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청유학의 연구현황 분석 및 향후 과제: 철학 분야를 중심으로

        이영자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5

        이 논문은 2022년 10월까지 연구된 충청유학(철학계)의 인물별, 주제별 연구성과물 600여 편을 분석해 보고, 향후 충청유학 연구에 필요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충청에 연고를 둔 유학자 중 가장 많이 연구된 유학자는 한원진(65편), 홍대용(60편), 송시열(56편), 임성주(48편), 윤증(46편), 전우(45편) 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연구의 특징은 주로 2000년대 들어 연구가 급증하다 2010년대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다만 한원진과 전우는 2010년대 이후에 연구가 급증하고 있어 향후에도 연구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구현황 분석을 통해 볼 때 충청유학의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진한 연구 분야와 미개척 연구 분야의 집중 연구의 필요성이다. 인물별 연구성과는 위 6인에 집중되어 있고, 그 외 인물들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1~20여 편의 성과물이 전부여서 편향적인 연구 경향이 강하다. 향후에는 미진한 인물의 연구와 더불어 철학계 논문이 한 편도 존재하지 않는 충청 유림도 발굴하여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신진연구인력 양산의 필요성이다. 충청유학의 연구성과는 1990~ 2000년대 절정을 이루다, 2010년대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경향의 배후에는 충청유학 연구자의 고령화와 관련이 깊다. 이에 신진연구연력을 양산할 필요가 있다. 셋째, 충청유학에 대한 관심 및 지원 증대의 필요성이다. 이에 충청유학을 꾸준히 발굴, 연구할 수 있도록 지자체, 연구원, 재단 등의 연구비 지원, 안정된 일자리 제공 등으로 안정된 환경에서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충청유학의 현대화 및 융복합 연구의 필요성이다. 최근 들어 충청유학에도 예술적 측면이나, 문화콘텐츠, 인성교육과의 활용방안 등 다양한 측면과 융복합하여 연구되고 있지만,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융복합 방식의 접목과 디지털 방식의 다양한 형태의 연구성과물이 양산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충청유학의 보편화와 세계화로, 충청유학의 글로컬리즘(glocalism) 완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세계사적인 시각에서 검토하고, 세계에 충청유학을 소개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더불어 일반인들도 함께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보편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각도의 활용방안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more than 600 research status by person and subject until October 2022, and subject with the focus on the philosophic theses regarding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and contemplate on what is the perspective required in the future perspective on the studies of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As a result, from the Confucius scholars who had their basis in Chungcheong up to August 2022, the Confucius scholars who studies the most are in the sequence of Han Won-jin (65 works), Hong Dae-yong (60 works), Song Si-yeol (56 works), Im Seong-joo (48 works), Yoon Jeung (46 works), and Jeon Woo (45 work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udies have drastically increased mainly in the 2000s but displayed gradual decrease after the 2010s. However, the studies are drastically increased after 2010s for Han Won-jin and Jeon Woo that the study is expected to be concentrated. Considering through the analysis on the status of such studies, the future perspective on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is shown as follows. First, it is the need of concentrated studies in the insufficient study fields and un-pioneered study fields. The study outcome for each person is focused on the 6 above-named persons and the studies on these personnel would be the outcome of 1~20 volumes in general that there is a strong tendency of inclining studies. In the future, the study would be reasonable to discover the scholars in Chungcheong for not having any single thesis for philosophy existing. Second, it is the need of producing new and advanced personnel on its studies. The outcome of studies on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was peaked in 1990~2000s, but it displayed the trend of gradual decrease after the 2010s. In the background of such study tendency, it is profoundly related to the high age of researchers for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producing new study personnel in the field. Third, it is the need for increase in interests and support on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steadily discover and study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with the progress of continuous studies under the stable atmosphere by providing subsidies on research expenses by local government, institutions, foundations and others as well as providing steady jobs and so forth. Fourth, it is the need for studies on modernization and convergence and integration of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In recent days, studies have been engaged in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with respect to diversified aspects of artistic approach,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schemes to facilitate with humanities education in addition to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reof, but such efforts have not been sufficient. It requires endeavors to come up with diverse types of study outcomes in digital method along with the linkage of converged and integrated methods requir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fifth, there is a need for gen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for completing the glocalism of the Chungcheon Confucianism. For this purpose, it requires the review under the global historic perspective and its works to introduce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to the world. Furthermore, it also requires to generalize the same for the general public to share and facilitate together. For this purpose, it is deemed to require steady studies on the scheme of multi-dimensional facilitation.

