 대학의 교육목표와 일관성을 가지는 중심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의 글쓰기 교육이 대학의 전체적인 교육과정에서 동일한 교육목표를 공유해서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구실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문제점은 ‘읽기능력’보다는 기계적인 ‘글쓰기능력’ 향상에만 치중한다는 것이다. 둘째, 글쓰기과목과 전공과목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는 글쓰기 교육이 체계화되지 않았고 글쓰기 교육이 추구하는 교육목표와 전공과목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 번째 읽기능력을 중심으로 하지 않는 글쓰기 교육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 전체적인 차원에서 ‘독서클럽’ 프로그램이 유용하다. 체계적인 독서클럽 교육과정에 따라 독서클럽을 진행할 때 참여 학생들의 읽기 능력이 향상되는 것은 기대할 수 있다. 두 번째 글쓰기 교육과 전공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계열별 글쓰기를 도입하는 것이 이런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Writing education in college is basic and important. It is said that the aim of writing education in college is to raise th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of student through academic writing. And since college must reflect the need of society and student, practical writing is also needed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But college writing education in our society has a few problems. First, college writing education focuses on the formal writing technique rather than reading ability. Secondly, writing education has not much connectivity with major in all grad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First, this thesis suggest ``Reading Club`` that help the student to form a habit of reading and enhance the ability of writing. secondly, to developing a curriculum that linked the writing education to the course for a major in all grades is necessary.

      • KCI등재

        <전공 연계 글쓰기> 시행과 그 평가 - ‘비교과’를 중심으로

        이수곤,이선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2

        Writing education focuses on first grade students. Writing education is performed only once. So the effect is not enough. This was the background for the execution of WAC. There are two ways to implement WAC : Curriculum, Extracurricular program. It is desirable to conduct WAC as a curriculum . It is because they can guarantee stability,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However, implementation is difficult. So, most of them are executed by extracurricular program. It can be implemen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is efficient in that it avoids many negotiation proce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6, the Sejong Campus of Hongik University conducted a WAC program at CTL(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Budget and scale were small. And expand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7. In the beginning, the reason for the small scale implementation was to accumulate the data and to impose the efficiency of the writing education to the major professor. Therefore, the ultimate goal is to provide a basis for supporting the need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Although it showed various merits and achievements, it was not enough to bring out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professor and the instructor of Writing.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incorporate into the curriculum,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WAC,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orough planning and steady implementation. 글쓰기 교육이 1학년 학생을 주 대상으로 하여 한 번 이루어지기에 효과를 충분히 보고 있지 않다는 반성적 검토가 ‘전공 연계 글쓰기’의 실행 배경이었다. ‘전공 연계 글쓰기’를 시행하는 방식은 두 가지인데, 교과 과정과 비교과 프로그램이 그것이다. ‘전공 연계 글쓰기’를 교과 과정으로 시행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안정성과 지속성은 물론, 효율성 제고를 보장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행되기에는 여러 난관이 도사리고 있다. 이에 차선책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실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단시일에 실행할 수 있으며, 많은 협의 과정을 피할 수 있다는 면에서 효율적이다.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는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전공 연계 글쓰기 능력 개선> 프로그램을 2016년 2학기에 시범적으로, 적은 예산으로, 비교적 작은 규모로 시행하였다. 2017년 1학기에는 확대 실시하였다. 애초에 여러 무리함을 감수하고, 비교적 작은 규모나마 시행을 했던 이유는 자료를 축적하고 전공 교수에게 글쓰기 교육의 효율성을 각인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었다. 그래서 궁극에는 교과 과정으로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뒷받침할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여러 작은 보람과 성과를 보였지만, 전공 교수와 첨삭 교수의 만족을 끌어내는 데에는 부족하였다. ‘전공 연계 글쓰기’ 운영의 궁극적 목적이라 할 수 있는 교과 과정 속으로의 편입이 한결 수월해질 수 있기 위해서는 치밀한 계획과 꾸준한 시행이 필요하다.

