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자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최정현,김도연 한국발달지원학회 2019 발달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여자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 인천, 강원, 전라 지역의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한 중·고등학교 여자 청소년 30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은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 반면, 자기통제력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부모-자녀 의사소통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사이버불링 피해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은 높고 자기통제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낮으며, 자기통제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여자 청소년의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은 낮아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사이버불링 피해를 감소시키고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자기통제력의 향상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상담 개입을 위한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suicidal ideation. To verify th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3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d cyberbullying damage in Gyeonggi, Incheon, Gangwon and Jeolla are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yber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of female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but i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ntrol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arent-child communica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female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the intervention of counseling.

      • KCI등재

        자살생각과 관련된 인지적 요인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와 탈중심화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최윤진,채규만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2 인지행동치료 Vol.12 No.3

        본 연구는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내부초점적반응양식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탈중심화가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및 기타 지역에 소재하는 남녀 대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Beck 우울 척도, 반추적 반응 척도, 탈중심화 척도, 자살생각 척도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인 반추와 반성은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고, 둘째, 탈중심화는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인 반추, 반성과 각각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조절하였다. 즉 탈중심화 수준이 높으면 반추와 반성의 수준이 높아도 자살생각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반추와 반성이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부분 매개함으로써 자살생각을 증가시키는 인지적 위험요인이고, 탈중심화가 반추, 반성과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인지적 보호요인임을 시사한다. 그리고 우울한 기분일 때 그러한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내부초점적 반응을 취한다면 자살생각을 하게 될 위험이 더 높아질 수 있고, 내부초점적 반응을 하는 상태에서 탈중심화된 관점을 가지려고 노력하면 자살생각을 줄일 수 있다는 임상적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both the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ecenter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umination and suicidal ideation.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Ruminative Response Scale (RRS), Experiences Questionnaire(EQ) and Scale for Suicidal Ideation(SSI) were administered to the five hundred eighty undergraduate students recruited from Seoul, Gyunggi and other are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umination (brooding and refle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the decentering ability moderated the suicidal ide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rumination.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s with high ability of decentering was able to lower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although the level of rumination, including brooding and reflection was high.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rumination tends to increase suicidal ideation risk by mediating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decentering ability functions as the protective factor for reducing suicidal ide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rumination. Therefore, the risk of suicidal ideation is likely to be high, if th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ruminate in order to escape the depressed mood or to solve problems when they are in depressed mood. However, they are able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f they focus on decentering and take a perspective of their problems. The limitations and ideas for the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군 간부의 직무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허태선(Tae Sun Heo),임정인(Jung In Lim),김준환(Tom Joonhwan Kim),오상도(Sangdo Oh) 한국소비문화학회 2022 소비문화연구 Vol.25 No.2

        자살생각은 개인과 가정 나가서는 군 조직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자살생각을 낮추는 것은 자살 사고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형의 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살생각의 선행변수를 탐색하여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 관계에서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절변수를 확인하는 것은 개인과 가정, 군 조직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생각의 선행변수로서 군 조직 내 직무스트레스, 알콜 의존도를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알콜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와 알콜 의존도와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육군에 근무 중인 간부 2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을 시행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알콜 의존도 및 회복탄력성을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알콜 의존도에 미치는 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알콜 의존도의 선행변수로서 직무스트레스가 확인되었고, 알콜 의존도가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투입되었을 때 부분매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알콜 의존도,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낮아졌으며 알콜 의존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역시 낮아졌다. Since suicidal ideation have been reported to have a profound impact on individuals, families, and, furthermore military organizations, reducing suicidal ideation is important not only when it comes to suicide itself but also in preventing various types of in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s, families, and military organizations to explore the leading variables of suicidal ideatio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with suicidal ideation and to identify moderating variables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n this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job stress and alcohol dependence within the military organizations as leading variables of suicidal ideation,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alcohol 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alcohol dependence,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o this end, a survey response was conducted on 266 militaray officers and NCOs of ROK Army, which measured job stress, suicidal ideation, alcohol dependence, and resilience.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f job stress on alcohol dependence was positively significant, confirming job stress as a leading variable of alcohol dependence,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when alcohol dependence was used as a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alcohol dependence, and suicidal ide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 and specifically, when resilience is high, the effect of job stress on suicidal ideation will be lower than when it is low. In addition, when resilience is high, the effect of alcohol dependence on suicidal ideation will be lower than when it is low.

