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주혜원,배희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514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ing data was interpr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verified to have mediating effects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confirmed. Conclusion: The finding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f undergraduate students with corresponding complaints at the site of counseling, while they also work as useful reference in solving these problems.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 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통제척도, 대인관계문제척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514명의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인관계문제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서도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중. 고등시기의 자녀와 다르지 않게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있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의 발생과 유지에 기여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담현장에서 이러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의 상담 시 환경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보다는 인지적 변인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개입하는 것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속화하거나 촉진함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를 심화시키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아지고, 높아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은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높여 결과적으로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여전한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친밀감이 주요 과업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을 종합적으로 살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개인의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단계를 거쳐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로 이르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상담현장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절하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김지연(Kim, Jiyeon)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0 동서정신과학 Vol.2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48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measurement tools wer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three areas of psychological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 toward smart-phone,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being u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Mplus7.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measurement variable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ve statistics and each variables. In order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we presum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divided it into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Especially,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fac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criticism. On the other h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impact 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a correlative effect on the tendency to addicted to smart-phone. Among them,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accusations of other people and the weaknes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dditio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tendency to addicted to smart-phones. Thir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in the path from the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to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es the maternal perception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e tendency of addiction of smart-phone is increase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parental control and understanding of maternal and emotional control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s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awareness of the tendency of mothers to influence their addiction to older adult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의 초등학생 4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청소년용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인지적 정서조절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해 질문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 통계 프로그램과 Mplus7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하였고,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로 나누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고 특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요인 중 인신공격이 높은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타인비난과 파국화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나누어 매개 효과를 각각 살펴 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으로 가는 경로에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이 증가하고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의 매개효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스마트폰 과다 사용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서 자녀측면에서의 접근 방법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고,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실패공포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

        추상엽(Choo Sang-Yup),임성문(Lim Sung-Mo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실패공포가 고등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회피목표가 1차 매개 변인이고 인지적 의지통제가 2차 매개변인인 경로모형(실패공포→회피목표→인지적 의지통제→학업적 지연행동)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모형의 회피목표가 인지적 의지통제에 미치는 경로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모의 성취압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북, 충남에 소재한 6개 고교에서 설문조사한 후 68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매개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은 관찰된 자료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패공포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곧바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기보다, 실패공포가 높을수록 회피목표가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회피목표는 인지적 의지통제를 감소하게 하고, 감소된 인지적 의지통제는 학업적 지연행동을 증가시키게 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모형에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모의 성취압력은 자녀의 회피목표가 인지적 의지통제에 미치는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만성적 학업적 지연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실패공포를 다루는 개입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회피목표를 낮추어가되 부모의 성취압력과 심리적 통제를 고려하는 개입 및 부족한 인지적 의지통제를 증진시키는 개입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pass model in which fear of failure affects avoidance goals. Avoidance goals, in turn seem to affect the orientation of cognitive volition control, and this has an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Furthermore, wheth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hievement pressure have any moderating effects in the pathway from the avoidance goal to cognitive volition control on our pass model were also investig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683 students in six high schools. For the analyses of the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ss model was identified to fit the observed data. This means that avoidance goals increased as fear of failure rises, the increased levels of avoidance goals decreasedcognitive volition control, and the decreased levels of cognitive volition control increase the level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avoidance goals and cognitive volition control on our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which deal with avoidance goalsand cognitive volition control are needed, in order to reduc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caused by the fear of failure. These imply, additionally, that when counselors try to reduce the high levels of avoidance goals, they should consider the levels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psychological control at work as influences.

