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의 지형도 그리기

        김형숙(Kim, Hyung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In the educational circles of South Korea. where convergent, consilient,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s become the issue of the day.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may be seen as the most actively discussed topic in both the academia and the field. However, while interest in the fostering of convergent and talented people has led to active discuss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nuanced discussions on diverse levels such as the convergence of artistic genres, art and the humanities, art and science/technology, humanities and science/technology have yet to occur. The diverse areas of arts and technologies could be demonstrated by the convergence of sense and technologies. This convergence between sense and techniques are explained as the convergence of the use of new media, artistic techniques. and the process of creation. The convergence of arts and technologies brought about the shift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sifts of these meant that the process of cognition, convergence edu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elf-voluntariness of project learning, ICT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meeting the interest in and demand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STEAM) convergence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and develop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project learning that makes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theoretical basis of project learning as discussed in constructivist theory and then add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and educational discussions on project learning that makes use of ICT. Second. it proposes operation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art and sci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Through such examinations.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educational effect of ICT-based project learning on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It seeks to prove that visual arts education is not education merely for learners' functions and expressive techniques but a program to develop their exploratory processes, problem-solving abilities. voluntariness and activeness. and high-level cognitive abilities. 융합, 통섭, 학제간 연구와 교육의 상관성은 과연 무엇인가? 국내 교육계에서 논의 되는 이러한 이슈는 융합인재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관심으로 학계에서냐 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융합형 인재 양성에 대한 관심이 과학과 기술 영역에서부터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만, 예술 장르간 융합, 예술과 인문학간의 융합, 예술과 과학기술간의 융합, 인문학과 과학기술간의 융합 등 다양한 층위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정치(精微)하게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 (STEAM)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과 요구에 부응하여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에 토대를 둔 융합인재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융합의 지형도 그리기를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과 융합인재교육과정 개발의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구성주의 이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프로젝트 학습의 이론적 토대에 관해 고찰해보고, 둘째 ICT 활용의 프로젝트학습의 특성과 교육적 논의에 관해 다룬다. 그리고 미술과 과학의 융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ICT 기반의 프로젝트 학습이 융합인재교육과정에 미치는 교육적 성과에 관해 논의한다. 미술교육이 단순히 학습자의 기능과 표현기술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학습자의 탐구과정, 문제해결력, 자발성과 능동성,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함양하게 되어 여러 지식의 법주를 넘나들며 연결 짓고 자아성찰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의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는 과정임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창의·융합 독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모형 개발

        강정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design teaching that includes processes,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Thes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s were developed as formative research that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expert interviews, and a pilot study. This study produced several results. Firs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includes the processes and principles needed for systemic and systematic design principles, which translates into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Second, these macro-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use the principle of convergence, finality, diversity, solving problem, and experience, which are executed through unit teaching. Third, these micro-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use the processes,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of five design stages which are executed through lesson class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give the result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to the teachers, and then they suggest various interventions that help improve creativity convergence instruction. The three types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troubleshooting-type class model, team challenge-type class model, and individual challenge-type class model) for creativity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teachers and learners, which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problem-solving, collaboration, discussion competences, and reading strategies.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융합 독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탐색과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현장 실행 가능성이 높은 수업절차 및 과정, 실행지침, 고려 및 주의사항이 포함된 실천적인 수업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연구를 적용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이론적 교수·학습방법 및 모형을 개발하고 전문가검토와 현장적용을 통한 형성평가를 거쳐 실천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창의·융합 독서교육 교수·학습방법 및 모형은 첫째,독서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들과의 창의·융합을 위해 학습준거의 틀 속에서 독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거시적 전략과 미시적 전략을 통합하고 구조화시켜 제시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읽기 자체의 기능 및 전략학습을 위한 독서학습과 글에 담긴 내용, 개념의 이해 및 파지를 위한 학습독서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독서교육을 위한 창의·융합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가 함께 이루어지는 총체적 언어학습을 위한 통합적 학습내용 및 환경에 부응하도록 창의·융합 수업모형을 크게 세 가지 유형인 문제 해결형, 팀 과제형, 개인 과제형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각각의 수업모형들은 교사들의 수업설계 및 실행의 효율성, 효과성을 높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절차 및 과정, 절차별 실행지침과 더불어 핵심적인 독서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수업전략 및 모형들은 현장 교사들이 창의·융합 독서교육을 위해 단원수준, 차시수준의 수업을 설계하고자 할 때 필요한 수업전략 설계 정보를 거시적 전략과 미시적 전략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창의·융합 독서수업을 실행할 때 도입, 전개, 정리 단계별로 창의·융합 수업전략과 함께 독서전략을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수업실행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평생교육 문화융합(cultural convergence) 기반의 발달장애 재활 설계 요소 개발 : 재활과학-특수교육 기초 유관 분야 구심점

