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太祖 7年(1398) ‘제1차 왕자 난’의 재검토

        한춘순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5 No.-

        Lee Bang-won reversed situation were killed Jeong Mong-ju when Lee Seong-gye had received threats political life by King Gongyang. And he was crowned Lee Seong-gye so crucial to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built exploits. He received hospitality by King Taegjo because he was been countries in recognition of his contributions to. But he discussed with crown prince erect(세자책립) and gyekuk-gongsen(개국공신) were excluded from the debate because he had checked Hyeonbi(賢妃) coerced and suffered bullying. Lee Bang-won was Cholla-jeoljesa(전라도절제사) But he was conductor undergone stepbrother Lee Bang-beon after Jeong Do-jeon had led by military reform. His distaste for King Taegjo and Jeong Do-jeon were root cause of 'the 1st prince's rebellion'Jeong Do-jeon raised Ryodong-attackism(요동공격론) but King Taegjo stopped it have taken against of Cho Jun. Came in 7years King Taegjo is frequently serious illness. He abolished an army who was commanded bprince and royal family. Because it was threatening that he had thought the most important thing national stability and crowned princess issues. Lee Bang-won who an army have abolished by King Taegjo is acceptable to a secret plan of Ha Ryun. So he make opportunity to make disease severity of King Taegjo and he have been rallying allies to raise 'the 1st prince's rebellion'. Through the rebellion Lee Bang-won removed all schools of Jeong Do-jeon. He was selected first grade gyekuk-gongsen and jeongsa-gongsen(定社功臣) Since he will be left to national by the most powerful in King Jeonggjong's reign 이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李芳遠 관련 부분을 주목하여 ‘제 1차 왕자 난’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보려 하였다. 이방원은 공양왕 2년 尹彛․李初의 獄이 발생하면서 守勢에 몰리기 시작한 李成桂의 정치적 상황을, 鄭夢周를 살해하여 一擧에 바꾸어 놓았다. 그는 태조 추대에도 결정적 역할을 하여 개국 초 태조에게 特待를 받았다. 그러나 賢妃와 外戚이 조직적으로 그를 견제하였고, 태조도 처음과는 달리 현비의 뜻을 수용하여 이방원을 동북면으로 내보냈고, 8남 李芳碩을 세자로 책립하였다. 이방원은 開國功臣에서도 배제되었다. 그는 전라도절제사였지만, 鄭道傳이 주도한 군제 개혁 후에는 李芳蕃의 휘하에 소속되어 있었다. 일련의 정치적 과정을 거치면서 추락한 태조․정도전에 대한 이방원의 반감이, 이후 전개되는 다른 상황과 맞물리면서 ‘제 1차 왕자 난’ 발생의 根因이 되었다. 遼東攻擊論은, 조선을 계속 劫迫하고 자신의 호송을 집요하게 요구하는 명나라에 대해 정도전이 제기하였으나, 현실 문제를 거론하며 만류하는 趙浚의 견해를 수용한 태조가 그 논의를 중지시켰다. 그 후에도 이 문제로 태조가 가장 신임하는 두 사람의 대립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요동공격론은 추진될 수 없었다. 사병혁파는, 7년 들어 잦아진 重患으로 국정 안정과 세자의 繼位를 고심하고 있었던 태조가, 사병을 거느린 왕자․종친들이 오히려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전격적으로 단행한 조치였다. 그러나 사병을 혁파당하여 절박한 처지였던 이방원은, 하륜의 계책을 따라 태조의 병환이 깊어져 모든 사람의 관심이 집중되어 있을 때를 적기로 판단하였고, 외척․무장세력․동조세력들과 연합하여 ‘제 1차 왕자 난’을 일으켰다. 그는 정도전 일파를 완전히 제거하고, 李芳果를 세자로 추대하여 명분과 실리를 다 얻었으며, 開國․定社 1등 공신에도 冊錄되었다. 압도적 위상을 확보한 그는 정종 대 국정을 좌우하게 된다.

