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자율적-통제적 동기유발과 중학생의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효과

        하선형 ( Sunhyung Ha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교육현장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고민은 학생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하나로 이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자율적-통제적)과 학생의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 4개 중학교 578명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반면 교사의 통제적 동기유발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자율적 동기유발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기본심리욕구가 상승시켰다. 셋째, 통제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통제적 동기유발이 학습참여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기본심리욕구가 상승시켰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강화요인으로, 통제적 동기유발에서는 위험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이는 학생의 학습참여를 높이고자 할 때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과 기본심리욕구 충족 간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학습활동을 정교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Grounded in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study mainl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satisfaction of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s’ motivating style (i.e., autonomy supportive and controlling) and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A total of 578 students (female = 305) completed a multi-measure questionnair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hypothesi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motivating style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BPNS) and learning engagement. Specifically, autonomy supportive motivating related positively to students’ BPNS and learning engagement, whereas controlling motivating related negatively to them.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utonomy-support motivating and learning engagement was moderated by BPNS. It means that this positive relationship would be stronger when needs satisfaction was higher (vs. lowe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ntrolling motivating and learning engagement was moderated by BPNS. It also means that this negative relationship would be stronger when needs satisfaction was higher. This study thus highlights a potential value of BPNS underlying mechanisms between teachers’ motivating style and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to enhance learning engagement at school.

      • KCI우수등재

        학업성취도 수준 변화 추이에 따른 부모지원과 자녀의 자율적 동기 관계에 대한 다집단 분석

        이지수,임선아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autonomous motivation by using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data collected from 2005 to 2010.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25 students who responded at all of the waves 2, 3, and 5 of the 2005 KELS middle school panel. Based on the selected data,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M)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factors and multi-group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group differences in relationship of facto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support explained significantly autonomous motivation. Second, autonomous motivation also highly influenced parental support. This study noticed both parental support and autonomous motivation have highly autoregressive and cross- lagged effects. And third,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changes in achievement level. That is, some groups had different patterns in cross-lagged effects from parental support to autonomous motivation. Fourth, some groups according to changes in achievement level also had different patterns in cross-lagged effects from autonomous motivation to parental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선행연구는 부모지원이 자율적 동기와 학업성취도를 예언함과 동시에 자녀의 자율적 동기와 학업성취도 수준이 부모지원을 이끌어 내는 중요한 조절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도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모지원과 자율적 동기 변인이 연계되어 있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 3, 5차 자료를 사용하여 학업 및 정서적 지원을 포함한 부모지원과 자율적 동기의 두 변인간의 상호 인과적 방향성을 살펴봄으로써, 그 동안 횡단연구에 그쳤던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또한 두 변인간의 관계 뿐 아니라, 다집단 분석을 통해 학업성적 수준 변화에 따라 변인간 관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지원은 종단적으로 자율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적 동기는 종단적으로 부모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지원이 자율적 동기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은 학업성취수준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율적 동기가 부모지원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은 학업성취수준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부모지원과 청소년들의 자율적 동기간에 상호 인과적 방향성을 확인함으로써 부모지원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율적, 통제적 동기와 학업태도 관계에서 학교환경의 조절효과:학습시설만족도, 교사전문성, 수업분위기를 중심으로

        은주희 ( Eun Ju Hui ),최진실 ( Choi Jin Sil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태도의 관계에서 학교환경 변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습동기는 자율적 동기와 통제적 동기로 구분하였고, 이와 상호작용하는 학교환경 변인으로는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사전문성, 수업분위기, 학습시설만족도를 상정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고용패널II(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자료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율적 동기 및 통제적 동기는 학업태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절효과 검증결과에서는 자율적 동기와 학업태도의 관계에 세 가지 변인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설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전문성이 높을수록, 수업분위기가 좋을수록 학습자의 자율적 동기가 학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통제적 동기와 학업태도 관계에서 조절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 무엇보다 학습자의 자율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학습환경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특히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사전문성과 수업분위기를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중심의 물리적 환경 설계와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 The motivation for learning was divided into 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s, and the factors for the school environment that interacted with them were teacher professionalism, class atmosphere, and satisfaction level of learning facilities. To do thi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KEEP) data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s a result, autonomous 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ttitudes. The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s showed that all variabl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learning facilities, the higher the class atmosphere and teacher professionalism, the stronger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s.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led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s, the moderating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results. It shows that should consider the need to establish a learning environment that enhances learners' autonomous motiv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eacher professionalism and class atmosphere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it suggested the need for a learner-centered physical environment design and oper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자율적 동기의 조절효과