        김영준,한승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독립생활 지원을 위한 실천적 지원체제에 있어 핵심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평생 교육과 발달장애재활 간 문화융합을 위한 설계 요소를 개발하는 데 목적를 두었다. 연구 방법은 특수교육, 재활과학 을 전공한 교수들을 대상으로 2개의 팀을 구성하여 FGI를 실시한 절차가 적용되었다. 연구 내용은 발달장애재활과 장애인평생교육 간 문화융합을 위해 설계되어야 할 요소들이 크게 세 가지의 상위 범주(보편적 문화융합 요소, 현장 중심 문화융합 요소, 정책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각 상위 범주별로 하위 범주가 구체적으로 구 성되었다. 먼저, 보편적 문화융합 요소로는 원리적 차원에서 “개방적 창의융합”이 제시되었고, 이는 발달장애재활과 장애인평생교육 간 문화융합을 위해 유관 분야 간 융합 타당성을 탐구 및 실천하는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두 번째 로, 현장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는 재활과학-특수교육 분야 간 공동 실천 모델 개발, 교과교육 지식 및 기술, 교수․학 습방법, 학습 진로 로드맵 구축, 취업․직무경력 개발 로드맵 구축, 독립생활 개발 이력 인증체계 형성이 제시되었다. 세 번째로, 정책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는 지역 유관기관 간 교육과정적 통합 구성체계 형성, 코디네이터형-전문교사 형 전문인력의 자격개발경로 구축, 학교 유형-센터 유형 간 조직적 체계화가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의 독 립생활 지원은 성인기의 전체 생애 동안 장기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문화융합을 통하여 장애인평생교육 기반 발달장애재활의 전문적 지원체제가 구축되어야 함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design elements for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is a key area in the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independent life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procedure for conducting FGI by forming two teams for professor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was formed. The research was presented in three upper categories (universal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field-centered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and policy-centered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that should be designed for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subcategories were specifically composed for each upper category. First, as a universal cultural element, open creative convergence was presented in principle, which can be explained as a principle of exploring and practicing the validity of convergence between related fields for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field-centered cultural factors included development of joint practice model between fields of rehabilitation science and special education, subject matter education knowledge and skil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earning career roadmaps, employment and job career development roadmaps, and the formation of an independent life development history certification system. Third, as policy-centered cultural elements, the formation of a curriculum integration composition system between local related institutions, the establishment of a qualification development path for coordinator-professional teacher-type personnel, and the organizational systematization between school-center types were presented. The study concluded that independent life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not only be guaranteed for the entire life of adulthood, but also a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ased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ultural convergence.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 융합교육의 구현 방안 모색 -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중심으로

        노대원,김성백,염미경,이소영,김세헌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20 No.2

        This research aims to estimate the potential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at traverses the discipline of natural science, computer technology,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Besides, it attempts to integrate various technologies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to examine the ways of developing, sharing and spreading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that may be applied to the fields of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model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tudies, as well as overall framing of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models. The first model deals with technology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her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ntegrated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Meanwhile the second model deals with Jeju local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hich is focused on educating global citizenship, excavating examples of local based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applying them to local community. Finally, the third model deals with narrative culture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at aim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that traverse disciplines of ‘science and literature’,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and ‘local culture and literary/social studies.’ 이 연구는 과학, 컴퓨터, 문학, 사회 교과의 울타리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의 실천적 가능성을 가늠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학제 간(interdisciplinary) 융합교육에 접목하며,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만한 융합 교육을 위한 교수법 및 교육콘텐츠를 개발, 공유, 확산하는 방안들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세 유형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세 유형의 융합교육을 다시 연계시키는 융합교육의 전체 구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컴퓨터 학제 간 융합 연구를 포함하여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접목한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테크놀로지 및 네트워크를 응용한 ‘과학기술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둘째, 교육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역점을 두면서 지역기반 융합교육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적용한 ‘제주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육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문학’ ‘문학-사회’ ‘지역문화-문학 및 사회’의 학제 간 융합교육의 교수법 및 교육콘텐츠를 개발하는 ‘서사문화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 기반 융합교육 및 융합교육 연구의 방향과 구도를 세우는 데 이 연구는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교사양성대학의 미래형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김은정,진선숙,박일수,우상도,신수범,한명숙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6 敎育論叢 Vol.53 No.4