      • KCI등재후보

        조선초 원경왕후의 정치적 역할과 생애

        임혜련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아시아여성연구 Vol.43 No.1

        원경왕후는 고려말 명문가인 여흥민씨 민제의 딸이며, 고려말·조선초의 정치적 혼란기에 이방원의 내조자이자 정치적 지원자였다. 여흥민씨는 이성계 자녀들과 혼인을 통한 결합으로 조선왕조 개국에 참여하였다. 이방원은 '1차 왕자의 난'을 통해 즉위의 기반을 마련하고 '2차 왕자의 난' 직후 세자에 책봉되어 즉위하였다. 한씨 소생 왕자들의 소외와 방석의 세자책봉, 사병혁파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 '1차 왕자의 난'을 성공으로 이끌어낸 이방원의 뒤에는 그의 부인 원경왕후가 있었다. 원경왕후는 상건 당시 이방원에게 위험한 상황을 알리고, 친정가문의 도움을 빌어 무기와 병사를 준비하여 남편을 지원하엿다. 원경왕후는 당시 정세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남편을 위기에서 구하였던 것이다. 또한 '2차 왕자의 난'에서도 마찬가지로 남편 이방원을 승리로 이끄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태종의 즉위로 중전이 된 원경왕후는 내명부의 수장 역할에 충실하였다. 그러나 태종의 왕권강화책으로 인해 아버지와 네 명의 동생들이 죽는 등 친정이 몰락하는 비극을 당하였다. 이것은 원경왕후의 정치적 능력과 그의 친정세력이 결합하여 왕권강화에 지장을 초래할까 우려한 태종의 염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태종은 평생토록 원경왕후가 '왕자의 난'에서 보여주었던 공을 잊지 않았다. 이것은 태종 자신의 집권과정에 부인 원경왕후의 정치적 역할이 매우 컸음을 스스로 인정했기 때문이었다. The queen Wongeoung(元敬王后) was wife of the king Teajong(太宗) that is 3rd king at the Chosun Dynasty. She was king Teajong-Lee bangwon's(李芳遠) wife and ploitical partner in the confused period by politics from the late Corea era to the early Chosun era. Specially, she contributed though Lee Bang-won accedes to the throne, because she acted big role in "The first royal prince's war'. This shows the political role of the queen Wongeoung. The queen Wongeoung who is Min Je's(閔霽) daughter came from a distinguished family in the late Corea era. As Mr. Min parentage had deep attainments in Sung Confucianism and combined to marriage with Lee Song-gye pedigree, they participated in founding of a country of Chosun Dynasty and kept their pedigree. The queen Wongeoung did big contribution in success of "The first royal prince's war'.(1차 왕자의난)Causes of'The first royal prince's war' are as following. First, royal princes of the queen Sineui(神懿王后) estranged in power. Second, the prime minister's force was rising because of that royal prince of the queen Sinduck(神德王后) became Crown Prince. And last, king Teajong tried to diminish privates. By the queen Wongeoung prepared weapon and soldiers in 'The first royal prince's war' by political sense that was born, she helped Lee Bang-won. Here was Yeoheungmin pedigree's(驪興閔氏) cooperation. Also, 'The second royal prince's war' succeeded by her help. The queen Wongeoung rose to queen's position reclaiming herself's fate. But, Yeoheungmin parentage was fallen because of sovereign power reinforcement policy of king Teajong after enthronement of king Teajong, And the queen Wongeoung and king Teajong's relation grew worse regarding indiscreet royal harem choice of king Teajong. She was a good woman who give help to raise husband in throne by her excellent personality, an appreciative eye that read political situation, and excellent political activity. However, such eminent her ability became subject of restraint of king Teajong to solidify sovereign power preferably.