        김태환,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nomous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xie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s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sex, grade, major, university locati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employment anxiety and autonomous motivation of 452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ccording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rade had th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utonomous motivation had th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xie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other words, employment anxiety had the negativ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under low autonomous motivation, but under high autonomous motivation, employment anxiety had the positiv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irst, it is needed to promote autonomous motiv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employment anxiety positively. Second,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employment anxiety on the career choice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Third,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take into account the effect of controlled motivation in measuring and utilizing autonomous motiv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자율적 동기의 조절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4년제 대학생 중 인문, 사회, 자연 및 공학계열 전공 452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학년, 전공 계열, 대학 소재지) 및 진로탐색행동, 취업불안, 자율적 동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제변인으로 활용된 변인 중의 학년은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자율적 동기는 진로탐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율적 동기는 취업불안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자율적 동기가 낮은 조건에서 취업불안은 진로탐색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쳤지만, 자율적 동기가 높은 조건에서 취업불안은 진로탐색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이 취업불안을 긍정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자율적 동기를 촉진해야 한다. 둘째, 취업불안이 대학생의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자율적 동기의 측정 및 활용에 있어 통제된 동기의 영향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자율적 외재동기의 효과 재조명: 설명적 근거 제공 전략을 중심으로

        이은주 한국교육개발원 2021 한국교육 Vol.48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regulation types and academic outcomes and to suggest ways to enhance self-determination of learning motivation by highlighting the positive effects of autonomous extrinsic motiva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were compared, and controversial effects of introjected regulation were reviewed. Expectancy-value theory, goal contents theory, and future time perspective were review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nternalization. Findings/Results: Extrinsic motivation can be internalized to become an autonomous motivation by providing students with convincing rationale and helping them find personal relevance and utility values in their learning tasks.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provision of convincing rationale enables internalization, how to provide rationale, and what effective rationale should be included. Value: By emphasizing the positive effects of autonomous extrinsic motivation,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and relevant ways to enhanc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and prospects of future research on self-determined motivation.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증진하기 위한 교육학자 및 교사들의 관심과 노력은 전통적으로 내재동기에 집중되어 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흥미롭지는 않지만 중요한 학습과제에 직면하게 되는 교육현실을 감안할 때, 학습동기의 증진을 위해 외재동기의 자기결정성 증진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율적 외재동기의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자기결정성 동기를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내재동기와 동일시조절의 효과를 비교하고 내사조절 효과의 양면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율적 외재동기의 증진을 위해 학습과제에 대해 자기관련성을 찾고 내재화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설명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어떻게 내재화가 증진되는지, 설명적 근거는 어떻게 제공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효과적인 설명적 근거는 어떠한 내용을 담아야 하는지 기대-가치 이론, 생애목표이론, 미래시간관점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자기결정성 동기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학습과제의 유용성과 자기관련성을 중심으로 후속연구 및 교육실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소기업 S-OJT훈련가의 헌신과 업무부하, 보상 및 자율적 직무동기의 관계