        본 연구에서는 창의, 인성, 고전, 지역 연계 등을 각 교과목에서 융합시키는 미래형 융합교육과정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2015년 제 2학기에 공주교육대학교에서 20개의 강좌가 ‘창의, 인성, 교과융합, 고전, 지역연계’의 키워드와 융합하여 운영되었다. 그 적용의 결과 및 교사 양성 교육과정 운영 면에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섯 가지 키워드와 융합된 강좌들은 교과목 중심의 융합이 가능하다. 수학과 인성이 융합 된다든지, 음악과 체육이 융합되고, 고전읽기와 창의적 글쓰기가 융합되는 등의 융합이 이루어졌다. 둘째, 미래형 융합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다섯 가지의 융합 키워드를 경험하고 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 뿐 아니라 대처방식과 운영방법을 효율적으로 익히게 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보인 미래형 융합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체험한 협업, 실제적 경험, 특강 등은 기존 강좌의 수업보다 더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교사교육을 제공한다.

      • KCI등재

        대학융합교육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 인식 조사

        전영미(Jeon, Youngm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학습자들에게 융합교육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에서, 대학에서의 융합교육이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그리고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대학의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융합교육의 개념과 목적, 성과, 전제조건 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사립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자와 학습자를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에서 융합교육을 경험한 교수자와 학습자보다 경험하지 못한 교수자와 학습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필요성에 대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그리고 현재 대학에서 운영되는 융합교육의 개념과 바람직한 융합교육의 개념, 목적, 전제조건 등에 대해 교수자와 학습자는 서로 다른 응답을 하였다. 융합교육의 성과에 대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정의적인 성과를 더 중요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융합교육 활성화 및 운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융합교육이 미흡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좀 더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 소속 교수자와 학습자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황을 분석하여 대학 특성에 맞는 융합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정립하고, 융합교육운영에 따른 부담감을 해소하는 제도적 장치나 평가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둘째, 학교 차원에서 융합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정립하고 가이드를 마련한 후에는 이를 교수자에게 알리고, 또한 교수자는 학기 초 학습자를 대상으로 융합교육의 목적, 수업 활동 등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시행하도록 하는 체계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융합교육이 단순 흥미 위주의 수업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대상으로 융합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n the concepts, goals, preconditions, an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y, and considered the results as a groundwork for deciding its future direction and management. Professors and students in university located in the capital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questionnaire utiliz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the number of professo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onvergenc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who did not, but both indicated low awareness of this concept. Nevertheless, the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 overall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thus showing a positive intention to practice (or take the class). Second, professors and student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n the concepts, goals, preconditions, an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although they all emphasize emotional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oncepts and goal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y be established first by analyzing the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s, competencies, and the university’s situation. The school system, regulations, or assessment likewise need reformation to lessen their burden. Second, system development is necessary to verify the convergence education appropriate for a university, and important information on convergence education needs to be properly disseminated. Third, this information should be shared with the students during the first class by orientations and briefing, and the university should monitor this process continuously. In order to avoid practicing convergence education simply out of curiosity, each university should regularly conduct workshops and seminars for professors and students.

