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이선경(Sun-Kyung Lee),구하라(Hara Ku),김선아(Sunah Kim),김시정(Si-Jung Kim),문종은(Jong-Eun Moon),박영석(Young-Serk Park),신혜원(Hye-Won Shin),안성호(Sung-Ho Ahn),유병규(Byung-Gyu Yoo),이삼형(Sam-hyung Lee),이승희(Seung-Hee Lee),이은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융복합교육 관련 선행 연구의 문헌 고찰을 통해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틀을 이론적 차원에서 구안하고 이를 실제 학교 현장에서 융복합교육으로 실행되었던 사례의 분석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 구성틀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사례 분석을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행된 융복합교육 사례 중 융복합교육의 다양한 접근 방식을 대표할 수 있는 세 가지 사례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통해 이론적 수준에서 개발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틀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교육적 의미를 실제적 맥락에서 검토해보고 구성틀이 적용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해 봄으로써 구성틀의 적용가능성과 확장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학교 현장의 융복합교육에 구체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실제적 지침으로 제시될 수 있다. As an effort to develop a framework for helping teachers prepare yungbokhap education programs for their own classrooms, this study conducts an extensive, critical review of literature on issues around how to develop yungbokhap education programs.6) Based on a comprehensive program development model that has evolved from our literature review, we have applied our framework to analyze several exemplary cases of yungbokhap education.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framework is highly useful to draw our analytic attention to a range of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central characteristics of yungbokhap education. This paper also discusses some potential limitations of the framework and calls for future research to both expand and elaborate the framework.

      • KCI등재

        중등 교사의 융복합교육 연수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주미경,문종은,박모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융복합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의 준비도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융복합교육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의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현장교사의 평가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가장 낮은 평가를 한 것은 ‘융복합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 설계’와 ‘교사 및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적 관계속에서 융복합교육 실천’ 항목이었다. 중등 수학교사들의 경우 준비도 평가 수준이 중등 과학교사의 준비도 평가 수준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어서 중등 수학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실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중등 수학교사는 융복합교육실행에 필요한 교육과정 범위와 계열에 대한 지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그리고 융복합교육의 교수-학습 지원에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고 평가하여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 내용 측면과 연결된 연수가 보강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의 연수 만족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만족도 평가가 학생에 대한 지식에 대하여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융복합교육이 학생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는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교사 연수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수 만족도 수준에서도 수학교사의 연수 만족도가 중등 과학교사의 연수 만족도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요구 분석 결과는 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과 융복합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교육전문가 사이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활용 방안에 대한 탐색이 효과적인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다루어져야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장 교사의 융복합교육에 대한 준비도와 연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탐색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및 운영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비롯하여 연수에 참여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질적 탐구를 통한 원인분석이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involved in designing 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enhance teachers’ competence for Yungbokhap education. The researchers administered a survey questionnaire to discover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competence in teaching in class based on Yungbokhap education, and their opinion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teachers’ competence in Yungbokhap education.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relevant to the teachers’ practice of Yungbokhap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school level. Moreove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based on the work of a solid network of diverse types of education specialists who shar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of Yungbokhap education. Finally, Yungbokhap education needs to be conceptualized to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Yungbokhap education.

      • KCI등재

        미디어와 결합된 융·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중학교 자유학기제 연계

        조가영(ka-Young, Cho)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한 ‘2019년 콘텐츠 창의체험스쿨 운영 지원사업’을 통해미디어와 결합된 융·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젓학교 자유학기제와 연계하여 수업한 사례를 다룬다. 현재 국내에서 창의·융합형 미래 인재 역량 강화를 위해 학교 예술교육의젓요성이 인식되고 있고, 자유학기제 시행 취지에 부합되는 예술 분야 콘텐츠 제작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부합하여 미디어와 결합된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융·복합 예술세계를 직접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융.복합 무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학생들에게 설문지 작성을 통해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이 융복합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수업에 임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수업의 사례가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아 지속적으로 연구하면서 수정·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아직 자유학기제에 취지에 부합되는 융·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과 수업의 사례가 많지 않아, 본 연구가 기초자료를 활용되어 좀 더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case of teaching in conne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middle school by developing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dance combined with the media through the ‘2019 Art × Tech Creative School Support Project’ hosted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t present,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in school is recognized in Korea to reinforce the capacity of creative convergence for future talents, and the necessity of producing contents in the art field that meets the intention of implemen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is raised. At this point, the development of a dance education program combined with media is timely, and its purpose is to allow students to directly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world of convergence through dance education combined with media. This allows students to identify their own aptitudes and explore different career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o the class in middle school, it was possible to motivate them by watching the video related to the class and to arouse their interest in order to make them participate in the class more actively, by using the video and various props to maximize the effect of teach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the process of presenting creative dance by group, it helped to learn cooperation and empathy among members and helped to improve confidence and achievement. Although there are not many cases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dance that fit the purpose of the free semeste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more systematic follow-up studies.

