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공적 웨어러블 제품구현을 위한 통합적 인간중심 디자인 접근

        박승민,유승헌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4

        Wearables are emerging as a new alternative for thestagnation of the smartphone market, and the productconcepts are evolv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ocialawareness and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ies. Although the importance of human-centered design inwearable space has been highlighted, the design conceptneeds to be redefin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category. Thegoal of this study is 1) to define the human-centereddesign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the wearableproduc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2) topresent the direction of the practical implementationsneeded in developing a successful wearable product. First, through theoretical studies we defined the meaningof human-centered design and the factors associatedwith wearable products. Second, through case studies,we analyzed phenomenon in the market reactions andevaluations of two flagship wearable products, GoogleGlass and Apple Watch, and presented an implementationframework of the integrated human-centered design forwearables. Based on the attribute of human needs, thehuman-centered wearable design is implemented inthree levels: bio-physical, cognitive-psychological andsocio-cultural level, and the three levels areinterconnected as affecting product success. From thisintegrated viewpoint, the success of wearable productsrequires: 1) recognition of material and immaterialdesign elements, 2) expansion of the productaffordances, and 3) finding converged optimum solutions. 웨어러블은 스마트폰 시장 정체에 대한 새로운 대안 영역으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인식변화에따라서 제품 개념이 진화되고 있다. 웨어러블 제품의 본질적 특성상 인간중심 디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왔으나,그동안 논의되어 온 인간중심 디자인의 개념은 새로운 제품영역이 갖는 특성과 변화에 따라서 재정의 되고 발전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1) 웨어러블 영역에서 필요한인간중심 디자인의 개념을 포괄적인 관점에서 조망해보고이것이 제품의 성패에 미치는 인자를 정의함으로써, 2) 향후 성공적 웨어러블 제품개발에 필요한 실천적 구현 방향을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이론적 연구를 통해 웨어러블의 현황과 인간중심 디자인의 개념 변화를 고찰해 보고, 웨어러블 영역에서 관계된 인간중심 디자인 요인들을살펴보았다. 또한 구글 글래스와 애플워치 두 대표 제품에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실제 웨어러블 제품의 시장반응과평가에서 나타나는 인간중심 디자인의 현상들을 분석하였고, 이를 종합하여 웨어러블 제품성공에 요구되는 통합적인간중심 디자인 구현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간중심 웨어러블 디자인의 구현은 인간욕구의 속성에 따라 크게생체물리적, 인지심리적, 그리고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으며, 이들은 상호 연계되어 다각적으로 제품 성패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발견하였다. 통합적인 인간중심 디자인의 관점에서 볼 때, 웨어러블 제품의 성공을 위해서는 1) 물질적, 비물질적 디자인요소의 인식과 2) 확장된 제품 어포던스의 확보, 그리고 3) 융합적 최적안 발굴이요구된다.