      • KCI등재

        신유학의 정좌법과 심신수렴의 유교치료

        신현승 ( Hyun Seung Shin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0

        유학(특히 신유학)은 인간의 몸과 마음의 관계, 마음의 작용과 기능, 마음의 수양법등에 대해 매우 적극적 관심을 가진 동아시아의 가장 주요한 전통 인문학이었다. 더불어 유학의 성격 그 자체는 치료적(therapeutic)이며 ‘치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치유법으로서 정좌라고 하면 중국 송대의 신유학자들이 제시한 심신 수양방법의 하나로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히고 적연부동(寂然不動)의 태도를 가짐으로써 자신의 본성을 깨닫는 것을 가리킨다. 즉 신유학(Neo-Confucianism, 도학을 포함한 송대 이후의 유학)의 심신수렴(心身收斂) 혹은 심신 수양법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 정좌(靜坐)였다. 신유학의 탄생에 기여한 북송오자(北宋五子) 가운데 이정(二程) 형제가 정좌의 중요성을 설파하였고, 신유학의 집대성자 주희(朱熹)도 정좌의 유교 수양법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이었다. 이 정좌의 수양방법은 비단 신유학(성리학과 양명학 등)에서 뿐만 아니라, 불교나 도교에서도 좌선(坐禪)이나 양생(養生)의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수양방법은 지나치게 불교의 선학적(禪學的) 성격이 강하다는 유교계 안팎에서의 비판도 끊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신유학의 정좌에 대하여 그 유교치료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신유학의 정좌법과 마음 그리고 몸 등에 관한 다양한 논의, 신유학의 주요한 심신 수양법인 정좌의 양상, 신유학자들의 심신수렴과 치유적 의미, 그리고 청대 고증학의 융성 이전에 명대 유학사 혹은 명대 양명학사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저명한 유학자 즙산 유종주(劉宗周)의 정좌설과 심신의 치유적 의미, 즙산 정좌설의 특징, 심신의 치유와 정좌의 관계 등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Confucianism (Especially, Neo-Confucianism) was the most important traditional humanities in East Asia with very active intere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ody and mind, action and function of the mind, and method of cultivating the mind. In addition, the nature of Confucianism itself is therapeutic and curative. Also, Jingzuo (quiet sitting) as a therapy is one of the methods of psychosomatic moral culture proposed by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Song dynasty of China, which refers to realizing one’s own nature by calming oneself and having an attitude of ‘unmoved in absolute stillness’. In other words, Jingzuo was widely known as a method of psychosomatic convergence or psychosomatic moral culture in Neo-Confucianism (Confucianism after the Song dynasty including Daoxue). Of the Beisong-Wuzi (five great thinkers of Beisong) who contributed to the birth of Neo-Confucianism, Ercheng (the Cheng brothers) taught the importance of Jingzuo, and compiler of Neo-Confucianism, Zhu Xi, too, was very positive about the Confucian method of moral culture of Jingzuo. This method of moral culture is suggested as a method of sitting-in Zen meditation or taking care of one’s health not only in Neo-Confucianism (Zhuxiism and Yangmingism, etc.) but also in Buddhism or Taoism. Accordingly, there has been constant criticism that this method of moral culture is too Zen Buddhist in and out of the world of Confucianism. Thus, this paper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Confucian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Jingzuo method and psychosomatic convergence in Neo-Confucianism. In other words, the first part of the main discourse of this study reviewed the Jingzuo method and various discussions about mind and body in Neo-Confucianism, the aspects of the Jingzuo method, an important method of psychosomatic moral culture in Neo-Confucianism and Neo-Confucian scholars’ psychosomatic convergence and its curative significance. In addition, the second chapter discussed eminent Confucianist, Jishan Liu Zongzhou’s Jingzuo theory and meaning of psychosomatic healing, characteristics of Jishan Jingzuo theory and Liu Zongzhou’s discours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matic healing and Jingzuo, who made a finale of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the Ming dynasty the history of Yangmingism in the Ming dynasty before the prosperity of Kaozhengxue in Qing dynasty.

