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만 조선인문학을 보는 또 다른 시각

        장춘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1 No.-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mes of the majority works of the Chosen [Korean] literature in the Puppet Manchukuo can be considered healthy; some of them denied or resisted Japanese imperialism by means of various literary ways, while more writings consciously were composed to avoid political issues or appeared in the form of pure literature in order to escape from the censorship by authorities. In fact, there were a batch of works met with the expectation of the puppet Manchukuo, or made compromise with even showed cooperative intention to the top powers. It was also found that a very few works commended of or catered to the aggressions of Japanese imperialism. The complicate situation, of course, not only had much to do with the colonial discourse under Japanese long colonial rule on the Chosen people, but also related to the puppet nature of the pseudo-Manchukuo. Colonialism turned out to be the culprit behind the hybridity of the colonized subjects. Through long-term colonization, Japanese imperialism not only carried out its brutal crackdown upon the colonized subjects, but also constructed its colonial discourse by the so-called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encroaching upon consciousness of nationalism among the colonized subjects. But nonetheless, writers seemed to imitate or assist the colonial discourse in the so called hybridized writings that catered to the puppet Manchukuo or Japanese imperialism, they kept their own words in different ways. Firstly, they showed cooperation with the puppet Manchukuo so as to reflect their non-cooperation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secondly, they primarily expressed their deep concerns about the problem of the survival of the Chosen immigrants, while retaining cooper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thirdly, even though they assisted Japanese imperialist aggression, while keeping a certain distance and giving expression to the hybridity of the colonized subjects. Accordingly, the author argues that, through discussion about the mentioned issues merged in the Chosen literature in the puppet Manchuku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ne cannot make an either-or judgment, or cannot arrive at conclusion in dichotomous thinking, on the so-called Pro-Japanese literature or Pro-Manchukuo literature. 일제 강점기 재만 조선인문학은 흔히 말하듯 절대다수가 건전한 작품으로 되여 있다. 여러 가지 문학적 장치들을 동원하여 일제에 대해, 부당한 현실에 대해 부정하고 저항하는 작품도 있고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정치적인 문제를 피한 순수문학작품도 많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만주국정권에 영합하거나 협력적인 자세를 노출시킨 작품도 더러 있으며 극히 일부이기는 하나 일제의 대륙침략에 동조한 작품도 더러 있다. 이는 일제의 조선에 대한 장기간의 식민지통치와 만주국의 괴뢰적인 성격과 무관하지 않다. 식민주의는 피식민주체의 혼종성을 야기한 장본인이다. 장시간의 식민지통치기간을 통해 일제는 무단적인 억압 외에도 이른바 ‘동아공영권’ 구축이라는 식민주의 담론을 확산시켜 피식민주체의 민족주의적인 의식을 잠식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괴뢰만주국이나 일제에의 협력을 표현한 이른바 혼종적인 작품에서마저 재만 조선인문학은 일제의 담론을 모방 혹은 동조하면서도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았다. 때로는 만주국에의 협력으로써 일제에의 비협력을 나타내기도 하고 때로는 이주민의 생존에만 주목하면서 일제에의 협력을 유보하고 있으며 심지어 일제의 침략에 동조한 작품에서마저 일제와의 차이를 강조하는 등의 방식으로 피식민주체의 혼종성을 나타내고 있다. 일제강점기 재만 조선인문학을 논의하면서 흑백의 논리로 이른바 친일문학 혹은 친만주국적인 문학을 평가할 수 없는 원인이 여기에 있다.

