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 ; 미숙아에서 연령으로 분석한 장루 복원시기

        강민정 ( Min Jung Kang ),이주영 ( Ju Young Lee ),김한석 ( Han Suk Kim ),고재성 ( Jae Sung Ko ),박귀원 ( Kwi Wo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3 Perinatology Vol.24 No.4

        목적: 본 연구는 월경 후 연령을 기준으로 한 장루 복원 시기가 수술 후 과정, 합병증, 성장에 영향을 주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IRB의 승인을 받은 후, 2007년부터 2013년까지 6년간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장루 조성술과 장루 복원을 한 후 퇴원한 출생 재태 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고찰을 시행하였다. 이 때 선천성 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아는 제외하였다. 환아의 특성에 대한 자료, 장루 조성술 시 월경 후 연령과 체중에 대한 자료, 장루 복원할 때의 월경 후 연령과 체중, 수술 후 과정, 합병증, 퇴원 후 성장을 추적 관찰한 자료를 모았다. 분석을 위하여 환아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룹 1은 장루 복원 시의 월경후 연령이 40주 미만이고, 그룹 2는 장루복원 시의 월경 후 연령이 40주 이상이다. 결과 : 그룹 1은 16명, 그룹 2는 38명인 54명의 환아가 있었다. 장루 복원 시 체중은 그룹 2가 컸다. 장루 복원 후 합병증은 그룹 1이 많았고, 기계적 환기기간, 완전정맥영양을 받은 기간, 완전장관영양 도달 시기, 재원기간도 그룹 1에서 길었다. 추적 관찰한 성장 지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장루 조성술을 받은 미숙아의 장루 복원 시기는 수술 후 과정과 합병증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월경 후연령 40주 이후에 장루 복원을 시행할 것을 권장한다. 장기적인 예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iming of enterostomy repair described in terms of postmenstrual age (PMA) could influence postoperative course, complications, and growth. Methods: Under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al, records of preterm infants who underwent enterostomyand subsequent repair from 2007 to 2013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were reviewed. Records of infants with congenital anomalies were excluded. Data collected included baseline characteristics, PMA, weight at enterostomy and enterostomy repair, postoperative course, enterostomy repair-related complications, and follow-up growth after repair. For analysis,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1 with enterostomy repaired before PMA 40 weeks; and group 2 with enterostomy repaired since PMA 40 weeks. Results: There were 54 infants: 16 in group 1 and 38 in group 2. The median weight at the time of enterostomyrepair was greater in group 2 compared to those of group 1. Group 1 infants had more complications and had tobe ventilated longer after enterostomy repair. They required longer periods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and tooklonger to reach full enteral feeding. Group 1 infants also needed longer hospital stay after enterostomy repair.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growth after discharge. Conclusion: The timing of enterostomy repair influences postoperative course and complications significantl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enterostomy repair should be withheld until PMA 40 weeks. For predicting long term prognosis, more studies will be required.

      • 장루장애인의 장루관리 실태 및 복지요구

        장인순,박승미 湖西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14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22 No.1

        본 연구는 국내 장루보유자의 장루관리 실태와 복지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은 2013년 8월까지 영구적 목적으로 장루형성술을 받은 55세 이상의 장루장애인 21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하여 장루관리 실태와 복지요구를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66%가 대장루 보유자였으며, 대장암으로 장루를 갖게 된 경우가 83.8%에 달했다. 보험적용 관리용품의 주당 교환빈도는 투피스 제품의 경우 평균 2.39회,원피스의 경우는 3.11 회였다. 장루장애인의 복지요구가 높은 항목은 의료비 지원(35.2%), 장루관리 용품의 보험적용 수량증가 (26.7%), 장루장애인을 위한 전문요양기관 (22.5%), 장세척 시설을 갖춘 쉼터(10.9%), 취업 등 재활 지원(4.7%)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루장애인의 복지 정책 수립 시 의료비 지원과 장루관리 용품의 보험적용 수량 증가 등 경제적인 부분의 지원 요구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 장루보유자의 장루간호 자기효능감

        박승미,오두남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1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19 No.1