      • KCI등재

        의무교육의 측면에서 본 국외유학에 관한 법적 규제와 정비 방안

        이종근(Lee, Jong Geu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3 No.3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規程)」은 의무교육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무분별한 조기유학을 방지하고자 1979년에 대통령령으로 제정된 최초의 국외유학 관련 법령인바, 동 규정상의 자비국외유학 부분에 대해서는 제정 당시부터 법의 실효성이 없어 폐지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 제5조가 자비유학의 자격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으나 많은 의무교육 단계에 있는 초·중학생들이 동 규정 제5조가 정하는 자격요건을 갖추지 않고도 아무런 법적인 제재를 받지 않고 조기유학을 다녀오는 것이 현실이고, 최근에는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국외유학과 관련한 기존의 규제적 법령은 전반적으로 정비가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헌법 제31조 제2항과 「교육기본법」 제8조는 그 보호하는 자녀에게 의무교육을 받게 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조기유학이나 자비국외유학의 경우에 의무교육의 대상자가 외국의 교육기관에서 6개월 이상의 기간에 걸쳐서 수학하고 돌아오는 경우, 그 외국에서의 수학행위가 「교육기본법」 제8조가 말하는 ‘6년의 초등교육’ 또는 ‘3년의 중등교육’에 해당하는가 하는 점이다.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 제5조가 자비국외 유학의 자격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규제하는 이유가 바로 자비국외유학을 통하여 의무교육의 수학의무를 면탈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이다.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빠르게 높아지고 노동시장이 점차 글로벌화 되면서 해외 파견이나 해외 취업이 증가함에 따라 의무교육 대상의 자녀를 동반한 해외 체류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로 인하여 기존의 국외유학과 관련한 법령의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6.10.28. 국무조정실 ‘규제개혁위원회’에서는 글로벌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내용이라는 이유로 자비유학 자격의 폐지가 최종 결정됨으로써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 제5조는 규제의 일몰기간(2020.01.01.~2022.12.31.) 내에 관련 조항들의 체계적인 정비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은 「교육기본법」 제29조 제3항을 그 기초로 하고 있는바, 헌법,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아동복지법 등 관련 법령과의 상충 여지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비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국외유학에 관한 이론적 배경, 의무교육과 국외자비유학에 관한 법제도적 현황, 그리고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의 자비유학 내지 의무교육관련 규정의 비교법적 검토, 국외유학에 규정의 정비방안의 제시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The 「executive order concerning studying overseas」 issued in 1979 is an ordinance to prevent indiscreet “studying abroad at an early age” and to guarantee effectiveness of compulsory education system. From the beginning, the claim that the presidential order should be abolished has been raised on the ground of invalidness. Although Article 5 of the executive order regulates eligibility strictly to a studying abroad, many unqualified persons have studied abroad without permission of educational authorities according to Article 5. It"s high time to improve regulatory legislation by and large concerning studying overseas in lockstep with the latest positive awareness of studying abroad at an early age. Article 32(2)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provides that all citizens who have children to support shall be responsible at least for their elementary education and other education as provided by act. For the detailed realization of constitutional ideology, Article 8(1) of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stipulates that compulsory education shall be elementary education for six years and secondary education for three years, and Article 8(2) prescribes that every citizen shall have a right to receive the compulsory education referred to in paragraph (1). In case of studying abroad at an early age, there is a central question of whether we can equate the "studying abroad" with "elementary education for six years" or "secondary education for three years" corresponding to compulsory education in Korea. We need to search for answer to this question to secure value for constitutional ideas with regard to compulsory education. My main point in this article is that reorganization plan concerning Article 5 of the 「executive order concerning studying overseas」should be prepared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conflict between Constitution, 「framework act on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child welfare act」. This article discu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present situations related laws, comparative legal approach concerning studying abroad, and proffers an alternative to a preparation plan for the「executive order concerning studying overseas」.

      • KCI등재

        갑오개혁기 도일유학생 파견 정책의 전개와 중단 과정

        마스타니 유이치(?谷祐一)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6

        갑오개혁기 도일유학생 파견 정책에 대해서 선행연구에서 지금까지 밝힌 내용은 “유학생 파견 정책은 박영효와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의 주도 아래에 추진된 정책이었다”고 하는 점과, 유학생 파견 정책의 중단과정에 대해서 “아관파천에 의하여 친일내각이 주도한 유학생 파견 정책은 중단되었다”고 하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1895년 7월 6일 박영효가 실각한 이후로도 유학생 정책이 계속되었던 이유, 그리고 1896년 2월 11일 아관파천부터 1897년 12월 말 유학생 파견 정책이 중단되기까지 거의 2년이나 걸린 이유가 설명되어 있지 않았다. 이 문제를 고찰한 결과, 박영효의 영향이 없는 시기에 이미 학부와 보빙사라는 두가지 루트로 유학생 파견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사실을 밝혔다. 그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유학생 파견은 박영효의 영향과는 관계 없이 진행되고 있었고, 다수의 유학생을 파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은 유길준이었다고 보았다. 또한 유학생 정책의 전환은 1896년 2월 11일의 아관파천에 의하여 일어난 것이 아니라, 게이오기주쿠(慶應義塾)과의 계약 갱신 문제가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았다. 이때 유학생 수를 50명으로 줄이려고 한 것은 유학생 파견 정책이 후퇴한 것이라기 보다는 불량한 유학생의 정선(精選)에 있었다. 한편 유학생 정책이 중지하는 방향으로 기울게 된 것은 1896년 8월29일,학비 인상 문제가 부상한 후였다. 최종적으로 학자금 지급 정지를 결정한 것은 탁지부였다. 즉 갑오개혁기 도일유학생 파견 정책은 유학생 자체의 문제, 재정의 문제, 계약관계의 문제 등에 의하여 전환, 중단된 것이다. The Study abroad Policy on the Kabo Reform draws attentiontowards the student send to Japan on a large scale by KoreanGovernment. Pre-research can be summarized into “thestudy-abroad policy under the leadership of Park Yong-hyo andInoue Kaoru”; and the discontinuation of study abroad policy processby “Japanese cabinet regarding Korea Royal Refuge at the RussianLegation(아관파천).” However the reason is not explained as to whythe Study-abroad policy continued although Park Yong-hyo lost hisposition on 6th July, 1895, and why it took almost 2 years, from11th Feb, 1896 to the end of Dec, 1897, until the discontinuation ofthis policy. This paper researches about the problem. As a result it becameclear, that when Park Yong-hyo was not in power, students were already sent for the Educational Institution(학부) and diplomaticmissions. Based on the facts, the students’ dispatch was continuouslyin progress irrespective of Park Yong-hyo’s influence, and the mainreason for it was Yu Kil-Chun. Also, the change in Study-Abroadpolicy didn’t occur due to the Korea Royal Refuge at the RussianLegation on 11th Feb, 1896, but due to contract extension problemwith Keio University. At this time, the reason to the decrease the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50 students was not a policyretreat, but it was to go through careful selection of students. There treat in policy was on 29th August, 1896, after the raise in educational expenses. In other words, the financial problem was the key reason behind the discontinuation of study-abroad policy.