      • KCI등재

        만주국 ‘鮮계’ 문학 건설과 안수길

        이해영(李海英),임몽(林夢)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0

        이 글은 안수길의 ‘만주국’시기 창작활동을 만주국 ‘鮮계’ 문학 건설과의 관계속에서 살펴보았다. 만주국 ‘선계’ 문학 건설이란 만주국의 한 구성원으로서 일계, 만계와 함께 만주국 문학장에 편입됨을 의미하며 이는 만주국의 ‘오족협화’이념에 기반한 것이다. 조선에서 날로 강화되는 일제의 ‘내선일체’의 강요에서 벗어나기 위해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 작가들은 같은 일제의 지배논리이기는 하지만 ‘내선일체’ 보다는 ‘오족협화’를 좀 더 나은 것으로 파악했으며 만주국의 지배이념인 ‘오족협화’를 적극 이용하여 만주국에서 조선인 문학을 적극 발전시키려고 하였다. 또한 만주국의 성립과 함께 간도의 조선인 민회 등 단체들은 간도 조선인의 자치를 더욱 강력하게 요구하였으며 만주국 정부 직속의 간도자치론으로 그 방향이 점차 확정되어갔다. 그러나 만주 조선인의 대표적인 작가였던 안수길에게 만주는 선택이 아닌 삶 그 자체였고 그에게서는 여타의 작가들이 보여준 ‘내선일체’와 ‘오족협화’ 사이의 긴장이 없었다. 안수길은 만주국 건국 이전에 조선계 농민들이 만주의 개척과 수전개간에 대한 기여를 통해 조선인의 ‘만주국 국민’의 자격을 확인하였으며 ‘만주국’이 적극 장려하는 유축농업을 발전시키고 농민도를 확립하는 것이야말로 ‘만주국 국민’이 되기 위한 길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농업 만주’의 건설과 ‘수전 개간’에 대한 조선인만이 가능한 특수한 기여를 통해 ‘만주국 국민’이 되어야 한다고 했던 염상섭의 사상과 동일한 맥락에 놓여있다. 안수길은 이러한 ‘만주국 국민’되기의 끝, 즉 최종목표는 만주국의 ‘오족협화’게 기반한 조선인의 ‘자치’라고 보았다. Mainly starting from the interrelationships in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Korean literature in the Manchu empire, this paper does study on Soogill An’s creative activities during the Manchu empire period. Based on the concept of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Korean literature meant that the Manchu-Korean literature as a part of the Manchu empire’s literature, composed the the Manchu empire’s literary field with Japanese and Manchurian literature. With the constantly reinforced “Japan-Korea Integration” policy by Japan, Korean writers who immigrated to the Puppet Manchu empire in order to get rid of high-pressured bondage preferred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than “Japan-Korea Integration” and took use of the colonial concept of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to develop the Manchu-Korean literature in the Manchu empire. Besides thi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 empire, some groups which are like Korean Civic Union in Gando more strongly required the Korean autonomy in Gando and gradually confirmed the direction of building the autonomy in Gando under the the Manchu empire’s government. However, for Soogill An who was the one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writers in the Manchu empire, Manchu is not an option but the whole of his life, so different from other writers he didn’t hesitate between “Japan-Korea Integration” and “Republic of Five Nationalities”. With the fact that before the Manchu empire’s establishment Korean farmers had joined the development of Manchu and contributed to its agriculture, for example, “Paddy Cultivation”, An Soogill believed that those Korean people had the right to become the Manchurian people and to become the Manchurian people, Korean people must develop the “Animal Agriculture” which was encouraged by the Manchu empire and forster farmer’s spirit. This is in the same context with Yoem Sangsub’s idea that Korean people should do special contribution in building “Agricultural Manchu” and “Paddy Cultivation” to get the qualification to become Manchurian people. The final intention of becoming Manchurian people which An Soogill suggested was to realize Korean people’s autonomy on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 KCI등재