      • KCI등재

        『해화당집』을 통해 본 徐選의 삶과 정치 이념

        김인호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4

        The book of Seo-sun wa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data in this collection are inaccurate. Seon Sun's family is not a famous family. However, Seosun did not test past until the Joseon Dynasty was erected. He is a friend of Taejong Lee and a friend whom he learned together with. Seo-sun moved to Hongju after marriage. The reason for this is not the aggression of Hong Kong. Rather, it was because of the marriage custom at the time. Seo-sun acts as a civil servant after the Joseon Dynasty. He has come under the bipartisan. He was mainly in charge of the media and met kwun-gun, a famous scholar of the time.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aejong. And tried to limit the appointment of a civil servant to the problem at that time. Seo-sun studied theology. He thought about the ethical problems of nature, hyo, suk, and mind. He was a member of the army. This is a meeting of Lee Jae-won, with 20 civil servants. This gathering became the political force of Taejong. It is a gathering of nearly the only king and bureaucracy in the Joseon Dynasty. After all, his book is not worth the resources. 이 논문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서선의 『해화당집』의 내용과 그 자료적 가치를 알기 위한 것이다. 『해화당집』은 20세기 초반에 발간되었지만, 자료적 가치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특히 「연보」는 기존의 『조선왕조실록』 등과 같은 관찬 기록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서선의 가문은 문벌이 아니었지만 조선왕조 건립까지 과거 시험을 보지 않았다. 그는 어린 시절에 태종 이방원과 같이 공부하였고, 당시 이방원은 14세 때이다. 서선은 1384년(우왕 10) 사재시령 최호의 딸과 혼인한 이후에 홍주로 이주하였다. 이후 연보의 내용은 『고려사』 등과 맞지 않는다. 「연보」는 대부분 가전(家傳)되어 온 것이거나 후대에 꾸며진 내용으로 추정된다. 그는 조선왕조 이후 본격적으로 출사하였고, 이방원 집권 이후 출세하기 시작한다. 이후 그의 「연보」 경력과 『조선왕조실록』 사이에서 차이가 나는데, 이 부분은 본인에게 불리한 사실을 누락한 것이다. 그는 태종의 측근 중 한 사람으로 활약하는 가운데, 서얼의 차별 대우 문제를 법안으로 만들기도 하였다. 서선은 신창 아전의 살해 사건으로 정치적 곤란을 겪기도 하였지만, 판한성부사로 관직을 마친 후에 사망하였다. 서선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하여 윤리 실천을 강조하는 사유를 지녔다. 그는 「만물자연론」부터 「효설」, 「충설」, 「심설」에 이르기까지 사물의 차별성과 윤리적 실천의 원리를 강조하였다. 그가 속한 갑계는 태종 이방원이 관료 20명과 맺은 동갑 모임이다. 갑계 출신 중 당상관 이상이 된 사람은 군(君)을 제외하고 총 12명이다. 또한 갑계원 중에 2명은 출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곳 소속만으로 출세가 보장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갑계 구성원이라는 이유로 형벌을 면제받거나 고신을 돌려받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장윤화의 경우는 태종의 비호로 고위직이 되었다. 갑계 출신의 특징은 주로 언관으로 활약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결국 갑계는 이방원의 정치세력 확장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구성원 내부의 결속력은 크지 않았다. 이 갑계는 조선왕조에서 거의 유일한 국왕과 관료 간의 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선한 참주”論과 태종 이방원

        신철희(SHIN Chul-Hee)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1

        조선의 태종 이방원과 같이 살인이나 폭력을 사용해서 불법으로 권력을 차지한 군주(참주)의 경우 그를 사로잡는 가장 중요한 과제는 자신의 과거 행적이 사익이 아니라 공익을 위해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본심을 타인에게 납득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제3자가 판단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양정치사상의 전통 속에서 논의되어 온 ?선한? 또는 ?자애로운? 참주정 개념을 빌려와서 이방원과 같은 유형의 정치인을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크세노폰으로부터 마키아벨리에 이르기까지 “선한” 참주정 논의의 핵심은 건국이나 개혁 국면에서 사용한 폭력이 사익이 아니라 공공선이 목적이었음을 이후에 권력을 분산시키고 선정을 베풂으로써 증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결과로 말해야 하는 정치인의 숙명이다. The most impending task haunting the prince or tyrant who occupied the throne illegally by using murder or violence such as King Taejong (Yi Bang-won) of the Joseon Dynasty is to prove that his use of violence was not for his personal interests, but inevitable for fulfilling the common good. However, it is not an easy job for the prince to persuade people of his innocence and it is also difficult for bystanders to judge. Therefore I will suggest the concept of the ?good? or ?beneficent? tyranny which has been discussed in the tradition of Western political thought as a criterion for estimating the life of a politician like Yi Bang-won. The kernel of the good tyranny from Plato, Aristotle, Xenophon to Machiavelli is that there needs a tyrant in the foundation or reform of the commonwealth, and afterwards he should show his use of violence is for the common good by decentralizing his power and administrating the good government. And this is the fate of a politician who must tell with results.