      • KCI등재

        부모공감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명확성과 인지적유연성의 매개효과

        이혜진(Lee Hyejin),조용주(Jo Yo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부모공감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인지적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707명을 대상으로 부모공감 척도, 자기개념명확성 척도, 인지적유연성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부모공감의 하위요인 중 공감적정서반응과 과민정서반응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의 하위요인인 대안과 통제를 각각 별개의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적정서반응 및 과민정서반응과 자기개념명확성, 인지적유연성 대안 및 통제, 학교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공감적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단일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단일매개효과는 나타났으며,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과민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단일매개효과와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단일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공감적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단일매개효과와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과민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단일매개효과와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소년기 학생들에게는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으로 고민하고 있는 부모에게는 자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문제 상황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부모 스스로가 자녀에 대한 자신의 정서반응을 인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 개인의 인지적유연성 대안과 인지적유연성 통제 능력을 함양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adolescents’ school-life adjustment. Method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of 707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using the parental empathy inventory, self-concept clarity scal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and school-life adjustment scale. In particular, this study set the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the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al empath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 the self-concept clarity and the alternative and control of cognitive flexibility as integrated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4.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and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self-concept clarity,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and control, and school-life adjustment. Second, there was no singl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 s school-life adjustment, but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was appeared, and also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was showed. Third, there was no singl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eac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s school-life adjustment, and also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them was not showed. Fourth, both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were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 s school-life adjustment. Fifth, both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were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 s school-life adjust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resource for finding solutions for adolescent students who appeal of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school life, and for parents who are struggling with their children s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will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and will be able to help them have a new point of view about the problem situation.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ystematic parent education so that parents themselves can recognize their emotional responses to their children, and to develop practical programs that can cultivate and expand students individual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s and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abilities.

      • KCI등재후보

        노인의 인지적 실행통제 기능 훈련이 인지와 우울정서에 미치는 영향

        윤혜경,박혜원,이한준,권오식 인지발달중재학회 201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훈련이 노인의 우울감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지적 실행통제기능(executive control function)은 주의력, 지각력, 기억력 등의 하위 인지기능을 관리 통제하여 특정한 과제의 목적에 부합하는 자극이나 행동반응은 강화시키고 이에 방해가 되는 자극이나 습관적 반응경향성은 억제시킴으로써 현재 당면하고 있는 과제요구에 맞게 행동하고 반응하게 하는 능력이다. 최근 노인의 인지기능감퇴의 핵심 기제가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저하라는 결과가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훈 련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복지관에서 운동바우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58명을 대상으로 비언어성 지능검사와 우울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두 집 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6주간 주 2회(1회 15-20분) 총 12회에 걸쳐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훈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사전?사후 우울정서 와 지능검사 점수를 비교하였다. 지능검사 수행점수를 보면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훈련을 받 은 실험집단에서는 지능의 의미 있는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우울감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단기간의 인지적 실행통제기능 훈련이라도 노인 의 인지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나 우울감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과 노인의 운동 프로그램만으로 인지능력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 내외통제소재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홍정선,최은실 한국발달지원학회 2017 발달지원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내외통제소재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시험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고, 내외통제소재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조절 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중학생 총 421명을 대상으로 검 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외통제소재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시험불안의 경우 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내외통제소재는 시험불안의 하위요인 중 정서요인에는 유의미한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걱정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내외통제소재는 시험불안 중 정서요인을 예측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내적 통제소 재가 높게 나타날수록 시험불안 중 정서요인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의미하였다. 셋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내외통제소재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조절하 였다. 즉,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진 사람이 내적 통제소재를 높게 나타내며 시험불 안이 감소하였다. 반면, 내외통제소재와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은 내외통제소재와 시험불안 간에 조절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 KCI등재

        지각된 통제소재 (Locus of Control)가 통증환자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조선미,진범수,송호정,김찬,한경림,Cho, Sun-Mi,Chin, Bum-Su,Song, Ho-Jeong,Kim, Chan,Han, Gyung-Lim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2 정신신체의학 Vol.10 No.2

        연구목적: 통증환자의 인지적 특정은 통증에 대한 지각이나 치료에 대한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각된 통제소재와 같은 인지적 특정이 통증환자의 정서장애나 대처방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통증클리닉을 내원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통제소재를 알아보는 질문지와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MMPI), 대처방식질문지, 주관적으로 통증의 정도와 시간, 괴로움정도, 통제정도를 평정하도록 하여 이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자료분석결과 환자가 지각하는 통제소재가 내부에 있다고 믿을수록 통증에 대한 통제감이나 통증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했을 때 감소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반면 외부통제감이나 우연에 의한 통제감이 높을수록 지각된 통증정도나 통증경험시간, 일상생활 장애정도가 높았다. 또한 내부통제감은 MMPI척도중 자아방어관련척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우울, 불안, 정서억압과 같은 척도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대처방식 중에서 자기진술 및 감각의 재해석과 같은 방식은 내부통제감를 유의한 정도로 설명하였고 외부통제감과 우연에 의한 통제는 재앙화에 의한 설명변량이 유의한 수준에 이르렀다. 결론: 통증은 비록 신체적 장애이지만 주관적 통증지각이나 일상생활기능정도, 정서적 어려움에는 지각된 통제감과 같은 인지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환자가 통증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부통제감을 증가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하도록 인지들 수정해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Cognitive-behavioral scientists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how a pain patient's cognition such as locus of control relates to coping and adjustmen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locus of control orientation to pain coping strategies, psychological distress and perceived pain intensity of patients with pain. Methods : Subjects were 96 patients with pain who visited pain clinic. All patients were administered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s,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the Coping Strategies Questionnaire, and rating for perceived pain intensity, distress, and duration. Results :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patients who viewed outcomes as controlled by internality tended to have better ability to control and decrease pain. Also they tended to be less depressed and anxious.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tients having a internal locus of control were more likely to use coping self-statement and reinterpreting pain sensation. Powerful others and chance locus of control orientation were predicted reliance on catastrophizing. Conclusion : The clinical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cognitive factors of patients with pain such as locus of control influence emotional distress and coping. this study show that these factors should be applied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eutic intervention.