      • KCI등재

        충청유학의 현재와 미래가치

        민황기 ( Min¸ Hwang Ki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충청유학의 현재와 미래가치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15세기 이미 충청지방에 사족활동이 왕성하였으며, 조선 후기이후로는 유학문화가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여말선초 성리학 수용기에 활약한 대표적 충청유현으로 서산의 정신보 이후 보령 남포의 백이정, 서천 한산의 이곡·이색, 금산의 길재 등이 조선유학의 정신으로 이어졌다. 충청은 기호학파로 율곡 이이를 잇는 서인계열 김장생-김집 학통의 유현이 큰 부류를 이루었다. 그 가운데 가장 뛰어난 인물이 송시열·송준길·이유태·유계·윤선거 충청오현(忠淸五賢)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충청유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충청을 조선 유학문화의 중심지로 부각시켰다. 조선조 유학의 융성에 있어 충청유학은 기호유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고, 화담학과 퇴계학과 우계학 및 율곡학이 공존되었을 뿐만 아니라 화서 이항로의 학맥도 전개되어 개방적이고 다양한 학문의 특성을 나타냈다. 특히 충청유학은 17세기 윤리적 위기를 맞아 예학시대를 여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였으며, 인성과 물성의 동이문제를 집중 논구하는 호락논변의 중심지였다. 이러한 다양한 학문사상적 기반은 동학운동과 의병활동의 배경이 되었으며, 한말과 일제강점기에 항일무장투쟁의 근거지로써의 핵심적 구실도 하였다. 충청유학은 조선조 유학을 선도하여 많은 인물과 학맥을 형성하며 지성문화의 주도적 역할을 해왔다. 그 지성과 도덕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향교, 서원과 사우, 누정과 종가 등이 도처에 산재해 있다. 이곳은 한국지성사의 거점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브랜드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유학사를 이끌어온 충청유학은 인본사상에 기초한 인간존중의 가치, 예를 중심으로 하는 리더쉽과 관계의 가치, 함께 더불어 사는 공동체문화의 가치 등 세 가지 미래가치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이는 충청유학의 본령이 인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터라 충청유학의 미래가치에 대한 전망을 넘어 한국유학, 나아가 인류가 추구해야 할 세계시민적 공동체 문화와 윤리에 대한 지평 확장의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esent and future value of studying in Chungcheong Confucianism. In the 15th century, there were already many activities of local noble family in country society in Chungcheong Province, and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ulture of Confucianism became more active. As a representative Chungcheong Confucian scholar who was active in the early days of the Yeomunseoncho(麗末鮮初) Neo-Confucianism(性理學), after Jung Sinbo of Seosan followed by Baek I-jeong in Boryeong Nampo, Lee Gok and Lee Saek in Seocheon Hansan, and Giljae in Geumsan, which led to the spirit of studying in Joseon Confucianism. Chungcheng was a Kiho School(畿湖學派), and the Seohyin Line connecting Yulgok Yiyi, Kim Jang-saeng and Kim Jip, formed a large class. Among them, Song Si-yeol, Song Jun-gil, Lee Yoo-tae, Yu Gye, and Yun Seon-geo are the best figures in five Chungcheong Confucianist. They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hungcheong Confucianism and highlighted Chungcheong as the center of Joseon's Confucianism culture. Chungcheong Confucianism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nd Study of Hwadam, Toegye, Ugye, and Yulgok were not only co-existing, but also the academic connections of Hwaseo Lee Hang-ro were developed, showing open and diverse academic characteristics. Chungcheong Confucianism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intellectual culture, leading the study of Joseon Dynasty and forming many people and school connections. The cultural heritages that represent the intellect and morality are scattered everywhere, including Hyanggyo(Confucian School 鄕校), Seowon(書院) and Sau(ancestral shrine 祠宇), Nujeong(樓亭) and Jongga(the head family 宗家). This place is the base of Korean intellectual history and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brand of Korea. Chungcheong Confucianism, which has led our history of Confucianism,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uture values: the value of human respect based on human thought, the value of leadership and relationships centered on courtesy, and the value of community culture living together.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horizons of the world's civic community culture and ethics that should be pursued by humans beyond the outlook for the future value of studying in Chungcheong Confucianism.

