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워커의 자연주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이 대학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탐구

        최혜미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4 No.4

        융합전공은 둘 이상의 전공이 융합하여 제공되는 새로운 전공으로, 융합전공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전문가들이 교육과정 개발자로 참여하여 서로 의사소통하고 타협 및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Walker의 자연주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은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숙의를 통해 타인의 입장에 반응하고 의견을 조정하는 과정을 강조한다. 이러한 모형은 전혀 다른 전공 분야와 배경지식을 가진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참여하는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에 적합하다. 이에 이 연구는 자연주의 교육 과정 개발모형이 대학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융합 전공이 가진 특수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숙의 집단은 융합전공 관련 전문가 및 관계자 들을 다양하게 구성해야 한다. 또한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의 출발점은 토대가 되어야 하며, 융합전 공이 추구하는 가치를 바탕으로 여러 대안 중 가장 적합한 방안을 검토하는 숙의 과정이 필요하다. 설계 단계에서 의사결정을 진행할 경우에는 융합전공의 지향점과 바람직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Convergence major is a new major provided by converging two or more majors, and in order to develop a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various experts need to participate as curriculum developers to communicate, compromise and coordinate with each other. Walker's naturalist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emphasizes the process by which curriculum developers respond to others' positions and coordinate their opinions through deliberation. This model i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involving curriculum developers with completely different majors and background knowledge.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e naturalist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convergence majo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convergence major, and the deliberative group should consist of various experts and officials related to the convergence major. In addition, the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should be the platform, and a deliberation process is needed to examine the most appropriate alternatives based on the value pursued by the convergence major. When making decisions at the design stage, the directional goal and desirability of convergence major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A. N. Whitehead의 "과정(process)"에 내재된 융합교육과정의 의미

        성정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5

        융합교육과정의 “융합(convergence)”은 교육적 개념으로 재개념화 될 필요가 있다. 창조적 생성의 원리인 Whitehead의 “과정(process)”은 융합교육과정의 특수한 의미를 밝혀 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이다. Whitehead의 과정은 합생(concrescence)과 이행(transition)의 과정으로 구분된다. 합생은 다자(many)가 일자(one)로 통일되어 새로운 현실적 존재를 창조하는 과정이며, 이행은 창조된 현실적 존재가 다자들로 편입되어 세상 만물의 하나로 자리잡는 과정이다. Whitehead의 과정에 내재된 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교육과정은 새로운 지식 창출이 가능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함축적이면서 중요한 교육 내용을 토대로 구성된 교육과정이다. 융합교육과정의 융합은 창조적 인재의 육성을 위한 토대 마련이라는 목적이 있다. 둘째, 융합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지적 성장과 인성의 성장이라는 두 가지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이다. 융합교육과정은 지식으로서 교육내용 뿐만 아니라 교육내용의 구성방식인 교육방법적인 면에서 지적 성장과 인성의 성장을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Whitehead's Process”. Educational convergence has been recognized as a kind of academic convergence. However, education is a special area. Whitehead's process is the principle of creative becoming. Whitehead's process is the suitable concept of educational convergence. Whitehead’s “process” consists of “concrescence” and “transition”. “Concrescence” is a process that “many” generates “one”. “Transition” is a process that “one” transfers to “many”. The meaning of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Whitehead's process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the convergence curriculum is comprised of implicative and important contents. The convergence curriculum should rear talent to creat new knowledge. “Convergence” of convergence curriculum aims to prepare a foundation of effective curriculum. Second, the convergence curriculum promote intellectual growth and growth of character. Convergence curriculum should be made up of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s.

      • KCI등재후보

        정보영재아동의 예술영재성 분석연구

        전우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giftedness in IT and artistic giftedness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Currently gifted education is going on as a form of convergent education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since 2013. Therefore, in current gif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various convergent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rts, and technology are included as well as information subject. In this paper, correlation between giftedness in IT and giftedness in convergent subjects especially artistic giftedness is analyze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gifted children in IT who have attended a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at Seoul are selected. Their scores are gathered and analysed. The thorough statistical results indicates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subject and artistic subject. It means that the higher scores information subject is, the lower scores artistic subject is. The statistical results can be used as important baseline data on gif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현재 영재교육은 2013년 이후 정부의 시책에 따라 융합영재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영재교육과정에 있어서 정보영재아동은 정보과목 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예술, 기술 등 다양한 융합과목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아동의 융합과목에 있어서 특히 예술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기초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및 분석 결과 정보영재성과 예술영재성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정보과목 점수가 높으면, 예술과목 성적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과정 구성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초등 융합교육과정의 특징과 융합수업 모형 분석

