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복합현실 게임

        정돈욱 한국영상학회 2014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2 No.3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는 모습과 그 게임의 형태는 미디어의 발전과 많은 관련이 있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재조명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존 비디오 게임이 가져오는 현실성의 경계를 엷게 하고 확장하였다. 이렇게 플레이 공간의 경계를 현실로 확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미디어와 게임의 연관성에 맞춰 활용하였을 때, 현실성이 강조되는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실의 공간과 상호작용하는 게임 장르인 복합현실 게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접목하여 새로운 게임의 형태를 유추하였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복합현실 게임에서 유저가 어떻게 공간과 상호작용하는지, 상호작용과정에서 어떻게 액션을 발현하고 실재감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플레이어의 경험은 다양한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더욱 확장된 현실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Shape of playing games and form of games are closely related with development in the media. Wearable devices are revisit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t the same time they make lighter and expand the boundaries of virtual and real worlds of traditional video games. We can say that the narrative of the game with a non-linear structures can be referred to the story that emerge in the interaction of space and the player, so it can be able to create various forms of games that are unprecedented if space of playing games is adjusted to relevance between media and game. This paper describes how wearable device interact and analyze for expression of the story via grafting to mixed reality game that interactive with real space. Player’s direct experience through the wearable was found to provide more extended experience by enabling the interaction with the various spaces that was not previously existed.

      • KCI등재

        노인을 위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 동향 연구

        진우강(Chen, Yu Gang),이성원(Lee, Sung W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에 접어든 아시아와 유럽 국가들은 노인들 건강 관리가 사회의 큰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최근 전 세계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시장의 빠른 성장세는 건강 분야의 헬스케어, 노인들을 위한 양로 서비스 등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개발 사례 분석을 통해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특징 및 최신 설계⋅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가 실용적이고 스마트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제언하며 향후 노인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개발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비교 연구를 통해 노인을 위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개발 동향을 탐색하고, 연구 범위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스마트 단말기 산업으로 부상하기 시작한 2012년부터 2019년 사이의 관련 연구 사례로 한정하였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시장과 연구 현황에 대한 조사를 통해 글로벌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생산업체 중 SAMSUNG, Apple, Fitbit, LG, HUAWEI, MI 등이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보이며 높은 브랜드인지도를 자랑하고 있다.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헬스케어와 양로 서비스 쪽의 가치를 인정받아 각국 정부의 대대적 지원이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시장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연구 현황과 개발동향을 통해 일반인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은 주로 심장박동수, 심전도, 운동과 건강 모니터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제품은 일반인의 건강 개선 및 모니터에 효과가 있지만, 노인 질병 환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 노인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이나 시장의 수요와 전문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제품의 종류가 많아지고 있으며 고혈압, 심장병, 치매와 당뇨병 등 노인 질병에 관한 설계와 개발도 가능하게 되었다. 향후 연구는 다기능을 가진 제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노인들의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해결하고 안전을 보장하며 노후 생활을 향상할 수 있도록 노인 질병과 심리상태에 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생산업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실행 가능한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제언하였다. 첫째, 브랜드의 계획과 홍보를 향상해야 한다. 둘째, 제품의 차별화와 계열화를 실현해야 한다. 셋째, 노인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체험관을 설립한다. 넷째, 판매원, 사용자, 판매상, 디자이너 간의 ‘사위일체(四位一體)’라는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서비스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다섯째, 노인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스마트 의료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노인을 위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시장, 연구 현황 및 개발 동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향후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설계와 개발은 편리성, 지능화, 간결화, 데이터 클라우드화(Data Cloud), 진단 원격화의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그중에서 ‘데이터 클라우드화’는 미래의 중요한 발전 방향이다. With the fast coming of entering the elderly society from many countries in Europe and Asian, the health management needs of the elderly have become the focus of society’s attention. In recent years, the global wearable health and medical equipment market has shown rapid development trend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industries such as health care and elderly services.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cases of wearable health and medical devices for the elderly people, obtaining, characteristics and latest design and development trends of wearable health and medical devices and putting some concrete and feasible suggestions for the wearable health and medical devices with the practice and the wisdom, more wisdom and more convenience, which could provide the reference and the experience for the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the wearable health and medical devices in the future. In the paper,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are taken to explore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wearable health and medical equipment. The research scope is limited to relevant research cases from the year of 2012 to the year of 2019 when the wearable equipment began to become the smart terminal industry. By investigation of the wearable health and medical device market and research status, finding that the global manufacturers of the wearable health and medical equipment includes Apple, SAMSUNG, LG, HUAWEI, MI, etc. which occupy a stable market share and a high visibility. At present, the value of the wearable equipment in health care has been recognized widely. Governments in various countries have given great support and encouragement policies, so the wearable health care equipment will have a bright future. From the perspective to the observation of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wearable health and medical equipment, the main functions of the wearable equipment development for ordinary people are focused on heart rate, ECG and sports health monitoring, which improve and check the ordinary people’s health with certain effects. However, these products are not suitable to for the elderly people, especially for the elderly people of ‘empty nest’ and their loneliness and the old with disease. The 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for the elderly of the wearable equipment is still in initial stage. However, with the need of the elderly market and the hard work of researchers, the product’s types have gradually become richer, which could be designed and developed for hypertension, heart disease, dementia, diabetes and other elderly diseases.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focus on multifunctional products and the application, expand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wearable equipment for other types of geriatric diseases to solve the difficulties in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people and ensure the safety of the elderly people. It is our ultimate goa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solitary living and empty nests.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enterprise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wearable health medical equipment, this study put forward the following specific and feasible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first, strengthen the brand value through enhancing product planning and publicity; second,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tiation and serialization of product design; third, setting up the experience store for the senior citizens of the wearable health equipment; fourth, found the interactive service mechanism from 4 aspects and 1 part; lastly, construct the intelligent medical system of the wearable health medical equipment for the senior citizen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market, research status and development trends of the elderly wearable health and medical equipment, some suggestions are put in the paper. In the future,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wearable health and medical equipment will have the following charact

