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개발 방향 탐색

        김태은 ( Kim Tae Eu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20 뇌교육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 준거를 개발한 후, 프로그램의 내용을 개발한 분석 준거를 토대로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 중에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60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개발된 분석 준거 및 내용을 토대로 11명의 전문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 등 기술통계 값을 활용하고,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과 유형 등을 고려하여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때, 삶의 철학, 상호교류, 감정정화, 두뇌균형, 습관형성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셋째, 뇌교육 기반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신체활동, 정서활동, 인지활동 등으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정서·인지가 모두 포함된 통합활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체험중심 인성교육, 반복을 통한 습관 형성, 비전과 목표수립 및 행동실천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피드백이 되는 등 추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두뇌친화적 환경, 정서조절, 본질적 자신감 형성, 가치관 정립 순으로 프로그램 원리 및 전략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brain education 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y developing the analysis standard for in-depth analysis of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n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analysis criteria that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60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among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papers. Based on the analysis specifications and content developed,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were utiliz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In conclusi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and type of the program. Second, whe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it is designed to include the philosophy of life, personal interaction, emotional catharsis, brain balance, habit formation.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conducted to ensure that they include physical activities, emotional activities, and cognitive activities. Fourth, the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s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based personality education, habit formation through repetition, vision and goal setting, and behavioral practice. Hence,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manageable program that provides feedback so that can be implemented continuously in daily life. Fifth, it is necessary to use program principles and strategies in order of brain-friendly environment, emotion control, intrinsic self-confidence, and value establishment so as to have the effect of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김치곤,채영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6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a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seek future directions of effectiv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193 master’s thesis, 44 doctoral theses and 68 academic articles were examined to compare integration types,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effects and research methods.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research trends of integration type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ere ‘social relations’, ‘communication’, ‘artistic experience’, ‘physical exercise/health’ and ‘study of nature’ area in this order. The research trends of the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ere ‘cooperation’, ‘consideration’, ‘respect’, ‘sharing’, ‘public order’, ‘filial piety’ in this order. Thirdly, the effects of program implementation were examined to focu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ity’, ‘leadership’, ‘emotion regulation’, ‘self-regulation’ in this order. Fourthly, quantitative rather tha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test and F-test were more frequently used mostly with the subject of 4-5 year old children in the trends of research method i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동향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유아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관련 석사학위 논문 193편, 박사학위논문 44편, 학술지 논문 68편 총 305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은 프로그램의 시기 및 통합유형, 인성교육 덕목,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인성교육 프로그램 연구방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통합유형 연구동향은 석사, 학술지, 박사논문 순으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고, 전체적으로 2008년을 기점으로 점진적으로 연구수행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통합유형의 연구동향은 사회관계(사회생활), 의사소통(언어생활), 예술경험(표현생활), 신체운동·건강(건강생활), 자연탐구(탐구생활) 순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둘째,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인성교육 덕목의 연구동향은 협력, 배려, 존중, 나눔, 질서, 효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동향은 유아를 주변인으로 하여 친사회성, 리더십, 정서조절, 자기조절 등의 순으로 연구수행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방법 동향은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 자료분석은 t-검증, F-검증이 보다 많이 수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만4-5세 유아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 KCI등재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성계발에 미치는 효과

