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마미 증후군의 원인과 임상 양상

        황창주,김영태,이동호,이춘성,하정기,이태균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4

        Study Design: A literature review. Objectives: To describe the caus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uda equina syndrom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auda equina syndrome, complex symptoms and signs expressed as variable clinical manifestation, has rare incidence but needs attention since it can bring about serious complications and sequales if neglected.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 reviewed articles reporting the causes and clinical manifestation of cauda equina syndrome. Results: There are marked inconsistencies in the current evidence base surrounding the definition due to various clinical presentation of cauda equina syndrome. Conclusion: As there is no symptom or sign which has an absolute diagnostic value in establishing the diagnosis of cauda equina syndrome, any patient in whom a clinical suspicion of cauda equina syndrome arises must undergo urg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diagnosis. 연구 계획: 마미 증후군에 대한 문헌 고찰. 목적: 마미 증후군의 원인 및 임상 양상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다양한 임상 양상으로 발현되는 증상 및 징후의 복합체인 마미 증후군은 드물게 나타나기는 하지만, 간과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 및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대상 및 방법: 문헌 고찰결과: 마미 증후군은 발현 양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널리 인정되고 있는 명확한 정의는 없다. 결론: 마미 증후군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절대적인 진단적 가치를 가지는 증상 및 징후는 없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환자에 대해서는 진단을 위해 자기 공명 영상을 긴급하게 시행하여야 한다.

      • KCI등재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가족력이 임상양상의 성별차이에 미치는 영향

        김성진,강경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5

        목 적 :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인구 사회학적 요인 및 임상양상의 성별차이를 비교하고 가족력이 경과 및 임상양상의 성별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 법 : 1996년 3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립서울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중 정신분열증의 DSM-Ⅳ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92명, 여성 85명으로 총 177명이었고, 이중 직계가족내 정신분열증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는 남성 13명, 여성 20으로 총 33명 이었다. 인구 사회학적 요인, 발병연령, 이병기간, 입원횟수, 약물용량, 과거 자살시도등을 조사하고 BPRS와 PANSS를 이용하여 평가한 임상증상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였다. 또한 가족력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의 성별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교육년수, 종교, 직업, 가족력, 이병기간, 입원횟수, 약물용량, 자살시도 유무, 임상아형의 성별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결혼은 여성환자에서 높게 나타났고 발병연령은 남성에서 빠르게 나타났다. PANSS를 이용한 임상증상의 비교에서 음성아형은 남성에서, 양성아형은 여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BPRS를 이용한 비교에서 지각-사고장애요인과 불안-우울요인이 여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가족력이 있는 군의 발병연령은 성별차이가 없었으나, 가족력이 없는 군은 남성이 빠르게 나타났다. 가족력이 있는 군은 BPRS를 이용한 임상증상의 성별차이가 없었으나, 가족력이 없는 군은 지각-사고장애요인과 불안-우울요인이 여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이전 보고된 논문들과 함께, 본 논문의 결과는 성별차이와 가족력이 정신분열증의 증상의 이질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 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on sociodemographic factor and clinical feature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impact of family history on gender differences of clinical cours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Method : Patients who admitted to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from March 1996 to September 1996 and m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schizophrenia by DSM-Ⅳ were studied. The number of patients was 177(92 men and 85 women), among them with family history of first degree relatives schizophrenia was 33(13 men 20 women). Sociodemographic factor, age of onset, duration of illness, number of admission, dosage of antipshychotics(chlorpromazine equivalent), past history of suicidal attempts and clinical symptoms assessed by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and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were compared by gender. Furthermore, gender differences of clinical features were compared by presence or absence of family history. Results :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education, religions, occupational status, family history, duration of illness, number of admission, dosage of drugs, suicidal attempts and clinical subtypes, but more femal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married and age of onset was significantly earlier in male patients. In clinical symptoms were compared with PANSS, negative type is significantly more in male patients but positive type is more in female, with BPRS, perceptul-thought disturbance factor and anxiety-depression facto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patients. The age of onset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family history positive group but significantly earlier onset of male patients in negative group. Clinical symptoms with BPR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history positive group, but perceptual-thought disturbance factor and anxiety-depression factor were higher in female patients in negative group. Conclusions : The findings, coupled with reports from other investigators, support that both gender and genetic loading contribute to the heterogeneity of schizophrenia.