        심연수의 <일본문학보국회> 참관기 고찰

        이성천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book "Literature Mission-Report on the Opening Ceremony of the Japanese Literary Society that protects the country Society" by Shim Yeon-soo, a poet of Jae-man, who was published three times in July 1942. The reason why this researcher chose "The Mission of Literature" as his research subject is that he believes that the problems exposed by previous literary researchers for Shim Yeon-soo will be overcome through new text analysis. "The Mission of Literature," written by Shim Yeon-soo while studying at a Japanese university, is very suggestive in that it clearly shows Japan's right-wing ideology, the nature of the Japanese Literary and Security Council, and, moreover, the distorted ideology of the Empire. In particular, this article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a new discussion on Shim Yeon-soo's literary research in terms of three-dimensional views of the 1940s poets' historical and real perceptions. Accordingly, Chapter 2 was intended to discuss the value of text in "The Mission of Literature." The current level of Shim Yeon-soo's literary research is too biased toward certain regions and organizations to create a fair consensus. This is why this research focused first on Shim Yeon-soo's "The Mission of Literature." In this article, reasonable grounds for making a clear judgment on Shim's national consciousness and view of Japan are found everywhere, especially objective contents that clash head-on with the claims of prior researchers. Nevertheless, in the last 20 years, the "Mission of Literature" has never been dealt with among domestic researchers. Professor Masuo Omura, a Japanese scholar, is the only researcher who directly mentioned "The Mission of Literature" and tried to discuss it. But his paper misses important facts in several respects. This paper pointed out that Professor Omura's views did not reach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that they showed a large degree of textual illusion, and raised a counterargument against it. Meanwhile, in Chapter 3, this paper looked at the identity of the Japanese Literary and Security Council.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 reaffirmed that the Literature and Security Council is a sub-organization of the Great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which lies on the basis of Japanese right-wing ideas, and that it is a literary organization that systematically practices the Japanese imperialistic privatization policy and national ideology. It was also found to be closely linked to the Joseon Literary Society, a leading pro-Japanese literary organization. Thus, in the final stage, the paper tried to argue that Shim Yeon-su's "The Mission of Literature," published in the Maeil Shinbo in 1942, did not properly recognize the historical facts contained in the distorted governing ideology of the Japanese Empire, or that it did not secure the intensity of its perception of reality. 이 논문은 1942년 7월 <매일신보>에 세 차례에 걸쳐 게재된 재만 시인 심연수의 「文學의 使命-文學保國會 發會式을 보고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가 「문학의 사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이전 심연수 문학연구자들이 노출한 문제점들을 새로운 텍스트 분석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심연수가 일본대학 유학시절 작성한 「문학의 사명」은 일제강점기 일본의 우익사상과 일본문학보국회의 성격, 나아가 ‘제국’의 왜곡된 이데올로기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적이다. 특히 이 글은 1940년대 시인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심연수 문학연구에 관한 새로운 논의의 단초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2장에서는 「문학의 사명」의 텍스트 가치를 우선적으로 논의하고자 했다. 현 단계 심연수 문학연구는 특정 지역과 단체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는 탓에 좀처럼 공정한 합의의 장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가 심연수의 「文學의 使命」에 우선적으로 주목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 글에는 심연수의 민족의식과 일본관에 대해 뚜렷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들, 특히 그간 선행연구자들의 주장과 정면충돌하는 객관적 내용들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간 「문학의 사명」은 국내 연구자들 사이에서 단 한 번도 다루어진 적이 없다. 「문학의 사명」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논의를 시도한 연구자는 일본인 학자 오무라 마스오 교수가 유일하다. 하지만 그의 논문은 몇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사실을 놓치고 있다. 이 논문은 오무라 교수의 견해가 심층적 이해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다분히 텍스트간의 착시현상을 보이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였다. 한편, 3장에서 본고는 일본문학보국회의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문학보국회가 일본 우익사상의 기저로 놓여 있는 대정익찬회의 하부조직이며, 일제의 황국식민화 정책과 국책이념을 조직적으로 실천하는 문학단체라는 점을 재차 확인했다. 또한 대표적인 친일문학단체인 조선문인협회와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파악했다. 그리하여 최종 단계에서 논문은, 적어도 1942년 <매일신보>에 게재된 심연수의 「문학의 사명」은 일제의 왜곡된 통치이념에 담긴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거나, 현실인식의 치열성을 확보하지 못했음을 주장하고자 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재중 조선인 문학비평 연구

        정덕준,이상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5 No.-

        This thesis specifies the Aspect of Development of Chinese-Korean Literary Criticism under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10's~1949. Before liberation the materials of the literary of Chinese-Korean people is very poor. This does not mean that literary action itself is poor as the words of writers at that time. By the conveyed materials to the present , the literary action seems to be active. But by the various historical causes, the related materials is mostly extinct.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the extant materials. Before liberation the literary criticism of the Chinese-Korean is not full-scale, but piles up the fair achievements in both the theoretical search and the field criticism. Especially the discussion on paper, namely 'the new proposal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in Manchuria for construction' is very valuable. Because it shows the will and effort that construct independently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in Manchuria. Before and behind this discussion the writers in Manchuria are willing to construct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more consciously. And the result from the discussion offers the famous beginning that explains the character of Chinese-Korean literary criticism at that time and today too. Conclusively, this thesis specifies the character of Chinese-Korean literary criticism and furthermore must have view on the orientation of our national literature.