        이성흠 ( Sung Heum Lee ),윤초희 ( Cho Hee Yo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5 중등교육연구 Vol.6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성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은 바른 인성을 생활 속에서 습관화하도록 하는 행파(杏坡)인성교육 이론에 따라 구성되고 실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개인(학생)의 성공적인 삶에 요구되는 인성덕목을 구체화하고 감화이야기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덕목을 실천하는 체험을 함으로써 좋은 습관을 길러주고자 하는 목적 하에 이론학습과 실제(활동)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울 소재 M중학교 1학년 155명 학생이 인성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결석자와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131명 학생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사전·사후 설문지는 이 연구에서 선택한 6가지 인성덕목(자기존중, 책임, 배려·소통, 효도·예의, 창의성, 지혜)을 묻는 4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단일표본 t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전체적으로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인성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혜 덕목에서는 교육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자신(나)과 관련된 인성 덕목인 ‘자기존중’과 ‘책임’ 덕목에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타인(남)과의 관계형성에 요구되는 덕목인 ‘배려·소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동시에 ‘효·예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학업(일)과 관련되는 ‘창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지혜’덕목에서는 교육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혜가 단기간의 교육을 통해 계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교내·외의 경험을 통해 길러지며, 실천 지능, 삶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 등과 관련이 있는 매우 복잡한 덕목이라는 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여 이 프로그램은 인성교육의 목표와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을 결합하여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장기적이면서도 학교교과와 연계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시도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이 ‘지혜’를 포함한 다양한 인성덕목에 효과적인지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on the character building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155 7th grade students enrolled in M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ata from 131 students excluding absentees and insincere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pre- and posttest questionnaires included 41 items which asked about six character virtues (self-esteem, responsibility, caring and sharing, filial piety and etiquette, creativity, and wisdom). The t-test on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n the whole,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character building except for the wisdom virtue. More specifically,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elf-esteem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 virtue related to ‘self.’ Second, the program was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virtues of caring and sharing, and filial piety and etiquette, which are required in building good work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rd,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but had no effect on wisdom. It could be that wisdom cannot be increased by a short-term educational program, and is a very complex virtue related to practical knowledge acquired from a variety of experiences in and out of school and general attitudes towards life. This may have resulted in no effects. Long-term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tegrated with school curriculum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further research needs to examine their effects on various virtue areas including wisdom.

      • KCI등재

        기독교 인성교육을 위한 융합형 교육프로그램의 연구

        박미라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본 연구는 기독교 인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연구하기 위해 융합형 기독교 인성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먼저, 기독교적 이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고 기독교인성교육을 정의하여 이론적 기초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 인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독교적 인성교육의 핵심덕목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진흥법에 근거한 8가지 핵심덕목과 성령의 열매에 근거한 기독교인성교육 핵심덕목들을 정리하였다. 도덕성 덕목은 정직, 책임(충성)의 성령의 열매로 구분할 수 있고, 사회성 덕목은 예(禮, 희락), 효(孝, 사랑, 자비), 협동(절제, 오래참음)의 성령의 열매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감수성덕목은 배려(양선), 존중(온유), 소통(화평)의 덕목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각기 다른 학문 영역의 지식과 경험이 공유되어진 융합형 기독교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시대에 맞는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기독교 인성교육을 방향을 모색하였다. 또한 다양한 기독교 인성교육의 교육적 방법을 위해 기독교교육과 다양한 상담기법을 접목한 융합형 인성교육모델에 관해 설명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체험적이고 실천적인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은 기독교 인성교육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전략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융합적 시도는 상담에서의 미술치료, 인지치료기법, 비폭력대화법, 미술치료의 이미지꼴라쥬, 감정코칭, 치료놀이 및 치료 레크레이션 등의 다양한 상담기법과 교육적 체험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융합적 체험활동은 학생들에게 인지와 사고 뿐 만 아니라 가슴과 몸으로 공감할 수 있는 경험과 실천지향의 체험을 통해 기독교적 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것을 기대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이상적인 기독교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제시를 위해 융합형 기독교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융합형 기독교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연구를 통해 기독교적 인성의 체계 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실제적이고 활동중심의 인성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어 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또한 하나님을 중심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을 수용할 줄 아는 전인성을 갖춘 기독교인들이 성령의 9가지 열매를 근거로 한 융합형 기독교 인성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사회에서 지자체 뿐 아니라 다양한 지역기관 및 지역 초·중·고 학교와 연계하여 기독교적 인성실천의 효과를 거두기를 바라는 바이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Christian humanism education programs and presented a model of a specific convergence Christian humanism education program. First, based on the Christian understanding of humanism education, humanism education and Christian humanism education were defined,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was suggest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In addition, through research on the core virtues of Christian humanism education, the Christian virtues based on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and the core virtues of Christianity education derived through prior studies were summarized. Morality virtues can be divided into the fruits of the Spirit of honesty and responsibility (loyalty), and social virtues can be divided into the fruits of the Spirit of manner (joy), filial piety (love, mercy), and cooperation (restraint, long-standing). Sensibility virtues can be divided into virtues of consideration, respect (meekness), and communication (peace). Finally, in this paper,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different academic fields were shared, and efforts were made to pursue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Christian humanism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through a converged Christian humanism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methods of various Christian humanism education, the author explained the convergence education model that incorporates Christian education and various counseling techniques. The formation of a meaningful form of direct and indirect humanism education program in reality is a strategic approach to enhancing the efficiency of Christian humanism education, suggesting that various counseling techniques such as art therapy in counseling, cognitive therapy techniques, nonviolent dialogue, image collage in art therapy, emotional coaching, therapeutic play and therapeutic recreation are organically linked, and educational experience activities are shared with the body as well as the head. In addition, to present the ideal Christian humanism education program, a practical model of the convergence Christian humanism education program was presented.