      • KCI등재

        조선 초기 태종의 경영 리더십 분석: ser-M 모델 분석을 중심으로

        여현철(Hyun-Chul Yeo),엄재근(Jae-Gun Eom) 한국경영사학회 2018 經營史學 Vol.85 No.-

        본 연구는 태종 이방원에 대하여 경영 리더십 관점에서 ser-M 메커니즘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존 연구에 비해 보다 거시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으로 살펴보고 있다. ser-M 메커니즘 모델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그는 조선창업 및 집권기동안 정치, 법제도, 행정, 군사, 외교 등에서 다양한 업적을 달성하였다. 정치 메커니즘 측면에서 주체 이방원은 강한 비전과 창의적 발상으로 새로운 환경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최대한 이용하여서 적극적으로 성과를 창조하였다. 이는 환경창조 메커니즘으로서 순열은 SER로 볼 수 있다. 국가나 기업 경영자는 난세에 위기를 돌파함에 있어서 위기관리경영, 속도경영, 공격경영, 카리스마 경영, 지속가능경영 등을 벤치마킹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aejong, Lee Bang-won through ser-M mechanism model from the viewpoint of managerial leadership and examines it with a more macro and integrated viewpoint. He accomplished various achievements in politics, law, administration, military, diplomacy, etc. on the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the Joseon Dynasty period. He as the subject of the political mechanism actively created the new environment by utilizing his resources as much as possible with strong vision and creative ideas. This is an environment creation mechanism and permutation can be seen as SER. The country or corporate executives will be able to benchmark crisis management, speed management, aggressive management, charismatic management, and sustainable management for breaking the crisis.

      • KCI등재

        조선 초기 功臣 시조에 나타난 작가 의식과 그 지향

        박명희(Park, Myoung Hu)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2 No.-

        본 논문은 조선 초기 공신이 남긴 시조 작품에 나타난 작가 의식을 살핀 뒤에 그 지향을 구명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다. 심재완 편저, 『교본역대시조전서』를 참고삼아 정리한 결과, 조선 초기 공신이 남긴 시조는 총 6인 7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言忠信 行篤敬고」와 「夕陽에 醉興을 계워」・「술을 醉케 먹고」 등의 작품은 성석린과 조준이 각각 지었다고 하는 가집이 있기는 하지만 단정할 수는 없어서 본 논고의 논의에서 일단 제외하였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이지란, 정도전, 이직, 이방원의 작품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지란은 「楚山 우는 虎와」 작품을 통해 중국 진나라 말기 초한 시기의 역사를 배경으로 무인으로서의 호기로움을 나타내었다. 둘째, 정도전은 「仙人橋 나린 물이」에서 개성을 공간적 배경으로 삼아 새 시대가 도래하여 고국의 흥망을 묻는 것은 아무 쓸데없는 일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이직은 「가마귀 검다하고」에서 우의적 수사법을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의식을 드러내었다. 까마귀가 된 이직은 거기에 체념하지 않고 겉만 보고 사물을 바라보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생각인지를 새삼 일깨워주고 있다. 마지막 이방원은 「이런들 엇더하며」에서 세상 추이에 따라 살아갈 것을 권유했다고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조선 초기 공신들은 각양각색의 작품을 통해 작가 의식을 드러냈음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이지란은 시조 작품을 통해 무인으로서 중국 역사 속 인물을 들어 호방함을 드러내기는 했으나 조선 개국의 정당성을 직접 부여하지는 않았다. 한편, 정도전과 이직, 이방원 등은 시조 작품을 통해 조선 개국의 정당성을 직간접으로 부여하려 했다고 결론지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ijo through reading of odes written by worthy retainer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investigate what they were pursuing for. The worthy retainers in the early Joseon period made almost similar ways at the point when a nation was found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ir odes together, extract meanings of words they used and understand what the poets were pursuing for. The study confirmed that a total of 6 retainers of the early Joseon period left 7 Korean odes. They were defined as follows: 「Chosan Woonun Howa」 by Lee Ji-ran, 「Unchungsin Haengdokgyong Hago」 by Seong Seok-Lin, 「Seoningyo Narin Mulee」 by Jeong Do-Jeon, 「Seokyang-e Chiheungeul Gyewo」 and 「Suleul Chike Meokgo」 by Jo Jun-Oui, 「Gamagui Geomdahago」 by Lee Jik, and 「Erundeul Uttohamyo」 by Lee Bang-Won. As a result of reading such sijo texts, it was discovered that 「Chosan Woonun Howa」 by Lee Ji-ran is a Youngsasi and Hogiga with the late Qin state, the Chu and Han Periods as a material; 「Unchungsin Haengdokgyong Hago」 by Seong Seok-Lin is an instructive ode based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Seoningyo Narin Mulee」 by Jeong Do-Jeon was a retrospective ode with Gaeseong, the old capital of Goryeo, as a spatial background. Also, 「Seokyang-e Chiheungeul Gyewo」 and 「Suleul Chike Meokgo」 by Jo Jun-Oui were Chirakga odes admiring wine, 「Gamagui Geomdahago」 by Lee Jik, and 「Erundeul Uttohamyo」 by Lee Bang-Won were a sort of Gaksega odes expecting that the people realized that the world had changed. The worthy retainers revealed what they were pursuing for through their odes. Lee Ji-Ran intended to depicted heroes in the past history through achievements of Yu Fang and Hang Wu and Seong-Seok-Lin intended to describe true scholars" attitude through instructive odeas. Also, Jeong-Do-Jeon intended to indirectly admire Joseon while reciting a retrospective ode and Jo Jun was to reveal his pride as a retainer Lee Seong-Gye trusted truly. Lee Jik compared a crow with a white heron to turned the universal idea on its head and Lee Bang-Won persuaded Jeong Mong-Joo to follow the world trend by singing an ode.