        조수영,나승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of S-OJT trainers in SMEs devotion and work overload, autonomous work motivation, and 3 types of reward.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work overload level has negative effect to the S-OJT trainer's devotion. Second, the autonomous work motivation has positive effect to the S-OJT trainer's devotion. Third, the 3 types of reward have positive effect to the S-OJT trainer's devotion. Forth, 3 types of reward has moderating effect between S-OJT trainer's devotion and work overload. It means each material reward, social reward, task reward reduce the negative effect between the work overload and devotion. Fifth, the autonomous work motivation level has moderating effect between each material rewards, task reward and trainer's devotion. It has not moderating effect between social reward and S-OJT trainer's devo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S-OJT훈련가의 헌신과 업무부하, 보상(물질적, 사회관계적, 직무적), 자율적 직무동기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체계적 현장훈련 중소기업에서 훈련을 담당하고 있는 훈련가 565명이며, 무선표집을 활용하여 350명을 표집, 온라인 설문지를 발송하여, 242부의 유효한 설문을 확보하였다. 자료는 t검증, 일원변량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미성은 0.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업무부하는 훈련가의 헌신에 부적(-)인 영향을 주며, 물질적 보상, 사회관계적 보상, 직무적 보상, 자율적 직무동기는 헌신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율적 직무동기 중 동일시 동기가 내재적 동기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상 유형 중에서는 직무적 보상의 영향이 가장 크고, 물질적 보상, 사회관계적 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훈련가의 헌신과 업무부하의 관계에서 물질적 보상, 사회관계적 보상, 직무적 보상은 업무부하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크기는 직무적 보상이 가장 크고, 물질적 보상, 사회관계적 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훈련가의 헌신과 물질적 보상, 직무적 보상의 관계에서 자율적 직무동기가 두 보상유형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사회관계적 보상과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훈련가의 업무부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구체적으로는 훈련업무를 공식업무로 운영하고, 훈련의 계획, 준비, 실행과 관련된 시간을 명시적으로 보장해야 한다. 둘째, 훈련가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유용한 물질적 보상방안, 예를들면 승진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사와 동료, 경영진 등이 훈련가의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격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직무적 보상을 강화하기 위하여 조직이 일방적으로 업무를 지시하는 것을 지양하고, 일의 중요성과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을 주어야 한다. 다섯째, 훈련가로서의 활동은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져야 하며, 훈련가 선정 과정에서 자율적인 직무동기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정된 이후 훈련가가 기대했던 보람과 직무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느낄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성인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

        김남조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8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degree of autonomous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self care behaviors in adult hypertensive patient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elf care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229 patients diagnosed with hypertension by doctor.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a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care behaviors analysi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lf care behavio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utonomous motiv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trolled motivation. The factors influencing self care behaviors were autonomous 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5%.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elf care behaviors in adult hypertensive patients, it is necessary to seek and apply a method to increase autonomous motivation and decrease controlled motivation. 본 연구는 성인 고혈압 환자의 자율적 동기, 통제된 동기, 자가간호행위의 정도를 파악하고, 자가간호행위 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내과 전문의로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은 229명이고, 자료분석은 SPSS 22.0를 이용하여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행위 분석에서 연령은 유의한 차이 를 보였고, 자가간호행위는 자율적 동기와 양적 상관관계를, 통제된 동기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가간호 행위에 미치는 요인은 자율적 동기와 통제된 동기로 설명력은 35%였다. 따라서, 성인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행 위 행상을 위해 자율적 동기는 증가시키고, 통제된 동기는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적용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정서는 숙련분위기, 기본심리욕구, 자율적 동기의 인과관계를 조절하는가?

        유진 ( Jin Yoo ),김필중 ( Pil Jung Kim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7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5 No.1