      • KCI등재후보

        하모니 효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청소년의 인성변화 연구

        유철식 한국효학회 2017 효학연구 Vol.0 No.25

        본 논문은 효교육프로그램을 갖고 학교현장에 나가 일정시간 강의 후 교육을 받은 학생들과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 간에 인성에 대한 부분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그 결과 앞으로의 대책을 강구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교육 시간 배정에 대한 참고자료를 삼기 위한 목적이 있다. 먼저 최근의 사회변천과 청소년의 실태를 파악하여 심각성을 알고 이에 맞는 교육과 처방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청소년들의 특성과 청소년에 맞는 덕목을 이해하고 이에 부합된 효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올바른 처방법이라고 생각된다. 효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인성부분에 어떠한 효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할지를 검토하여 청소년들에게 바른 인성을 쌓는데 도움을 주어야 된다고 본다. 무엇보다도 심각한 것은 청소년들의 비행, 범죄추이가 해마다 증가하고 존속살해, 교권침해 등 패륜행위가 늘어난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든 것은 자기만을 생각하는 이기주의적 원천에서 비롯된 것이라 볼 수 있다. 효교육프로그램 내용은 하모니 효 즉, 7효를 중심으로 주제를 편성하고 이에 절제성, 예의성, 배려성을 추가하여 바른 인성형성에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하모니 효는 일상생활에서 효정신을 바탕으로 나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를 연결하는 실천적 가치요소라 볼 수 있다. 효교육프로그램 적용대상은 고등학교 1,2학년 남녀학생이었으며 연구조사 방법은 각 분야별 설문조사에 의한 방법을 택하였다. 그 결과 절제성과 예의, 배려성에 대해선 실험집단(효교육 받은 집단)이 통제집단(효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유의미성을 찾을 수 있었다. 효도부분에서도 실험집단은 부모님 생일 기억하기, 효심 없는 친구와 사귀지 않기, 부모와 의견 충돌 시 원만한 해결 모색 등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교육 시간을 학기별 최소 10회 이상 의무 교육을 시킴으로써 효의식 증진과 함께 바른 인성 함양에 바른 지침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더욱이 어려서부터 효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은 더욱 효과적이라는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시민단체와 일선학교가 연계되어 청소년들의 바른 인성함양에 단계별 프로그램 개발 및 유기적 협력체제 강화로 청소년 인성함양에 함께 노력해 나가야 된다고 본다. This thesis is a study to find differences in characters between students who have been trained after attending lectures for a certain period in schools in accordance with Filial Piety (HYO) education program and students who have not been trained. The purpose is to use the result as a reference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Filial Piety (HYO) education program and timetable for Filial Piety (HYO) education in devising future measures. First of all, it is believed that realities of recent social transition and teenagers should be looked into, seriousness of relevant issues should be understood and appropriate education or measures against them should be devised. And above all things, the proper measure is believed to apply Filial Piety (HYO) education program suiting them with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teenagers and virtues suitable for teenagers. It is believed th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ilial Piety (HYO) should be looked into and which Filial Piety (HYO) education program to be applied to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so that it can help teenagers to build up a good character. The content of Filial Piety (HYO)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subjects focused on harmonic Filial Piety (HYO), namely 7 Filial Pieties (HYOs) and moderation, etiquette and consideration are added so that they can help students to build up an upright character. It can be said that the harmonic Filial Piety (HYO) is a practical value element which connects and establishes relationship between myself and others. Filial Piety (HYO)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of boy’s and girls’s students and questionnaire survey by each area was employed as the method for study and research.As a result, as for moderation, etiquette and consideration, significance could be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group receiving Filial Piety (HYO) educ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not receiving Filial Piety (HYO) education). As for filial piety, significance such as to remember parent’s birthdays, not to get along with friends without filial affection, to find amicable settlement of conflicts with parents, etc could be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ose results can lead to conclusions that if Filial Piety (HYO) education classes are organized as compulsory education at least 10 times in a semester, it will be a guideline for building up an upright character as well as promoting filial sense.