      •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 주요 기술/서비스 이슈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임철수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7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3 No.4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의 스마트폰을 대체할 수 있는 제품으로 시장에서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형 및 응용서비스를 산업적/시장적 관점에서 분류하고 대표제품/서비스들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핵심적인 기술들의 현황과 해결해야할 이슈들을 입력기술, 출력기술, 처리기술, 전원기술 관점에서 분류하고 제시하였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ICT 산업발전을 위한 ICBM 융합서비스들을 사례중심으로 제시하고, 기술적/산업적/제도적 관점에서 미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Wearable devices are spotlighted on the global market as alternatives of existing smart phones according to the ICT advancement. We classify the wearable device types and application services based on the industrial perspective and present the typical products/services. We also present the unresolved technical issues from the point of input, output, processing and battery technology. In these regards, we present the case oriented ICBM convergence services around wearables devices and also raised key development conditions for wearable device technology and industry.

      • KCI등재

        UX 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UI 디자인 연구

        김병주(Kim, Byung Ju)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기술과 디자인이 융복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에서 사용된 GUI 디자인을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만의 고유한 특징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으며 사용성에 있어서도 만족한 결과를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배경 및 목적은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품군으로서 스마트 워치의 대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GUI 디자인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UI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시할 디자인의 분석을 위하여, 모집단 실험 모델링을 위해 번트슈미트의 경험 디자인 이론을 바탕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GUI의 ‘UX 평가 검증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UX 평가 검증요소’를 중심으로 설문작성 및 전문가 검증을 거쳐,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친숙한 20대의 모집단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스마트 폰GUI 디자인 트랜드를 벗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양한 형태, 디스플레이 크기, 복합적인 기능 등이 충분히 고려된 GUI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 사용자경험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GUI 디자인이라고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결론인 분석결과, 향후 다양한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스마트 안경, 직물, 생체이식형 등의 GUI 디자인 연구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중점 요소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wearable device, which is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art design, has a difficulty in representing the wearable characteristics on its GUI design, and in implementing the functionality with the limited GUI design, because it has been still followed up the conventional GUI design of mobile-phones. Therefore, the aim of this work is to propose prospective design trend of the wearable device"s GUI by analyzing the GUI design from user-experience point of view, using the smart watch as an example which is the hottest thing in the information-technology (IT) market.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The experience design by Bernd Schmitt has been employed to extract "user-experience-design" factors of the wearable device GUI, thereby building an experimental model of a population. The inquiries have been created for the survey based on the extracted design factors, and then those questionnaire has been examined by experts. The survey has then asked a population in their twenties who are comfortable with the wearabl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turned out that the GUI design, which addresses diverse shapes, display size, combined features and more, should efficiently satisfy the user-experience. From the analysis of the aforementioned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uld be able to be significantly applied to the GUI design for all other types of the wearable devices (e.g., smart class, fabric, body-implant, and more).

