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공동체와 제국의 지식네트워크

        민병원(Byoung Won Min)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2

        본 논문에서는 20세기 초의 제국(또는 헤게모니)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지식네트워크 현상을 영국 채텀하우스와 미국 외교협회의 두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이들이 국제정치학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를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미시적 차원의 새로운 분석틀로 자리잡아온 인지공동체이론을 적용하여 제국이라는 거대한 조직을 지탱하는 지식네트워크의 역할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는 하스에 의해 제기된 인지공동체이론에서 강조되는 인지소와 이념 전달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부각시키며, 특히 인지공동체이론을 더욱 확대하여 주관주의적 관점에서 지식인들의 네트워크인 인지공동체가 하나의 패러다임으로서 다양한 여론형성집단의 일환으로서 자리 잡는 과정을 함께 다루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인지공동체와 정책결정이라는 단순화된 과거의 모델을 발전시켜 인지공동체의 동역학적 측면과 일반대중의 교화를 통한 여론형성 및 정책결정과정에의 참여 등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채텀하우스와 미국 외교협회의 사례들은 이러한 이론틀 속에서 제국의 여론 형성 및 지식네트워크의 모습을 흥미롭게 보여주고 있다. Two cases of Chatham House and the U.S.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i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micro-level theory of epistemic community is applied to these cases in order to scrutinize the roles of knowledge networks that had supported the grand projects of empires at the time. The paper also discusses the notions of epistemes and the carrier of ideas to emphasize the role of knowledge networks. It extends the conventional theory by developing a dynamic model of epistemic community as a perspectival paradigm and as a leader in organizing domestic public opinion. This results in a new complex model of knowledge networks in empire, which focuses on their participatory roles in educating the mass and influencing foreign policy-making. The cases discussed here are interesting narratives mirrored throug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new, expanded version of the empistemic community theory.

      • KCI등재후보

        마을공동체의 젠더이슈를 통해 본 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 참여자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조연숙 경인행정학회 2015 한국정책연구 Vol.15 No.3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일정한 지역공간을 공유하는 구성원들이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거나 공동체 성원들의 연대를 돕도록 지원하는 마을공동체 사업추진을 활성화하고 있다. 이에 공동체의 목표달성과 공동가치를 모색함에 있어서 성인지 관점을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성원의 성별차이가 마을활동에 그대로 적용되어 나타나 마을활동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공동체 구성원의 성별 특성과 성별관계의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기존문헌을 통해 마을공동체 내 젠더이슈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에 따라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 활동가와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공동체의 가치와 비전, 추진체계와 행정과정, 참여자의 성별 특성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하여 마을공동체사업 지원을 통해 마을공동체가 더욱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성인지 관점에서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그것은 성평등 가치의 강조, 의사결정 및 행정구조의 성별 특성 반영, 마을활동가 및 참여자에 대한 성인지 의식 교육 강화 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민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재완(Lee, Jae-Wa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정책인지도가 주민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2년 서울서베이」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우선 서울시민들의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정책인지도에 따른 주민참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책인지도가 높은 집단이 주민참여의 평균도 더 높고, 그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정책인지도가 주민참여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책인지도가 높아질수록 주민참여도 높아지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일반시민들의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주민참여의 기본적인 전제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서울시가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교육과 홍보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활동들이 궁극적으로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주민참여로 연결된다는 점이 실증적으로 뒷받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마을공동체 사업을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정책인지도가 실제 주민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policy literacy for Seoul village community projects on citizen participation. To this end, 「2012 Seoul Survey」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I compared the mean of citizen participation among three policy literacy groups("low-level group", "middle-level group" and "high-level group") through ANOVA. As a result, citizen participation of these groups have a significantly different means. An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olicy literacy for Seoul village communit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itizen particip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policy literacy serves as a basic premise of citizen participation. To raise policy literacy for village community project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borough offices have a lot of investment on education and PR. It is empirically supported that these activities are connected to citizen participation. In future study, analyses of the impact on each type of village communities are need.