      • KCI등재후보

        심실 빈맥의 임상양상 및 예후

        김진배 ( Jin Bae Kim ),정보영 ( Bo Young Joung ),김종윤 ( Jong Youn Kim ),김대혁 ( Dae Huyk Kim ),안신기 ( Shin Ki Ahn ),이문형 ( Moon Hyoung Lee ),김성순 ( Sung Soon Kim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3

        목적: 심실 빈맥의 원인 질환으로 허혈성 심질환이 가장 흔하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심실 빈맥의 빈도나 임상양상 및 예후에 대하여 국내 보고가 미흡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심실 빈맥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심실 빈맥으로 진단된 환자 1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원 당시 ECG의 특징과 임상적 특징, 추적 결과을 분석하여 예후을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는 100명(73.5%), 여자는 36명(26.5%)으로 남녀 비는 2.76:1였다. 환자의 발작 시 증상 중 가장 많이 호소하였던 것은 심계 항진(50.8%)이었으며 흉통(17.6%), 졸도가 15예(11.0%), 호흡곤란 7예(5.1%), 심장 돌연사 7예(5.1%)였으며 무증상인 경우가 2예(1.5%), 기타 다른 증상이 4예(2.9%)였다. 심실 빈맥의 발생에 특별한 유발 인자가 없었던 경우가 제일 많았으며(58.1%), 물리적인 활동(33.1%), 감정적인 스트레스(7.4%)가 유발인자로 관찰되었다. 심전도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기저 심박수는 74.8±17.5회, QRS폭은 101.1±18.5 ms였으며 전기축은 정상축이 가장 많았으며 V1 유도의 QRS 모양으로 분류해 보면 우각 차단형이 54예(39.7%), 좌각 차단형이 44예 (32.4%), 다형 심실 빈맥이 15예(11.0%)였으며 V1유도가 기록되지 않았던 경우가 23예(16.9%)있었다. 심실 빈맥의 원인 질환으로는 특발성 심실 빈맥이 74예(54.4%)로 가장 많았으며 허혈성 심질환이 29예(21.3%)로 그 다음이었다. 특발성 심근병증이 16예(11.8%)였으며 심판막증이 6예(4.4%)있었고, 그 밖에도 선천성 심질환(3예), Long QT 증후군(4예), Brugada 증후군(4예)있었다. 추적관찰되었던 119예 중에서 재발되었던 환자는 31예(22.8%)였으며 사망한 환자는 12예(10.1%)였다. 추적 관찰에서 재발 및 사망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는 17명(13.9%)였다. 재발하기까지의 기간이나 사망률로 환자의 예후를 판별하였는데, 여타 질환에 비해 특발성 심실 빈맥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은 예후를 보여 주었으며 허혈성 심질환인 경우가 가장 좋치 못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p<0.05). 특발성 심실 빈맥의 치료법 중 전극 도자 절제술가 가장 좋은 예후를 보여 주었으며 득발성 심실 빈맥의 경우 사망 환자는 없었다(p<0.05). 결론: 국내 심실 빈맥의 환자는 서구와는 달리 특발성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특발성 심실 빈맥의 경우가 다른 심실 빈맥에 비하여 예후가 가장 좋았으며 특발성 심실 빈맥의 치료 방법 중 전극 도자 절제술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Background: Although the determination of etiology is crucial for the management of ventricular tachycardia (V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ventricular tachycardia in Korea. Previous studies on Western populations have shown that ischemic VT is the most common type arrhythmia; however, the incidence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Korea is lower than in Western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Korean patients with VT. Methods: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VT by ECG or confirmed by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were enrolled. Hospital records were reviewed fo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d: demographic features, underlying disease, clinical presentation, ECG features and prognosis in 136 patients who visited our emergency room or out patient clinic. Results: There were 100 men and 36 women (mean age 51.517.6).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was palpitation (56.6%), which was followed by chest pain and syncope. The most common type of VT was idiopathic VT (54.4%); ischemic VT was found in 29 cases (21.3%) and dilated 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in 16 cases (11.8%). For all types of VT, the idiopathic VT showed the best prognosis and cardiac function (p<0.05). RFCA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was the best treatment option for treatment of idiopathic VT (p<0.05).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diopathic VT may be the most common type of VT in Korean patients; it usually originates form either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RVOT) or the LV. The response to treatment and prognosis was poor in VT patients who had underlying heart disease; however, the prognosis was excellent for those with idiopathic VT.(Korean J Med 71:276-284, 2006)