      • KCI등재

        태종대 정몽주 추증(追贈)의 정치사적 의미 - 조선 창업 과정에 대한 명분적 정리 -

        윤정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3 No.-

        This paper looks into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for Jeong Mong-Ju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dynasty, based on records to assassinate Jeong Mong-Ju in a series of 『the Annals of King Taejo』, 『Koryǒsa(高麗史)』 and 『Songs of Flying Dragons(龍飛御天歌)』. Assassination of Jeong Mong-Ju is arranged as a case which was led by Yi Bang-won(King Taejong). However, when we looks into the plan and its execution process, it is able to know that the case includes modified elements in content as per political fluctu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ng and Taejong after King Taejo’s accession to the throne. especially, it is difficult to assume that Yi Bang-won who was passer of Munkwa(文科, the civilian service examination) and didn’t do any militarily special works before made the plan to assassinate Jeong Mong-Ju by bringing people close to Yi Sung-Gye who were Yi Bang-won’s older brother and uncle and their units. the narrative like this was linked to action that King Taejong acknowledged Jeong Mong-Ju’s fidelity and did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for him after the enthronement. This action was for acknowledging legitimacy of political process that Yi Sung-Gye stood on restoration of Koryo dynasty by enthroning King Gongyang with him. futhermore, it was also had a purpose to prevent the collusion of opposing forces and block new political upheaval on the same principle that King Taejong admitted the loyalties of vassals who did their endeavors in the side of King Taejo, King Jeongjong and Prince Huaian(懷安大君) during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and the First and Second Strife of princes. the person who actually played a leading role in assassination of Jeong Mong-ju was Yi Bang-Gwa(King Jeongjong) who acted as a political and military proxy of Yi Sung-Gye. he guarded Yi Sung-Gye who withdrew from the Royal court and carried out the plan, discussing closely with Yi Du-ran, Yi hwa, Yi je, and so on. this situation showed that Yi Sung-Gye was the final arbiter of assassination of Jeong Mong-Ju. however, narratives like this had a high risk of harming justification of King Taejong's enthronement that he led the political process of founding country and political affairs. Accordingly,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and Saejong Dynasty, the role of King Taejong in the process of founding country came to the fore and its core contents consisted of describing assassination process of Jeong Mong-Ju revolving around King Taejong. as the result,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was arranged as a conflict composition between Jeong Mong-Ju who was loyal to Koryo, house of ‘Wang’ and Yi Bang-Won who founded Joseon, house of ‘Yi’, and defined as a dynastic revolution accomplished by the replacement of Heaven’s will, in spite of faithful retainers's fidelity. 본 논문은 『태조실록』 총서와 『고려사』, 『용비어천가』에 실린 정몽주 제거관련 기록을 토대로 태종대 정몽주의 증직이 가지는 정치적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위의 기록에는 이방원(태종)의 주도로 정몽주의 제거가 이루어진 것으로 정리되어 있지만, 그 계획과 실행과정을 살펴보면 태조 즉위 후 정종·태종대에 걸친 정치 변동에 따라 변형된 요소를 포함하여 기록을 그대로 사실로 확정하기 어렵다. 특히 문과 급제자로서 이전까지 군사적으로 특별한 활동이 드러나지 않는 이방원이 숙부와 형에 해당하는 이성계의 최측근 인물들과 예하 부대를 동원하여 정몽주를 제거하는 계획을 세운 주체였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와 같은 서술은 태종이 즉위 후 정몽주의 고려 왕조에 대한 충절을 인정하여 증직한 조치와 연계되어 있었다. 이 조치는 이성계가 정몽주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여 고려왕조의 중흥을 내세웠던 정치과정의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조선왕조의 개국과 1‧2차 왕자의 난의 와중에 태조와 정종, 회안대군 휘하에서 절의를 다한 신료들의 충의를 태종이 인정한 것과 동일한 원리에서 반대세력의 결집을 막고 새로운 정치변란을 차단하려는 목적을 띠고 있었다. 실제 정몽주 제거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이성계의 정치적 군사적인 역할을 대행하던 이방과(정종)였다. 그는 조정에서 물러나 있는 이성계를 호위하면서 이두란과 이화, 이제 등과 긴밀히 논의하며 계획을 실행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은 이성계가 정몽주 제거의 최종적인 결정자였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태종이 개국과 정사의 정치과정을 주도하였기 때문에 즉위하였다는 명분을 침해할 수 있었다. 태종-세종대에는 태종의 개국과정에서의 역할이 부각되었는데, 정몽주 제거의 과정을 태종 중심으로 서술한 것은 그에 따른 것이었다. 그 결과 조선왕조의 개국은 고려의 왕씨(王氏)에 충절을 다하는 정몽주와 이씨(李氏) 왕조를 개국하는 이방원 양자의 대립 구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충신들의 절의에도 불구하고 천명(天命)의 교체에 따라 이루어진 역성혁명(易姓革命)으로 규정되었다.