      • KCI등재후보

        정의 공동체 접근(Just Community Approach)에 대한 도덕 교육적 고찰

        박병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콜버그(Kohlberg)의 정의공동체 접근이 지니는 도덕교육적 특징과 시사점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인지도덕 발달론자인 콜버그는 블라트의 연구에 기초하여 가상적인 딜레마 토론을 통한 도덕교육을 주장하였다. 이 방법은 기존의 덕목주의와 행동주의 교육이론에 내재된 도덕적 상대주의와 교화의 위험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콜버그는 이 방법을 학교 및 교도소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도덕적 판단과 행위간의 불일치 문제, 실제적인 문제의 경시 문제, 잠재적 교육과정의 영향력 경시 등의 문제를 인식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그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있는 대안으로 모색한 것이 정의 공동체 접근이다. 이 접근은 키부츠 방문을 통하여 그 이론적 토대가 마련되었고, 교도소에서 처음으로 적용한 다음, 그 긍정적인 연구 결과에 고무 받아 클러스터 고등학교에서 실제로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정의 공동체 접근은 참여 민주주의 원리를 구현하여 도덕교육에 대한 정의의 관점과 공동체적 관점 즉, 개인주의적인 도덕교육과 듀르케임의 집단주의 도덕교육과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즉, 실제적인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토론을 통하여 개인 및 집단의 도덕 발달을 촉진하고자 하였고, 잠재적 교육과정 즉 공동체의 분위기가 도덕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와 함께 구성원들의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과 소속감, 동료집단의 영향력, 도덕적 옹호자,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 형식에 대한 교육과 함께 내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가상적인 딜레마보다는 학교 안에서 실제로 직면하는 도덕적인 문제에 대한 토론을 강조하였다. 콜버그가 주장한 가상적인 딜레마 토론수업과 정의 공동체 접근은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도덕교육의 목적은 도덕발달의 촉진에 있고, 그 방법은 딜레마 토론이어야 한다는 점은 중시하였다. 덕교육 및 통합적 인격교육론을 중요한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및 교실의 도덕공동체화 방안을 중요한 도덕교육의 방법으로 제안하고 있다. 콜버그의 정의 공동체 접근은 이러한 도덕공동체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가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실 도덕 공동체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 콜버그의 정의 공동체 접근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의공동체 접근이 우리나라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덕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그리고 통합적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제시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ust community approach and its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The Just Community Approach in moral education is based on a cognitive-developmental approach, from visits to a kibbutz and the structural psychological theory of individual moral judgment development that has been tried in prisons and cluster high schools. This approach focuses on building a moral community by involving students in democratic decision making. The core of these approaches was group moral discussions of hypothetical and practical dilemmas. This approach represents an effort to balance justice and community. Moral education in a just community school has to deal with content as well as structure. The teacher not only facilitates discussion among students, but also leads them in decision making by advocating. Finally,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search on the just community approach are addre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과 인지적 성취 간에 집단응집성,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유지현(Yu, Ji-Hyun),이숙정(Lee, Sook-Jeong),권진백(Kwon, Jin-Baek)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프로그램 형태의 학습공동체 운영 개선을 위해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 척도를 개발하고,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질과 인지적 성취의 관계에 집단응집성 및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학습공동체 관련 선행연구들과 S대학에서 운영한 학습공동체 만족도 조사 및 성찰일지를 분석하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 척도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대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응집성 및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 척도는 11개 문항, 단일요인으로 개발하였으며,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계수 산출을 통해 안정적인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과 인지적 성취 간에 집단응집성 및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 척도를 활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내실화 및 질 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집단응집성 및 협력적 자기조절의 중요성을 규명함으로써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운영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quality scale for improving a learning community program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cohesion an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quality and cognitive achievement. [Methodology] A questionnaire survey of 299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quality scale.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cohesion an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22 college students. [Findings]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quality scale was developed with 11 items and a single factor, and it was confirmed to be a stable scale. An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cohesion an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betwee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quality and cognitive achievement was significant. [Implications]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learning community program to promote group cohesion an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were provided.