      • KCI등재

        수반자극과제로 살펴본 인지적 통제의 발달과 자기통제의 관계

        박영신,김초복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1 No.2

        Developmental changes in cognitive control were examined among 131 children and college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ontrol and self-regulation was also examined among 96 children. The Eriksen Flanker Task was administered in order to measure cognitive control. Effortful control, emotional regul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were also measured. The Flanker Interference Effect and Conflict Adaptation Effect were observed in four age groups. The magnitudes of the effect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and college students experience interference from flanker stimuli to the same extent and that they exert top-down control on interference to the same extent. The Flanker Interference Effect and Conflict Adaptation Effect in reaction times were not related to effortful control, emotion regul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However, the Conflict Adaptation Effect in error rate was positively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과 대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인지적 통제의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고, 초등학생, 중학생과 고등학생 96명을 대상으로 인지적 통제와 자기통제를 반영하는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인지적 통제는 Eriksen의 수반자극과제에서 나타난 수반자극간섭효과와 갈등적응효과로 측정하였고, 자기통제를 반영하는 기질차원 중 하나인 의도적 통제, 정서조절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을 자기보고식 척도로 측정하였다. 수반자극간섭효과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과 대학생에서 비슷한 정도로 관찰되었고 연령집단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이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과제와 무관한 자극으로부터 비슷한 정도로 간섭을 받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갈등적응효과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과 대학생에서 비슷한 정도로 관찰되었고 연령집단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이는 과제와 무관한 자극으로 인한 간섭을 하향적 통제과정에 의해서 조절하는 정도가 비슷하며, 이런 경향이 초등학생에서 이미 성인과 비슷한 수준임을 나타낸다. 수반자극간섭효과와 반응시간으로 산출한 갈등적응효과는 자기통제를 반영하는 세 변인 가운데에서 어느 변인과도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오반응률로 산출한 갈등적응효과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이미진,김도연 한국발달지원학회 2022 발달지원연구 Vol.11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child's smartphone addic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social anxiety, and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s smart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6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psychological control scale (PCS-YSR),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S-scale),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cale (CERQ), and the social anxiety scale (SAS-A).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d significance ver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3.5 program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smartphone addic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anxiety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smartphone addic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not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smartphone addiction.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불안의 관련성을 살피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순차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고등학생376명이었으며, 심리적 통제 척도(PCS-YSR), 스마트폰 중독 척도(S-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CERQ), 사회불안 척도(SAS-A)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와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매개효과 및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스마트폰 중독,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불안은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낮추기 위한 예방과 치료적 개입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하연(Lee, Hayeon),박주희(Park, Ju 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인지정서조절전략이 관계적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31명의 중학생(남녀 각 258명, 173명)을 대상으로 Marsee, Kimonis and Frick(2004)의 또래 갈등 척도, Barber(1996)의 심리적 통제 척도, 그리고 Garnefski, Kraaij and Spinhoven(2001)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의 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이 관계적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중학생이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을 덜 사용하고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을 자주 사용할수록 관계적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가 유의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이 높은 경향이 있었는데 이러한 영향은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을 자주 사용하는 집단에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관계적 공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relational aggression amongst middle school students and addressed the question as to whethe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any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31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both mothers and fathers and positive emotion regul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creased the levels of relational aggression, whereas negative emotion regulation decreased the levels of relational aggression. In addition, negative emotion regulation tended to moderate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relational aggression whereas positive emotion regulation did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