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임신성 유방암과 40세 미만의 유방암과 비교

        양반석 ( Ban Seok Yang ),박세호 ( Se Ho Park ),이소희 ( So Hee Lee ),박형석 ( Hyung Seok Park ),황혜원 ( Hye Won Hwang ),이준상 ( Jun Sang Lee ),고시몬 ( Si Mon Ko ),김승일 ( Seung Il Kim ),박병우 ( Byeong Woo Park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7 No.2

        목적: 본 연구는 임신성 유방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예후를 조사하여 임신이 임신성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7년부터 2007년 사이에 치료받은 14명의 임신성 유방암환자들의 임상병리적 특성, 치료방법, 생존율을 855명의 40세 미만침윤성 유방암 환자들과 chi-square 검정, Kaplan-Meier 방법, 그리고 Cox`s hazards 모델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임신성 유방암은 임신기간중또는출산후1년이내에진단된유방암으로정의하였다. 결과: 14명의 임신성 유방암 환자 중, 7명은 임신 중에 진단되었으며, 7명은 산후 1년 내에 진단되었다. 평균 증상기간은 7.6개월이었고, 임신성 유방암과 40세 미만 유방암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각각 32.6세, 34.6세였다 (p=0.044). 임신성 유방암은 모두 유관암이었으며, 병기, 호르몬 수용체 발현, 치료방법은 임신성 유방암과 40세 미만 유방암 사이에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신성 유방암 환자의 5년 무병 생존율과 전체 생존률은 57.1%, 70.0% 였으며, 생존율은 두 그룹 사이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도 임신여부는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임신성 유방암 환자 중 출산전과 후에 따른 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젊은 유방암 환자와 비교하여 임신성 유방암은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는 차이가 없었으며, 임신성 유방암 환자와 태아를 위해 적극적인 진단과 다학제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regnancy-associated breast cancer (PABC) and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of pregnancy itself on the prognosis of PABC. Methods: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treatment patterns, and survival of 14 PABC patients were compared to those of 855 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patients under 40 years of age, who were treated between 1987 and 2007, using a chi-square test, the Kaplan-Meier method, and Cox`s hazards models. PABC was defined as breast cancer diagnosed during pregnancy or within the first year after delivery. Results: Among 14 PABCs, 7 were diagnosed during pregnancy and 7, during the first postpartum year. The mean duration of the symptoms was 7.6 months. The mean age at diagnosis of PABC and IDC under 40 years was 32.6 and 34.6 years, respectively (p=0.044). All PABCs were ductal type. Hormone receptors, treatment modalities, and tumor and node stag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PABC and IDC under 40 years. Five-year disease-free, locoregional relapse-free, distant relapse-free, and overall survival of PABC was 57.1%, 71.3%, 56.4%, and 70.0%, respectively.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n Cox°Øs models, PABC was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outcomes. Among PABC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urvival between patients diagnosed before and after delivery. Conclusion: Pregnancy itself does not increase the risk of poorer outcomes among young breast cancer patients. Vigilant diagnosis and multidisciplinary treatment should be recommended to best manage woman with PABC and her baby.