      • KCI등재

        자살생각을 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 수준에 미치는 영향

        홍예진,박주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senior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whether one’s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8 senior college students(70 men, 148 women), who were seeking a job and had ever thought about suicide at least once, from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o measure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the Adult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Reynolds, 1991a) was used. The level of job-seeking stress was measured by the Job-Seeking Stress Scale (Kim, 2010).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Scale of Social Support (Park, 1985) transformed by Yoon (1993)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analyzed by using the procedure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e level of job-seeking stress increased suicidal ideation whereas the level of social support decreased suicidal ideation.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was not significant. 본 연구는 자살생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취업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확 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다섯 개 대학 4학년 재학생 중 취업을 준 비 중이며, 자살생각을 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 218명(남 70명, 여 148명)이었다. 연구문 제 검증을 위하여 취업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분석으로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취업 스트 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취업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자살생각을 자주 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자살 생각을 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취업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검증한 결과, 취업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 는 영향은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 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피학대경험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조절 요인에 관한 고찰

        김지현 한국아동보호학회 2016 아동보호연구 Vol.1 No.1

        청소년의 자살은 여전히 우리 사회의 문제가 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자살생각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가족으로부터의 피학대경험과 또래들로부터의 피학대경험, 즉 학교폭력 피해경험을 살펴보았다. 이들 요인들은 폭력 그 자체가 주는 피해의 심각성 외에도, 특히 인생의 주요한 발달단계 중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가정과 학교가 가지는 의미가 결코 작지 않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실제로 가정폭력피해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들의 자살생각과 정적 상관관계에있다거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또한 자살생각을 하는 청소년들이 모두 자살을 시도하는 것은 아니라면 관점에서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청소년의자살생각을 조절하는 개인 내적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문제해결능력 등의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었고,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는 가족 관계,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들 요인들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바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첫째,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피학대경험의영향에 대해 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학교와가정은 물론 우리 사회 전반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제도적, 정책적 뒷받침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조절할 수있는 요인들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본다. 이는 자살관련 문제에 있어서는 예방이 최선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절대로 가벼이 볼 수 없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현재는 주로 사회적 지지의 관점에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다양한 조절요인을 발견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study observed the factor which affects and arbitrateadolescents' suicide ideation, for adolescents' suicide is still beingproblem of our society. Above all, abuse experience by family andabuse experience by peer, which means school violence, areobserved as the main factors which affects suicide ideation ofadolescents. These factors have significant meaning, not onlybecause abuse itself do serious harm, but to adolescents in stageof development, meaning of family and school isn't small at all.Actually, there are various research results which implies positive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school abuse experience andsuicide ideation of adolescents. Also, not all the adolescents whohave suicide ideation actually commit suicide, we observed thefactor which could arbitrate suicide ideation. Personal innerfactors which arbitrate suicide ideation are self-worth, egoelastic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ar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riend, and teacher. but these areconsidered as sub factors of social support, which means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s emphasized.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first, more attention about effect ofabuse-experience on suicide ideation of adolescents is required.The study observed the factor which affects and arbitrateadolescents' suicide ideation, for adolescents' suicide is still beingproblem of our society. Above all, abuse experience by family andabuse experience by peer, which means school violence, areobserved as the main factors which affects suicide ideation ofadolescents. These factors have significant meaning, not onlybecause abuse itself do serious harm, but to adolescents in stageof development, meaning of family and school isn't small at all.Actually, there are various research results which implies positive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school abuse experience andsuicide ideation of adolescents. Also, not all the adolescents whohave suicide ideation actually commit suicide, we observed thefactor which could arbitrate suicide ideation. Personal innerfactors which arbitrate suicide ideation are self-worth, egoelastic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ar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riend, and teacher. but these areconsidered as sub factors of social support, which means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s emphasized.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first, more attention about effect ofabuse-experience on suicide ideation of adolescents is required.

      • KCI등재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권오균(Oh Gyun Kwon),허준수(Jun Soo Hur)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4

        본 연구는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관련 변인들 간 인과모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감 및 절망감 등을 활용하였다. 특히,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 우울감, 절망감의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자살생각에 대한 개별변수들의 직접효과 중에서는 스트레스, 우울감, 절망감이 자살생각에 직접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을수록, 절망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았다. 자살생각에 대한 간접효과 중에서는 우울감, 절망감이 자살생각에 간접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감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매개하였고, 절망감은 건강상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 독거노인 자살생각에 대한 개입에 대해서 제언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저소득 독거노인의 우울감과 절망감의 위험군에 대한 조기발견과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별이나 죽음에 대한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 및 훈련, 위기개입 등이 필요하다. 셋째, 저소득 동거노인의 우울감과 절망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 중심의 대처자원을 구축하고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다섯째,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노인 전용 상담기관 및 전담기구를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of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o explain the suicid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str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hopelessness, etc. were used. Suicide of a direct effect of the individual variables of stress, depression, despair at the thought of suicide was found to act as a direct effect. Among the indirect effect on suicide depression, despair at the thought of suicide was found to act as an indirect effec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interventions for low-income seniors living alone thinking about suicide to suggest is as follows. First,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order to reduce the suicide of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t risk of depression and despair for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is required. Second,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o reduce the suicide bereavement, death, management and training for the post-traumatic stress, such as crisis intervention is required. Third, low-income seniors living in order to reduce the depression and despair need health care programs, and social support network should drop. Fourth,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center for suicide prevention resources to build and strengthen the coping strategies that are needed. Fifth, low-income seniors living alone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in the elderly-only counseling agencies and task force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우혜경,조영태 한국보건사회학회 2013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4