        본 연구는 장루보유자의 일반적 특성과 장루주위 처치방법에 따른 장루간호 자기 효능감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내 소재 S 대학병원 대장암 클리닉에 내원한 장루보유자를 대상으로 피부관리,기구교환 , 음식조절 , 의복,운동,자조모임,응급상황대처,수면,스트레스 관리 등의 내용을 포함한 장루간호 자기 효능감을 자가보고형 설문으로 측정 하였다 . 연구대상자는 결장루보유자 34명, 회장루보유자 40명,총 79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 년 7월부터 12월이었다 . 대상자의 장루간호 자기효능감 총점은 100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66.76 이었다. 세부영역별로는 의복에 관한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은 79.59였으며,운동 75.27, 응급 상황대처 71.08, 음식조절 69.44, 피부관리 63.30,기구교환 62.16, 스트레스관리 62.03 ,수면 60.54, 자조모임 57.84 이었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총점은 일반적 특성이나 장루관련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장루 주위 처치 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물로만 장루 주위를 씻고 말리는 경우가 크러스팅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였다.

      • KCI등재

        노인 장루보유자의 장루문제가 돌봄 가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양부담감을 통한 지역사회 자원 활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송윤숙(Yun-Sook Song),김혜정(Hae-Jung Kim) 한국보건복지학회 2022 보건과 복지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노인 장루보유자의 장루관련 문제가 돌봄 가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지역사회 자원의 부양부담감을 통한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 시내 S대학교 병원에서 65세 이상의 장루 보유자를 돌보는 가족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장루관련 문제는 부양부담감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우울에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부담감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장루관련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한편 지역사회자원을 공식적 자원과 비공식적 자원으로 살펴보았을 때, 공식적 자원활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장루관련 문제와 부양부담감의 부적 관계를 약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기반의 공식적 자원 활용을 통한 정보 및 지지의 제공이 노인 장루보유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감 및 우울감을 예방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임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lder adults’ ostomy-related problems and depression among caregivers. We also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stomy-related problems and the use of formal and informal community resources on family burden and depression among caregivers. Survey data from 125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ostomies were collec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ostomy-related problem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burdens of support, but not on depression. The total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family burden are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stomy-related problems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is indirect effect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use of formal community resources. For individuals who receive support and information from formal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the severity of depression is lower even if they handle more ostomy-related problems. Our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need to provide information on medical care and focus to reduce caregivers’ perceived levels of economic and psychological burdens.