      • KCI등재

        이주문학에 나타난 타자 재현의 문제 -<소금>과 <붉은 산>의 "재만 조선인" 재현을 중심으로-

        차성연 ( Seong Yeon Cha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8 No.-

        이 논문은 만주를 배경으로 창작된 작품과 재만조선인(在滿朝鮮人) 문학 작품을 비교함으로써 이주 문학의 성격을 드러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주문학에 나타나는 ``타자의 재현`` 문제를 제기하면서 그 분석의 사례로서 1930년대 재만조선인 재현 문제를 살펴보고자 했다. 강경애의 <소금>은, 김동인의 <붉은 산>의 경우처럼 만주에서 조선인 공동체를 형성, 정주(定住)를 지향하는 소작인의 삶과는 또 다른, 가진 것이라곤 아무 것도 없는 서발턴 여성의 삶을 통해 ``호모 사케르``의 형상을 한 이주 조선인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시하고 있다. 이는 이주자-외부의 시선에 의한 재현과 이주자-내부의 시선에 의한 재현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주자-외부의 시선에 의해 재현된 재만 조선인은 ``조선인``이라는 민족적 지표를 확연히 드러내는, 공간적 배경만 만주일 뿐인 동일적 공동체였다. 물론 ``삵``이라는 인물의 형상이 경계적인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그의 자발적 희생제의로써 그러한 의미는 삭제되고 만다. 이에 비해 이주자-내부의 시선에 의해 재현된 재만조선인은 어떠한 공동체에도 포함되지 못 하는 ``벌거벗은 생명``에 가까웠다. 이러한 1930년대 재만조선인의 재현문제는 최근의 이주문학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is paper intended to look into the problems of representation of Joseon people in Manju in 1930`s as a case of the analysis, proposing a problem of ``Representation of the other``. <Salt> of Gang gyeongae exactly indicates the situation of the immigrant Joseon people who have the shape of ``Homo Sacer`` through ``subaltern`` females having nothing, different from the life of tenant farmers who have formed Joseon people`s community in Manju and aimed for steady settlement, as the same as <Red Mountain> written by Kim Dongin. This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presentation by immigrant-outside eyes and that by immigrant-inside eyes. The Joseon people that represented by immigrant-outside eyes were the same community clearly representing racial indexes named ``Joseon people`` and whose spatial background was only nominally in Manju. Of course, the shape of the figure named ``Sak`` includes the meaning of boundary, but such a meaning is deleted through his voluntary sacrificial proposal. To the contrary to this, the Joseon people in Mangu that represented by immigrant-inside eyes were close to ``Bare life`` that can`t be included to any community. Such a representation problem of Joseon peopl in 1930`s is able to apply to the representation problem of the Joseon race now living in China.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재만 조선시인의 시세계 연구

