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박승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Recent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as received attention in the field of counseling research. Contrary to quantitative methodology, qualitative methods aim to underst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vivid experiences, and more and more researchers use the qualitative methods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domestic journals from now on. The KCI listed 81 articles, published from 2003 to 2011, were analysed with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nual number of articles are on an increasing trend. Secondly, depending on research purpose, change process or intervening factor took the biggest part. Grounded theory i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was followed by phenomenology, CQR, narrative, ethnography. Thirdly, amo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6~10 participants was the most frequent occasions. Based on each finding,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상담 연구에서 질적연구방법은 최근 각광받는 방법론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양적연구와 달리 질적연구방법은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과정과 본질을 생생하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상담학 분야 연구에서 그 사용정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상담학 분야에서 지금까지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발표된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고, 상담학 분야에서 질적연구방법론의 가치와 고려점,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질적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 학술지 논문 81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한 결과 첫째, 연도별 논문 수는 전반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의 종류별 동향으로는 ‘변화과정 또는 개입요인 분석’을 연구목적으로 하여 진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이 사용한 질적연구방법론은 근거이론인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현상학, CQR, 내러티브, 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참여자의 수는 6~10명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외에 내담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는 경우와 객관적 척도를 연구참여자 선정 방법으로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국내 질적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가족형태에 따른 청소년의 가정생활 적응과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박승민,신선임,오승재,노종선,변복수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comparatively adolescents’ adaptation to family life and school life by family type. 856 adolescents’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was as follows. An examination of aspects of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adolescents by family type revealed that adolescents in remarried families exhibited a hig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tendency toward aggression and delinquency than adolescents in the biological parents-headed families and one-parent/grandparent-headed families.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where highest for he biological parents-headed families. School life adaptability by family type were highest on average for intact familie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implications for family counseling and the guidance for adolesc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 가정 학업우수 청소년의 학습역량 촉진요인 연구

        박승민,김삼화,박한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both to explore major factors in facilitating learning competency of multi-cultural family's adolescents and to seek a plan for improving learning competency and adjusting to the school. For this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2 academically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s adolescents and open-coding based on inductive them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ata analysis, 56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founded. The major factors in improving learning competency were mastering Korean language, acquiring learning skills, experiencing academic achievement, facilitating academic environment, accepting cultural differen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d major impact on facilitating learning competency as well as mastering a language and the cognitive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main categories, a plan for facilitating learning competency of multi-cultural family's adolescents wer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escribed.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학업우수 청소년들의 학습역량 촉진과 관련되는 주요 요인들을 탐색함으로써, 학습역량 및 학교적응 증진과 관련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가정의 학업우수 청소년 12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고, 귀납적 주제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56개의 개념과 14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학습역량을 촉진시키는 주요 요인으로는 한 국어 숙달, 학습방법 습득, 학업성취 경험, 촉진적 학습환경, 이중문화 갈등수용, 개인특 성, 부모의 양육특성으로 나타났다. 학습역량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언어습득과 인지적 요인뿐만 아니라 학습을 촉진시키는 주요 타자들의 심리 · 정서적 환경, 개인적인 특성들 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범주를 중심으 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학습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과 학업상담에 주는 시사 점,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몽골 학교의 먹는 물 수질에 관한 연구

        박승민,박찬규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몽골에는 약 3,800개의 강과 하천, 3,500여 개의 호수 및 186개의 빙하가 존재하며, 총 지표수량은 연 599 ㎦이며, 그 중 90% 이상은 호수(500 ㎦)와 빙하(62.9 ㎦)로 구성되어 있음. 강과 하천의 수자원 보유량은 6%에 해당하는 34.6 km3이며, 지하수량은 10.8 ㎦로 2%에 불과함. 78% 이상의 수원은 국토의 36%에 해당하는 북부, 서부, 및 북동부 산악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나머지는 남부 지역에 위치해 있다. 부분별 물 소비량은 농업·목축이 가장 많고 산업, 식수 등이 뒤를 이음. 인구증가에 따른 무분별한 수자원 추출과 기후변화로 인해 주요 강들의 유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지하수 또한 사용 증가로 수량이 감소하여 일부 우물과 하천은 완전히 고갈된 상태임. 이러한 현상은 건기인 3~4월에 자주 발생하며 2012년 기준으로 852개의 강과 2,277개의 하천, 호수 1,181개, 우물 60개가 감소하였다. 몽골의 용수 공급은 지역에 따라 격차가 큰 특징을 나타내는데 비도시지역의 상수도 연결 인구 비율은 주변국에 비해 매우 낮은 30.8%에 불과하며, 나머지 약 70%는 우물, 하천, 트럭, 키오스크 등을 통해 식수를 공급받고 있는 실정이다.

      • KCI등재후보

        제품 사례연구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바일 액세서리 카테고 리 연구

        박승민 한국디자인학회 2022 Design Works Vol.5 No.3

        모바일 액세서리 사업은 급속한 기술 환경 변화와 더불어 시장의 흐름을 반영한 사용자 라이프스타일과 사용 행태 변화를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분야이며 다양한 트렌드 요소 간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제품 영역으로의 확장과 발전이 예 상된다. 제품 카테고리의 정의 또한 이러한 동향 변화에 따른 개선이 필요하며 시대상을 반영한 제품 유형 범주화가 요구된 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모바일 액세서리 시장제품 동향 분석 및 제품 사례 연구를 통하여 카테고리를 유형화하고 이를 빅 데이터 기반의 트렌드 분석을 반영해 실질적 제품 운영 및 기회 발굴을 위한 표준화된 모바일 액세서리 제품 분류체계를 제 안하였다. 통합분류 과정을 통하여 최종 3개 카테고리군 총 12개군의 하부 카테고리 분류기준을 도출하였다. 최종 제안된 카테고리는 라이프군(4), 플레이군(4), 워크군(4)으로 각각 모바일 일상생활 지원, 취미 및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모바일 업 무지원 관련으로 분류되며 트렌드 변화에 따른 추가적 카테고리 확장이 가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