      •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 R&D기술 디자인 융합 연구

        이재익(Jae Ik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새로운 R&D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융합연구는 학계, 산업계를 망라하고 전 국가적인 과제로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의 형태가 ‘소지’에서 ‘착용’형태로 전환되어가는 시점에 등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기기의 국·내외 R&D 관련기술의 현황과 전망, 시스템 세부기능 분류, 웨어러블 디자인 도구와 플랫폼 개발, 국내외 웨어러블 디바이스 현황과 국내외 웨어러블 디바이스 R&D기술과 디자인 융합을 통한 사례연구를 통한 향후의 웨어러블 디바이스R&D기술과 디자인 융합연구의 단초 및 흐름을 제시하고자 한 기초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 R&D기술 분야와 웨어러블디바이스의 국내외 디자인융합 사례 연구를 통해 국내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융합 연구의 활성화를도모하고, 나아가 더욱 더 발전적인 응용 기술 개발과디자인 융합연구에 지표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가장 밀착한 기기로, 기존 제품들이 제공하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상황인지기술(Context Awareness), M2M(사물지능통신), 바이오피드백(Bio Feedback) 등, 새로운 R&D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융합 연구는 전자기기 디자인 융합기술, 인포테인먼트 및 게임디자인 융합기술, 산업 및군사 디자인 융합기술 등에 적용된 사례개발과 기술을 통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혁신 상품이 개발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특히, 사회 전반적으로 의료, 건강, 인포테인먼트 등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더 진화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기술과 디자인 융합 연구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미래창조 신성장 동력엔진의 창출 필요성으로 국가적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그 활용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search of design convergence focused on new R&D technology areas has emerged as a national agenda included in academia and industrial world. This research is a basic research to propose the stream and preliminary offer for the design convergence research and further R&D technology via case studies on the present status of the wearable devic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e classifications of detailed features of systems, the developments of wearable design tool and platform, the present state and future of wearable devic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the convergence of design and the R&D technology of wearable devices which are emerged at the point of time of translation from the ‘possession’ to ‘wear’ for the type of smart device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e intention for the activation of research for the convergence study of wearable devices through the case studies for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design convergence of wearable devices and related R&D technological area and the propose for the basic data served as a indicator of the research for design convergence and the even more expansible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y.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cently wearable devices to give users the most intimate devices, which did not provide new services for existing products are able to provide and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ies focus on new R&D technology areas such as context awareness technology, M2M, biofeedback and so on, are predicted to be developed wearable devices as innovative products through technologies and case studies applied to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with electronics,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with of infotainment and game, th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with and military technology and so on.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further the utilization as the greatest alternative to resolve the national challenges as a necessity to create the new job creation and a future growth engine through the convergence of design and wearable device technologies in the area of medical, health, infotainment and so on in whole society.