      • KCI등재

        정신분열병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임상양상의 성별차이

        우행원,이은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저자는 이대부속 동대문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DSM-Ⅲ-R(APA, 1987) 진단기준에 의거,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 정신분열병양장애 진단기준을 만족시키는 남성 44명, 여성 46명, 총 90명을 대상으로 환자 면담 또는 환자 입원병록지를 통해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발명연령, 진단명, 첫 입원후 18개월간의 총 입원횟수 및 총 입원일수 등의 임상양상을 조사하고, 치료약물의 용량을 chlorpromazine 등가량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Positive &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Kay등 1987)을 이용하여 입원시와 퇴원시 증상의 심각도를 측정하였고 증상의 호전정도는 입원시 증상척도와 퇴원시 증상척도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연령, 출생계절, 학력, 직업, 종교, 결혼상태의 사회인구학적 요인에서 남녀간 유의한 치이는 없었다. 2) 임상양상 중 발병연령은 남녀 각각 23.0±5.4세, 27.0±7.5세로 남성이 조기에 발병하였다(p<0.05). 총 입원횟수는 남성2.3±1.7회, 여성 1.8±1.1회로 남녀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총 입원일수는 남성 207.9±90.2일, 여성98.5±69.8일로 남성이 오랜기간 입원하였다(p<0.05). 치료 약물 용량은 남녀 각각 469.0±89.1㎎, 373.4±91.4㎎으로 유의한 차이 없었다. 3) PANSS(Kay등 1987)를 이용해 입원시 측정한 증상에서 양성증상척도 점수, 음성척도점수, 일반정신 병리척도점수, 총점 모두 두 집단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퇴원시 증상 역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증상의 호전정도는 양상증상척도, 음성증상척도, 일반정신병리척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Objects : During the last decade, there has been growing knowledge on the gender differences of many features in schizophrenia. We tried to find out gender differences in sociodemograpic factors and clinical features i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 Ninety inpatients, 44 men and 46 women, who m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disorder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by Diagnosis and Statistical Manual Ⅲ Revised(DSM-Ⅲ-R) were studied. Interview with subjects or the review of medical records were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of onset, total number of admission and total hospital days during 18 months since the first admission, and the highest dosage of antipsychotics(chlorpromazine equivalent dose) and diagnosis.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Scale(PANSS) was used to examine the severity of symptoms at the first admission and at discharge, and the digrer of improvement was assessed. Results : 1) No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mean age, season of birth, education level, occupation, religion and marital status. 2) Earlier age of onset and the longer hospital stays was noted in male schizophrenics than in females(p<0.05). But the total number of admission and the highest dosage of antipsychotics did not differ between genders. 3) The total scores of positive scale, negative and general posychopathology at admission and at discharge and the differences of improve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 Later onset and shorter hospital stay in female schizophrenic patients compared to males are supposed to due to protective effect of estrogen, lesser social stress in females, and structural vulnerability to schizophrenia in males.

      • 1차 의료에서의 궤양성 대장염의 진단시 임상 양상

        박종범 ( Park Jong Beom ),박원갑 ( Park Won Gab ),윤서구 ( Yun Seo Gu ),김현식 ( Kim Hyeon Sig ),이종균 ( Lee Jong Gyun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03 No.-

        <목적> 원인 미상의 궤양성 대장염은 최근 국내에서도 그 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궤양성 대장염의 임상 양상에 관한 보고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전의 국내 보고는 대부분이 대학 병원에 국한되어 있어, 국내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진단 시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1차 의료 기관에서 처음으로 진단된 궤양성 대장염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진단 시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송도병원의 궤양성 대장염

      • KCI등재

        인터넷 중독의 임상양상

        하지현(Jee Hyun Ha),전미유(Miyou Cheon)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12 중독정신의학 Vol.16 No.1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 보급이후 새로이 발생한 ‘행위중독’의 일종으로 ‘과도한 인터넷 사용에 대한 집착 및 사용시간에 대 한 조절실패, 이로 인한 의미있는 사회, 직업 및 기타 다른 중요 한영역의 기능의 손상과 불편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인터넷 중독은 사용하는 절대시간이라는 양적인 측면보다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부적응적 행동을 중심으로 이해해야 한다. 인터넷 중독을 평가할 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우울증, 강박증, 사회공포증, 학습장애와 같은 일차적 원인 질환의 존재 가능성을 평가하고, 동시에 대인관계, 가정 및 직장의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적 요소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MInternet addiction is a novel clinical problem which is characterized by overindulgence of internet access or PC using, repeated control difficulties, and psychosocial dysfunction due to internet related behaviors. This article overviewed the definition of internet addiction and controversial concept of inter-net addiction in the name of ‘behavioral addiction’. Authors re-viewed current findings associated with etiology, cormorbidity, epidemiology of internet addiction. Specific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ymptom manifestations, possible subtypes were presented and several proposed diagnostic criteria and assess-ing tools will be described.