      • KCI등재

        인간중심 사고 기반의 디자인과 건축 협업 접근방식에 관한 연구 -디자인 씽킹 공감(Empathize)과 문제 정의(Define) 단계 중심으로-

        한봄이(Han, Bomyi),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인간중심 사고를 바탕으로 사람을 공감하고 소통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로 사람과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관찰과 이해를 통해, 실제 잠재되어 있는 니즈와 문제점이 무엇인지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자인과 건축 분야의 인간중심 사고 개념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두 분야의 협업 접근방식의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는 첫째, 디자인과 건축의 의미와 그 역할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자료의 범위를 국내외 논문, 다양한 책 등을 통한 디자인과 건축의 정의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둘째, 두 분야의 인간중심적 다양한 시각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방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간중심의 의미와 각 분야의 적용 사례를 정리하였다. 셋째, 문제해결 방법으로써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통해 논리적이고 구체적인 사고 방법을 통한 두 분야의 협업 적용을 실험해보았다. 넷째, 건축 공간과 건축 요소에 따른 사람들의 감정의 변화, 경험을 분류하여 실제 거주하는 사람들의 입장이 되어 이해하므로 거주자들이 행동하는 삶의 양식, 경험 등을 비슷하게 느껴보고 예측해 봄으로써 실제 느끼는 불편 사항이나 개선점을 공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실제 사례 적용 및 분석을 통한 4가지 단계의 협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 단계로는 각 분야에서의 인간중심 관점 선행 연구의 필요성 인지, 선행 연구자의 연구를 통한 이론적 근거 제시, 디자인과 건축 분야의 인간중심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 씽킹의 공감하기와 문제 정의 단계 연구 범위 구체화, 현장답사, 쉐도잉, 페르소나, 주민여정지도를 적용한 관찰과 분석 방법 제시로 나타났다. 앞으로 서로 다른 두 분야의 협업 시 인간 중심적 사고를 바탕으로 어떻게 접근하고 협업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공통점으로는 기본적으로 인간을 이해하고 공감함으로써 서로 다른 관점을 해석하고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people based on Human-Centered Design and aims to derive actual potential needs and problems through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of people and various stakeholder. Based on the concept of Human-Centered Design in the field of design and architec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a collaborative approach in two different fields. First, to analyze the meaning of design, architecture and the change in their role,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design and architecture were analyzed through various literature reviews. Second, to understand the various Human-Centered perspectives of the two fields, the meaning of Human-Centered and application cases in each field were summarized. Third, as a Problem-Solving method, experimented with the application of two fields of collaboration through a logical and concrete thinking method through the design thinking methodology. Fourth, by categorizing people’s emotions and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space and elements, understanding them in the position of the actual residents, they feel similarly and predict the lifestyles and experiences the actual residents behave in. As a result, presents the necessity of four stages of collaboration ar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Human-Centered Design in each field, analyzing cases study in design and architecture to empathize with design thinking, As a method of observation and analysis research scope, field visit, shadowing, persona, and resident journey map. I expect this research can be helpful as the primary data when applying different perspectives by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humans as a common point in how to approach based on Human-Centered Design.

      • UI 및 UX의 인간중심 디자인 사례 연구

        이건웅 ( Lee Gun-woong ) 콘텐츠문화학회 2020 콘텐츠문화연구 Vol.3 No.-

        4차산업혁명이 국가의 주요 어젠다가 되면서 기술에 대한 추구와 동시에 그 반대급부로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는 인본주의도 주목을 받고 있다.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 및 사용자경험(UX) 부문에서 ‘인간중심 디자인’을 적용하려는 시도도 확산되는 추세다. 최근 애플의 행보에서 볼 수 있듯이 IT 기술은 세련된 마케팅을 적용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경험까지 중시할 때 비로소 성공의 길이 열리는 경우가 많다. 인간중심 디자인은 복잡함을 길들여 인간이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 디자인주의를 가리킨다. 도널드 노먼이 인본주의, 공리주의, 기능주의 등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창안한 이래 잉바르 캄프라드, 필립 스탁, 스티브 잡스 등의 디자이너가 현실에서 구체화시켰다. 특히나 애플은 스마트폰 제조에 인간중심 디자인을 적용시킨 대표적인 사례다. 이 글에서는 애플의 인간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미시적인 미적 디자인을 뛰어넘은 거시적인 지적 디자인으로서의 인간중심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came the main agenda of the country, humanism, which seeks for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explores the inside of human beings with the opposite benefit,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In practical terms, attempts to apply “human-centered design” in the user interface (UI) and user experience (UX) sectors are also spreading. As can be seen from Apple's recent moves, IT technology often opens the way to success when it focuses on user experience beyond applying sophisticated marketing. Human-centered design refers to designism that tames complexity and makes it easier for humans to use. Since Donald Norman was inspired by ideas such as humanism, utilitarianism, and functionalism, designers such as Ingvar Kamprad, Philippe Starck, and Steve Jobs have embodied them in reality. In particular, Appl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pplying human-centered design to smartphone manufacturing. In this article, by looking at the case of human-user-centered design of Apple, we looked at the case of human-centered design as a macroscopic intellectual design that transcends microscopic aesthetic design.