        본 연구는 체육수업 상황에서 숙련분위기가 자율적 동기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기본심리욕구가 어떻게 매개하며 긍정적 정서가 이러한 매개적 과정을 어떻게 조절하는가를, 조사했다.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433(남:222; 여: 211)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들은 조건부 과정모델(conditional process model; Hays, 2013)을 통하여 분석됐다. 분석결과는 숙련분위기와 자율적 동기와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와 긍정적 정서의 조절효과를 증명해 주었다. 전반적으로, 숙련분위기에서 기본심리욕구가 자율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는 긍정적 정서가 높은 학생들에게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특히, 긍정적 정서는 기본심리욕구가 자율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강화시켰다. 이 결과는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정서가 자기결정적동기화 과정에 역동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basic psychological need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climate and autonomous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whether this mediating effect was moderated by positive emotion. A sample of 433 Korean middle-school students (222 boys, 211 girls; mean age=14.8) completed survey questionnaires. A conditional process model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 between mastery climate and autonomous motivation. Mastery climate significantly enhanced autonomous motivation via basic psychological need when students had positive emotion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particular, positive emotion strengthened the moderate effect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autonomous motivation. These findings suggest positive emotion reciprocally and dynamically influences the self-determined motivational process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ontexts.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지원행동이 자녀의 자율적 동기와 학습유능감을 매개로 하여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수진,김명숙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8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지원행동이 중학생 자녀의 자율적 동기와 학습유능감의 매개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변인들의 구조 관계가 자녀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중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전체 학생에 대한 분석 결과,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지원은 자녀의 자율적 동기와 학습유능감의 매개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학업성취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2개의 경로에서 유의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성적일반집단에서는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대동소이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성적하위집단에서는 자율성지지 학업지원행동이 자녀의 유능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율적 동기가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만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in academic assistance on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via mediation of autonomous motivation and perceived competence for learning and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se variables change depending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i.e. the top 70% group and the bottom 30%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94 seniors at three middle schools. The multi-group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s showe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level. As in the group of all 494 students, in the top 70% group, parental autonomy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via mediation of their autonomous motivation and perceived competence for learning. On the other hand, in the bottom 30% group, parental autonomy support influenced only children’s perceived competence for learning and influenced neither the children’s autonomous motivation nor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terestingly, the bottom 30% children’s autonomous motivation itself influenced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greatly.

      • KCI우수등재

        Analyzing the Interdependent Role of Network Centrality, Motivation and Ability in Knowledge Sharing

        Sangyoon Jung(정상윤),Sangkyu Rho(노상규) 한국전자거래학회 2019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4 No.4

        지식기반사회의 21세기에서 경쟁하는 기업들에게 조직구성원간의 지식공유는 기업의 핵심역량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 핵심화두다. 특히 조직 내 네트워크의 위치 요인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학문적으로 논란이 계속되어 왔다. 이는 네트워크 중심성이 높을수록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지식공유의 기회는 확대되는 반면에 약한 유대감으로 인해 실제 지식공유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논란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 공유에 있어 세 가지 요소 - 네트워크 중심성, 자율적 동기, 그리고 지식공유능력 - 간의 상호작용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지식공유능력을 다양하고 깊이 있는 사전지식, SNS 활용능력,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측면으로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그 결과, 부분적으로 네트워크 중심성과 자율적동기, 지식공유능력 간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밝혔다. 즉, 네트워크 중심성이 낮고, 높은 자율적동기, 그리고 사전지식이 많을 때 가장 높은 수준의 지식공유를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동기와 능력이 강하면 네트워크의 주변적 위치라는 불리한 환경에서도 지식공유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식공유를 둘러싼 기존의 학문적 논쟁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In the context of knowledge sharing, network position has been a controversial subject. A central position in the network provides access to non-redundant knowledge, leading to more opportunities of knowledge sharing. On the other hand, as “bridging” relationships, its characteristics as a “weak tie” suggest innate lack of trust and reciprocity which is considered an impediment to share knowledge. This paper attempts to enlighten the underlying dynamic by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network centrality, motivation and ability in knowledge sharing. 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knowledge sharing ability in depth by operationalizing the construct into three aspects: extensive and diverse knowledge, social media utiliz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The results show a partially supported three-way interaction, where the highest level of knowledge provision is reported when the employee has low network centrality, high autonomous motivation and high knowledge sharing ability, i.e. extensive and diverse prior knowledge. Though all models indicate strong associations between network centrality and knowledge sharing, this suggests an even greater power of motivation and ability that gives the strength to overcome unfavorable environments of peripheral position. Therefore, this paper offers an alternative explanation to the existing debate whether network centrality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es knowledge sha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