        South Korea’s suicide rate has increased rapidly in the past two decades. Thepurpose of our study is to explain the socio-epidemiological relationship ofpoverty and suicide. The idea of our study is to get an answer to specificquestions like, “how could poverty lead to suicide?”, instead of trying to get theanswer that the cause of suicide is “poverty”. For our study, we used two wavesof data from the Seoul Welfare Panel Survey from 2009 to 2010. And A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argeting a total of 5,749subjects of over 15 years ol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follows. First, the suicidal ideation and poverty status of individuals can changerapidly in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in one year, but when looking at awhole group, the size of the poverty group and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generally remained constant. Second, we found that poverty was a significantfactor of suicidal ideation from cross-sectional analysis of first wave. Third, the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in the poverty group at the time of first wave wasreduced at a rate 2.26 times more than that of the highest level of householdincome group at the time of second wave. Fourth, the suicidal ideation ofindividuals who belonged to the poverty group at the first wave but had escapedfrom poverty at the second wave ceased having suicidal ideation at a rate 2.05times higher than members of the non‐poverty group. Through the results of suchstudies, we found that suicidal ideation is concentrated in the poverty group andthe transition of suicidal ideation is sensitive in this group. Also,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escaping from poverty leads to the disappearance of suicidal ideationdemonstrates that the problem of poverty lies on top of the centric context ofsuicidal ideation. 본 연구는 빈곤과 자살생각의 사회역학적 관계를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빈곤의 동태가 어떻게 자살생각과 연동되는지 개인적 특성들을 고려하여 살펴보고자하였다. 자료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구축된 서울복지패널 조사자료를 사용하였으며, 15세 이상의 표본 총 5,74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개인들의 빈곤상태와 자살생각은 불과 1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매우 활발하게 변화되는 동태적 특성을 지닌다. 하지만, 관찰 단위를 전체 집단으로 옮겨보면, 집단의 자살생각의 비율이나 빈곤율의 크기는 관찰기간 동안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둘째, 빈곤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1차 조사시점에서 단면적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찰되었던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하더라도 빈곤은 자살생각의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셋째,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자살생각의 변화를 살펴보면, 빈곤층에서 자살생각이 소멸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빈곤층의 자살생각이 단면적으로 높으나, 짧은 추적기간 동안 자살생각이 소멸되는 확률 역시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넷째, 빈곤층에서 자살생각이 소멸되는 이유를 알기 위해 빈곤의 동태를 반영하여 살펴보았고, 그 결과는 빈곤을 탈출한 집단에서 자살생각이 소멸될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자살생각이라는 위험생애사건의 발생가능성이 빈곤층에 집중되어 있고, 빈곤층이 자살생각의 변화에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빈곤의 탈출이 곧 자살생각의 소멸로 이어지는 과정은 빈곤의 문제가 곧 자살생각의 중심적 맥락 위에 있다는 것을 명시한다. 따라서 자살을 예방하거나 중재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으로 빈곤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자살예방정책은 빈곤정책과 유기적으로 상호 연계되어야 한다. 또한 자살예방을 위한 정신건강 서비스의 지원대상에서 빈곤층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아동의 또래 간 의사소통, 우울감 및 자아탄력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김상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communication, depression, and ego-resilience on children’s suicidal ideation and to suggest 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ocial problems. As a result of examining 455 students in 5th grade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Gyeonggi-do, children’s peer communication, ego-resilienc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ere higher than median. The level of women’s suicidal ideation, peer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In sixth grad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ere higher than fifth grade and ego-resilience was lower. The better the economic life, the higher the ego-resilience, the lower the depression or suicidal ideation. The fewer friends,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By analyzing the effect of sub-factors of each variables on suicidal ideation, open communication has negative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depression, helplessness and loneliness had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vitality and optimism showed negative influence on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hildren’s suicidal ideation, and communication was influenced by peer communication and number of brother order. 본 연구는 또래 간 의사소통, 우울감,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자살생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자살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5학년과 6학년 455명을 조사한 결과 아동의 또래 간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우울감과 자살생각 모두 중간값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자살생각과 또래 간 의사소통, 우울감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6학년은 5학년보다 우울감, 자살생각이 높고 자아탄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생활이 좋을수록 자아탄력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감이나 자살생각은 경제생활정도가 어려울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친구가 적을수록 우울감과 자살생각 수준이 높았다. 각 변인별 하위요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개방적 의사소통은 자살생각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자살생각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감의 하위요인 중 무력감과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활력성과 낙관성은 자살생각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살생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감으로 나타났으며, 또래 간 의사소통, 형제 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대처방식에 대한 질적(CQR)연구