      • KCI우수등재

        유방암 생존자의 운동 선호에 대한 탐색

        변지용(JiYongByeon),강민재(MinJaeKang),박지혜(JiHyePark),민지희(JiHeeMin),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선호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그룹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10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실을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주제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유방암 생존자의 운동 선호에 대한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지도하의 운동’, ‘함께하는 운동’, ‘유방암 생존자 맞춤 운동 프로그램’, ‘재미 요소’로 나타났다. 첫째, 유방암 생존자들은 지도하의 운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 전문가가 필요하고 전문가에 의한 개인별 맞춤 지도가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둘째, 유방암 생존자들은 함께하는 운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이 하는 운동의 시너지 효과로 운동 참여를 촉진시키고 함께하는 대상으로는 유방암 생존자를 언급하였다. 셋째, 유방암 생존자 맞춤 운동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방암 생존자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와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운동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언급하였다. 넷째, 유방암 생존자들이 선호하는 운동의 중요한 요소는 재미로 나타났으며, 재미있는 운동을 선호하고 재미 요인으로 음악적 측면을 언급하며 본인 스스로 재미를 느껴야한다고 하였다. 향후 유방암 생존자의 운동 선호를 반영하여 전문화 된 인력과 프로그램으로 유방암 생존자의 체계적인 관리가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ercise program preference of breast cancer survivors. The qualitative data on group exercis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ten participants was acqui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using the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4 themes indicated the preference of breast cancer survivors: (1) Supervised exercise, (2) Group exercise, (3) Specialized exercise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4) Enjoyment factor. First, the participating breast cancer survivors showed a preference towards supervised exercise by responding that a exercise specialist is needed along with a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 Second, breast cancer survivors preferred to participate in group exercise programs. Participants preferred to exercise with othe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mentioned that group exercises cause a synergy effect that promotes exercise participation. Third, the participant's responses showed anticipation of and preference for a specialized exercise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Lastly,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reference of breast cancer survivors was the enjoyment factor. Participants preferred enjoyable exercises and the most prevalent enjoyment factors included the element of music and self-felt enjoyment.

      • KCI등재

        유방암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유방암 검진 의향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의철 ( Eui Chul Jung ),박기호 ( Kee Ho Park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2

        유방암은 서구적인 식생활과 생활습관의 확산으로 한국에서 심각한 여성건강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사회에서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해 유방암 및 유방암 검진에 관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할 필요성이 크다. 이런 상황에 주목해 본 연구는 유방암 커뮤니케이션 채널 노출 정도와 유방암 지식 및 검진 의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립암센터가 경기도 지역에서 실시한 여성암 검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커뮤니케이션 패턴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방암 메시지에 대한 노출도는 미디어 채널 중에서 텔레비전이 높았고 유방암 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신문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검진 의향에는 텔레비전은 영향을 주지 못했고 신문은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대인 채널에서는 의사, 약사 등 의료인과의 채널이 노출도가 높았고 유방암에 대한 지식 및 검진 의향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나이는 어릴수록, 소득은 많을수록 유방암 검진에 참여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유방암 지식 향상 및 검진 촉진을 위한 캠페인을 위해서는 목표 공중의 특성에 맞는 메시지를 개발하고 적절한 채널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목표 공중이 많이 이용하는 미디어와 대인 채널을 적절하게 결합해 유방암 검진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Breast cancer has emerged as a serious health issue in Korea because of a wide-spreading Westernalized eating pattern and lifestyle in the past decade. Therefore, it seems a necessity to strengthen communication campaigns and activities about breast cancer to promote women`s health in society. Focusing on this situation,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breast cancer communication patterns and its impacts on breast cancer knowledge and screening intent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survey result conducted by Korea`s National Cancer Institute in Kyunggi Province in 2008 to find out Korean women`s breast cancer knowledge and intention. First of all, television has the highest exposure rate among media channels while newspaper was the most influential on breast cancer knowledge. Television has no effect on screening intention while newspaper has a negative effect on it. In terms of interpersonal channels, healthcare providers, such as medical doctors or pharmacists, have the highest exposure rate and make significant effects on breast cancer knowledge as well as screening intention. Also, young age and high income level are positively related to screening intension.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tailored messages considering target audiences` characteristics and to utilize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s based on an audience analysis to make a campaign for more breast cancer knowledge and screening effective. It is also noted that it is useful to integrate appropriate interpersonal and media channels to disseminate breast cancer screening messages effectively.

      • KCI등재

        유방암 환자에서 체질량지수와 모발 내 아연(Zinc)

