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부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에서 음식물 배출지연에 따른 영향

        김동현(Dong Hyun Kim),김원택(Won Taek Kim),이미란(Mi Ran Lee),기용간(Yong Gan Ki),남지호(Ji Ho Nam),박달(Dal Park),전호상(Ho Sang Jeon),전계록(Kye Rok Jeon),김동원(Dong W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4

        목 적: 위부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들 중에서 위 내 음식물의 배출지연으로 인한 위 용적 및 주변 장기 의 위치 변화와 이것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위암으로 위부분절제술을 받은 후 보조적 동시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총 32명의 환자들 중,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 영상에서 12시간 이상의 금식에도 불구하고 위 내 음식물이 50 ml 이상 남아 잔존 위의 팽대를 보였던 경우들이 이번 연구 대상이었다. 이 환자들에 대해 방사선치료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시행된 컴퓨터단층촬영 자료를 바탕으로 잔존 위 용적 및 주변 장기들의 위치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방사선치료 설계 자료를 바탕으로, 잔존 위 및 주변 장기들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치료를 지속했을 경우의 치료 표적 및 정상조직의 방사선분포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 과: 총 5명의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 영상에서 배출장애에 의한 50 ml 이상의 위 내 음식물의 저류가 확인되었다. 대상 환자들에서 위 용적은 치료과정 중에 다양한 변화양상을 보였고, 각 환자에서 최대 64.2∼340.8 ml (평균,188.2 ml)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위 용적에 따라 좌측 신장이 각 환자별 최대 0.7∼2.2 cm (평균, 1.2 cm)까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모의치료 시의 설계를 위 용적의 변화에 따라 변경하지 않고 치료를 진행한 경우 유의하게 계획용표적체적(V43, 79.5±10.4%)에 조사선량이 부족하고 좌측 신장(V20, 34.1±12.1%; Mean dose, 23.5±8.3 Gy)에 과도한 선량이 조사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 론: 위부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는 일부 환자에서 배출지연에 따른 위 용적의 변화와 좌측 신장의 위치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배출지연이 발생하는 환자를 선별하여 위 용적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방사선치료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gastric volume and organ position as a result of delayed gastric emptying after a subtotal gastrectomy performed as part of the treatment of stomach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32 patients who underwe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fter a subtotal gastrectomy from March 2005 to December 2008 were reviewed. Of these, 5 patients that had more than 50 cc of residual gastric food detected at computed tomography (CT) simulation,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in this study. Gastric volume and organ location was measured from CT images obtained before radiotherapy, twice weekly. In addition, authors evaluated the change of radiation dose distribution to planning the target volume and normal organ in a constant radiation therapy plan regardless of gastric volume variation. Results: A variation in the gastric volume was observed during the radiotherapy period (64.2∼340.8 cc; mean, 188.2 cc). According to the change in gastric volume, the location of the left kidney was shifted up to 0.7 - 2.2 cm (mean, 1.2 cm) in the z-axis. Under-dose to planning target volume (V43, 79.5±10.4%) and over-dose to left kidney (V20, 34.1±12.1%; Mean dose, 23.5±8.3 Gy) was expected, given that gastric volume change due to delayed gastric emptying wasn’t taken into account.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a great change in gastric volume and left kidney location may occur during the radiation therapy period following a subtotal gastrectomy, as a result of delayed gastric emptying. Detection of patients who experienced delayed gastric emptying and the application of gastric volume variation to radiation therapy planning will be very important.

      • KCI등재

        부분 위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역류성 식도염의발생률과 위험인자

        강승주,김미나,김수현,박진명,조현진,최문선,이상협,박영수,황진혁,김진욱,정숙향,김나영,이동호,정현채,송인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4

        목적: 부분 위 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역류성 식도염의 발생률과 그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부분 위 절제술을 받은 환자 225명 중에서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되었고 추적 기간 동안 1회 이상의 내시경을 받은 2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007년 12월까지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역류성 식도염은 Los Angeles (LA) 분류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미세변화도 역류성 식도염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결과: 총 201명의 환자 중에 빌로스 I과 빌로스 II로 수술 받은 사람은 각각 173명과 28명이었다. 역류성 식도염의 누적발생률은 40.8%였고 이중 미세변화는 31.3%, LA 분류 A는 6.0%, LA 분류 B는 3.5%였다. 다변량 분석 결과 65세 이상의 고령, 40개월 이상의 장기간 추적 관찰, 담즙 역류성 위염, 수술 후 비만(각각 p=0.04, p=0.03, p<0.01, p=0.02)이 술 후 역류성 식도염의 독립적 위험 인자였다. 미세변화의 경우 4회 이상 내시경을 받았던 경우, 담즙 역류성 위염, 수술 후 비만(p=0.012, p=0.002, p=0.038)이 위험 요인이었고 미세변화를 제외한 역류성 식도염의 경우에는 65세 이상의 고령, 40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 수술 전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각각 p=0.03, p=0.01, p<0.01)가 위험 인자였다. 결론: 부분 위 절제술 후 미세 변화를 보이는 역류성 식도염 발생이 증가하며 담즙 역류가 중요한 기전으로 보인다. 수술 전에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한 경우는 미세 변화를 제외한 역류성 식도염의 발생과 관련 있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전향적인 연구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SCOPUSKCI등재

        위부분절제술 환자에서 미란성 식도염의 유병률 조사 환자-대조군 연구

        석기태 ( Seog Gi Tae ),김현수 ( Kim Hyeon Su ),김정민 ( Kim Jeong Min ),최윤종 ( Choe Yun Jong ),백순구 ( Baeg Sun Gu ),이동기 ( Lee Dong Gi ),권상옥 ( Kwon Sang Og ),김대성 ( Kim Dae Seong ),김원중 ( Kim Won Jung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2 No.2