      • 인간중심디자인과 서비스디자인의 융합교육 사례 연구

        이승혜(Lee, Seunghae),이윤희(Lee, Yunhe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6

        This course titled “Human-Centered Design Course for Design Core: Human-Centered Design and Service Design Projects” has been developed and offered to design students at Oregon State University to provide students an opportunity to learn and work with other students in the School of Design including Graphic Design, Apparel Design, Interior Design, and Merchandising Management. The focus was to learn critical concepts in human-centered design and apply the concepts to everyday designs around them. Another focus was to learn about service design thinking and practice the design method through the campus library service design project. The library staff participated in the project development and gave constructive feedback to students which benefitted to improve the project plan and outcomes. Based on feedback and the instructor’s own evaluation of the project, course design implications for future project development and course improvements have been drawn that the formal mid-checks need to be planned so student groups understand the level of details and extensiveness. Some group projects produced service design implementation plans that were not pushed through with details and remained at a surficial level.

      • KCI등재

        디자인의 역할 변화에 따른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제안

        정혜욱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As the importance of design-led innovation has increased, the social role of design has changed enormously and it eventually calls for changes in the core principles and methodology of design education. In this article, I study the changing social role of design and propose some directions future design education should pursue. I use mixed research methodolog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followed by a 1:1 in-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nts selecting by purposive sampling out of various design fields ranging from 2 to 20 years of working experiences. The results show that majority of participants have felt both the role of design and the role of designer have been changing. Designers of 10-14 years felt the change the most and the changes they actually felt are analyzed in the order of ‘design-led business’, ‘human-centered design’, ‘design ethics’, and ‘design for social value creation’. For the changes in the role of a designer, ‘the ability to manage from planning to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s highest rated and the most required competency is communication skill. For the question about design education to keep up with ongoing changes in design field, participants answer that ‘research ability, planning skill, creative ideas along with design thinking’, convergence with different fields', ‘knowledge about humanity, writing, history’, ‘marketing’, and ‘the law concerning design copyrights’ are needed. Based on this study, I suggest some directions for future design education. First, it should concern issues on a continuum from the environment to society to human nature for global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 an ethical problem today may be considered and lastly, convergence in the design process can be thoroughly examined and should be tracked. 현대사회의 복잡다단한 문제 해결 수단으로 디자인 주도적 혁신 방법론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이 크게 변모되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디자인 교육의 핵심 원리와 방법론의 변화를 촉구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 변모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 교육의 변화 방향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유의적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실무경력 2년에서 20년 이상에 이르는 다양한 디자인 분야의 실무자들을 선정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유의미한 답변을 채택하여 1:1 심층인터뷰를 진행하는 혼합연구방법론(Mixed Research Methodology)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 변화에 대해서는 69.4%, 디자이너의 사회적 역할 변화에 대해서는 83.7%가 변화가 있다고 응답했다. 실무경력별로 구분할 경우 10~14년차의 디자이너들이 이러한 변화를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으며. 이들이 실제 느낀 디자인의 역할 변화로는 ‘디자인 주도적 경영’, ‘인간 중심의 디자인’, ‘윤리적 디자인’, ‘사회적 가치창출 도구로써의 디자인’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 편,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에 대해서는 ‘기획,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등을 총괄할 수 있는 종합 기획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된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러한 변화를기반으로 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커뮤니케이션 스킬’, ‘리서치 역량’ 순으로 분석되었고, 새로운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리서치/기획력/아이디어발상/사고력’, ‘타 분야와의 융합’, ‘인문학, 글쓰기, 역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스킬’, ‘디자인저작권 등 법률’ 등이 교육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디자인 교육의 방향성은 자연환경과 인간, 사회와의 공생을 위한 가치창출 중심의 디자인 주도적 문제해결 능력의 배양과 도덕과 윤리의 선행적으로 고려되는 디자인의실천, 그리고 능동적이며 유연한 협업역량의 함양으로 정리할 수 있다.