        류현정,유윤상,정수환,엄용식,주남석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8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one of the commonly diagnosed female cancer in Korea. Numerous factors have been noted to be associated with risk of breast cancer: body mass index, menarche, menopause, family history, pregnancy and delivery, breastfeeding, alcohol use, smoking habits, diet, education and use of oral contraceptives. Little is known about hair minerals in breast cancer patient and about correlation between hair minerals and body mass index. Methods: We compared hair mineral analysis data of 37 breast cancer subject with age and body mass index-matched normal control data (N = 144) by cross-sectional analysis. All breast cancer patients were newly diagnosed at one Breast Cancer Center in Ajou University and had their hair cut before anti-cancer chemotherapy, and the normal controls (without breast cancer) also had their hair cut for various reasons in out-patient clinics of the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and Community Health. Results: Breast cancer patients had low calcium, magnesium, and zinc, whereas they had high arsenic, sodium, and potassium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Only hair zinc level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ody mass index (r = -0.705, P < 0.001) in breast cancer patients, not in normal controls. Conclusion: We observed the difference of hair mineral patterns in newly diagnosed breast cancer patients compared to normal control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minerals and body mass index in breast cancer patient. Especially hair zinc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ody mass index in breast cancer patients. 연구배경: 유방암은 한국 여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두번째로흔한 암이며, 가족력, 과거력, 출산, 초경연령, 폐경연령, 체형,환경 요인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방암 환자의 모발 미네랄 및 모발 미네랄 수치와 체질량 지수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려진 바는 많지 않다. 방법: 유방암 환자군 37명과 비슷한 연령 및 체질량지수를 가진 정상 대조군 144명을 대상으로 단면 연구를 시행하였다. 유방암 환자군은 아주대학교병원 유방암센터에서 처음으로 유방암을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항암 화학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모발을 채취하였다. 유방암이 없는 정상 대조군은 여러가지 이유로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하여 모발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유방암 환자군에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 구리,망간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 칼륨, 비소는 유의하게 높았다. 이들 미네랄 수치와 유방암 환자군의 체질량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연이 유일하게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유방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사이에 모발 미네랄의 차이 및 이들 미네랄이 체질량지수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관찰하였다. 특별히 아연은 유방암 환자군에서 낮게 측정되었으며,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유방암 생존자 부부를 위한 중재 연구 문헌고찰