        Jiuxiang Li,김선미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최근 중국 기초교육 개혁의 주된 관심으로 대두되고 있는 초등학교 융합교육과정의 특징과 실행을 이해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 융합교육과정 정책 자료와 초등학교 융합교육과정 관련 문건, 그리고 중국학자들의 초등 융합교육과정에 대한 최근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중국 융합교육과정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융합교육과정을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어떠한 융합수업 모델들이 제시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지역 교육청과 학교 수준의 융합수업 모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은 2001년 교육과정 개혁을 통해 통합교육과정을 도입하게 되었으며, 이를 기본 바탕으로 이후 개정과 보완을 통해 실질적인 운영과 실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심화 발전시켜 나가고자 하였다. 2014년 개정교육과정 이후에는 핵심역량을 구심점으로 하는 주제 중심 융합교육과정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과목 지식의 학제 간 연결을 넘어서 생활과 교수방법 측면에서의 총체적인 통합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융합수업을 강조하고 있었다. 특히, 스포츠, 노동, 과학기술 영역을 융합교육과정에서 주요 교과목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 초등교육에서는 융합교육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융합수업 설계를 위한 수업모형을 활발히 연구하려는 추세에 있지만, 아직은 대체로 실험단계에 놓여 있으며, 향후 각 지역의 학교 단위로 점차 박차를 가하여 다양한 지역에 균형 있는 확산이 진행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Chines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especially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of it which has recently become a critical issue in Chinese educational reform. It focuses on Chinese educational reform policy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from 2000 to present, as well as the model develop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provided by region and school levels in China. For this inquiry, materials such as the curriculum documents of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since 2000 and school districts in China were thoroughly reviewed. Also, it intended to analyze the research works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models of it produced mainly by Chinese scholars. China introduced an integrated curriculum through curriculum reform in 2001. After that, it had been expended in depth to enable operation through continuous revision and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models. In particular, through the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in 2014, Key-skills and subject-centered integrated curriculum became central points on curriculum issues. It was noticed that the Chinese curriculum emphasized to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connected with daily life and learning process beyond the simple interdisciplinary connection of subject knowledge. It is found that school subjects such as Sports, IT & science, and labor education were more emphasized among school subject matters than previous curriculum. In order to help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model schools or pilot schools were selected and being tried to study actively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but it is yet at the beginning, and the balanced spread toward each local school unit is expected to accelerate.