      • 성균관대 교양유학의 현황 파악과 발전방안 모색

        김재경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1 儒敎文化硏究 Vol.- No.18

        이 논문은 인의예지(仁義禮智)를 교시(校是)로 삼고 있는 성균관대학교에서 유학(儒學)이 교양교육 가운데 차지하고 있는 위상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마련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현재 성균관대 교양교육의 목표는 학칙에 의해 명시된 유학정신을 배제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교양교육의 목표가 건학이념이나 교시와 정확히 연계되어 있지 않다. 또한 ‘유학사상과 가치관’으로 불리는 교양유학이 겨우 2학점에 머물러 있어 타 대학의 교책과목과 비교해 볼 때 교책과목으로서 실리도 챙기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현실과 달리 교양유학이 홀대받아야 할 이유가 없음이 최근 3년간의 강의평가에서 밝혀졌다. 학기 초에 유학 혹은 유교에 부정적 견해를 보이던 학생들도 상당수가 학기말에 가면 긍정적인 태도로 바뀌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에 따라 교양유학 수강생들도 매년 증가하는 고무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동시에 교양유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선 넘어야 산들도 많이 있다는 사실이 강의평가에서 드러났다. 교양유학의 자기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가장 먼저 교양유학의 교육목표와 교육 주체를 명문화해야 한다. 이어서 교양유학을 토대로 한 교양교육의 전면적인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한 강의 혁신과 교양유학 발전전략을 수립해 장기적인 안목에서 전인적인 성균인(成均人) 육성이라는 교양유학 교육의 비전을 달성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atus and problems of Confucianism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Sungkyunkwan University whose motto is "Selflessness (In: 仁), Righteousness (Eui: 義), Propriety (Ye: 禮), and Wisdom (Ji: 智)" and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that. Currently, the liberal education at Sungkyunkwan University has the problem of excluding the spirit of Confucianism from its goals, although they are specified in the university's study regulations. In other words, its founding philosophy and motto are not correctly associated with the goals of liberal education. Moreover, Cultural Confucianism called "Confucian Spirit and Value" is only a three-credit course which is thus considered inequitable compared to other universities' strategic courses. Contrary to this actual status, however, a recent 3-year course evaluation has found that there is no reason for cultural Confucianism to get poor treatment. Many of students who had unfavorable views of Confucianism or Confucian ideas at the beginning of their semester tend to hold favorable attitudes towards them at the end of the semester. Accordingly, it is really encouraging that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course increases every year.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course evaluation has indicated that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overcome for the promotion of education on cultural Confucianism. In order for the identity of cultural Confucianism to be secured, its goals and subjects should be stipulated first. Subsequently, the overall reform of liberal education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cultural Confucianis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arsighted strategies for innovational innovation and improvement of cultural Confucianism, so that the true vision of cultural-Confucianism education can be achieved by developing well-rounded students from a long-range perspective.

      • KCI등재

        유학의 대중화와 대중적 유학

        권상우(Kwon, Sang-woo)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1 No.3

        논문에서는 철학의 전문성과 대중성 관계성을 유학적 입장에서 논의해 보았다. 우선, 중국신유학의 주자학과 양명학을 중심으로 논의하면서, 주자학은 유학의 전문성을 강조하였다면, 양명학은 대중성을 강조하였음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중국신유학의 대중화의 입장 차이를 조선유학에서도 찾아보았다. 조선성리학이 주자를 계승하면서 ‘유학의 대중화’를 시행하였다면, 대중의 입장에서 유학을 해석한 동학은 ‘대중의 유학’을 시행하였음을 논의하였다. 조선 사림은 『소학』 과 『가례』 를 편찬하고 향약을 시행하는 등 유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조선성리학의 대중화는 성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실패한 대중화로 평가된다. 조선은 성리학의 대중화로 인해 양반국가가 된 것처럼 보이지만 민중의 도덕성이 향상되었다고는 볼 수 없다. 성리학과는 달리 동학에서는 유학을 변용하면서 대중적인 유학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동학은 민중의 유학을 추구하면서 유학의 원래 이념에서 탈피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논의를 통해 철학과 대중화는 양자 중 어느 한쪽에 치우칠 수 없다는 결론을 추론할 수 있었다. 철학의 대중화는 철학의 형식주의에 빠질 수 있다면, 철학의 대중화는 철학의 전문성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철학은 전문성과 대중성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진행되어야 한다. 철학적 전문성은 대중성을 고려해야 하고, 대중성은 항상 철학적 전문성을 존속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the specialty of philosophy and its popularization, based on the popularization of neo-Confucianism introduced to the JOSEON dynasty (the last dynasty in the Korean peninsula) (hereinafter referred to as “JOSEON Confucianism) and DONGHAK as the Confucianism for the public. In line with this objective, ‘the popularization of JOSEON Confucianism’ was reinterpreted into ‘the popularization of Confucianism’ and ‘Confucianism in DONGHAK into ‘popular Confucianism.’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made efforts to popularize Confucianism, by compiling the series of SOHAK (coursebooks for beginners) and GARYE (a wedding ceremony manual for kings and royal families) and enforcing HYANGYAK (local autonomous laws). They seemed to succeed in popularizing JOSEON Confucianism, but in this study, the popularization was regarded as a failure. Unlike the Confucian scholars, DONGHAK scholars transformed Confucianism into more popular study. However, they were evaluated to distort the originality of the original meaning of Confucianism. The foregoing implies that philosophy should not be biased to specialty or popularization. At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philosophical specialty needs to reflect popularity and popularity to maintain philosophical specialty.