        Background/Aims: Enterogastric bile reflux has been implicated as a definite causative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bile reflux gastriti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bile reflux into the stomach i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patients with subtotal gastrectomy. In this study, we tried to prove that the bile reflux gastritis does increase the development of erosive esophagitis in patients who underwent subtotal gastrectomy. Methods: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2001, 222 patients with previous subtotal gastrectomy were enrolled. We also reviewd the endoscopic findings in 1,633 age and sex-matched healthy controls who had visited our hospital for routine check-up without significant gastrointestinal symptoms. Results: The prevalence of erosive esophagitis is 5% (LA A 2.7%, LA B 2.3%) in gastrectomized patients and 4.9% (LA A 3.2%, LA B 1.7%, LA C 0.0%) in healthy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and the degree of esophagiti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total gastrectomy may not be a risk factor for developing the erosive reflux esophagitis. (Korean J Gastroenterol 2003;42:96-101)

      • KCI등재

        증례 : 소화기 ; 간경변 환자에서 위부분절제술 후 발생한 암죽복수 1예

        장원석 ( Won Seok Jang ),김은영 ( Eun Young Kim ),신현필 ( Hyun Phil Shin ),정성원 ( Sung Won Jung ),차재명 ( Jae Myung Cha ),주광로 ( Kwang Ro Joo ),이정일 ( Joung Il Lee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4

        본 저자는 간경변 환자에서 복강경 위부분절제술 후 발생한 이뇨제로 조절 되지 않는 복수를 경험하였고 검사상 수술에 따른 암죽 복수와 간문맥 고혈압으로 인한 복수가 동반된 소견이었다. 이후 저지방식이, 전비경구 영양과 octreotide 병용치료 뒤 암죽복수에서 중성지방 수치 감소하였고 남아있는 간문맥 고혈압에 의한 복수를 이뇨제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었다. 이후 특별한 재발 없이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hylous ascites is the extravasation of milky chyle into the peritoneal cavity. This condition can occur as a result of the disruption or obstruction of the abdominal lymphatics. Abdominal surgery, malignant neoplasms, and cirrhosis can cause chylous ascites. Here, we report a case of intractable ascites caused by chyle leakage and portal hypertension in a patient with alcoholic liver cirrhosis. The ascites occurred following a subtotal gastrectomy to treat stomach cancer and was not resolved with diuretics. Increasing the diuretic dosage was limited by the aggravation of renal function. The ascites was milky in color and analysis showed transudate caused by portal hypertension. Octreotide and diuretic treatments can resolve mixed ascites. In this article, we present the case and review the literature. (Korean J Med 2011;80:449-452)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수술 후 잔위에서 Helicobacter pylori의 분포와 역할

        최윤종 ( Yeun Jong Choi ),김현수 ( Hyun Soo Kim ),박동훈 ( Dong Hoon Park ),김문영 ( Moon Young Kim ),백순구 ( Soon Koo Baik ),이동기 ( Dong Ki Lee ),권상옥 ( Sang Ok Kwon ),박광화 ( Kwang Hwa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1 No.3

        Background/Aims: The distribution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and its effect on postoperative remnant gastritis has not been clearly investigated. Thus,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examine H. pylori positive rate in the body and cardia and to assess the role of H. pylori on the pathogenesis of remnant gastritis. Methods: Eighty-two patients who had undergone gastric surgery (Billroth I, II) were studied. Four biopsy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e cardia and oral side of anastomosis for histological analysis and CLO test. The histological grades of gastritis were determined by four parameters of visual analogue scales adopted by updated Sydney system. Results: The overall positive rate of H. pylori was 48.8%. Among the infected patients, H. pylori positiv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rdia than in the body (87.5% vs. 37.5%, p< 0.01). The H. pylori positivity was not associated with age, sex, primary disease, type of surgery, chemotherapy, and postopertive interval. The gastritis scores of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were higher in H. pylori positive patients. However, the scores of atrophy and intestinal metaplasi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H. pylori positive rate is higher in the cardia than in the body of postoperative remnant stomach. It suggests that H. pylori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remnant gastritis through acute and chronic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177-182)

      • 성문위 부분 후두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 생체되먹임을 이용한 노력삼킴 훈련이 연하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두규 대한연하재활학회 2019 Swallowing Rehabilitation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문위 부분 후두절제술로 인한 연하 장애 환자에게 생체되먹임을 이용한 노력삼킴을 시행한 사례 연구를 통해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에서 인두근육기능이 저하되어있고 후두상승도 미약한 환자에게 9주간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생체되먹임을 적용하였다. 9주간 치료 후 실시한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에서 후두덮 개계곡과 조롱박오목에서 관찰되었던 다량의 잔류물의 양이 감소하였으며, 환자는 비위관을 제거한 후 반고형식(미음, 요 플레 등)을 구강으로 섭취하였다. 성문위 부분 후두절제술 후에 연하곤란 환자에게 삼킴 기능을 촉진하기 위해 생체되먹임 을 이용한 노력삼킴을 적용하였을 때 환자의 연하 기능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use of surface electromyography feedback with effortful swallowing in the treatment of the 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with dysphagia. We investigated a 76-year-old man with 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using the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From the results of the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ies, no laryngeal elevation and absent pharyngeal contraction. A patient was treated for dysphagia with surface electromyography as biofeedback as adjunct to normal exercise for 9 weeks. After 9 weeks therapy, we found out the decrease of the residue in vallecula and pyriform sinus. The subject removed NG tube and started oral feeding with semisolid foods(thin gruel, yoghurt). Our data suggest that the use of surface electromyography as biofeedback with effortful swallowing in the treatment of dysphagia after 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could be an effective adjunct to standard therapy for swallowing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