      • KCI등재

        신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발굴을 위한 제품,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프로세스 및 방법 제안 - 생체인식 기술을 중심으로 -

        정의철 ( Eui-chul 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2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을 활용하여, 디자인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 동력발굴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생체인식 기술은 핵심 기술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으며, 우리 일상에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생체인식 기술을 사례로 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이 가능한 제품,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프로세스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하여 디자인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체계화하여 연구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생체인식과 같은 신기술을 해석하는‘사용자 중심기술평가,’제안된 디자인 컨셉을 비즈니스 관점으로 연결시키는 ‘비즈니스모델 구축’방법을 추가하였다. 전문가 평가, 3년간 제안한 디자인 컨셉, 그리고 사업화를 진행한 이지핑거를 사례로 활용하여, 디자인 프로세스 및 방법을 수정하고 정교화 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 프로세스는 마케팅-디자인-기술을 축으로, M1에서 M15의 디자인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생체인식을 신기술 사례로 첨부하여, 다른 신기술을 활용하여 디자인 개발을 하는 기관 및 기업이 참고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성과는 신기술을 활용하여 제품,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사용자 가치를 찾아내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고, 제품 개발 과정에서 마케팅-디자인-기술 간 협업이 가능한 프로세스 및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따라서, 신기술의 유용성을 사용자 가치와 연결하여, 비즈니스 창출이 필요한 기관 및 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Creating the design business by utilizing key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important in terms of finding the future growth engine of Korea. Biometrics technology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and has been spreading widely in our daily lives.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rocess and method for product, service, and system design that can create new business using new technology in case of biometric technology. Metho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existing design process and methods are categorized, the basic framework is organized with them. 'User-centered technology evaluation' for analyzing new technologies such as biometrics, and 'Business model building' for linking the proposed design concept to the business viewpoint are proposed. Expert evaluation, design concept proposed for 3 years, and Ez-Finger, which was commercialized, were used to modify and elaborate the design process and method. Result The design process consisted of M1 to M15 design methods on the axes of marketing-design-technology. By attaching biometrics as a new technology example, the proposed process can be easily referenced by organizations and companies developing designs using new technologie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s a process and methods that enables the collaboration between marketing - design - technology to discover the business opportunities by exploring the user value needed for product, service and system design development using new technology. Therefore, the proposed process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organizations and companies that need to create a business by linking the usefulness of new technology with user value.

      • KCI등재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 활용에 관한 연구 - 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기정 ( Kijeong Kim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9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3 No.1

        디자인 영역에서 스토리텔링은 제품과 정보의 홍수 속에서 디자인의 차별성을 드러내고 디자인의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매우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여타의 매체와는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문학, 문화콘텐츠, 광고, 마케팅 분야에서 수행된 스토리텔링에 대한 연구 결과를 무분별하게 적용함으로써 디자인의 스토리텔링을 이해하는데 혼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스토리텔링의 의미영역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디자인과 스토리텔링의 상관성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엄밀하게 구분하기는 어렵겠지만 제품 디자인을 염두에 두고 다음의 두 가지 문제를 논의하였다. 첫째,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이 중요하게 떠오른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디자인과 스토리텔링의 결합 양상과 의미생성 방식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이 부상하게 된 배경을 1) 생산자와 기능 중심에서 사용자와 감성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2)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매체와 콘텐츠의 폭증, 3) 스토리텔링의 자본화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또한 디자인과 스토리텔링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디자인이 타 매체와 결합하지 않는 스토리텔링 유형과 디자인이 타 매체와 결합한 스토리텔링 유형 2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자의 경우 그 개념을 다듬기 위해 헤스켓과 노먼의 이론을 연계하여 해명을 시도하였다. In the field of design, storytelling is recognized as an indispensable element and is actively being used to reveal the difference and to convey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design in an enormous number of products and information. However, deep analysis of how storytelling appears in design and how it differs from other media is very limited. In addition, confusion arises in understanding design storytelling by indiscreetly applying research results on storytelling conducted in literature, cultural contents, advertising, and marketing. In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esign storytelling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storytelling.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esign field accurately, the following two problems were discussed mainly in the product design. First, This paper looked at the background of storytelling in design. Second the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way of combination of design and storytelling, and the way of meaning generation. As a result, storytelling in design emerged as a result of : 1) a paradigm shift from producers and functions to users and emotions, 2) the explosion of media and content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3) capitalization of storytelling. Al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storytelling, the paper divided into two types : storytelling type in which design is not combined with other media, and storytelling type in which design is combined with other media.