      • 읽기능력 향상과 전공연계교육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

        김현경 ( Kim Hyun Kyung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3 독서아카고라연구 Vol.5 No.-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 대학의 글쓰기는 어떤 주장이나 견해가 옳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학술적 글쓰기와 함께 실용적 글쓰기도 요구된다. 대학이 기업과 사회와 연관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용적 글쓰기는 연계적 관점에서 필연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대학의 글쓰기는 일반적인 교양과목으로만 다루어져서는 안 되며 대학의 교육목표와 일관성을 가가지고 중심교육으로 다뤄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학의 글쓰기 교육이 대학의 전체적인 교육과정에서 동일한 교육목표를 공유해서 진행되지 못하는 이유는 대표적으로 ‘읽기능력’보다는 기계적인 ‘글쓰기능력’ 향상에만 치중하기 때문이다. 둘째, 글쓰기과목과 전공과목과의 연계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글쓰기 교육이 체계화되지 않았고 글쓰기 교육이 추구하는 교육목표와 전공과목이 연계적으로 교육되지 않는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첫 번째 읽기능력을 중심으로 하지 않는 글쓰기 교육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 전체적인 차원에서 ‘독서클럽’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다. 체계적인 독서클럽 교육과정에 따라 독서클럽을 진행할 때 참여 학생들의 읽기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기대할 수 있고 어느 정도 수치적으로 결과가 입증되었다. 두 번째 글쓰기 교육과 전공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계열별 글쓰기를 도입하는 것이다. Writing education in college is basic and important. It is said that the aim of writing education in college is to raise th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of student through academic writing. And since college must reflect the need of society and student, practical writing is also needed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But college writing education in our society has a few problems. First, college writing education focuses on the formal writing technique rather than reading ability. Secondly, writing education has not much connectivity with major in all grad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First, this thesis suggest ‘Reading Club’ that help the student to form a habit of reading and enhance the ability of writing. secondly, to developing a curriculum that linked the writing education to the course for a major in all grades is necessary.