      • KCI등재

        다학문적 접근의 과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통한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인식 탐구

        이지현,이영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e convergence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education to acquire the integrated knowledge and competencies to solve the complex problems in the future societ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NOS) through the multi-academy based convergence program developed for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literacy. For doing this, pre-post NOS survey based on the 4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developed by Lee(2014) was implemented to the students in the program and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NOS by gender and majors of students. The results are followed. In genera, the understanding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has improved through the convergence science program. Significantly, the students understand well about the domain of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mong the 4 themes of the NOS. Meanwhile,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the understanding of NO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s well as the difference majors of students. Also, students indicated that the aspect of the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is the most important domain among the 4 themes of NOS. Specifically, students presented the valid evidence and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ir arguments from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ultifaced NOS, which is related with other academic fields as a human endeavor they learned through the convergence program.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교육으로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통합적 지식 함양과지식을 통해 실행하는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융합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과학적 소양함양 목적으로 개발된 다학문적 접근의 융복합 프로그램을 통한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인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하여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 개념 틀(Lee, 2013)을 기반으로 개발된 설문조사를 융복합 프로그램 처치 전후에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사 기반으로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 인식에 대한 성별 및 전공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이공계열 대학생들은다학문적 접근의 과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과학의 본성(NOS) 영역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수준의 인식 변화가있었다. 학생들은 특히 사고하는 방식으로서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높은 이해와 인식 변화를 나타냈다. 한편 융복합프로그램을 통한 과학의 본성(NOS)에 대하여 성별 및 전공에 따른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학문적접근의 융복합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성별이나 전공에 상관없이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이해에 효과적이라 말할수 있다. 또한 융복합 프로그램을 경험한 학생들은 4가지 과학의 본성 영역 중에서 특히 4)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와상호작용하는 과학의 본성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은 융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학습한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관된 과학적 사고와 인간 활동으로서의 과학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면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타당한 근거와 배경을 제시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특수목적언어, 교양과목 및 전공과목의 융복합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에 관한 연구 ― 국내 중국인유학생을 중심으로

        서정목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ology of providing customized convergence-based programs to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setting them as education consumers in Korea. Universities in Korea should create subjects, or programs which fulfill various demands of times and society through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s because the existing faculties or departments of traditional concepts in universities in Korea can not satisfy various demands in economic and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dditionally, it is impossible to operate independent faculties or departments only for the students from abroad. Accordingly, convergence-based programs consisting of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general education and major subjects, and convergence-based subjects should be combined and operated. If both the academic advisory system and the career coaching system are integrated, complementing each other, convergence-based programs in linkage with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general education and major subjects, and convergence-based subjects will be operated more effectively. When all the academic affairs will be guided by the academic advisory system, and the consulting on the students' career and aptitude will be provided through the career coaching system, appropriate package programs customized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will be combined, and convergence-based programs will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ir purposes.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대학에서 중국인유학생들을 교육수요자로 설정하여 이들에게 맞춤형의 융복합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학과제도만으로는 다양한 경제적, 사회문화적인 수요를 충족할 수 없기 때문에 국내대학들은 학제 간의 융복합을 통하여 시대와 사회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교과목, 또는 프로그램을 창출하여야 한다. 또한 국내대학에서 특정국가의 유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학부, 또는 학과를 독립적으로 개설,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국내 중국인유학생을 위한 특수목적언어, 교양과목 및 전공과목의 융복합 프로그램이 구성되고 운영되어야 하는 것이다. 학사지도교수제도와 커리어코칭제도가 상호보완되어 통합된다면, 특수목적언어, 교양과목, 전공과목 및 융복합 교과목의 연계를 통한 융복합 프로그램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운영될 것이다. 학사지도교수제도를 통하여 학사전반의 지도가 이루어지고, 커리어코칭에 따라 진로 및 적성에 대한 컨설팅이 제공될 때에 국내 중국인유학생들에게 적합한 맞춤형 패키지 프로그램이 구성되고, 융복합 프로그램이 목적에 맞게 구성되고 운영될 것으로 본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국인유학생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으로 한국학전공, 빅데이터전공, 그리고 중국회계 및 세무전공과 중국공인회계사 취득과정을, 지원제도 방안으로는 중국내 역유학제도를 제시하였다. 국내외에서 중국인유학생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 하에 특수목적언어, 교양과목을 비롯하여 부전공, 연계전공, 자기설계전공 등 다양한 형태의 전공이 효과적으로 운영된다면, 국내 중국인유학생들을 위한 중국과 한국에서의 사회적 수요의 충족과 취업 등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융복합 비교과 프로그램 ‘강의페어링’의 운영에 관한 연구