      • KCI등재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임수진 ( Soo Jin L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using meta-analysis and providing basic knowledge to develop more appropriate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21 domestic studies on the topic published after 2000 and calculated effect size by applying random effect model after performing homogeneity te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were 2.48, which corresponds to U3 coefficient of 99.34%. This means the children group who complet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gains more 49.3% effects than the children of comparison group. The effect size of subcategorie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ategorized by operating methods, contents, and goals, were as follows: The most high scored effect size groups, according to the effect size standard developed by Cohen(1998), were 20 children group in size, and more than 25 times in frequency of education. Social development marked high score in effect size among all the dependent variable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The programs using inclusive method scored highest effect size in content.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발표된 국내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 21편을 대상으로 동질성을 검정한 후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2.48(U3=99.34%)로 나타났다. 즉 통제집단이 50%의 성공률을 보인 반면 실험집단의 경우 99.34%의 성공률을 보여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운영방법과 유형, 목표에 따라 그 하위범주별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Cohen(1998)의 효과크기 기준에 의하면 실험집단 인원수는 20명 이하일 때 효과가 높았으며, 실험처치횟수는 16-20회기에서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종속변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사회성 발달 관련변인에서 가장 큰 크기를 나타냈으며, 프로그램 내용별 효과크기는 통합적 접근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체계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서는 인성의 구성요소 및 실천과정에 대한 기초 연구가 지속되어야 함을 제언할 수 있다.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지영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5 에니어그램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유형검사도구인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인간의 가치를 신장 시키고 참된 인성을 계발하기 위해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통합적 인성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프로그램의 목표에 따른 내용은 인성계발의 개인적 측면을 위해 정 체감, 용기, 리더십, 절제, 성실성이라는 인성덕목을 다루고, 인성계발의 관계적 측면을 위해서 존중감, 배려심, 책임감, 정서조절, 공감의 인성덕목으로 구성되었다.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청소 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에 따른 내용을 실제적으로 전개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교과연계 활동’, ‘자기 주도적 학습’, ‘협동학습’, ‘경험학습’을 기초로 구성되었다.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목표를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되 었다. 즉,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측정하는 검사도구,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 그리고 질적 분석 을 병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udent’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Enneagram, the means of personality type test. Student’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Enneagram is aim to enhance the human worth, build affirmative self-concept for the upright character and increase self-concept to the integrative character educ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that self-identity, courage, moderation and faithfuln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self-concept of Personality development Containing respect, consideration, responsibility,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sympathy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al relationship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Student’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Enneagram is composed of ‘subjects-related program’, ‘self-directed learning’,‘collaborated-learning’ and ‘experienced-learning’. The Evaluation of the Student’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Enneagram is composed various method to measure the goal of this study. In other words, this study combines the Inventor to evaluate the self-esteem level, Enneagram Personality Type Indicator, and Qualitative analyses.