      • KCI등재

        고려의 정몽주에 대한 조선왕조의 도덕적 역설

        조남욱 ( Nam Uk Ch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8

        인생에서 어떠한 적대관계가 형성되면 상대를 포용하거나 화해 관계로 전환시키는 일은 쉽지않다. 거기에는 기존의 자기의식을 약화시켜야 할 부담은 물론 자칫 과거를 부정해야 할 위험성이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덕성 제고의 국가 건설을 향한 혁명노선에서 파생하는 적대관계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14세기 말 고려왕조를 멸망시키고 조선의 이씨왕조를 개창하는 과정에서는 그와 반하는 특이한 양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즉 고려 혁명의 수장 이성계가 점차 세력이 확장되자 그의 5남 이방원은 고려 국가의 핵심 보루인 문하시중 정몽주를 앞장서서 제거하였으면서도 그가 곧 왕으로 등극해서는 그를 오히려 충신으로 평가하여 추증하는 등의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모습을 보이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군신들은 국가가 필요로 하는 애국 충절의 이상형을 그에게서 찾아갔고 또 유학계에서는 도통 학맥의 연원을 그로부터 설정해가고 있었던 것이다. 혁명 과정에서 가장 큰 장애 인물 정몽주를 격살하면서 그 이유를 국가에 대한 불충으로 정리한 사실에 유의해 보면, 그와 같은 형태는 역설의 양상이 아닐 수 없다. 어제의 정적을 오늘의 정치문화 발전의 동력으로 삼아가는 형국을 보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역설 속에서는 충의의 가치를 드높이는 도덕정신이 살아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의 사료를 근거로 이상과 관련한 실제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그 내면에 흐르는 도덕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했다. 이 고찰에서 특히 주목된 부분은 그 역설의 문을 열어가고자 논리적 위험성을 해소시키며 그러한 변화를 유도했던 큰 유학자 권근의 제의, 신생 왕조국가의 미래를 고민한 엄군 태종의 결심에 담긴 가치 지향이었다. 만일 이 두 사람의 도덕적 역설의식이 없었더라면 정몽주 모델의 충절과 의리정신, 그리고 조선조 도통의 맥락은 나타날 수 없었을 것이다. 태종 이후 조선조 초기의 정계와 학계가 함께한 그 역설 속에 내재한 도덕적 의미는 다음 세가지로 말할 수 있다. ① 새로운 이씨왕조의 영속과 보편적 가치관 정립을 위해 애국 충성을 제일 가치로 공유하면서 그 실현을 극대화 하고자 했다는 점, ② 혁명노선에 반대하던 잠재세력들에게 까지 현실 참여에의 도덕적 감동을 일으켜 기존의 경직된 정치사회 분위기를 완화해 가게 했다는 점, ③ 정몽주 충절 표창의 관점은 왕조시대의 선왕 승계의식에 따라 태종 이후에도 공직 기강확립의 에너지로 삼으며 의리 중시의 학풍을 일으키게 했다는 점 등이다. In the late 14th century, general Lee Seong-gye(李成桂) destroyed the Goryeo Dynasty. And in the process, his son(Lee Bang-Won, 李芳遠) killed Jeong Mong-Ju(鄭夢周, 1337∼1392)who was a prime minister of the Goryeo Dynasty. About eight years later from that time, Lee Bang-Won became monarch(King Tae Jong) in three units of the Joseon Lee-Dynasty. Nevertheless, Kwon Geun(權近) said that the death of Jeong Mong-Ju was a case of the revolutionary process should but praised his patriotism. And, King Tae Jong accepted the proposal after long consideration. But it was a paradox in the point of his past actions. Looming in such a paradox was any meaning? About this question, I noticed the following fact. ① National patriotism was needed in the bureaucrats for political development, ② Embrace the potential opponents to create political stability of atmosphere was reached, ③ To build a better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discipline. Thus since King Tae Jong of the royal court often held worship of Jeong Mong-Ju as a model of bureaucracy. And he so highly regarded study as certificates of the Joseon Dynasty scholars. Because at the time his academic and abilities were so excellent. As described above, even if Jeong Mong-Ju had killed, but his true potential was utilized for development of political cultures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고려말, 조선초의 신흥무인(新興武人) 마천목(馬天牧)