      • KCI등재

        국내 예술, 디자인대학의 융합 교육 현황 및 제안

        윤미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사회 전반에 학문 영역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융합.통섭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세계적인 대학이 융합교육과정을 채택하면서 예술.디자인대학의 교육과정도 학과나 전공중심의 교육과정에서 융합교육과정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예술.디자인대학의 융합교육과정과 교과목 개발은 초기 단계임으로 학제적 연구의 교과목 개발 및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의 필요성 및 사회 현상, 세계 선진대학의 예술.디자인 영역 융합교육과정 및 교과목개설 현황, 국내 예술.디자인대학 교육과정 및 교과목개설 현황 등을 연구 한 후 융합교육과정 및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국내 예술.디자인대학의 융합교육에 관한 연구는 서울.경기권 15개 대학의 교육과정을 연구한후에 세부적으로 시각디자인학과와 산업디자인학과의 교육과정을 연구.분석하였다. 해외 사례연구는 프렛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 파슨스 디자인학교 (Parsons School of Design) 등을 중심으로 시각 및 산업디자인 전공의 교육과정을 연구.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의 융합교육과정 개설현황을 분석하면 시각디자인학과에서는 디자인과 문화, 디자인과 심리학, 디자인마케팅, 디자인과 비즈니스 등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산업디자인학과에서는 디자인과 마케팅, 디자인과 비즈니스, 디자인과 매니지먼트, 디자인과 인간공학, 디자인과 감성공학 등의 융합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융합교과목의 대부분이 이론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음으로 이론과목과 실기과목의 조화에 바탕을 둔 융합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 서울대학교 ‘통합창의디자인(Integrated Creative Design) 연계전공`과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 연계전공`을 개설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개별교과들을 다양하게 이수하도록 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병렬적으로 나열하는 융합교육과정 함께 다양한 학문 내용을 하나의 통합 콘텐츠로 구성하여 교과목을 개설하는 다학문통합의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 산업디자인 영역에서 이순종 교수가 제안한 IPDI((Institute of Product Design Innovation) 교육과정은 디자인, 경영, 공학의 대표적인 융합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융합교육과정은 대학의 융합 교육목적과 인재상에 따라 융합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융합방식이 다양하게 채택되어야 할 것이다. 융합교육과정은 전공에 따라 융합방식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산업디자인영역에선 경영학과 공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융합교육을 시행하고 있다면, 시각디자인 영역에서는 심리학, 문화, 기호학 등을 중심으로 융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융합교육과정의 운영에서 교육방법 및 평가방식, 지원체제 등의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디지털시대에 부응하는 융합교육 연구는 좁은 의미의 예술.디자인 관련분야 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및 공학 등의 학제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 예술디자인 대학의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the boundary between study subjects have been blurred and the tendency of fusion and consilience is becoming prevalent. Since 1980s, the world-class universities have been prone to adopt and change their directions into convergence education. Along with this paradigm shift, art and design education in university is also changing its major-centered curriculum into converge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owever, art and design education needs to make reform in its curriculum and subject development on the basis of convergence strategy. This research presents a development plan for convergent curriculum and the corresponding subjects in art and design college of Korea after analysing the educational templates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advanced countries. For the research of domestic status, the curricula of visual design and industrial design majors of fifteen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were analyzed. For the case of foreign institutes, Pratt Institute and Parsons School of Design were for comparison analysis. After searching on the course establishment based on convergence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several newly-opened classes were found - Design and Culture, Design and Psychology, Design Marketing, and Design and Business in the department of vidual design, and Design and Management, Design and Human Engineering, and Design and Sensibility Ergonomics in industrial design major. Likewise, the majority of convergent courses are fundamentally theory-based, thus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classes for practice as well. Recently, both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have established an interdisciplinary study courses of Integrated Creative Design, and Fusion Design, but the institutes still continue providing the traditional subject for a variety of choices. This way of arranging separate types of courses will develop into multidisciplinary study. In industrial design area, Professor Lee, Soon-jong has proposed a new curriculum of IPDI (Institute of Product Design Innovation), which is recognized as a epitome for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curriculum for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talents as well as varying its content by different majors. For example, if industrial design major combines the aspects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vidual design major is to amalgamate subjects like psychology, cultural study, semiotics and so on. Moreover, there will be need for discussion on the management method, and evaluation and support systems for the convergent curriculum. In short, convergent education that meets the digital age means appropriate interdisciplinary studies between art and design, and human science and engineering. This type of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apply and vitalize the utiliz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in domestic art and design college.

      • KCI등재

        융합 교육과정의 평가 내용 범주 탐색

        유성열,정광순 한국교육과정학회 2023 교육과정연구 Vol.41 No.1

        이 연구에서는 융합 교육과정 실행을 통해서 학생이 배운 내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융합 교육과정 평가 내용 범주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교실에서 실행한 여섯 개의 융합 교육과정 사례를 수집하고 교사 대상 인터뷰를 중심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융합 교육과정을 통해서 학생이 배운 내용을 의도 관련 ‘유’와 ‘무’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의도 관련 ‘유’는 공식적인 의도였는데 이는 융합한 교과의 성취기준과 융합 교육과정을 개발한 이유나 목적으로서 융합 교육과정을 개발한 의도였다. 의도 관련 ‘무’ 는 학생이 스스로 구성한 지식으로 다음 두 가지, 하나는 개별 학생에게 의미 있는 지식이었고, 다른 하나는배움을 돕고 지원하는 학습을 위한 관계 지식이었다. 이 네 개의 범주는 융합 교육과정 실행을 통해서 학생이실제로 배운 내용을 의미하는 동시에 융합 교육과정을 통한 학생 성취를 평가할 때 평가해야 하는 내용에 해당하는 범주를 의미한다. 융합 교육과정 평가는 교육과정의 의도를 넘어서 좀 더 적극적으로 학생의 의도까지포섭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평가 내용의 범위를 보다 확장 혹은 개방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국내 예술⋅디자인대학의 융합 교육 현황 및 제안