      • 충북 지역 소아 장중첩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

        견윤희, 윤영주, 이지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5 忠北醫大學術誌 Vol.25 No.1

        목적: 충북 지역 소아 장중첩증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지 역 의료진들에게 빠른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 병원을 방문하여 복부 초음파나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해 장중첩증으로 진단받은 만18세 미만 소아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87명(남 49명, 56.3%)의 환자들이 장중첩증으로 진단받았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25.4개 월이었으며 만 24개월과 만 36개월 이하 환자가 각각 전체 환자의 62.1%, 81.6%였다. 동반된 임상 증상은 주기적 복통(82명, 94.3%), 구토(43명, 49.4%), 혈변(16명, 18.4%), 만져지는 복부 종괴 (13명, 14.9%) 등이 있었다. 또 진단 당시 감염성 질환을 가진 환자는 53명(60.9%)이었고, 호흡기 질환이 41명(47.1%)이었다. 장 중첩의 발생 위치는 회장-막창자형이 78명(89.7%)이었고, 소장-소 장형이 6명(6.9%), 두 가지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가 3명(3.4%)이었다. 치료 방법은 소장-소장형 6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공기 정복술(81명)을 일차적으로 시행하였고, 77명(95.1%)이 성공, 4명 이 실패하였다. 수술적 정복술을 시행한 환자는 모두 9명이었고, 이들은 공기 정복술이 실패했거나 재 발로 공기 정복술을 하지 못한 환자였고, 이들 모두 재발은 없었다. 소장-소장형의 경우 모든 환자들이 경과 관찰 후 자연 정복되었다. 결론: 소아 장중첩증은 빠른 진단이 성공적인 치료와 예후에 매우 중요하며, 충북 지역 소아 장중첩증 환자들의 임상 양상을 이해하고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에 적용이 되어야겠다.

      • 소아 청소년 정신과 외래환자의 임상양상

        연규월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7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0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청소년 정신장애 외래환자의 일반적 특성. 주요 임상증상. 진단. 그리고 치료에 대해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본교실 소아 청소년분과 발전에 기초 자료로 삼고저 함이다. 방법: 1997년 1월 1일부터 7월31일까지 만 6개월동안 이화여대부속 동대문병원 정신과외래를 처음 방문한 소아 청소년 호나자 111명을 대상으로 병력조사와 문진을 통해 일반 인구학적 특성, 주요임상증상, 진단분포, 치료기간 및 종류에 대해 통계학적 조사를 하였다. 결과: 1)일반 인구학적 특징 대상환자 111명의 남녀 비율은 1.1:1이고, 연령별로는 13~18세 사이의 청소년기가 가장 많았다(52.3%), 형제 순위는 첫째 아이가 가장 많았고(42.3%), 대부분 양부모가 모두 생존하였다(91.9%). 첫 번째 방문시 동반자는 어머니가 가장 많았고(75.7%) 대상자이 대부분이 서울시내에 거주하였다(74.8%). 2) 주요 임상증상 대상자들의 호소증상은 대부분 3개 이상이었고(69.4%), 가장 많은 호소증상은 신체적 증상이고 학업문제, 불안, 두려움, 안절부절함, 주의산만, 행실장애 및 물질남용 등의 순이었다. 3)진단분포 대상자 대부분이 1개 이상의 진단을 공유하고 있었다. 가장 많은 진단은 행실장애이고, 기분장애, 지질성 정신장애, 불안장애, 학습장애의 순이었다. 4) 치료기간 및 종류 대상자 대부분이 5번 이상의 외래치료를 받았다(62.2%). 남녀 모두 약물치료와 정신치료 또는 행동치료의 병합치료가 많았으며 남아는 놀이치료나 정신치료를 받은 경우가 가장 적었고 여아는 관찰만 한 경우가 가장 적었으며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11명의 외래 환자중 28명(25.2%)이 조사기간동안 1번이상의 입원한 기왕력이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소아 청소년 정신 장애 환자 치료를 위한 특수치료시설(놀이치료, 행동치료)의 확보와 소아 청소년 정신장애 분과 설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omographic characteristics, main clinical problems, diagnoses and treatment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outpatients. Methods :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based on the clinical reports and medical records of 111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who wisited to the outpatient clinic during current 6 months. Results : 1)The sex ratio(male : female) of these 111 patients was 1.1:1 and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adolescent period(13-18 years of age). In sibling order, the first born child was more prevalent. Almost all the patients had both parents and was accompanied by a mother on the first visit. The most living place of the patients was in Seoul. 2) The main problems visiting our coinic were in following order : somatic symptoms, learning problems, anxiety, fear & restlessness, attention deficits, conduct problems and substance abuse etc. 3) Diagnostic distribution of the patients was in following order : conduct disorder, mood disorder, organic mental disorde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xiety disorder etc. 4) The patients who visited to the outpatient coinic above 5 times were more frequent. The more frequently used method for treatments was in the sequence of pharmacotherapy combined with psychotherapy and behavior therap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cessity of the space of special therapy(such as play and behavior therapy) for the children and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s very important in current situation.