      • KCI등재

        1904~1910년 대한제국 관비 일본유학생의 성격 변화

        이계형(Gye-Hyeong Le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1

        19세기말 동아시아는 서구 제국주의의 침략에 부딪치자 서둘러 부국강병을 이루기 위해 서구에 유학생을 파견하여 문명을 배워오거나, 근대적인 개혁과 더불어 적극적으로 서양 문명을 받아들이고자 했다. 한국은 이웃한 일본이나 중국보다 늦게, 비록 일본에 국한되었지만, 개항이후부터 유학생을 파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한국의 유학정책은 계획적이지 못하고 국내의 정치적인 부침에 따라, 그리고 재정 부족문제로 파견과 중단을 반복하며 파행적으로 이뤄졌다. 결국 1903년 이후 유학생 파견은 중단되고 말았다. 1904년 10월 러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일제의 한국 침략이 가속화 되자, 고종은 교육개혁을 단행하는 한편 칙임관?주임관들로부터 子孫???弟?姪 가운데 16세 이상 25세인 자를 대상으로 추천을 받아, 황실자금을 이용한 관비 일본유학생 50명을 선발, 파견하였다. 이에는 기존 관비유학생으로 유학 중인 4명도 포함되었다. 관비유학생 46명은 경성부립제일중학교에 입학하여 ‘特設 韓國委託生科’에서 일본어를 비롯하여 근대적인 교육을 받게 되었다. 엄격한 군대식 통제와 규율을 적응하지 못한 일부 학생들은 중도 포기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관비유학생들이 견뎌내기 가장 힘들었던 것은 한국이 일본에 외교권을 빼앗겨 보호 통치를 받아야 한다는 현실이었고, 경성부립제일중학교 교장의 한국 유학생 비하발언이었다. 관비유학생들은 동맹휴학으로 자기들의 억눌림과 분노를 표출시켰다. 동맹휴학은 4개월 동안 지속되었고 26명은 복교되었지만 이를 주도하였던 10명은 관비유학생 자격을 박탈당하였다. 을사늑약 이후 식민권력으로 등장한 통감부는 일본 외무성 관리를 통한 관비유학생의 관리 감독을 강화시켜가는 한편, 1907년 3월 ‘학부소관 일본국 유학생 규정’을 만들어 관비유학생 뿐만 아니라 급증하는 사비유학생까지 통제하고자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한국유학생들은 일본인들의 한국인에 대한 모멸을 감내하고 저항하면서 민족의식과 배일의식을 형성시켜 나갔다. 한편, 통감부는 관비유학생의 결원이 생기면 보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동맹휴학으로 말미암아 퇴학 조치된 관비유학생의 결원을 메운 것이 전부였다. 1908년 당시 중등학교의 급증으로 학생들의 진학문제가 사회문제로 번지자, 유학생 규정을 개정하여 시험대상자를 고등보통학교 이상 동등의 학력을 인정받는 학교 출신자들만 지원토록 하였지만, 이를 제대로 실시하지도 않았다. 통감부는 한국을 식민체제로 전환시켜 가는 와중에 고등교육을 받은 한국인을 길러내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다만 1909년에 들어 식민체제를 가속화시켜 가는 와중에 관비유학생을 선발하여 고등실업교육을 시키는 정도였다. 1910년 경술국치를 전후로 7, 8년 동안의 유학생활을 마친 관비유학생이 귀국하였지만, 더러는 한국 독립운동에 투신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식민권력의 하층 지배자로 전락하고 말았다. 결국 한국은 관비유학생을 통한 부국강병을 모색하였지만, 식민지로 전락하면서 스스로 문명화를 이룩하지 못한 채, 그 빛을 바래고 말았다. As East Asian countries faced the aggression of European imperialism, they sent the students to the European countries and learned Western civilization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or tried to actively receive Western civilization together with modern reform. Although the country to send the students was limited to Japan, Korea started to send the students to a foreign country behind Japan or China after the opening of a port. But its policy was not deliberate and sending the students to Japan was performed creepingly according to the domestic political ups and downs and due to a financial crunch. In the end, sending the students abroad stopped after the year of 1903. As Japan's invasion of Korea accelerated with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in October, 1904, Gojing carried out the reform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selected and sent 50 students among his descendants, niece's husbands, brothers and nephews with the age from 16 to 25 to Japan by the government taking advantage of funds of the Imperial Household. They were recommended by the senior officials. Four existing students sent to Japan by the government were included among them. 46 students by the government entered the First high school established by Kyeongseong Province and received an modern education including the Japanese language at the class for specially trusted Korean students. Some students who were not adapted to the strict regulation and rules of military way gave up studying there halfway. But the most difficult distress that the students couldn’t bear was the actual that Korea was robbed of its diplomatic rights by Japan and was under Japanese rule and the school principal's demeaning comments about Korean students. The students revealed their wrath through a strike. The strike lasted for 4 months and 26 students could return to school, however, 10 students who led the strike were deprived of their qualification. The Residency-General which appeared as colonization might after the second Korea-Japan Agreement in 1905 tightened control of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by the government by the management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Japan, while it made the regulations on the students studying in Japan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ried to control the students sent abroad by the government as well as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at their own expense who increased rapidly in number. Korean students put up with and resisted disdain of the Japanese in such a situation, and formed their national and anti-Japanese consciousness. In the mean time, in spite that the Residency-General had to fill a vacancy, when a position of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was vacated, it didn't perform it. what it had done was to have filled up vacancies of the students studying in Japan who were expelled from school. As entering a school of higher grade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number of students of a secondary school spread to a social problem, it revised the regulations on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therefore only the high school graduates or the higher school graduates as qualified persons can apply for studying abroad, however, it didn't perform the regulations satisfactorily because it didn't want to cultivate a highly educated person during its transforming Korea into a colonial system. During its accelerating the colonial system only in 1909 it selected the students to be sent abroad by government and made them receive industrial education. The students who were sent abroad by the government and finished their study returned home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Some of them were engaged in an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most of them degenerated into lower government officials of colonization might. In the end, Korea groped for enhancing th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however, it degenerated into a colony and couldn't accomplish civilized one by its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에 대한 연구 -장지연(張志淵)과 하겸진(河謙鎭)의 저항적 조선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정성희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儒學硏究 Vol.29 No.-