      • 장루수술후 영양집중지원팀 의뢰 환자의 영양상태 변화

        최서윤,김근영,강은주,한경조,김영심,윤애림,박원철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7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배경 및 목적: 장루 수술후 재원기간 동안 평균 금식기간이 3일 이상 지속되면서 영양상태 저하는 재원일수 및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신속한 영양상태 판정과 적절한 영양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수술직후 적절한 영양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영양집중지원팀 의뢰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진단 후 장루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NST 의뢰후 환자의 영양상태 변화를 조사하여 영양상태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영양집중지원팀에 의뢰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효율적인 영양지원을 활성화시키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1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입원한 환자 중 대장암 진단 후 장루수술을 받은 환자 30명중 영양집중지원팀에 의뢰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영양지원 시행 후 생화학적 검사, 삼두근피부두겹두께, 상완위 둘레, 식사섭취량으로 환자의 영양상태 변화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 IBM SPSS 2.0을 이용하여 대응적 T-Test P<0.05에서 유의수준으로 처리하였다. 결과: 조사결과 장루 수술후 NST 의뢰된 환자 20명중 남자12명, 여자8명으로 BMI 정상군 7명, 과체중군 6명, 저체중군 6명이었다. 신체계측은 삼두근피부두겹두께(TSF) 상완위둘레(MAMC)를 기준으로 하였는데, TSF는 의뢰후 3일째 호전 양상이 없었으나, 7일째는 정상군1명 증가, 심한불량군 1명 감소되었다. MAMC는 의뢰후 3일째 정상군이 1명 감소, 중등불량군 1명 증가, 심한불량군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7일째부터 정상군 1명 증가, 중등불량군 1명 감소, 심한불량군 수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생화학적 검사는 Hb, 혈중Albumin, 총임파구수, BUN/Creatinine을 기준으로 하였는데, Hemogolbin수치는 의뢰시, 의뢰후 3일, 7일까지 통계상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의뢰후 7일째는 정상/중등/심한불량군 수가 각각 1명씩 증가되었다. 혈중Albumin수치도 의뢰후 3일째 정상군이 1명에서 6명으로 증가, 심한불량군은 13명에서 11명으로 감소, 7일째 다시 10명으로 감소되었다. 총임파구수는 영양지원 실시후 3일째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7일째는 정상군 2명 증가, 중등/심한불량군이 각각 1명씩 감소되었다. BUN/Creatinine수치는 의뢰후 3일, 7일이 경과되면서 정상군이 증가, 단백질저하 및 탈수 환자수는 감소되었으며, 신장질환이 동반된 환자 2명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Vit B12 수치는 의뢰시, 의뢰후 3일, 7일 비교시 통계상으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0명중 11명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영양공급 및 섭취량 조사 결과 의뢰시 TPN영양 10명, EN영양 1명, EN+TPN 5명, 식사 4명, 의뢰후 3일째 TPN영양 9명, EN영양 1명, EN+TPN 5명, 식사+TPN 2명, 식사+EN 1명, 식사 2명, 의뢰후 7일째 TPN영양 5명으로 감소, EN+TPN 4명, 식사+TPN4명, 식사+EN 2명, 식사 5명으로 전환되었다. TPN 제공열량은 의뢰시 TPN(1000kcal) 6명, 의뢰후 3일째 6명, 7일째 5명으로 감소, 의뢰시TPN(500~1,000kcal미만) 8명, 의뢰후 3일/7일째 6명으로 감소, 의뢰시 TPN(500kcal미만) 1명, 의뢰후 3일째 4명으로 증가, 7일째 2명으로 감소되었다. 식사와 EN이 처방된 환자의 의뢰시 섭취량은 50%미만, 3일째까지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의뢰후 7일째는 식사와 EN이 처방된 환자15명중 9명의 섭취량이 50%이상 증가되었다. 결론: 신체계측결과 의뢰후 3일째까지는 근육손실과 지방손실에 변화를 보이지 않으며, 특히 근육손실의 경우 의뢰후 7일째까지도 호전양상을 보이지 않으나 영양지원을 시행한 후 지방손실의 회복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화학적 검사 결과를 볼 때 Hb수치는 영양지원후에도 단시일 내에 수치상승을 보이지는 않으나, 혈중Albumin, 총임파구수, BUN/Creatinine, Vit B12는 영양지원 후 유지되는 영양공급에 의해 호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양지원팀에 의뢰된 후 TPN열량 조절과 EN과 TPN의 병행 유지, 식사와 EN병행, 식사와 TPN병행의 적절한 영양공급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영양상태 개선 및 재원일수 단축에 매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장기간 경장영양지원만으로 영양요구량의 100% 이상 충족되기 어려운 환자에 한해서는 정맥영양지원과 경장영양지원의 적절한 병행을 고려하고 식이와 EN영양공급으로 전환된 직후에도 EN과 TPN의 갑작스러운 중단보다는 섭취량을 모니터링 하면서 병행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장루 수술후 환자에게 발생되는 영양상태 저하 탈수와 VitB12 결핍을 막기 위해서는 수술직후 영양지원팀에 의뢰하여 영양평가 후 영양상태 판정 및 영양공급 모니터링을 통해 영양지원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크러스팅 기법이 장루주위의 피부상태에 미치는 효과

        박경희,이은희,김은옥,박주희,정연이,성영희 병원간호사회 2003 임상간호연구 Vol.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rusting technique on the peristomal skin care.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 patients who had colostomy surgery at S-hospital; 20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control group and the remainly 21,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were Bates-Jensen(1995)'s assesment of skin status. Skin status scale were measured by resear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02 to October, 2002 and the SPSS 9.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and Chi-square, t-test and intraclass correlation were used. Result: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2) The experimental group who used crusting technique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at POD#60 measur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ize, type of exudate, amount of exudate, peristomal skin, edema, induration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In Conclusions, a group of used crusting techniqu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kin status at POD#60 measurement than the not used group.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at crusting technique may help relieve peristomal skin complication for colostomy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