        이혜경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70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world of the consciousness ofJoseon people in Manchuria through analyzing their literary works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duality of Manchukuo as acolony and independent country and the experiences of the Joseonpeople living in Manchuria have various cultural and literaryimplications in terms of culture and literature. First of all, thestatus of the Joseon people as ‘the second-class people’ granted inManchuria presented superiority rather than frustration as a nationof a colonized country.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Joseon, wherethe people were not even allowed to use the Joseon language,Manchuria guaranteed autonomous ethnicity to the people as amulti-national federation according to “the Policy for the Harmonyof Nations.” Thus, the life in Manchukuo in which they couldexercise sovereignty as the second-class people without any greatrestrictions rather gave them a sense of freedom and a feeling ofsatisfaction. This can be found through Manseonilbo, a newspaperwritten in the Joseon language and continuously published inManchukuo. However, the foundation of Manchukuo as an independentcountry, in fact, began with an ambition to block the interventionof the Western Powers. The Japanese people took a strategy foralienation to alienate the people in Manchukuo from China as wellas the West through heterotopia by which they could maintain the initiativ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status as second-classpeople and autonomy in the publication of newspaper were used asa means to maintain the reputa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study would examine how the temporal and spatial experiencesof Joseon people in Manchuria were embodied during the time ofManchukuo, limiting the subject to the works composed by poetsresiding in Manchuria or those that contain the experiences inManchuria and journeys in Manchuria. 본고는 일제강점기 재만 조선인이 남긴 시 작품의 분석을 통해 당시 재만 조선인의 의식 세계를 살펴보려 한다. 식민지로서 그리고 독립국가로서 만주국이 지니는 이중성과 그 안에 현실인으로 속한 조선인이 보여주는 만주체험은 문화적, 문학적으로 다양한 함의를 가진다. 일제 강점기, 일본인으로 살아야 했던 조선을 떠나며 이들은 만주국이라는 독립국가에 대한 환상과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 회복에 대한 열망으로 부풀었다. 그러나 만주에서 부여받은 ‘이등국민’이라는 조선인의 지위에서 알 수 있듯 재만 조선인이 겪어야 했던 차별과 냉대는 이주민이라는 현실적 어려움보다 더 이들의 삶을 고단하게 하는 이유였다. 희망은 곧 좌절되고 만주국이 유도한 정책적 혼선 속에서 조선인은 이중적 정체성을 부여받게 된다. 연대와 적대의 혼돈 속에서 주체가 겪는 정체성의 갈등은 타자와 세계관에 대한 불안으로 드러난다. 친일문학 혹은저항문학, 제국주의적 성향으로 그 경계를 제한하는 기왕의 연구와 달리 본고는 시적 정체성의 타자적 차원으로의 확대와 소통의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내적 주체의 갈등이 주체 외적 세계와 타자를 통해 어떻게 주체로 환원되는지를 살피고, 스스로를 인식하는 정체성 탐색의 과정으로서 만주체험의 실상을 들여다 볼 것이다. 이는문화적 기억의 자유로운 회상을 가능하게 하며, 현재까지도 유동중인 민족적정체성을 재인식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심연수 저작물 논란의 쟁점과 맹점

        권선영(Kuean, Sunyoung)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본 논문은 그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심연수문학 연구와 『심연수 문학사료전집』의 문제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재만시인 심연수와 그의 문학을 연구하고 검증하는 과정에서 진실의 왜곡과 의미 과장을 우려하는 비판적 연구가 있었지만, 반대로 심연수문학에 대하여 윤동주급의 문학사적 위상, 혹은 근대기록물의 유산의 의미를 부여하려고 하는 긍정적 연구도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2018년 『심연수 문학사료 전집』 출간 이후 심연수문학 연구는 실증적 자료를 통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심연수의 저작물 일부에서 심연수가 만주국의 정체성을 건국이념을 통해 널리 알리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연수 문학사료 전집』에서 편집 주체의 의도적 오류나 오기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편집 주체의 사소한 오류와 주석의 비전문성은 신진 연구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항상 경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연구자들 또한 엄밀하게 연구 윤리를 준수하기를 촉구한다. 심연수의 몇몇의 글에서 친일 성향 논란의 가능성이 제기되는 글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하여 그가 지닌 문학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 열망을 폄훼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의 저작물을 왜곡하거나 과도하게 의미부여를 해서도 안 될 것이다. 진실 호도와 사실 왜곡을 바로 잡지 않는 연구자들의 명확한 해명이 요구된다. 나아가 ‘행사’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연구가 아닌 철저한 검증 과정을 통하여 엄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problems of Yeon-soo Shim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mplete Bibliography of Yeon-soo Shim’s Biographical, Literary, and Historical Data which have been controversial.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and verifying Yeon-soo Shim, Korean poet resident abroad in Manchuria, and his literature, there were critical studies that concerned about distortion of truth and exaggeration of meaning. Conversely, positive studies that try to give Yeon-soo Shim’s literary status as Dong-joo Yoon’s level of literary history or the meaning of the legacy of modern records are still in progress. The research on Yeon-soo Shim’s literature has been spurred by empirical data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Bibliography of Yeon-soo Shim’s Biographical, Literary, and Historical Data in 2018.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some of Shim’s works, he tried to publicize the identity of Manchuria through the founding ideology. I was also able to find intentional errors or omissions by the editor of The Complete Bibliography of Yeon-soo Shim’s Biographical, Literary, and Historical Data. I think researchers should always be wary of minor errors in editors and non-professionalism in comments, which can confuse rising researchers. Accordingly, I urge the editors of The Complete Bibliography of Yeon-soo Shim’s Biographical, Literary, and Historical Data to reflect, and I demand that the research ethics of researchers should also be reflected with strictness. Just because we can find articles that raise the possibility of pro-Japanese controversy in some of his writings, we cannot disparage his affectionate gaze and aspiration for literature. Therefore, in the study of Yeon-soo Shim Literature, we should not distort or give excessive meaning to his works. A clear explanation is required from researchers who mislead the truth and do not correct the distortion of fact. Furthermore, the study of Yeon-soo Shim literature should not be an event-oriented study, but rather a rigorous study that has undergone a through verification process.