      • KCI등재

        인지향상약물은 왜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는가? - 사회 철학적 분석과 전망 -

        오용득 ( Oh Yong-deu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2

        인지향상약물은 인류 전체적인 차원에서 많은 잠재적인 가치를 가지는 과학기술적 산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그것은 의약학적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고 그 사용도 자유롭지 않다. 사회 철학적 시각에서 그 이유를 분석하고 대안을 전망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인지향상약물이 아직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는 하나의 유력한 이유는 인지향상약물 자체의 특성보다도 그것을 부정적으로 이미지화하는 능력주의 사회의 구조와 운영원리에 있다. 능력주의 사회에서는 능력의 차이에 따른 차등적 분배가정당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 구성원들은 더 많은 몫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지만, 그 경쟁이 공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때문에 능력주의 사회에서는 약물인지향상이 경쟁의 규칙을 위반하는 부정행위로 간주되며, 인지향상약물이 부정행위와 연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이 능력주의 사회에서는 인지향상약물이 부정적으로 이미지화되어 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승인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만약 인지향상약물의 부정적 이미지를 제거하고 그 잠재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먼저 능력주의 사회운영원리를 폐기해야 한다. 그 대신 우리는 다른 사회운영원리를 마련해야 하는데, 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을 깨뜨리지 않고 만들어갈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은 구성적 공동체이다. 이 구성적 공동체에서 인지향상약물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구성해가기 위한 반성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생활필수품이 되고, 공동체의 선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공적인 재화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구성적 공동체의 조성은 인지향상약물을 공식적으로 승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사회적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The cognitive enhancement drugs(CEDs) are a technological product that may have many potential values to promote the welfare of all mankind. But still now they are not admitted in the official medical system, and anyone can not use them voluntarily.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analyze why are not CEDs admitted officially and to prospect what are the social conditions to admit them officially. I think that the CEDs are not admitted officially because of the structure and working principle of the meritocracy to treat them bad. In the meritocracy, it is reasonable to distribute gradational share on one``s merits, and so members are competing against each other to get more share. In this case, they have to compete upon a rule. So they regard the pharmaceutical cognitive enhancement as a cheating because it breaks the rule. In the meritocracy, therefore, the CEDs are involved inevitably in a cheating. That is to say, CEDs are treated as bad in the meritocracy. So it is very difficult to admit officially CEDs in the meritocracy. If we want to remove a bad reputation of CEDs and to realize potential values of them, firstly we must abandon the meritocracy and then establish a constitutive community members of which should not compete against each other to get more share but cooperate mutually to realize good of community. In this community, the CEDs would be the essential goods of life which members require to enhance their own reflecting ability to constitute themselves a member of the community, and be the common assets which are necessary to realize good of community. To constitute a constitutive community, ultimately, will be a social condition to admit officially the CEDs.

      • KCI등재

        전문대학 학습공동체에서 Cohort 활동이 학습자의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진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전문대학 학습공동체에서 cohort 활동이 학습자의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공과대학 학습공동체를 대상으로 2006년 3월부터 6월까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은 학습공동체의 cohort 활동이고, 종속변인은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이다. 실험설계는 이질통제집단설계모형을 이용하였고, 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의수준 p < .05로 하였으며, 모든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전문대학 학습공동체에서 cohort 활동이 학습자의 학습전략, 특히 메타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공동체의 cohort 활동은 학습자의 학습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ohort activities on cognitive, meta-cognitive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of learners in learning communities in junior colleg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whether or no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ohort activiti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gnitive, meta-cognitive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of learn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D' Junior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which involved linked courses of 'Microprocess' and 'Micom Application' from March 3 to June 20.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tilized in this experimental study. Finally, cohort activities of learners in learning communities in junior colleg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of learners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of learners, not on cognitive strategies of learner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인권인지능력, 자아존중감 및 공동체의식의 인과적관계

        서요한,류형선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권인지능력,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구조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 2개교 간호대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인권인지능력,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및 대학생활적응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며,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인권인지능력은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존중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인권인지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요인의 탐색 및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the pathway of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self-esteem, sense of community and college of life adaptation for nursing students. For this purpose, 211 nursing students from two colleges in J province were sampled for conven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x indexed of causal model among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self-esteem, sense of community and college of life adaptation were identified suitably. Second,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path of nursing students’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affecting sense of community. Thir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on the path of nursing students’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affecting college of life adaptation. Base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o explore various factors and develop programs to improve college of life adaptation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지원을 위한 근거이론적 접근