      • KCI등재

        인문학적 해석을 통한 디자인의 실행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민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에 대한 의미와 개념적 해석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유되고 정의되고 있다. 디자인은 개념이기도 하고 행위이기도 하며 산물이기도 하다는 개념 정의와 같이, 디자인은 의미적, 실행적, 결과적 차원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디자인은 디자인과 디자인을 수행하는 자, 그리고 이를 인식하는 인간 이렇게 3자 관계로 형성된다. 인간은 디자인의 중심에 있다. 디자인은 인간에 대한 근본적 해석을 근간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인간과 디자인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위한 디자인의 실행적 차원의 개념 해석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인 인문학을 관점으로 디자인에 대한 실행적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다양한 의미의 층으로 형성된 ‘디자인’에서 실행적 차원의 개념적 특성에 한정한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인문학을 관점으로 하여 디자인에 관하여 고찰하고, 둘째, 고찰 결과를 토대로 인간과 디자인의 상호작용을 함에 있어 주요 지표가 되는 사항을 도출하며, 셋째, 이를 실현 시키는 디자인의 실행적 특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제시한 실행적 특성을 검증하고, 인간을 위한 디자인으로써 실행적 특성을 구체화한다. (결과) 최적의 대상실현은 소비자들이 현 사회적 상황과 각 계층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을 발견하기 위한 면밀한 관찰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사고로 결과물을 도출했다. 대상의 의미구현은 대상에 대한 공감과 더 나은 가치를 부여하여, 대상을 더욱 아름답게 보이게 하고 가치를 높이는 터전이자 길이 된다. 긍정적 가치 창출은 대상을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대상과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에 일차적 경험 이상이 되는 상위 지향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가치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상위 지향적 사고에 부응하는 의미형성은 선이라는 긍정적 공통가치의 형성에서 기인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인문학과 디자인의 횡단적 사고를 향한 유의미한 담론을 생성하였고, 디자인의 의미와 개념을 인간과 디자인의 상호이해를 향한 실행적 차원으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디자인은 인간의 일상을 이루는 물리적, 비물리적 대상에 시각적 효과를 위한 스타일링과 함께 인간과의 소통을 위한 의미를 담아낸다.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경험기억과 의미를 형성하게 하고, 나아가 더 나은 상위 지향적 가치를 찾게 만든다. 따라서, 디자인은 인간을 위한 디자이너의 실천적 의미가 있다. 인간을 위한 디자인을 위해서는 까다롭고 알 수 없는 인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디자이너는 인간을 이해하고 탐구한 학문인 인문학에 대한 지식은 물론, 다학제적 지식과 융합적 사고 확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인간중심 디자인의 요소가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적합성, 실현가능성, 지속성을 중심으로 -