      • KCI등재

        재만조선인 심연수의 동아시아 심상지리와 상흔문학의 가능성

        이혜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6

        이 글은 재만조선인 심연수의 문학을 동아시아 디아스포라를 둘러싼 상흔문학의한 사례로 자리 매김하기 위한 가능성을 가늠해본 것이다.한국의 강릉과 구소련의 블라디보스토크,만주,일본을 경유한 심연수는 문단에 소속되지 않은 이른바 ‘문청’을지향하면서 꾸준히 문학 활동을 이어간 가운데 재만조선인이 가졌던 독특한 식민지적 (무)의식을 엿볼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그런 점에서 이 글은 심연수의 문학을 문학비평의 매개로 삼기보다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증언적 사료로 삼기 위한 접근방법으로 삼았다.여기서는 먼저 1937년 만주국의 ‘신학제’ 개편에 따라 심연수가 (이전의6년제 중학교 과정이 아니라) 4년으로 축소된 중학교 교육을 받았음을 밝혔다.이것은당시 일본인에 대한 치외법권 철폐와 일본의 ‘국어상용정책’이 재만조선인들의 입학난을 가중시킨 결과로 나타난 것이었는데,이런 변화된 교육정책이 심연수가 경험한 학제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는 사실을 그의 일기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다.또한 ‘일본문인보국회’가 설파한 ‘문학의 사명’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했다는 점과 함께 레니 레펜슈탈의 다큐영화<민족의 제전>과 히노 아시헤이 소설을 영화화 한<土と兵隊>에서 보이는 프로파간다에 그대로 몰입해 있었다는 사실을 통해 심연수의 정념과 현실 사이에서 보이는 커다란 격차는 만주국만의 독특한 국가 효과가 작동한 중요한 사례를 보여준다는 사실을 논증했다.