      • KCI등재

        패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사례 연구

        양진숙(Jin Sook Yang),김주연(Joo Ye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패션과 테크놀로지의 융합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라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었고 군사, 의료 목적 외에 피트니스, 엔터테인먼트, 헬스케어 등 산업 전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보다 넓은 시장 확보를 위하여 이론적 개념 및 유형 분석, 시장 현황을 조사 하고 패션 브랜드·디자이너와의 협업 개발된 사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국내 패션 시장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업체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사례는 액세서 리형과 직물/의류형으로 나누어 대별할 수 있다. 사례 에서 알 수 있듯이 액세서리형으로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 것은, LED불빛으로 스마트폰 알림이 들어간 반지,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용 클러치, 전자 조난신호 발신용 커프(Cuff), 칼로리 측정 목걸이, 전화 메시지나 캘린더 등의 기능을 갖는 팔찌, 자외선량 체크하는 팔찌, 블루투스칩이 내장된 펜던트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운동속도 및 음악 재생 기능 시계, 운동량 측정 및 헬스케어용 신발, 심박수, 스톱워치, 타이머 등 건강관리 기능의 밴드, 일상 영상 기록, 음성인식, 네비게이션 기능이 들어간 안경 등으로 개발, 출시되고 있다. 직물 및 의류형은 심장 박동수, 체온, 혈압 등의 신체변화를 알 수 있도록 센서를 장착하거나, 전기 자 가구동형, 탈부착식 센서 등을 활용한 디바이스가 주로 개발, 출시되고 있다. 또한, 패션 브랜드·디자이너와 액세서리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협업 사례 현황을 살펴본 결과, 나이키와 애플은 퓨얼밴드SE(밴드)를, 나이키와 삼성은 기어 S(시계)를, 리닝은 화미와 함께 스마트 런닝화(신발)를,그리고, 오프닝 세레모니는 인텔과 함께 MICA(팔찌)를, 삼성과 미스핏은 스와로브스키와 협업, 개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패션 브랜드는 자사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한편 혁신적인 이미지를 얻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 디자이너 혹은 타 패션 브랜드와의 협업은 기술적인 제약점을 보완해주며 패션 액세서리 시장으로의 접근을 가능케 해주고 소비자층을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몸에 걸쳐지는 테크놀로지이기 때문에 기능도 중요하지만 사용자의 스타일에 초점을 맞춘 감성적 디자인과 더불어 최근 급부상한 소비자의 진화를 니즈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Fusion of fashion and technology bore a new market which called wearable device. Other than military and medicine, the new category finds itself infinite possibility of usage in many fields of industry such as fitness, entertainment, healthcare, etc.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base line data for domestic fashion market and wearable device market.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it analyzed theoretical concept and types, investigated the current position of market and surveyed the cases of wearable device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fashion brand or designer.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earable device development cases in the industry are divided into two types: accessory and fabric/clothes. As shown in the examples, the accessory type includes a ring with LED for smart phone alarm, a clutch bag for smartphone battery charge, cuffs for electric SOS call, a necklace for calorie measuring, a bracelet that shows text message and calendar, a bracelet for ultraviolet ray check, a pendent equipped with bluetooth chip, etc. Further, a watch can measure the user’s speed while playing a music, a pair of shoes measures how much exercise was done for healthcare, a band can be a manager of heart rate as well as stopwatch and timer, glasses can even record daily scenes in videos, recognize voices and navigate locations. So many diversity is developed and launched. Fabric/clothes type mainly concentrates on sensors to detect the wearer’s physical conditions such as heartbeat,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Electric self-actuated detachable sensors and other devices are usually made. The collaboration cases of accessory type wearable device in fashion industry are varied. Nike and Apple launched Pureband SE (band), Nike and Samsung presented Gear S (watch), Li-Ning and HwaMi released smart runner (shoes) and Opening ceremony developed MICA (bracelet) with Intel, Samsung and Misfit collaborated with Swarovski (bracelet, charm) in order to lead the wearable device market. Withings Activite reduces resistance against technology by introducing contrary concept of just adding wearable function to analog watch design. Fashion brands enhance its brand awareness while obtaining innovative image from the collabo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nfirms that collaboration with designer or fashion brands offers technical support, clear the way to fashion accessory market and allow to approaching to various consumer classes. Future wearable device shall consider and develop functions and styles simultaneously along with design sensibility focusing on user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consumers. Since it is wearable technology, recently arose evolution of consumer shall be taken into account first. We expect the wearable device industry finds this study result helpful.

      • KCI등재

        심박 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가치 제공을 위한 디자인 요소 도출 -건강 정보 어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이혜민 ( Lee Hye Min ),반영환 ( Pan Young Hw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최근 전 세계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는 밴드 액세서리 형에서부터 의류 일체형, 신체 부착형, 생체이식형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분류와 적용 분야가 다양해지고 확장되고 있다.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ICT 융합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향후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는 대표적인 제품이다. 특히 의료산업에서는 심박 수 측정(HRM, Heart Rate Montor)이 가능한 심박센서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핵심 기술로 적용시키면서 사용자의 활력징후, 수면상태 등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여러 요소 중 소비자 관심도가 높은 산업 분야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은 제품 기획 및 서비스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관련하여 국·내외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헬스케어용 심박 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해당 기기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기능 중 소비자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한다. 가장 대중적인 심박 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 밴드 두가지 제품을 이용하여 사용자 조사를 하였으며, 실험 대상들의 사용자 다이어리를 토대로 CJM(Customer Journey Map)형태를 차용한 만족도 곡선을 구성하고 건강 정보 서비스에 대한 요구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 논문의 결과로는 위 자료들을 분석하여 심박 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건강 정보 콘텐츠 및 서비스를 디자인할때 고려해야 할 요소로써 네가지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네가지의 디자인 요소로는 `단순성, 신뢰, 편의, 오락`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정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이를 적용한 서비스 형태를 제안한다. The Wearable smart devices are expected to grow rapidly in the global market due to the convergence of ICT. Smart watches and smart bands have already become the core products of the smart device industry. Specially,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industry, a Heart Rate Sensor(HRM) capable of measuring heart rate can be apply as a core technology of a wearable device as trend and various healthcare service contents based on biological signals such as a user`s vital sign. The band-type wearable smart device is the best selling product and provide a lot of service to consumers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exercise measurement, sleep state measurement and notification function. It is becoming a life convenience product. Therefore, identifying and analyzing industrial fields among the components of wearable devices are very important factor in product planning and service development. However, Korea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are very sca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new design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health information contents and services. So, I analyzes the most interesting factors among the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wearable devices using HRM which are most commonly used by wearable devices. I planed the experiment with two smart bands. And, I made a satisfaction curve using CJM(Customer Journey Map) form and list of requirements for health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user diary of the experimenters. As a result, I found four design element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health information contents and service using HRM wearable device. Lastly, I suggest service types applying those.