        강희선 ( Hee Sun Kang ),염수영 ( Soo Young Yeom ),전은영 ( Eun Young Jun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3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유방암 생존자 부부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내용은 주로 개별상담 및 의사소통 기법과 부부간의 관계 향상 등 심리사회적인 측면 및 관계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이는 부부단위의 프로그램인 경우 관계적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용에 초점을 두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단계 유방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심리교육적 지지 중재 효과를 메타분석한 연구(Matsuda, Yamaoka, Tango, Matsuda, & Nishimoto, 2013)에 따르면 심리교육적 지지 중재가 유방암 생존자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없었으나 중재 후 6개월 이내의 유방암 증상과 정서적 안녕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는 유방암 생존자 중심의 중재도 신체적, 정서적 측면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들을 포함한 중재는 정서적 안녕 외에도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우자와의 의사소통이나 결혼 만족도 등과 같은 관계적 측면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 유형은 주로 정보제공, 인지행동요법, 상담(대면, 전화) 등이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방암 생존자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중재 중 미술기법(Jun, 2008), 웃음요법(Cho & Oh, 2011) 등은 삶의 질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암 환자의 우울에 적용한 중재 효과의 메타분석 연구(Jang, Choi, & Kwon, 2013)에 따르면 음악요법이나 신체적 중재와 인지적, 정서적 중재를 함께 적용한 통합요법이 암 환자의 우울에 효과적이었고, 영적중재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Oh & Kim, 2012)에 의하면 영적 중재는 심리적 안녕(우울 및 불안)과 영적 안녕에 효과가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위에 제시된 내용들을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에 활용하고 그 효과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중재 프로그램이 매주 또는 2주 간격으로 중재가 진행되었지만 총 회수는 다양하였고 중재 후 1회에 걸쳐서 효과를 측정하거나(Cochrane et al., 2011) 여러 회에 걸쳐서 측정하기도 하였다(Bultz et al., 2000; Manne et al., 2007; Scott et al., 2004). 중재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러 회에 걸쳐 중재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나 본 연구 분석결과 조사 시점이 중재 후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등으로 일관되지 않았고 최대 1년까지 측정된 연구도 있었다. 반복연구 등을 통해 효과적인 중재의 적용기간과 중재효과의 지속시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공된 중재의 효과는 주로 주관적 측면의 측정만으로 제시되고 있다. 최근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는 면역력 등에 관한 객관적 지표 등을 통한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Kim, 2005; Von Ah, Kang, & Carpenter, 2007). 추후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지표 등을 통해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노력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중재가 주어진 시기가 낮인지 저녁인지 또는 주중인지 주말인지는 서술되어 있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배우자들이 낮 시간동안 업무 등으로 인해 부부 프로그램에 참여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고, 본 연구결과 중재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못한 주요 이유로는 관심이 없거나 시간이 없어서(Belcher et al., 2011), 너무 오래 걸려서(Manne et al., 2007) 또는 거리가 멀어서(Baucom et al., 2009) 등이었다. 따라서 시간적 또는 접근성의 이유로 참석이 어려운 대상자들을 위해서는 화상이나 인터넷 온라인(On-line), 유튜브(You-tube) 등을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 일부 연구(Baucom et al., 2009; Lewis et al., 2008)에서는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은 다소 자세히 언급되었으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제시되고 있지 않아 추후 타 연구자가 중재를 따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중재연구의 경우 자세한 프로토콜의 제시가 필요하다. 그리고 일부 중재 프로그램에서 표준화된 교육내용을 제공하기 위해 비디오 등을 활용하고 있었는데 효과가 입증된 교육내용은 추후 타 언어로 번역되어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타 문화권에서도 동일하게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효과적인 중재들이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개인이나 기관차원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간호사들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훈련 과정을 개설하여 관심 있는 간호사들에게 이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기관 차원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인력과 자원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선행연구들 대부분은 주로 백인(Baucom et al., 2009; Belcher et al., 2011; Cochrane et al., 2011; Lewis et al., 2008; Manne et al., 2007)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이루어졌으며 아시아나 라틴계를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는 소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가 덜 된 인종과 지역을 중심으로 유방암 생존자 부부중심의 중재연구가 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으며, 문화적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재 대상의 경우 상피내암(CIS)에서부터 병기 Ⅰ~Ⅲa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진행된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편에 불과하였다. 유방암 생존자에 대한 간호는 진단 시점부터 수술 및 회복 과정 동안 전 기간에 걸쳐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부 연구에서(Sherman et al., 2009) 중재를 진단 시, 수술 전, 수술 직후, 수술 후 등 여러 시점에 걸쳐서 치료과정에 따른 적합한 중재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단계별로 필요로 하는 교육의 요구도와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가 다르므로(Baik & Lim, 2011) 단계를 고려하여 중재를 실시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중재연구 대부분이 유방암 초기 단계에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추후에는 진행된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연구의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현재 유방암 생존자들을 위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이 소개되고 있는데 유방암 생존자들은 여성들만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외에 배우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에도 참석해야 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칠 수 있으므로 유방암 생존자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파트너 단위의 중재 프로그램을 연계한 중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유방암 생존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지 않은 실정에서 본 연구결과는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유용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분석 대상 논문이 영어논문으로 국한 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연구가 많지 않고 특히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가 아니거나 파일럿 연구가 다수이어서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의 특성이나 종속변수별 효과크기를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의 확대와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들을 통해 유방암 생존자의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하는 후속 연구들이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중재의 효과크기를 사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ir partners. Methods: The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MEDLINE, Pubmed, and Proquest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regarding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ir partners. Articl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11 were included. Results: A total of 14 studies were identified. Couple-base d interven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ntervention for survivors alone. Intervention to partners had also effects on their wives.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USA with Caucasian women. Sample size of intervention studies was small with most being pilot studies. Conclusion: Providing couple-based intervention to breast cancer survivors could have positive impacts on physical, interpersonal, and social aspects in breast cancer survivors. Future studies with large sample and different ethnicity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couple-based intervention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 KCI등재