      • KCI등재

        뮐러관 기형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서울아산병원 20년 (1990~2009년) 간의 경험

        전균호 ( Gyun Ho Jeon ),박유란 ( Yu Ran Park ),신유정 ( You Jung Shin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7

        목적: 뮐러관 기형 환자의 임상양상과 생식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0년부터 2009년까지 20년간 서울아산병원에서 뮐러관 기형으로 진단받은 186명의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생식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뮐러관 기형은 1,326환자당 1명 (0.075%)의 빈도로 대부분 성인기에 발견되었고, 청소년기와 소아기에 발견된 경우는 15.1%에 불과하였다. 약 40% 이상의 환자들은 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되었지만, 그 외 상당수의 환자들은 무월경, 생리통, 이상 생리 등의 증상을 호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궁 기형 중 가장 흔한 유형은 쌍자궁 (30.6%)이었고, 다음으로 두뿔 자궁(19.4%), Mayer-Rokitansky-Kuster-Hauser 증후군, 중격 자궁, 단각 자궁의 순이었다. 이들 환자들에서 확인된 251예의 임신의 예후는 자연 유산과 조산이 55.8%로 매우 흔하였고, 총 생존아 출산율은 48.6%였다. 각 자궁 기형별로 분석하였을 때 궁상자궁과 쌍자궁의 생존아 출산률이 각각 60.0%, 58.0%였고, 단각 자궁과 두뿔 자궁은 각각 42.1%, 46.7%로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중격 자궁은 32.4%로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아 출산율을 보였다. 결론: 대부분의 뮐러관 기형은 성인기에 발견되지만 많은 수의 환자들은 청소년기 이후부터 생리 이상, 생리통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중격 자궁 환자들의 생식력에 대한 예후는 궁상 자궁과 쌍자궁 환자들에 비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outcomes of women with Mullerian anomalies. Methods: One hundred and eighty-six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Mullerian anomalies at the Asan Medical Center from 1990 to 2009 an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outcomes were analyzed. Mullerian anomal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he American Fertility Society (1988). Results: Mullerian anomaly was noticed in 1 in 1,326 patients (0.075%). Most cases were found in adulthood (84.9%) whereas only 15.1% cases in adolescent or pediatric period. More than 40% of cases were asymptomatic and found incidentally but others suffered from amenorrhea (12.4%), dysmenorrhea (10.8%), abnormal menstruation (10.2%), etc. Most common type of uterine anomalies was uterine didelphys (30.6%), followed by bicornuate uterus (19.4%), Mayer-Rokitansky-Kuster-Hauser syndrome (10.8%), septate uterus (9.1%) and unicornuate uterus (8.6%). On the reproductive outcomes of 251 pregnancies identified, spontaneous miscarriages and preterm labor were quite common (55.8%), and the overall live birth rate was 48.6%. When each anomaly was individually analyzed, the live birth rate was 60.0% in the arcuate uterus and 58.0% in the uterine didelphys. The unicornuate and bicornuate uterus presented a similar chance of having a living child (42.1%, 46.7%), while the septate uterus showed a relatively lower live birth rate (32.4%). Conclusion: Although most cases of Mullerian anomalies are diagnosed in adulthood, many patients may suffer from menstrual abnormalities, dysmenorrhea or recurrent miscarriages since adolescence. The reproductive outcomes of the arcuate uterus and uterine didelphys were better, while those of septate uterus were poor in ou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