      • KCI등재

        사회과학 교과목의 전공연계 글쓰기(WAC) 지도 방안 모색

        김종록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2

        대학의 전공 교과목에 WAC를 도입함으로써 전공의 심화학습과 글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기는 하나 WAC를 시행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교육 방안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서 각 대학들이 WAC를 전공 교과목과 연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H대학의 ‘중국정치외교론’이라는 교과목을 중심으로 WAC를 전공 교과목에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WAC 교수자는 ‘중국정치와 관련된 세부 주제를 정하여 기말리포트로 제출하라’는 과제를 기획하는 단계에서부터 최종본을 만드는 단계까지 과정중심 글쓰기 지도 모형에 따라 첨삭지도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WAC를전공 교과목에 도입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WAC를 전공 교과목과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정교한 설계와 전공 교수자와와 긴밀한 협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한 학기 내내 여러 단계에걸쳐 첨삭대상 학생과의 만남이 지속이 되어야 한다. 첨삭지도 과정은 1단계 WAC 전공 연계과목 찾기, 2단계 WAC 첨삭지도를위한 전공 교수자와의 협의, 3단계 1주차 첫 시간_첨삭지도 대상 학생들과의만남, 4단계 2주차_WAC를 통한 과제보고서 작성법 특강 실시, 5단계 3-4주차_WAC 1차 첨삭지도 실시, 6단계 5-6주차_WAC 2차 첨삭지도 실시, 7단계 11-12주차_WAC 3차 첨삭지도 실시, 8단계 13주차_기말 과제보고서 받기 및 평가, 9단계 14주차 WAC 실행 결과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10단계16주차_WAC 첨삭지도 결과 분석을 위한 전공 교수자와의 협의 등의 10단계로 나누어서 실시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 과정은 전공분야, 학과목의 특성, 첨삭대상 학생의 글쓰기 수준에 따라질 수 있고, 또 달라져야 제대로된 첨삭지도가 가능하다. 셋째, 수강생들을 과제보고서 쓰기의 주체로 만들어서 본인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켜 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WAC 교수자는 철저히 ‘조력자(助力者, helper)’의 역할을 해야 하며, 과제보고서 쓰기의 각 단계별로 첨삭지도를 실시하되 ‘분석과 이해 ⟶ 비평과 처방 ⟶ 협의와 수정’이라는 절차에 따라 첨삭지도 준비를 하고 수강생들에게 첨삭지도를 해야 한다. 넷째, WAC 첨삭지도는 세 차례 정도 실시하는 것이 적정하며, 첫 번째첨삭에서는 ‘화제-주제-연구요지(구상메모)-제목-목차’를 중심으로 실시하되, WAC 교수자는 이들 각 단계별로 (3)과 (4)와 같은 질문을 준비하여수강생들이 써온 과제보고서를 구체적으로 점검하고 적절하게 조언해서 수강생들이 본인들이 써갈 과제보고서의 내용과 방향, 그리고 짜임을 재점검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두 번째 첨삭에서는 ‘연구 및 연구자료 수집 방법-국내외 연구동향-기대효과-연구일정-초고쓰기’를 중심으로 첨삭지도를 하되, 각 단계별로 (10)과 (11)과 같은 질문을 통하여 과제보고서를 점검하고 해야 하며, 특히 두 번째 첨삭지도 때에는 첫 번째 첨삭지도 내용을 회귀적(recursive)으로재검한 후에 실시해야 제대로 된 일관성 있는 ‘과정중심 글쓰기 지도모형(process-oriented writing)’에 의한 첨삭지도를 할 수 있다. 초고 쓰기는 첫단계인 ‘화제’ 정하기부터 ‘기대효과’까지 모두를 고려해서 작성하되, 서론에서 제기한 문제의 해결책을 확실한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합리적 추론 과정을통해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주장을 펴 나가야 한다. 여섯째, 세 번째 단계에서 ... Although introducing WAC to major courses in the college has helped to deepen study and improve the writing ability, there is no specific education plan to implement WAC, so it is difficult for each university to link WAC with major courses. This article tries to find a way to introduce WAC into the major subject centered on ‘Chinese political foreign policy’ of H university. First, WAC professor require students to submit a detailed report on Chinese politics as a final term paper and gave a the step-by-step tutorial on the process-based writing instruction model from the planning stage to the final writing stage. Through this, the professor has developed concrete ways to introduce WAC into major courses. Second, in order to link the WAC with major courses, it is necessary to have a very sophisticated design and close cooperation with the professors in charge of the major courses. Also meeting with the students should be continued throughout the semester. The guided editing process will effective if it follows these ten steps; Step 1, finding courses related to major. Step 2, consultation with the major instructor for guidance on WAC annotation. Step 3, Meeting with students for the first time in week 1. Step 4, special lecture on writing report on WAC in week 2. Step5, the first WAC annotation instruction on the third and fourth week. Step 6, the second WAC annotation on week fifth and sixth week. Step 7, the third WAV annotation on the eleventh and twelfth week. Step 8, receiving and evaluating the final report in thirteenth week. Step 9, conducting surveys on the results of WAC implementation in fourteenth week. Step 10, consultation with the major lecturer to analyze WAC annotation results. These steps can differ based on the field of study,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and students’ writing ability. Yet, the difference in steps makes it possible to give a proper addition to the writing. Third, WAC professors have to play a role of ‘helper’ in order to make students independent writer and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Also, conduct the step-by-step annotation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analysis and understanding’, ‘reviewing and prescription’, and ‘consultation and revision’. Fourthly, it is appropriate to conduct WAC annotation three times. In the first annotation, the WAC instructor performs the annotation with the priority given to the topic, subject, study points and the table of contents. The WAC professor should thoroughly check the students’ writing and give pertinent advices using the questions (3) and (4) at each stage of the course so that students can recheck the content, direction and structure of the project report they will write. Fifth, the second annotation should follow the process of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data collection-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rends- Expected effects – Research schedule- writing the first draft’ and each process should be checked with the questions such as (10) and (11).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second annotation, a consistent ‘process-oriented writing’ is possible only after the first annotation is recursively checked. Students should begin wring the first draft considering from the topic to the expected effects. Al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clear basis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 raised in the introduction, interpret it through the reasoning process, and make a statement based on it. Sixth, the third stage focuses on editing the first draft. A student will use question such as (13) to recheck his/her draft report on content, composition and presentation. Especially, if a student checks his/her draf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suggested by the professor, he/she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WAC anno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