        전종희(Jeonghee J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는 K대학교의 융복합 비교과 프로그램인 ‘강의페어링’의 운영 내용 및 결과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K대학교의 학생들이 수강해온 교양과 전공 교과목을 페어링하여 융복합적 아이디어로 확장시켜창의적인 결과물로 발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프로그램의 참여 학생들은 보고서 작성 및 제출(중간, 최종) 등과관련하여 질문이나 논의사항이 있을 경우에 프로그램 담당 교원과 상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도 2학기~2021년도 2학기, 최근 3개 학기 동안 프로그램의 운영 내용과 학생 참여 만족도를 제시하였다. 선정은 융복합영역 포함 교양 교과목 담당 교원 총 5인이 진행하였다. 평가 기준은 본 프로그램의 취지에 따라 내용 충실성, 체계성, 독창성, 융합성이었다. 운영 결과를 보면, 학생들은 기존에는 해 보지 못했던 새롭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도출하는 경험을 하였고 활동 만족도도 높게 평가하였다. 반면, 코로나19 상황, 바쁜 학사 일정, 불확실한 수상 가능성 등으로 인해 지원자가 많지 않았다는 점 등이 운영상의 한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 교양교육과정과 연계된 융복합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내용과 방식 등에 대한 향후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operation contents and results of ‘Lecture Pairing’, a convergence extra-curricular program at K University. The program is to develop creative results by pairing the liberal arts and major courses that K University students have taken and expanding them into convergence ideas. Students consulted with the professor in charge of the program when there were questions or discussions regarding the preparation and submission of reports (intermediate, final). In this study, from the 2020-2 semester to the 2021-2 semester, the progress of the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last three semesters were presented. The selection was conducted by a total of 5 professors in charge of liberal arts subjects including convergence areas.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content fulfillment, systemicity, originality, and convergen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program.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the students had the experience of deriving new and creative results that they had never done befor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activities was highly evaluated.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on were that there were not many applicants due to the Corona 19 situation, busy academic schedule, and uncertain possibility of award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the future direction of the operation contents and methods of the convergence extra-curricular program linked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융복합 예술프로그램 개발 및 의미 분석