        조선에서 통사적 유학사라고 할 수 있는 최초의 저술은 1882년에 나온 송병선의 『패동연원록』이다. 조선말기에 시작된 유학사의 편찬은 식민지시기에 들어서면서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화되었다. 식민지시기에 편찬된 ‘유학사’는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과 하겸진의 『동유학안』이 대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지연과 하겸진의 사상을 조명하고 『조선유교연원』과 『동유학안』에 내포되어 있는 저항의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은 그 서술방식에서부터 ‘근대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또 학파나 연원으로 분류하지 않고 유학사의 시대구분을 하고 있다는 점, 시대별 주요 논변과 학문적 사건을 제시한다는 점, 학파적·지역적 입장을 가능한 한 탈피하여 그동안 소외되어 왔던 실학자나 양명학자, 성리학에 비판적인 학자들까지 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패동연원록』보다 적극성을 띠고 있다. 더구나 『조선유교연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문적 사건과 논변들은 대부분 후일 유학 연구자들의 핵심 연구 주제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하겸진의 『동유학안』은 위정척사의 입장에 있는 도학자의 관점에서 서술된 학안체의 유학사이다. 『동유학안』에서는 새로운 학파분류 방법과 아울러 그 학파별 특징을 잘 제시해 주고 있으며, 학문적·당파적 분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또 사화와 당쟁 등 유학이 정치와 결합되어 나타난 부작용에 대해서도 안타까움을 표하고 있다. 하겸진은 장지연보다 전통적인 입장에서 유학을 되살리고자 하는 입장에 있었다. 이는 그가 유학적 예의를 국성(國性)으로 제시하고 국성을 보존함으로써 국체를 되살릴 수 있다고 보는 관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두 저작에는 한계점도 존재한다. 이들은 조선시대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학자들까지 포용하고 있지만, 둘 다 퇴계 영남학의 학통에 속하는 유학자로서, 자파 중심의 유학사 서술에서 완전히 탈피하지는 못했다. 또한 둘 다 조선왕조 개창의 이론적 바탕을 제시한 정도전을 ‘조선유학사’에서 완벽히 배제함으로서 그들의 내면은 여전히 조선왕조의 신민임을 드러내고 있다. 『조선유교연원』과 『동유학안』은 서술방식도 다르고, 구체적인 방법은 달랐지만 이 두 사람 모두 우리민족의 정신적 바탕을 유학에 두고 민족정신을 회복하고자 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피식민 민족에게 패배의식을 심어주어 저항을 무력화하고자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려는 일제의 식민정책에 대한 강한 저항 의식이 이 두 유학사 저술의 촉발점이었다고 하겠다. 朝鮮末, 宋秉璿著述『浿東淵源錄』(1882), 這是最初的‘朝鮮儒學通史’. 韓國儒學史之編纂於植民地時期, 更多積極的和明確的. 韓國植民地時期之代表的朝鮮儒學史, 是張志淵之『朝鮮儒敎淵源』(1917)和河謙鎭之『東儒學案』(1943). 筆者試圖照明張志淵和河謙鎭之思想, 與試圖揭示『朝鮮儒敎淵源』和『東儒學案』固有的抵抗意識. 『朝鮮儒敎淵源』, 徵求近代的敍述方法. 不分類學派和淵源, 試圖儒學史的時代區分, 而提示時代的主要論爭與學問的事件, 尋求逃生學派的色彩和地方色彩. 還這是書提示時代的主要論爭與學問的事件, 後來成爲了核心的硏究課題, 意義在這方面. 河謙鎭之『東儒學案』是學案體的儒學史. 河謙鎭一個是誰支持衛正斥邪的學者. 『東儒學案』提示新的學術分類和學派的特色. 他還揭示批判的觀點對於學術和黨派的分裂, 還必須表示憂傷對於士禍和黨爭. 河謙鎭提出儒敎的‘禮義’就是韓國人的‘國性’, 而他提出爲了復活‘國體’應該受到保護‘國性’『朝鮮儒敎淵源』與『東儒學案』都有一個缺少粘性. 張志淵與河謙鎭都屬於嶺南學脈, 不能完全逃脫自己的學術地位. 還他們都完全排除鄭道傳, 鄭道傳是朝鮮的一個開國功臣. 這一事實證明是他們不能完全逃脫朝鮮之正統道學者的位置. 可以確定的是『朝鮮儒敎淵源』和『東儒學案』, 這肯定是表示抵抗意志對於日本帝國主義的植民政策.