        정연수 ( Yeon Soo Jeong ),이영선 ( Young Sun Lee ),김승현 ( Seung Hyun Kim ),박원희 ( Won Hee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현실과 우리나라 복지시설의 특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재 나타나는 장애인 자립생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들의 자립지원을 위한 주거시설과 직업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생활공동체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성인 장애인부모 3인과 시설종사자 5인을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심층면담을실시 하였다. 자료분석은 근거이론을 적용해 중심현상과 인과관계 및 맥락적 관계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핵심주제어 생성을 위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현실과 복지시설의 특성에 대한 중심현상과 인과관계로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탐색과 부모사후의 대책은 풀리지 않는 숙제, 장애인 가족의 어려운 현실, 제외되는 중증장애인, 열악한 시설과 운영의 어려움 등의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둘째,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현실과 복지시설의 특성에 대한 맥락적 관계는 현실과 동떨어진 지원, 각기 다른 시설 운영체계, 담당 공무원들의 현장이해 부족 등이었다. 셋째,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중재요인은 공생, 장애인 거주시설의 역할, 성인 지적장애인의 삶과 노동에 대한 이해, 현장근무자들의 문제의식, 유럽장애인 공동체와 우리나라 시설의 차이, 공동체가 필요함, 성인지적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지원 등이 핵심 주제어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을 위해서 가장 요구되는 것은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이지만 장애인 복지시설의 역할과 장애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및 함께 살아가기 위한 장애이해에 대한 새로운 인식차원에서의 변화가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living community to support living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independence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fter parents death. This study tried to search reality of independence living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urrent problems of welfare facilities, and tried to inquiry causal factors of this situation and suggested the support plans for them. The participants were three parents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ree managers of welfare facilities. Data collection was composed through depth-interview. Data analysis was consisted of gronded theory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 on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burden of parents, reality of family of person with disabilities, severe disabilities who are excluded, poor facilities and problems of management appeared as result of reality of independence living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urrent problems of welfare facilities. Second, endless mountain although climb continually, unrealistic policies o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different managing systems of each facilities, deficient understanding of administrators appeared as the result causal factors of this situation. Third, coexistence, task of living facilities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life and labour of person with disabilities, critical mind of workers, necessity of community, comparison of europe community and Korea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upport for independence living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ggested as the result of support plans for them.

      • KCI등재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이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배정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School-based PLCs) on students’ non-cognitive skills,.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PLCs as a factor in determining effective schools by revealing the paths of effectiveness in the processes of schooling. This study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of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MSEM) were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4th and 6th years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It confirmed the effect of School-based PLCs influencing non-cognitive skills, and established the pa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n-cognitive skills, - students' self-esteem, school satisfaction and discriminatory experience - showed a positive influence. First, as School-based PLCs develope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satisfaction and enthusiasm that their students' perceived. Second, this advanced School-based PLCs improve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hool-based PLCs were playing a role in determining effective schools that contributed to students’ non-cognitive skills, while improving school culture. Finally, School-based PLCs was effective in the non-cognitive skills of students, which was found to increase self-esteem and school satisfaction and to alleviate the discrimination.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approach PLCs as practical activities in schools to improve the school education through reorganization of school culture beyond the status of alternative training to enhance teacher expertise. 본 연구는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 정도에 따라서 교사와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6차년도의 117개 중학교의 3학년 학생 4,516명과 교사 1,186명을 대상으로 다층구조방정식(M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할수록 순차적으로 교사들의 교직만족도와 학생들이 인지한 교사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한 학교일수록 학생들은 교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의 교직 만족도를 제고시키고 교사 열의를 높임으로써 긍정적인 학교문화를 창출하여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 개선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할수록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만족도는 높이고 교사로부터 받는 차별 경험은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교 단위의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할수록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학습공동체는 단순히 교사 전문성 제고의 대안적인 연수로 인정받는 것을 넘어서 학교문화를 개선하여 교육력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인 활동으로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