        홍선미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by developing fusion and convergence arts programs and making other genres majors experience, as part of efforts to enhance the artistic value of fusion and convergence performances. It aims to analyze in dept the changes in participants’ perception, differences from other way to proceed, and environmental elements and problems through this program. The research method was made by a narrative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meaning of the program through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specific events, and it has been verified by careful observation, objectivity and expert consultation of participating observers, minimizing the researcher’s subjectivity. Therefore, the meaning of fusion and convergence arts program was discussed by following four ways. First, it’s ‘an opportunity to learn the confidence and scope of use on their majors’, second, it’s ‘the equal partner concept in the same time and space’, and, third, it’s a positive result of ‘an acceptance of impromptu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understanding other majors’. Fourth, it discussed negative result of ‘ lack of self-confidence on the result according to losing fusion and convergence target’. In conclusion, it showed the problem setting the goal of fusion and convergence and leading it constantly and the positive change of perception on the other genres by continuous communication. It needs a change of environmental element which can cooperate with new genres such as development of work method, IT, media, and architecture for the form of fusion and convergence performance and suggest an opportunity which communicating people in the different fields and interacting information. 본 연구는 융복합공연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로 다른 장르 전공자들을 같은 시, 공간에서 경험하게 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융복합 예술프로그램이 참여자들에게어떠한 인식변화를 주었으며, 타 진행방법과의 다른 점, 환경적요인, 문제점 등을 알아내어 심층 분석하는데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사건 경험이야기를 통해 프로그램의 의미를 분석해 내는 내러티브 질적 연구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연구자의 주관을 최소화하고 참여관찰자의 세밀한 관찰과 객관성을 적용하였다. 또 다른 장르간의 융복합에서는 본 연구의 현상들과 다른 경험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융복합 예술프로그램의 의미는 다음의 네 가지로 논의 되었다. 첫째‘자신의 전공에 대한 확신과 활용범위를 알아가도록 유도’ 둘째‘같은 시, 공간에서의 동등한 파트너 개념’ 셋째‘타 전공 이해에 따른 즉흥표현방법수용’의 긍정적 결과와 넷째‘융복합의 목표점 혼돈에 따른 결과물에 대한 자신감 저하’라는 부정적 이야기로논의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융복합의 목표점을 명확한 관통 선을 따라 지속적으로 끌고 가야하는문제점과 같은 시, 공간 안에서 즉흥(Etude)표현방법이 타 장르 수용에 긍정적인 인식변화를 주었다는 의미로분석되었다. 융복합 공연형태에 맞는 작업방법 개발, IT, 미디어, 건축 등의 새로운 장르와 예술이 협업할 수있는 환경적 요인의 변화가 필요하며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 소통하고 정보 교류의 기회마련을 기대한다.