        유방암환자의 요가수련 효과에 대한 문헌연구

        변재경,박순희,노밍영,이현희,이현정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를 위한 요가운동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유방암 환자를 위한 요가운동 계획 의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주제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Pub Med 및 Google Scholar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유방암 환자, 요가운동 및 면역"을 검색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 없는 논문을 제외하고 총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유방암에 대한 요가운동 프로그램은 강사에 의한 코스 안내와 DVD로 진행 되었다. 유방암 유형은 전이성 유방암, I기, II기, III기 유방암, 비전이성 유방암, 편측성 유방암, 방사선 요법을 받는 유방암으로 분류하였다. 유방암의 유형과 요가운동 목적에 따라 요가운동 프로그램은 운동 시간, 빈도 및 운동 강도가 결정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대부분의 운동 프로그램은 유방암 환자의 신체 구성, 체력, 면역, 수면, 정신건강 및 기능, 신체 활동수준을 개선하고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요약하면, 유방암 환자에게 적합 한 요가운동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모든 암 환자가 요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른 분야로 확장되어야 한다. 또한 유방암 유형별로 구체적인 운동계획과 처 방을 제안할 필요가 있으며, 유방암 치료 중 발행되는 휴유증에 따른 운동처방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yoga exercise plan for breast cancer patients by analyzing studies related to the yoga exercise plan for breast cancer patients. In order to check the relevance of the research subjects, Pub Med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for "breast cancer patients, yoga exercise and immunity". In addition to papers not related to this study, a total of 16 papers were selected. Result, the yoga exercise program for breast cancer is carried out by the course guidance and family DVD. Breast cancer types include metastatic breast cancer, stage I, II, III breast cancer, non-metastatic breast cancer, unilateral breast cancer, stage II, stage III breast cancer, stage II-IV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ceiving radiotherapy, Breast cancer. Depending on the type of breast cancer and the purpose of the yoga exercise, the implementation of the yoga exercise plan is different, and the exercise time, frequency and exercise intensity of the yoga exercise program are usually determined. Most exercise programs i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y can improve and enhance the body composition, physical strength, immunity, sleep, mental health and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summary, it has been found that a yoga exercise program suitable for breast cancer pati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it should be extended to other fields so that all cancer patients can participate in yoga exerci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pose more specific exercise plans and prescriptions for each type of breast cancer. there is a need to propose a more specific exercise program and prescription for each disability.

      • KCI등재후보

        유방암 환자의 Digital Mammography에 관한 연구

        임청환(Cheonghwan Lim),이상호(Sangho Lee),정홍량(Hongryang Jung),모은희(Eunhui Mo)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1

        본 연구는 유방영상검사의 최고의 관심영역인 DR 방식의 유방영상에서 유방암 진단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유방암 환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DR 방식으로 유방영상검사를 실시한 유방암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조사되었다. 유방암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0.8세이었고, 유방암의 발생 부위는 상외측(UOQ)이 전체의 33.3%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에 따른 유방암 발생은 40-49세에서 42.1%로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들의 유방조직 밀도는 지방형 유방이 31.6%(18/57), 치밀유방이 68.4%(39/57)로 나타나, 70%에 가까운 유방암 환자들이 치밀유방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유방영상에서 방사선학적 병변 중 종괴와 미세석회화가 함께 동반된 경우 (45.3%)가 유방암 발견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치밀유방에서 미세석회화를 동반하지 않는 종괴의 경우 지방형 유방에서보다 유방암의 발견율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종괴는 치밀유방에서 위음성율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Digital mammography의 위음성률은 7.0%이었고, 민감도는 93.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밀유방의 위음성율은 12.8%, 민감도는 87.2%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이전에 보고된 screen film mammography의 치밀유방에서 보다 유방암에 대한 민감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breast cancer diagnosis of digital mammography which is in the highest interest of breast imaging test,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patients. For this purpose, 57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imaging test were examined between May 2010 and June 2011. The average age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was 50.8 years old, an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location was the upper outer quadrant (UOQ), accounting for 33.3%. By age, the highest occurrence rate of breast cancer was the age group of 40~49, accounting for 42.1%. As for the breast composition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fatty breast accounted for 31.6% (18/57) and dense breast for 68.4% (39/57), indicating that nearly 70%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have dense breast. It was found that the detection rate of breast cancer was the highest (45.3%) when both microcalcification and mass are simultaneously present in the radiographic lesion of the breast imaging. In dense breast, the mass without microcalcification was lower in detection rate than fatty breast. Accordingly, the mass is the cause of raising the false negative rate in dense breast. The findings show that the false negative rate of digital mammography was 7.0% and the sensitivity 93.0%. Also, the false negative rate of dense breast was 12.8%, and the sensitivity 87.2%, indicating that the sensitivity to breast cancer in this study was higher than the dense breast of previously reported screen film mammography.