        변동명 ( Byeon Dong-myeon )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20

        이 글에서는 마천목을 고려말 조선초에 등장한 새로운 세력, 곧 신흥무인의 한 사례로 검토하였다. 먼저 마천목의 사회적 배경과 함께 그가 벼슬길에 오르기까지를 더듬었으며, 뒤이어 조선초기의 정변에 가담하여 공신으로 책봉되고 또한 이후 공신이자 고위 무신으로 활약한 내용을 훑어본 다음, 마지막으로 마천목의 그러한 출세에 힘입어 마씨 일족이 곡성 지역사회의 주요한 일원으로 뿌리내린 모습을 살폈다. 마천목은 長興府 會寧縣이 본관이었는데, 모친 平山申氏의 연고를 좇아 谷城으로 이주 하였다. 그는 24세 되던 우왕 7년(1381)에 散員으로서 처음 환로에 올랐다. 장흥 내지 곡성의 토착세력이라는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전라도의 軍籍에 올라 鄭地의 휘하에서 군사 활동을 통해 添設職을 얻었다. 마천목은 고려말에 지방의 토착세력으로서 무공을 세워 첨설직을 받아 관직에 진출하였다고 하는 이른바 신흥무인의 한 전형이었다. 마천목은 조선왕조의 개창과 함께 靖安君 李芳遠 곧 후일의 태종 휘하로 들어갔다. 그리하여 군사적 능력과 충직함을 바탕으로 태종의 신임을 얻어 司直으로 발탁되었다. 마천목은 정변에서 태종의 명을 직접 시행하는 측근 무인이었다. 태종을 받들던 공신들 중에서 행동집단에 속하는 인물이었거니와, 그 결과 사직에서 대장군으로 특진하고 뒤이어 상장군에 올라 고위 무장의 반열에 들었으며, 태종이 즉위한 후 좌명공신으로 책봉되었다. 공신에 오른 이후 마천목은 줄곧 군사적 직임을 맡아 활약하였다. 중앙군 최고지휘부의 일원으로 궁궐 숙위와 도성의 순찰을 관장하였다. 권력의 향배를 좌우하는 軍權의 행사에 마천목이 깊이 관여하였으며, 군부의 유력자로서 무시할 수 없는 정치적 비중을 지닌 존재였다. 마천목은 국방의 문제에도 관여하였다. 여진족의 움직임에 대비하도록 지명된 고위 무신 중의 하나였으며, 또한 전라병영성을 축조한다든지 혹은 축성을 통한 군비 확충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등 국방력 강화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고려말에 신흥무인으로 몸을 일으켜 조선왕조에 들어 태종의 신임 속에 공신으로 책봉되고 군부의 유력자로 활약했던 그는, 평생을 武職에만 전념한 전통시기 무인의 전형이었다. 마천목의 비상한 출세는 곡성의 장흥마씨에게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장흥마씨는 처음 모계인 평산신씨의 도움으로 곡성에 정착하였지만, 머잖아 지역사회에서 손꼽히는 유력 가문으로 자리를 잡았다. 마천목이 지역의 협조를 얻어 豆可川 魚梁을 개설하였다든지, 혹은 마씨 일족의 거처를 피해 知申驛이 다른 곳으로 옮겨갔다는 풍설 등이 그 증거였다. 외부에서 이주해온 세력이었음에도 곡성의 장흥마씨는 마천목의 출세에 힘입어 비교적 이른 시일 내에 유력 가문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조선후기에 이르도록 내내 그 지위를 유지하였다. Ma Cheonmok was a newly risen military officer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Though his clan seat(bon’gwan) lay in Hoeryeong county, he moved sometime to Gokseong county conforming to his mother’s ties to depend upon. When he was 24 years old, in the seventh year of King U(1381), he made a start to enter the government service as Sanwon. He was listed in the army register of Jeolla province as a man from indigenous influential family in Hoeryeong or Gokseong county and distinguished in war under a famous general Jeong Ji. By means of such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he gained his first official post Sanwon which was a sinecure appointment. In a word, Ma Cheonmok was a model of newly risen military officer who gained a sinecure appointment by means of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as a person from indigenous local elites and entered the official world in late Goryeo. While Joseon, a new dynasty was established, Ma Cheonmok joined the troops under Yi Bangwon(the later King Taejong, 1400~1418). Because Yi Bangwon took charge of Jeolla province army in Joseon’s early years. Ma Cheonmok was chosen and promoted by Taejong based on his military ability. He obtained Taejong’s confidence through exerting himself faithfully. Ma Cheonmok took an active part in two coups d’etat in Joseon’s early years as a confidential retainer of Taejong’s. As he was a soldier standing by lord’s side who executed Taejong’s direction immediately, he was so to speak a member of action group among Merit Subjects supporting Taejong. As a result he got a double promotion of military grade from Sajik to Daejanggun and soon was raised to Sangjanggun, the highest military grade. After Taejong came to the throne, he was invested with Merit Subjects. Ma Cheonmok played an active part in military functions all along since he was raised to Merit Subjects. He took charge of guarding the palace and patrolling the capital as a member of the highest army circles that commanded the central government forces. He participated deeply in exercising military command which had a great influence upon political power and took an active part with political weight as an influential person over the military. Ma Cheonmok had part in national defence affair. He was one of high military commanders who were designated to watch northern Jurchen’s movement. Still more he was concerned about strengthening the national defence. He constructed the castle of Jeolla Army Command and proposed necessity to build up armaments through fortification. Ma Cheonmok who advanced in life as a newly risen military officer in late Goryeo, being invested with Merit Subjects and playing an active part as an influential person over the military with Taejong’s confidence in early Joseon, was as it were a typical warrior in traditional age who devote his attention to military duties through life. Owing to Ma Cheonmok’s success in the military officer order, the Jangheung Ma families became a prominent figure in Gokseong county. Though they moved to Gokseong from Jangheung county during the confused period, the Ma families established themselves as a prominent family admitted by indigenous local elites within relatively short time. Since then the Jangheung Ma families maintained their position as a influential family up to late Joseon.