      • KCI등재
      • KCI등재

        창의ㆍ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안태연(Ahn Tae youn),권서경(Kwon Suh k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최근 공교육을 통한 창의ㆍ인성 교육이 강조되고 있지만 학교 현장에서 영어교과와 연계한 창의ㆍ인성 교육이 어떤 형태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영어교육모델 창의경영학교에서 운영된 창의ㆍ인성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창의ㆍ인성 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을 탐색하여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창의ㆍ인성 영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교육모델학교는 교육부의 지원을 받아 단위학교 중심의 학교 영어교육의 변화를 추진하는 창의경영학교 사업의 일부로 창의ㆍ인성 계발을 위한 영어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모델학교에서 운영한 74개의 창의ㆍ인성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여 총 7가지(영어관련 행사 및 대회, 영어 동아리 활동, 영어 재능나눔 활동, 타교과 연계 영어 프로그램, 창의ㆍ인성 영어 독서 프로그램, 국제 교류 프로그램, 방학 중 영어캠프)로 유형화하고, 초ㆍ중ㆍ고등학교 학교급별로 나타난 각 프로그램 유형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창의ㆍ인성 교육 이론에서 제시한 창의성과 인성 교육 요소가 어떻게 프로그램에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교과와 접목한 창의ㆍ인성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일반학교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I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of Korea,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pedagogical components of school education; the incorpor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struc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 teaching is recommend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have been integrated into English language classrooms based on the analysi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at schools appointed as English Education Model School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Out of 128 English Education Model Schools, the researchers selected 74 sample case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alyzed and categorized them into seven different types based on their objectives, content, and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show that while the total number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implemented in each school-level were similar, certain types of program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one school-level than the other. By qualitatively analyzing each program, this study attempts to extract commonalities among the programs practiced in schools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further examines the ways creativity and personality elements have been integrated into English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support English teachers interested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struction through English language teaching.

      • 유아기 부모의 코칭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 연구

        조경희 한국영유아보육교육학회 2018 영유아보육교육연구 Vol.1 No.2

        연구는 인성의 부재로 인한 학교폭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부모의 인성교육이 시급함을 인식하고, 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인성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C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유아기 부모 16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프로그램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코칭프로그램(ACTIVE코칭 대화모델)을 활용하여 인성교육내용을 다루며 핵심내 용은 감성, 도덕성, 사회성을 포함하였다. 소집단형태로 각 회기별 2시간씩 총 6회기로 부모인성코칭을 통해 부모로서 바로서고 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인성코치사로서 부모역할을 설정하도록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족한 부모인성교육프로그램을 보급하고, 부모들이 요구하는 인성교육의 접근기회가 부족한 상황에서 인성코칭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돕는다. 둘째, 부모인성코칭 프로그램은 코칭의 과정을 접목하여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우며, 인성코치로서의 부모의 자신감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모자녀관계에 긍정적 목표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코칭의 프로세스를 익힘으로써 부모의 역량을 키울 수 있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4 parents of day care centers in C city.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questions about recognitions and needs of such programs. Th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uses coaching program (ACTIVE coaching conversation model) in terms of personality education. The essence of the program are sensibility, morality, and sociality. This program is made up of 6 two-hour sessions in small groups, and designed to set up the role of parents as personality coaches by understanding what the personality i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upplies the parent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nd helps them to perform positive roles of parents. Second, it enables the parents to be confident of themselves. Third, the parents can develop parent competency since this program helps them to learn coaching process which improv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