      • KCI등재

        혁신저항 모형에 기반한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 연구

        신재권(Jae-Gwon Shin),이상우(Sang-Wo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람과 사물, 그리고 공간이 연결된 사물인터넷 가상세계가 다가오면서 전 세계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활성화는 기대에 비해 다소 지연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확산을 위해서는 소비자에게 존재하는 저항을 완화시켜 소비자의 저항을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높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초점을 맞추어, 혁신저항이 혁신특성과 소비자특성 변인을 매개하여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소비자가 인지하는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혁신 특성 요인 중 상대적 이점, 개선된 혁신기대, 복잡성, 재정적 위험, 신체적 위험 등이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특성요인 중 혁신성향과 기존 아날로그 시계 제품태도가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혁신저항이 혁신특성과 소비자특성을 매개하여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internet of things has come into the spotlight, wearable devices have been emerging as a new and growing market and the next hot thing in the world. However, wearable device growth in the market has not met expectations. For continued growth and diffusion of wearable device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user resistance factors to them. This study gives attention to people who have resistance to wearable devices’ tendency towards innovative uses. Specifically,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which factors influence consumers’ resistance and intention to use wrist-worn wearable devices, which are in high demand among wearable devic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relative advantage, innovation expectation, complexity, financial risk and physical risk are the predictors of innovation resistance on wrist-worn wearable devices. And consumers’ resistance affects the intention of positive acceptance. These findings confirm the importance of consumer resistance to the wrist-worn wearable device.

      • KCI등재후보

        웨어러블 헬스케어 산업의 최신 동향과 발전 방향 대한 연구 : 헬스케어 제품 및 국제 저명저널의 최신 연구사례 중심

        박붕익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0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4 No.2

        현대인들의 건강관리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나노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스포츠웨어를 비롯해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제품의 상품화가 본격화 되었다. 차세대 나노소재는 제품의 독창성과 내구성을 해치지 않아서 다양한 웨어러블 관련 산업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것이다. 게다가 ICT와 AI를 기반으로 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제품은 질병을 예방하고 진단하는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새로운 개념의 사용자 경험(UX) 중심 보건·의료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웨어 러블 헬스케어 제품과 국제 저명저널에 발표된 최신 소재와 디바이스의 연구사례를 소개하고 관련 산업에 활용하 는 방안 및 미래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해 분석·전망하고자 한다. 이 리뷰가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더 욱 진보된 헬스케어 제품과 서비스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좋은 계기와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 As modern people's interest in health care grows, commercialization of wearable healthcare products that collect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vide health care services for various age groups has began with sportswear based on nano materials. In addition, next-generation nano materials will be widely applied in various wearable industries because they do not compromise the originality and durability of the product. Wearable products centered on ICT & AI can create new concepts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based user experience by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s to prevent and diagnose disease. In this study, we present case studies in wearable healthcare products and the latest materials & devices published in international renowned journals. Moreover, we analyze how to use in related industry and forecast future wearable healthcare services. We hope this review will be a good opportunity and turning point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advanced healthcare products & services for people in the fields.

      • KCI등재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활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효과 검증

        신종국(Jong-Kuk Shi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1

        본 연구는 차세대 스마트 기기로 각광받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고찰하고자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의 주요 변수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주요 시장으로 판단되는 20~30대 소비자 15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통합기술수용이론의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나 노력기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비자 혁신성은 노력기대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여 소비자 혁신성이 높을수록 노력기대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기술수용이론을 확장하여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소비자 관점의 신제품 수용행동에 관한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넓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확대 전략 개발을 위한 실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doption of wearable device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 generation smart devices using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how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from original UTAUT affect the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s and find out whether consumer innovativeness has a moderating effect. Data were collected from 158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30s rated as the most promising market for wearable devic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from original UTAU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s. On the other hand, effort expectancy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s. And, consumer innovativeness plays a role of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effort expectancy and wearable device usage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and potential future research area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