      • KCI등재

        정몽주 숭배의 변화와 위인상(偉人像)

        김인호(Kim In-ho) 한국역사연구회 2010 역사와 현실 Vol.- No.77

        JungMongJu(鄭夢周) is a great man today. He is a symbol of the loyality for Goryo dynasty. And he has respected for a excellent schola to Neo-confucian so called SungLiHak(性理學). Also JungMongJu saved the people who had captured by the Japanese pirates. He is a great diplomatic official. It is a dramatic event which JungMongJu s death is the end of Goryo dynasty. His death is a historical truth but we have known very well to his death s story. I like this story when I was young. However his death's story is true? No. Frankly speaking his death's story is not true. This story have three important points. First, about the meeting of JungMongJu and LeeBangWon(李芳遠). Two person met at LeeSungGe's house before the death of JungMongJu. JungMongJu and LeeBangWon wrote a poem which had a question and answer to Goryo dynasty's destiny. This poems had put in the book at 18'c. But the book published by the son of JungMongJu, this poems have not. Then I doubt this poem's writer, which is not JungMongJu. Second, This is a doubt about the location of his death. He had dead to the bridge named SunJuckKyo(善竹橋). We know SunJuckKyo is not named originally. Origin name is SunJikyo. But This name is changed by the his death. It is not found the records of book named Goryosa(高麗史). SunJuckKyo's story has mentioned to the books after 17'c. Truly I have known the location of his death, where is the near JungMongJu s house. Third, We have known the story of a dead man with JungMongJu. This man is named KimGungJo(金慶祚). But his name is not known to people early. I think his name to make it for the worship of loyality. The legend have made a historical truth. We know the estimation of JungMongJu has changed by times. In 15'c this estimation was not good. Because he was against Chosen dynasty. But his reputation recovered by LeeBangWon, king TaeJong(太宗). This is a historic irony. King Taejong gave a offical post to JungMongJu's sons. In 16'c Sarim group had paid respect to JungMongJu for their great master. They argued about a religious service in private schools called SeoWom(書院). The story of JungMongJu's death had made a complete drama in 17'c. His myth had spread out to people. JungMongJu was very significant person who is a symbol of loyality. His death location was known by people is called the bridge SunJuckKyo at this time. King YoungJo(英祖) had built a monument at SunjukKyo. SunJuckKyo had been a code of JungMongJu's image. In 19'c JungMongJu's story made to a novel. This novel's name is SunJuckKyo and written by Hangul. After this novel, JungMongJu's myth has influenced on us. We has believed this myth to a history today. But I think a historian have to know a difference to myth and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