        윤민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사회 전반에 학문 영역 간의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융합․통섭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세계적인 대학이 융합교육과정을 채택하면서 예술․디자인대학의 교육과정도 학과나 전공중심의 교육과정에서 융합교육과정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예술․디자인대학의 융합교육과정과 교과목 개발은 초기 단계임으로 학제적 연구의 교과목 개발 및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의 필요성 및 사회 현상, 세계 선진대학의 예술・디자인 영역 융합교육과정 및 교과목개설 현황, 국내 예술․디자인대학 교육과정 및 교과목개설 현황 등을 연구 한 후 융합교육과정 및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국내 예술․디자인대학의 융합교육에 관한연구는 서울․경기권 15개 대학의 교육과정을 연구한후에 세부적으로 시각디자인학과와 산업디자인학과의교육과정을 연구․분석하였다. 해외 사례연구는 프렛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 파슨스 디자인학교(Parsons School of Design) 등을 중심으로 시각 및 산업디자인 전공의 교육과정을 연구․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의 융합교육과정 개설현황을 분석하면 시각디자인학과에서는 디자인과 문화, 디자인과 심리학,디자인마케팅, 디자인과 비즈니스 등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산업디자인학과에서는 디자인과 마케팅,디자인과 비즈니스, 디자인과 매니지먼트, 디자인과인간공학, 디자인과 감성공학 등의 융합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융합교과목의 대부분이 이론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음으로 이론과목과 실기과목의 조화에 바탕을 둔 융합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 서울대학교 ‘통합창의디자인(Integrated CreativeDesign) 연계전공’과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 연계전공’을 개설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개별교과들을 다양하게 이수하도록 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병렬적으로 나열하는 융합교육과정 함께 다양한 학문 내용을 하나의 통합 콘텐츠로 구성하여 교과목을 개설하는 다학문통합의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 산업디자인 영역에서 이순종 교수가 제안한IPDI((Institute of Product Design Innovation) 교육과정은 디자인, 경영, 공학의 대표적인 융합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융합교육과정은 대학의 융합 교육목적과 인재상에따라 융합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융합방식이 다양하게 채택되어야 할 것이다. 융합교육과정은 전공에 따라 융합방식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산업디자인영역에선 경영학과 공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융합교육을 시행하고 있다면, 시각디자인 영역에서는 심리학, 문화,기호학 등을 중심으로 융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융합교육과정의 운영에서 교육방법 및 평가방식,지원체제 등의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디지털시대에 부응하는 융합교육 연구는 좁은 의미의 예술・디자인 관련분야 뿐만 아니라 자연과학 및 공학 등의학제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 예술디자인 대학의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the boundarybetween study subjects have been blurred and the tendency of fusion and consilience is becomingprevalent. Since 1980s, the world-class universitieshave been prone to adopt and change their directionsinto convergence education. Along with this paradigmshift, art and design education in university is alsochanging its major-centered curriculum intoconverge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however, art and design education needs to makereform in its curriculum and subject development onthe basis of convergence strategy. This researchpresents a development plan for convergent curriculumand the corresponding subjects in art and design collegeof Korea after analysing the educational templates andthe current status of the advanced countries. For theresearch of domestic status, the curricula of visualdesign and industrial design majors of fifteen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wereanalyzed. For the case of foreign institutes, PrattInstitute and Parsons School of Design were forcomparison analysis. After searching on the course establishment basedon convergence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several newly-opened classes were found - Design andCulture, Design and Psychology, Design Marketing, andDesign and Business in the department of vidual design,and Design and Management, Design and HumanEngineering, and Design and Sensibility Ergonomics inindustrial design major. Likewise, the majority ofconvergent courses are fundamentally theory-based,thus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classes forpractice as well. Recently, both Seoul National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haveestablished an interdisciplinary study courses ofIntegrated Creative Design, and Fusion Design, but theinstitutes still continue providing the traditional subjectfor a variety of choices. This way of arranging separate types of courses willdevelop into multidisciplinary study. In industrial designarea, Professor Lee, Soon-jong has proposed a newcurriculum of IPDI (Institute of Product DesignInnovation), which is recognized as a epitome for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curriculum for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in accordancewith different talents as well as varying its content bydifferent majors. For example, if industrial design majorcombines the aspects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engineering, vidual design major is to amalgamatesubjects like psychology, cultural study, semiotics andso on. Moreover, there will be need for discussion on themanagement method, and evaluation and support systemsfor the convergent curriculum. In short, convergenteducation that meets the digital age means appropriateinterdisciplinary studies between art and design, andhuman science and engineering. This type of researchis expected to help apply and vitalize the utilization ofconvergence education in domestic art and design college.