        류진아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 first, adolescents' cognition who have not had suicidal ideation towards peers' suicidal ideation and coping styles, and second, adolescens' experiences and coping strategies who have thought they wanted oi kill themselves. To investigate, we performed a qualitative approach by analyzing 487 adolescents' self-reports. We derived significant menings, themes, theme clusters, and clusters from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on experienced suicidal ideation adolescents thought negatively and felt pity towards peers' suicide ideation. Second, non experienced suicidal ideation adolescents recognized peers who have suicidal ideation have had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problems and suggested to people living around suicidal ideation adolescents how to be concerned for and help them. Third, adolescents experienced in suicidal ideation were in conflict with family and school relationships but managed to cope with it passively and avoided suicide ideation.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생각 경험유무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고 자살생각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구체적 상황과 대처방식, 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대처방식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6개 중고등학교 487명 청소년의 개방형 자기보고서를 합의적 질적 분석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살생각 경험의 유무에 따라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에 대한 응답 차이를 살펴보면, 첫째, 자살생각 경험이 없는 청소년은 자살생각의 원인을 개인의 심리적, 성격적으로 인식한데 반해 자살생각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가족과 학교 등 외부환경 요인에 의해 자살을 생각하는 상황에 놓인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자살생각에 대한 대처방식도 자살생각 경험이 없는 청소년은 주변의 관심과 도움, 생각을 바꿈, 전문적 개입과 같은 문제해결적, 적극적 대처방식을 제안하였지만 자살생각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정서중심적, 회피적 대처방식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우울성향 청소년 자살생각 보호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최혜경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factors of suicidal thought such as psychological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attitudes have an effect on suicidal thoughts within the probability levels of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in adolescents with depressive tendencies.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trajectory of the research model, including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se variables. The participants were 215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South Korea with depressive tendencies.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following : (1)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on the suicidal thoughts of adolescents with depressive tendencies (i.e., the research model)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resources in the causal pathway.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when examining the values related to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research models, all goodness-of-fit index values were within the appropriate ranges, and thus, hypothetical routing based on theoretical basis was appropriate. When looking at the theoretical path models as a whole, it was found that parenting attitudes and the path to psychological resources, parenting attitudes and the path to suicidal thoughts, social support and the path to psychological support, social support and the path to suicidal thoughts, and psychological resources and the path to suicidal thoughts all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In addition, psychological resources as a mediating variable were shown to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for both effects, it was found that parenting attitudes had the biggest effect on the suicidal thoughts of students. When checking the total effects with an influence on suicidal thoughts, social support and parental attitude were both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suicidal thoughts. This showed that wh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re high and when social support is greater, suicidal thoughts become relieved, and in terms of psychological resource parameters, it was found that suicidal thoughts were alleviated more effectively. 본 연구는 우울성향 청소년들의 자살생각과 우울의 개연성 차원에서 자살생각 보호요인, 즉 사회적 지지와 양육태도 및 그들의 다양한 심리적 자원이 자살생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 간의 매개효과를 포함한 연구모형의 경로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부산 소재 중고등학교 남녀 우울성향 학생 215명이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인 우울성향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 그리고 매개변수인 심리적 자원의 인과적 경로를 검증한 결과, 제안된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관련된 지수를 검토해 보면, 모든 적합도 지수의 값이 적정 범위 내에 포함되므로 이론적인 근거에 의한 가설적인 경로설정은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론모형경로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자원의 경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살생각의 경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자원의 경로, 사회적 지지와 자살생각의 경로, 심리적 자원과 자살생각의 경로,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매개변수인 심리적 자원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접효과, 간접효과 모두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살생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총효과를 확인해 보면, 사회적 지지와 부모의 양육태도 순으로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강할수록 자살생각은 완화되며, 심리적 자원을 매개로 하였을 때 자살생각은 더욱 완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