      • KCI등재

        김창걸 해방전 단편소설 연구

        황영미 한국문학연구학회 200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37

        In this paper, I present a reading of the novels of the realist author Kim Chang Geol, tracing his philosophy of literature and revealing how he composed his novels as a way to protest and resist the sterility of the present age. In particular, since Kim’s short stories about the war of liberation express most powerfully his philosophy of literature, I chose as the subject of this paper those works of Kim’s which deal with the war of liberation, in order to examine more closel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his art. Recent research on Kim’s fiction has generally approached them from the side of the “what”, dealing with the subject and content; but in this paper, the analysis is made from the side of the “how”, narrative structure and viewpoint, revealing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Kim’s novels.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appears consistently in most of Kim’s short stories about the war of liberation. Kim’s novels are composed of a structure of the contrast of good versus evil. The content consists of a protest and passive resistance against evil. First a defect or affliction is presented to the hero, who now undergoes a transformation in order to deal with suffering, and then sets out in a new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Kim’s novels, punishment for evil does not appear in the concrete sense; it is just that there is nothing more than complaint and passive resistance. That is because for the hero, the evil which is the target for punishment is a very significant problem. This type of structure is repeated throughout all of Kim’s novels. It is the prevailing system in his fiction. Moreover, Kim’s novels are commentary narrator’s narrations in both the first-person narration and the third-person narration, because this kind of narrative situation is appropriate for protest and resistance. Thus the weight of the barren reality, where there is always a man who personifies the nation, is consistently set up as the subject of Kim’s novels. 이 글에서는 재만작가 김창걸이 ‘간도’의 척박한 현실에 대한 고발과 저항의 수단으로 소설을 썼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김창걸 소설의 특징은 크게 해방 전과 해방 후로 나눌 수 있는데, 해방 전 문학은 비판적 사실주의에 속하고 해방 후 문학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속한다. 이 글은 김창걸의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에 주목하여 해방 전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김창걸의 특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수필 <절필사>와 평론의 분석을 통해 가난이라는 체험을 바탕으로 소설을 쓰는 김창걸의 비판적 리얼리즘의 문학관을 밝혔다. 다음으로 김창걸의 소설에 대한 기존 연구는 ‘무엇’에 해당하는 제재와 주제에 대한 접근만 있어 왔지만, 이 글에서는 ‘어떻게’라는 측면에서 서사구조와 서술상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김창걸의 현실인식이 어떤 서사구조와 서술상황으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김창걸의 해방전 대부분의 단편소설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서사구조를 세 가지 범주에서 설명할 수 있었다. 첫째로 선악대립의 구조에서 출발하며 선인의 ‘고난’이 먼저 제시되고 고난에서 ‘탈출’하는 서사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고난’에 대한 소극적 저항이라는 형태로 구조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셋째로는 가난한 주인공이 가난 때문에 ‘죄’를 짓게 되고, ‘죄’에서 ‘회복’되는 과정으로 구조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세 가지 서사구조 모두 먼저 인물에게 결핍이나 고난이 제시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변모된 모습의 인물이 현재의 위치에서 새로운 지향점을 향하여 떠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저항하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김창걸 소설의 구조에서는 고난을 제공하는 강자와 악의 세력에 대한 징벌은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즉 고발과 소극적 저항에서 끝난다. 이는 김창걸 문학의 목적이 비전을 제시하기 보다는 현실의 고발에 그 목적이 있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이며, 징벌의 대상인 악이 주인공이 대적하기에는 너무나도 큰 시대적 문제였기 때문이다. 또한 김창걸 소설은 1인칭이든 3인칭이든 일관되게 화자의 입을 통해 직접적으로 서술하는 논평적 화자 서술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이러한 서술상황이 고발과 저항을 하기에 적절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김창걸의 소설이 소설미학적으로 높이 평가하기는 어려우나, 그에겐 억압적인 ‘간도’에 사는 조선인의 현실적 고난을 고발하는 것이 소설을 쓰는 목표였고, 이를 효과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 김창걸 문학의 가치가 놓여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분석은 그동안 주제나 제재 측면에서만 논의되어 왔던 김창걸의 소설을 내용과 형식적인 측면을 연계하여 논의함으로써 비판적 리얼리즘 소설읽기의 또다른 방식을 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재만 시인 『심연수 문학사료 전집』의 서지학적 검토

        이성천 국제한인문학회 2022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3

        심연수 문학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입도선매식 논의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했거나, 시인을 민족/저항/반일 문인으로 기정사실화함으로써 실증 자료와 부합하지 않는 논리적 비약을 범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심연수기념사업회와 강릉문화원과 강원도민일보사>가 주도한 『심연수 문학사료 전집』 발간은 기존의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논쟁을 종결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실제로 본고는 『사료 전집』의 분석을 통해 그간에 논의가 전무하였던 ‘새완님’과 ‘노부코/신자’의 정체를 온전히 파악했다. 그럼에도 『사료 전집』은 기존의 문제점을 답습하는 심각한 한계를 노정한다. 즉 “윤동주 신문스크랩”에서 보이듯 가족 및 친지들의 기억과 증언과 소문에 의존한 불합리한 자료 제시, “사라진 7월 8일 일기문”처럼 원전의 훼손, “타고르” 관련 부분과 같은 편집자의 비전문성, 역사적 사실의 이해부족으로 인한 무수한 오기와 오독, 무엇보다도 편찬 책임자의 부재 등은 궁극적으로 후속 학문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들에서, 『사료 전집』의 서지학적 검토를 수행한 본고의 최종 결론은 이렇다. 일부의 문학 연구자들과 재만 시인 심연수를 맹목적으로 이해하려는 ‘추종자들’이 오히려, 심연수 문학의 온전한 이해에 도달하는 것을 훼방하고 있다. 다시, 이렇게 말해보아도 좋겠다. <심연수기념사업회와 강릉문화원과 강원도민일보>가 주도한 『사료 전집』간행 이후, 심연수 문학연구는 다시 원점으로 회귀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