        구자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인간중심 디자인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는 최종 솔루션이 적합성, 실현가능성, 지속성 등의 3요소를 만족시켜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중심 디자인의 3요소가 수용자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니는 요소는 무엇인지를 규명하여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4단계로 진행되었는데, 첫째로 인간중심 디자인과 그 요소들, 그리고 수용자 태도에 대한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였고, 둘째로 문헌고찰을 토대로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셋째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56부의 응답을 얻었고, 마지막으로 회수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간중심 디자인의 3요소 중 적합성과 실현가능성이 수용자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적합성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지속성은 수용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결국 인간중심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기업이나 조직들은 적합성과 실현가능성을 만족시키는 솔루션을 도출해야만 수용자의 호의적인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order to successfully accomplish Human-centered Design(HCD) projects, the solution that is generated at the end HCD has to overlap the 3 factors such as desirability, feasibility, and viability.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the 3 factors affects audiences' attitude, to verify which one is the most influential, and to offer an insight into maximizing efficiency of HCD.This study followed four step. Firs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variables such as HCD, HCD factors, and audiences' attitude. Second,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three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IDEO HCD toolkit and previous studies for an empirical analysis. Third, a questionnaire survey on desirability, feasibility, viability, and audiences' attitude was conducted selecting 156 university students as samples. Finall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18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ed that desirability and feasibil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udiences' attitude, and desirability shows a stronger influence than feasibility. However viability does not demonstrate an effect on audiences' attitude.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that design companies or organizations have to more focus on desirability and feasibility when they conduct HCD projects in order to enhance favorable attitude of audience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디자인의 역할과 유형 분석

        남미경(Mee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본 논문은 보다 나은 환경과 사회·문화 등 다양한영역들의 당면한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가능디자인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연구범위는 지속가능발전의 개념,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유형분석을 거쳐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디자인의 역할을 논하여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디자인은 환경문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사회·경제·문화를 기반으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시도되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둘째, 지속가능디자인의 유형 분석 결과, 각각 주거(Shelter), 건강(Health), 물(Water), 에너지(Energy), 교육(Education) 및 운송수단(Transportation) 등의 구체적 영역과 관련하여 인간중심 디자인 사고를 통한 해결책으로서의 지속가능디자인이 폭넓게 제시되어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지속가능디자인 SWOT 분석에서는 강점(Strengths)과 기회(Opportunities)로 기술적 발전, 브랜드 선도, 연령을 중심으로 한 기존 소비구조 변화, 녹색성장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글로벌 국가들의 정책변화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제한(threats)과 약점(Weakness)으로는 브랜드와 유통경로 및 소비자 보존, 제품신뢰성 약화, 그리고 새로운 유통경로 형성이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임이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형과 SWOT 분석을 토대로 내·외적 동인(Internal·External Drivers)에 의한 인간에 대한 관점(People Aspect), 친환경 관점(Planet Aspect), 이윤 관점(Profit Aspect)에 의한 문제해결도 구로서 지속가능디자인의 역할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국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디자인 영역의 이론적·체계적 분석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plore the meaning of sustainable design, and to analyze its role for solving some problems we fronted recently in such diverse fields of environment·society·culture.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consideration about general idea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oretical examination and type analysis of sustainable design, through all these finally reach to the conclusion dealing with the role of desig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sustainable design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which attempts to find adjustable solutions of various problems occurred from societ y·economy·culture basis including environmental problem. Second, it was found from the result of sustainable design type analysis, sustainable design was widely suggested as the solutions based on human-centered design thinking related specific fields such as shelter, health, water, energy,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Third, it was preestimated from SWOT analysis of sustainable design, technological development, leading brand, changing consumer framing depends on age, and policy changing of global countries by green growth and sustainability turn up as Strength and Opportunities, and weakening of brand, distribution channels and consumer maintenance, product reliance, and new distribution channels construction could be threats and Weakness. Finally, the role of sustainable design was suggested as the tool of diverse solving problems in compliance with people, planet, and profit aspect by internal·external divers through type and SWOT analysis. It wa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theoretical·systematic data on desig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