      • KCI등재

        유방암환자의 수술 전후 관리

        이연옥 ( Youn Ok Lee ),김이수 ( Lee Su Kim ) 대한임상종양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5 No.2

        유방암은 전세계적으로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암등록본부의 2003년부터 2005년 사이의 암발생률 보고에 따르면, 2005년 인구 10만 명당 유방암 발생률은 35.5명으로 두 번째로 흔한 암이다. 유방암에 대해 걱정하고 선별검사를 원하는 여성이 많아짐에 따라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들은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유방암 선별검사를 위해 내원한 환자를 진찰할 때, 병력청취가 유방암 진단에 가장 중요하다. 병력 청취 시 유방암과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유방암의 위험인자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유방암 선별검사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검사는 유방촬영이지만,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의 대부분은 치밀유방을 가진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추가적인 유방초음파가 필요할 수 있다. 진찰이나 유방촬영에서 비정상 부위가 발견되었을 때에는 유방초음파나 유방 MRI와 같은 다른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병변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영상학적 진단을 해야 한다. 영상학적 진단법에서 악성 가능성이 있는 경우, 세침흡입세포검사, 중심침생검, 음압을 이용한 맘모톰 생검, 혹은 수술을 통한 생검을 이용하여 조직학적 진단을 내려야 한다. 조직검사를 통해 유방암으로 진단된 환자는 치료를 시작하기 전 원격전이 여부를 평가하는 병기결정검사가 필요하다. 유방암의 치료는 크게 국소치료와 전신적 보조요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방암의 국소치료에는 수술과 방사선치료가 있고, 전신 보조요법에는 수술전항암화학요법, 보조항암화요법, 호르몬 요법이 있다. 유방암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면서 유방암의 수술 전후 관리는 점점 더 복잡해졌다. 따라서 유방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다학제적 접근법을 통해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우고, 원칙을 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의사는 환자의 정신적 충격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ly diagnosed cancer for women all over the world. As the report of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about cancer incidence from 2003 to 2005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around 35.5 of a hundred thousand women were diagnosed breast cancer in 2005, which was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for women in Korea. As many as women concern about safety of their breasts, and want to get screening tests for breast cancer, clinicians should prepare to make a right diagnosis and management for breast cancer. While examining a patient who visited to get breast cancer screening, history taking could be one of the most crucial step to diagnose breast cancer. In order to get information related to breast cancer during taking her/his history, clinicians should know about risk factors of breast cancer. Although most commonly used screening test for breast cancer is mammography, most of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could need additional breast sonography due to dense breast. If any abnormal lesions during physical examination or on screening test are detected, another imaging studies, such as breast sonography or breast MRI, should be taken to describe the lesion in detail. After characterizing the lesion on imaging studies, the lesion which has possibility of malignancy should be proven pathologically by biopsies, including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FNAC), core needle biopsy(CNB), vacuum-assisted large core needle biopsy, and surgica biopsies.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on biopsy should be evaluated for distance metastasis of disease before treatment. Modalities of treatment for breast cancer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which are loco-regional treatment and systemic adjuvant treatment. Loco-regional treatment is including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and systemic adjuvant treatment is including neoadjuvant chemotherapy, adjuvant chemotherapy and adjuvant endocrine therapy. As there have been many advances in breast cancer management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perioperative management of breast cancer is getting more complicated, so that multidisciplinary approach might be necessary. Furthermore, clinicians have to take care of emotional trauma of patients.