      • KCI등재

        재취업 교육생의 IT융합창업교육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성수(Seong-Soo Ha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최근 IT 기술과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통한 IT융합기술이 산업 전 분야에서 타나고 있다. 또한 교육 분야에서도 IT기술을 접목한 IT융합창업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IT융합기술은 컴퓨팅 사고력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여 IT창업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재취업 교육생의 IT융합창업교육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재취업 교육생 195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1일부터 2017년 7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사전에 연구대상자에게 설문 취지와 작성방법을 충분히 설명하고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취업 교육생 IT융합창업교육은 하위요인 교육내용, 강사, 학습구성원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시설은 자기효눙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재취업 교육생의 IT융합창업교육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IT창업관련 지원제도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IT convergence technology has been emerging in all industrial fields through convergence of IT technology and various fields. In addition, IT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incorporates IT technology, is being implemen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se IT convergence technologies are enhanc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computing thinking and the effect of I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effect of IT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self - efficacy of re - employment trainees. The subjects were 195 re - employment trainees from May 1, 2017 to July 20, 2017.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subject in advance and the purpose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method of writing were fully explained and the self - filling method was used. Analysis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T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reemployed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 - efficacy of sub - factors education contents, lecturers, and learning members. However, education faciliti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 - efficac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ill be a basic data for providing support system for IT start - up that can improve self - efficacy through IT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re - employment students

      • KCI등재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동진 ( Dong Jin Kim ),구덕회 ( Duk Hoi Ko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과학과 IT를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학과 IT의 적절한 융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에 적용할 수있는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로 설정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및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하여 총 4개 주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기존 과학과의 영역인 ‘물질, 운동과 에너지, 생명, 지구와 우주’에 속하는 단원 중에서 IT의 적용이 학습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단원을 선정하여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실험반과 통제반을 선정하여 두 반의 과학흥미도와 ICT 리터러시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과학흥미도와 IT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일부 학생의 실험 결과는 그 효과를 전체 학생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해져가는 우리 주변의 문제에 대해서 보다 융합적 사고를 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21세기에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이다. 즉, 과학과 IT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한 가지의 방법으로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ne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gainst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 by develop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topics w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2. Analysis of the applying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previous studies on IT convergence education and science program, and to analyze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of the sixth grade. Then, a new program which consists of four theme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selected one unit from the sixth grade textbook which was related to each of four following science fields, ``substance, movement and energy, biology, earth and universe``. The units were also selected based on appropriateness to apply the elements of IT. Finally, a teaching program with a suitable IT element for each theme was developed. To apply the developed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program, one class was pre-selected while other classes followed traditional education.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 and post-test for interest in science and ICT literacy was conducted. As a result, tw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These results imply that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rom this study has a great potential to help students to improve ICT literacy and interest in science ompared to other existing education programs. However,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developed program sole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unreasonable. Nevertheless, in modern society with more complex and diverse Science IT, the convergence of thinking and IT literacy are very important skills for learners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for new convergence education has enough significance in developing bright minds with convergence thinking skills.

      • KCI등재

        재취업 교육생의 정부지원 IT융합창업교육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성수(SeongSoo Han),김정중(JungJoo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기존의 기술은 IT기술과 융합을 통해 새로운 IT융합기술 분야와 가치를 창조하고 있다. 또한 재취업 교육생의 취업을 위해 IT융합창업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IT융합기술 인재 양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취업 교육생의 정부지원 IT융합창업교육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재취업 교육생 170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 1일 부터 2017년 7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재취업 교육생 융합교육의 하위요인 중 교육내용이 교육성과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취업 교육생 정부지원 IT융합창업교육은 하위요인인 교육내용, 강사, 학습구성원이 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은 본 연구의 결과가 재취업 교육생의 교육성과에 중요한 영향력이 있는 정부지원 IT융합창업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isting technologies are converging with IT technology and creating new IT convergence technology fields and values. In addition, IT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training is required for employment of re-employment trainees, Through this, it is required to cultivate talents of IT convergence technology with technology and competitivenes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T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educational outcomes of re-employment trainees. A survey was carried out on 170 re-employment trainees from June 1, 2017 until July 31, 2017. Analysis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convergence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relative influence on educational outcomes. Second, sub-factors of IT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re-employment trainees, such as content of education, instructor, and group member,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al outcomes of re-employment traine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IT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which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outcomes of the re-employment trainees.

      • KCI등재후보

        정보영재아동의 예술영재성 분석연구

        전우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giftedness in IT and artistic giftedness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Currently gifted education is going on as a form of convergent education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since 2013. Therefore, in current gif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various convergent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rts, and technology are included as well as information subject. In this paper, correlation between giftedness in IT and giftedness in convergent subjects especially artistic giftedness is analyze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gifted children in IT who have attended a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at Seoul are selected. Their scores are gathered and analysed. The thorough statistical results indicates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subject and artistic subject. It means that the higher scores information subject is, the lower scores artistic subject is. The statistical results can be used as important baseline data on gif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