      • KCI등재

        꿈을 찾아 떠난 사람들 - 한국고대 유학생의 연구현황과 과제 -

        윤재운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59

        본 논문은 한국 고대 유학생의 연구현황과 과제를 검토하기 위해 쓰였다. 유학은 외국의 학술·기술·문화 등을 공부하기 위하여 외국의 교육기관이나 연구기관 등에서 교육을 받거나 연구 활동에 종사하는 일이다. 이러한 유학 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교육방법의 하나이다. 그런데 오늘날 유학이 개인의 선택과 자력에 의해 대부분 행해지는 것과 달리, 고대의 유학은 특히 귀국하 여 고위관료가 되기 위한 한 과정으로서 국가의 통제를 받았다. 이러한 고대 유학생의 역사적 의미는 정치적으로는 외교관으로서 양국 간 의 실무를 논의하였다는 것, 경제적으로는 당시의 동아시아 각국 경제생활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문화적으로는 문화교류의 전도사였다 는 점을 들 수가 있다. 나아가 나말여초 변혁기의 새로운 시대를 이끌 인재 의 보고였다는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과제로 네 가지를 제시해 보았다. 우선은 새로운 자료의 발굴이 다. 한국 고대사 연구의 어려움 가운데 하나가 사료부족이고, 이는 유학생 분 야도 마찬가지이다. 중국 금석문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유익하게 활용되고 있 다. 그럼에도 그것은 국내 금석문에 비해 관련 자료의 양이 적을뿐더러 포괄 하는 내용 또한 다양하지 못하다. 그러나 몇몇 사례에서도 보이듯이, 적극적 인 자료 발굴을 통해 유학생 나아가 고대사 연구가 풍성해지길 기대해 본다. 두 번째로는 해당국가에 끼친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 동안의 도당유학생과 구법승연구는 많은 학문적 축적을 이루어냈다. 빈공과의 급제자수와 구법승의 규모도 실상이 확인되고 있다. 또 산발적이던 이들의 활동무대가 중국이나 인도 등에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개별적 연구를 종합하려는 노력이 아쉬웠고, 시대별 특징과 중국불교에 끼친 사상적 영향력의 연구가 미흡하였다. 세 번째로는 연구시각의 전환을 들 수 있다. 구법승 연구에서 한국 불교는 중국 불교의 移植에 지나지 않는다는 인식을 극복하고 한국불교사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는 측면에서 한국의 高僧들을 발굴해내고 적극적으로 긍정 적 평가를 내렸던 초기 연구의 시대적 의의에 대해서는 부정할 수 없다. 하 지만 동아시아 불교 더 나아가 교류사 연구 방법으로서 단순한 양적 연구방 법을 넘어 사료를 바탕으로 하여 상대편의 시각에서 문제에 접근함으로써 보 다 진전된 논의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 균형감이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는 동아시아 불교사의 구상도, 중국에서 활동했던 한국 승려들의 정체성과 활동의 의미에 대한 논의가 자칫 공론에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당유학생 의 연구에도 이러한 균형 감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론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의 한국 고 대 유학생에 대한 연구 분량은 상당히 축적되어 있다. 현재 우리가 직면한 과제는 이들 선행연구의 성찰적 평가에 기초하면서 새로운 연구를 위한 다양 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이다. 우리는 국제화와 세계화의 시대에 통섭의 요 청 즉 융복합적 정보의 제공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인접학문과도 긴밀하 게 소통해야만 한다. 고고학·민속학 등의 인접 학문과의 학제간 연구가 필 요하다. 아울러 이주나 이민, 디아스포라 같은 사회과학 개념도 고대 유학생 연구에 적극 활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review the research status and tasks of Korean ancient students who studied abroa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se ancient students was that they discussed the affairs of the two countries as diplomats politically, so that they could get a glimpse of the economics of East Asian countries at that time, while also acting as culturally evangelists of cultural exchange.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studying abroad was a treasure trove of those who are talented, and who will lead a new era of transformation in the late Silla Dynasty. I presented four future research subjects. The first is the discovery of new data. Nex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f studying abroad on the country. The third is the transition of research viewpoint. As a method of studying East Asi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exchange, it is necessary to bring forward more advanced discussions by approaching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ther side based on feed rather than jus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inally, the problem of research methodology can be mentioned.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th neighboring studies such as archaeology and folklore is needed. In addition, social science concepts such as migration, immigration, and diaspora need to be considered actively for the study of ancient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