      • KCI등재

        창의융복합 교육모델인『팀팀Class』의 체육대학 운영사례와 성과분석 연구

        조영희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community-linked classes of Physical Education(P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eam Team Class”, a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model of K University,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the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model through performance analysis.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an introduction to K University's convergence education “Team Team Class”, and examples of classes in which actual Physical Education(PE) students connected with the local community are introduced. Second, “Team Team Class” by PE students, elderys of the local community, and participating professor was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 students from the PE college, 11 elderys from the welfare center, and 1 professor, focusing on the class case of “Team Team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 students improved their ability to develop, plan, teach, and operate health programs for the elderly. Through teacher's experienc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exercise, as well as nutritional approaches,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study and introduce and apply it to the major field. Second, it was an opportunity for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the health care (exercise-nutrition) program that students directly visit and to feel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exercise and nutritional education. Lastly, by finding commonalities between the two majors together, the professor as well as students recognize the ne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field and the major, connect with the local community, analyze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create a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It was also an opportunity for research,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leading the era of convergence through expansion of major. 4차 혁명 시대와 함께 교육의 현장에서도 창의융합 인재 양성이 필요로 하며 대학교육의 현장 역시 새로운 교육시스템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교 창의 융복합 교육모델인 『팀팀Class』에 참여한 체육대학 학생들의 지역사회 연계 수업을 소개하고, 성과분석을 통해 대학 융복합 교육모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K대학교 융복합 교육『팀팀Class』소개 및 실제 체육대학 학생들이 지역사회와 연계한 수업 적용사례 소개, 둘째, 체육대학 학생, 지역사회 어르신, 참여교수에 의한 『팀팀Class』의 성과 파악이다. 연구대상은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2021년은 가장 취약계인 노인분들의 안전을 위해 복지관 출입의 제한으로 2018년, 2019년에 진행된 지역사회복지관과 함께했던 K대학교 창의융복합 교육시스템인 『팀팀Class』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대학 학생들은 실제 어르신들에게 건강프로그램 개발, 계획, 티칭, 운영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현장의 노인체육 지도자 역할체험, 지도 대상(노인) 파악, 운동뿐 아니라 영양학적인 접근을 통해 학문의 확장과 전공영역에 도입 및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으로 어르신들은 학생들이 직접 찾아가는 건강관리(운동-영양)프로그램에 참여하시고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담당 교수는 두 전공의 교수가 함께 두 전공간의 교집합을 찾아냄으로써, 현장과 전공연계성의 필요성 인식,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융복합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점에서 학생들 뿐만 아니라 교수입장에서도 연구의 기회이며, 전공확장을 통해 융합의 시대를 이끌고 나가는 방향을 고민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기회를 제공하였다. 창의융복합 교육모델인 K대학교『팀팀Class』는 현장중심의 융복합 학문의 접근으로 체육대학 학생들이 현장에서 영양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전공의 영역확장의 기회였으며 앞으로도 또 다른 전공 영역과의 융복합 교과과정 연계를 통해 학생의 취업, 창업 및 교수역량 확대, 지역사회의 발전까지도 가져올 수 있도록 지향할 필요가 있는 교육시스템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온라인 수업 적용 분석 -단국대학교 이공계 학생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희 ( Lee Young Hee ),윤승준 ( Yoon Seung Jo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이공계열 신입생들에게 과학적 소양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다학문적인 접근의 융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 프로그램을 온라인 수업으로 적용한 후 프로그램의 내용, 운영, 그리고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참여자들의 만족도 및 효과를 분석하였다. 교양교육 융복합 프로그램은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다수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프로그램의 교재 및 비디오 강의로 개발되었으며, 한 학기 동안 약 260명의 학생들에게 온라인 수업으로 총 15주 동안 운영하였다. 또한 온라인 수업의 교수학습 전략으로 학생들의 협동학습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호 멘토/멘티 팀 활동을 구성하여 토론 및 과제 수행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적용 결과는 대다수의 참여 학생들은 융복합 프로그램의 개발 내용 및 온라인 수업 적용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교수학습 전략으로 운영된 상호 멘토/멘티 팀 활동에 대해서도 전반적으로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교양교육으로 개발된 다학문적 접근의 융복합 프로그램은 과학적 소양 교육 목적의 교양교육으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및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추후 연구로 과학적 소양 교육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의 접근 방식에 대한 연구 및 과학적 소양 평가 분석을 통하여 교양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점 및 온라인 수업의 운영에 대한 지속적인 제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usion program in order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develop the scientific literacy and then apply the program as an online course in the university. Fourteen professors from the various fields of academic departm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fusion program by writing the textbook and creating the video lectures of the program. The program developed was implemented for approximately 260 students as an online course during one semester and analyzed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satisfaction for the fus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was goo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as an online course. Significantly, the mentor/mentee team-work, which was the teaching strategy adopted for the online course was effective for students to engage in the course activities and the completion of course assignments. Finall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ontent of fusion program based on the multi-academic fields was meaningful and also the online cours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order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understand the multifaceted of the scientific literacy.

      • KCI등재

        융복합을 활용한 고령여성의 건강운동프로그램이 인슐린저항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김상엽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ealth exercise program on insulin resistant and blood lipid factor of elderly women for 12 weeks. The two groups were classified into one group(exercise group: EG) with aerobics exercise and band exercise both, the other group(control group: CG) controled. The group of EG was applied to doing aerobics exercise and band exercise 4 times for 60 minutes a week. The intensity of the exercise was ACSM. Each measurement variabl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12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 During this study the result came out with this step. First, EG have shown interaction with blood lipid(TC, HDL, LDL, TG) and blood pressure(SBP, DBP)factor. Second, EG have shown interaction with insulin resistant(insulin, glucose). Therefore, this study gives us positive result to effect of health exercise program on blood lipid factor and insulin resistant factor of elderly women for 12 weeks. 본 연구는 고령여성의 12주간 건강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인슐린저항성 및 혈중지질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운동집단(EG)과 통제집단(CG)으로 구분하여 두 그룹을 선정하였다. 운동집단에는 건강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였으며, CG는 통제집단으로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비교집단으로 활용하였다. 운동집단에 적용된 건강운동프그램은 유산소운동과 밴드운동을 주 당 4회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포함해 60분간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고령여성의 12주간 건강운동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령여성의 12주간의 건강운동프로그램은 혈중지질과(TC, HDL, LDL, TG) 혈압(SBP, DBP) 변화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p<.05). 둘째, 고령여성의 12주간의 건강운동프로그램은 인슐린저항성(insulin, glucose) 변화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p<.05). 본 연구는 고령여성의 건강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인슐린저항성 및 혈중지질 변화에서 긍정적 개선을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