      • KCI등재

        젊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와 호르몬 수용체, HER-2 상태에 관한 연구

        최두호(Doo Ho Choi),진소영(So Young Jin),이동화(Dong Wha Lee),김은석(Eun Seog Kim),김용호(Yong Ho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1

        목 적: 40세 이하의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는 나이 든 여성 보다 BRCA1과 BRCA2 배선돌연변이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유방암 가족력이 있거나 젊은 나이에 유방암을 진단받은 백인 여성들의 BRCA1/2 돌연변이 암에 대한연구에서 면역조직화학적으로 BRCA1/2 돌연변이 음성인 암과 다른 특성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가족력과 관계없이 젊은 나이에 유방암이 발생한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BRCA1/2 돌연변이 유뮤에 따라, 그리고BRCA1과 BRCA2 각각의 돌연변이에 따라 면역조직화학적 특성으로 상호간의 구별이 가능한지, 면역조직화학적검사로 BRCA1/2 돌연변이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 가능한지를 조사하는데 있으며 BRCA와 관련된 암의 예후인자로서의 역할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BRCA1/2 검사를 시행한 40세 이하의 한국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의 유방암 수술 후 병리조직을 찾아서 조직미세배열법으로 슬라이드를 만들었다. 이 검체들의 병리조직, 등급, 림프절 전이, T 병기,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및 HER-2 상태와 BRCA1/2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환자들의 BRCA 돌연변이 상태와 면역조직학적, 병리학적 상태와 예후 인자로서의 역할도 조사하였다. 결 과: BRCA1/2 돌연변이를 조사한 101명 중 14명에서 16개의 돌연변이가 있었으며(13.9%), 유방암-난소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4/14, 28.6%), 양측성 유방암이 있는 경우(3/9, 33.3%)에 BRCA1/2 돌연변이 빈도가 높았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인 경우 BRCA1/2 양성이 19.4% (12/62)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비율 5.1% (2/3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38), HER-2 음성인 경우 BRCA1/2 돌연변이 음성 비율이 16.5% (13/79)로 양성 비율 4.5% (1/22)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p=0.073),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는 차이가 없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및 HER-2 모두 음성인 경우(triple negative)는 BRCA1/2 돌연변이 비율이 24.2% (8/33)로 매우 높았 다.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상태, HER-2 상태는 단변량 변수와 다변량 변수 모두에서 무병 생존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인자 이었으나 BRCA1/2 돌연변이 상태는 무병생존에 유의한 인자가 아니었다. 결 론: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나 HER-2 음성을 보이는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까지 모두 음성인 경우 BRCA1/2 돌연변이가 있을 확률이 24.2%로 높아서 유방암 유전자 돌연변이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국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 상태가 무병생존에 유의한 인자는 아니었으나 좀 더 많은 환자와 긴 추적관찰 기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Women with breast cancer diagnosed at an age of 40 years or younger have a greater prevalence of germline BRCA1 and BRCA2 mutations than the prevalenc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diagnosed at older ages. Several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identified in breast cancers from studies of Caucasian women with BRCA1/2 mutations having familial or early-onset breast canc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early-onset breast cancer in BRCA1 or BRCA2 mutation carriers, who were not selected from a family history, could be distinguished by the use of immunohistochemical methods and could be istinguished from breast cancer in women of a similar age without a germline BRCA1 or BRCA2 mutation. We also analyzed the prognostic difference between BRCA1/2 related and BRCA1/2 non-related patients by the use of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Breast cancer tissue specimens from Korean women with early-onset breast cancers were studied using a tumor tissue microarra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estrogen receptor (ER), progesterone receptor (PR) and HER-2, as well as the histology and grade of these specimens, were compared. The prognostic impact of immunohistochemical and histological factors as well as the BRCA1/2 mutation status was investigated separately. Results: There were 14 cases and 16 deleterious BRCA1/2 mutations among 101 patients tested. A family history (4/14) and bilateral breast cancers (3/9) were high risk factors for BRCA1/2 mutations. BRCA1/2- associated cancers demonstrated more expression of ER-negative (19.4% versus 5.1%, p=0.038) and HER-2 negative than BRCA1/2 negative tumors, especially for tumors with BRCA1 tumors The BRCA1/2 mutation rate for patients with triple negative tumors (negative expression of ER, PR and HER-2) was 24.2%. Tumor size, nodal status, and HER-2 expression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ease free survival, as etermin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but the BRCA1/2 status was not a prognostic factor. Conclusion: Breast cancer that occurs in women with a germline BRCA1 or BRCA2 mutations have recognizable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which may be useful in identifying individuals that are more likely to carry germline mutations. Although the BRCA1/2 mutation status was not a prognostic factor in Korean women with early-onset breast cancer, more cases with a longer follow-up period are needed for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