      • 인공지능 융합 교육과정 중심고 운영

        윤제성(Yoon Jeasung)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2020년 2월 교육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에 소질·적성이 있는 학생이 특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교과목을 다양하게 편성·운영하고, 더불어 고교 학점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공동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한 지역의 거점·중심 고등학교를 양성하겠다는 내용을 담아 『인공지능 융합 교육과정 운영』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17개 시도 교육청에서는 인공지능 융합 교육과정 중심고를 모집하기 시작했으며, 2020년 3월, 전국의 34개 학교, 2021년 3월에는 17개 학교가 추가되어 2022년 1월 현재에는 전국에 총 51개 학교가 인공지능 융합 교육과정 중심고를 운영하고 있다. 인공지능 융합 교육과정 중심고는 서두에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7가지 핵심 과제를 운영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첫째 교육과정 편성 운영이다. 둘째 원활한 교육과정 편성 운영을 위한 인적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교육이 이루어질 물적 기반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학교 특색의 창의적 체험 활동을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의 중학교 대상 홍보 활동을 시행해야 한다. 여섯째 AI 관련 진로, 진학 지도를 시행해야 한다. 이외에 인공지능 분야의 융합 교육자료(특히, 수학)를 개발해야 하며, 평가, 성과 발표회 등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 본교 역시도 2021년 3월, 인공지능 융합 교육 중심고로 선정되어 올 한해 준비기를 겪었다. 그러나 현행 대입 제도하에서 본 사업을 유치하고 운영하는 과정은 순탄치만은 않았다. 이에 본 학술 발표회에서는 인공지능 융합 교육과정 중심고란 무엇인지, 본 사업을 준비하는 과정에 대한 고찰을 나누고자 한다.

      • KCI등재

        Habermas의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 개발

        최성연,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hat integratesthree systems of action and to prepare a plan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achieve this goal,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econdary school dietary curriculum integrating three systems of action, the focus of development,core competencies, and goals were deriv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In this study, we set up perennial and sub-practicalproblems and selected content elements. The contents system of the developed curriculu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examining the validity of expert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dietary education curriculumwas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three systems of action. The content system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at integrated the three systemsof action is centered on practical problems, and the perennial problem is ‘What should we do to practice healthy dietary life?’There are five areas of this curriculum: ‘health and diet’, ‘food planning’, ‘food purchase and management’, ‘cooking’, and‘meal’, and the scope of curriculum is repeatedly expanded to ‘personal and family’, and ‘social’. The practical problems inthe five areas are composed of 10 practical problems in the two dimensions (personal & family, and society), and the practicalproblems and contents elements are spiralle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The contents of this curriculum were compared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elements of the dietary life in the 2015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middleand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the ‘home economics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developed curriculum encompassed additional content beyond all the content already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가정교과에서의 융합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해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식생활 교육과정의 특징, 개발의 중점사항, 핵심역량, 목표를 도출하였고, 국내외 식생활교육 문헌, 국내외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하여 항구적 문제와 하위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고,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가타당한지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하여 수정⋅보완하였고,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개발하였다.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되어있으며, 항구적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이 교육과정의 영역은 5가지로 ‘건강과 식생활’, ‘식단계획’,‘식품 구매와 관리’, ‘조리’, ‘식사’이며, 이 영역이 ‘개인과 가족’, ‘사회’로 교육과정의 범위가 반복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에따라 5개 영역의 실천적 문제는 초⋅중⋅고등학교 급별, 두 차원(개인과 가족, 사회)으로 10개씩의 실천적 문제로 구성되어있으며, 계열화의 원리가 적용되어 실천적 문제와 내용 요소가 나선형적 계열화가 되어있다. 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우리나라2015 초등학교 실과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가정과학 교육과정의 식생활 영역 성취기준 및 학습 요소와 비교한 결과,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더 추가된 내용이 있었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방향

        이수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 the present state in basic literacy curriculum and find the convergent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expands achievement standards but reduces detailed informations about basic literacy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KSL curriculum subdivides level and suggests sufficient and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And it also emphasizes basic literacy’s function as learning tool. I invested the basic literacy curriculum’s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nd suggested convergent method. As a result, I found three principals: First, Korean language and KSL curriculum’s convergence can rebuild basic literacy education for specific levels. Second, KSL and content-subjects curriculum’s convergence can grow Korean language ability as learning tool. Third,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s convergence can manage indivisualized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ccording to these principals, I suggested ‘basic literacy curriculum’s convergent management model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관점에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현황을 알아보고 교실 수준에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법을 논의하는 것이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은 한글 책임 교육 정책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초 문식성 관련 성취기준과 수업 시수를 대폭 늘렸으나 성취기준은 도달점 기준으로 간결하게 진술되어 구체적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비해 한국어 교육과정은 기초 문식성 수준이 세분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성취기준의 개수가 많고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또한 내용교과 학습을 위한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학습 도구로서 기초 문식성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으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과정들을 최적의 형태로 융합하는 관점을 제안하였다. 운영의 원리는 첫째,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에게 필요한 수준의 기초 문식성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 교육과정과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학습 도구로서의 한국어 능력을 충실히 길러주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평가를 융합적으로 일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원리를 고려하고 융합의 대상인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어 교육과정,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상호작용과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절차를 가시화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