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측 접근을 이용한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

        한수홍 ( Soo Hong Han ),단진명 ( Jin Myoung Dan ),이동훈 ( Dong Hoon Lee ),김영웅 ( Young Woong Kim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4

        목적: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에 있어 배측 접근법만으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골간 인대 복원술 등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그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로 배측 접근법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인대 복원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중 탈구된 월상골이 손목관절을 넘어서 근위부까지 전위된 경우는 제외하였다. 임상적 결과 분석은 설문지를 통한 DASH 점수와 Mayo 손목점수를 이용하였다. 또한 방사선 사진에 의한 주상-월상골간각과 주상골 경유 탈구에서는 골절의 유합 여부를 파악하여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의 DASH 점수는 평균 16.3점 (범위, 10.8~26.7)이었고, Mayo 손목점수는 평균 79점 (범위, 65~90)으로 매우 우수 2예, 우수 7예, 양호 4예였고, 65점 미만의 불량한 결과를 보인 예는 없었다. 방사선 사진상 주상-월상골간각이 평균 49.0° (범위, 35~55°)로 전례에서 정상 범위 내로 유지되었으며, 7예의 주상골 골절도 모두 골유합되었다. 결론: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탈구된 월상골이 손목관절을 넘어 근위부로 전위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월상골 주위 탈구 및 월상골 탈구의 치료 시 배측 접근법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of the perilunate dislocation and the lunate dislocation which were managed surgically through a dorsal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reviews of the 13 patients who had minimum 1-year follow-up after surgical treatment through isolated dorsal approach for their perilunate dislocations or the lunate dislocations were performed. The case that dislocated lunate migrated proximally through the wrist was excluded in this series. We evaluated the DASH score in questionnaire method and Mayo wrist score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Radiologic results were investigated by measurement of the scapho-lunate angle, and fracture union was also evaluated in the case of trans-scaphoid dislocation. Results: The mean DASH Score was 16.3 points (range, 10.8~26.7 points) and the mean Mayo wrist score was 79 points (range, 65~90 points)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ere 2 cases of excellent, 7 cases of good and 4 cases of fair in the Mayo wrist score. On the radiologic analysis, the mean scapho-lunate angle was 49.0° (range, 35~55°) and all cas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ll cases of the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achieved bone union. Conclusion: Author`s cases showed satisfactory outcomes in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Isolated dorsal approach could give anatomical reduction and appropriate internal fixation in treatment of the perilunate dislocations and the lunate dislocations except the rare case of proximal migration of the lunate through the wrist.

      • KCI등재

        진구성 월상골 전방 탈구에서 발생한 수지 굴곡건의 다발성 파열과 압박 신경병증

        박정현(Jung Hyun Park),강홍제(Hong Je Kang),백종석(Jong Seok Bai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4

        월상골 주위 탈구는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진구성 월상골 주위 탈구는 6주 이후에 진단된 경우를 말하며 외상성 관절염을 비롯하여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하며 정중신경 압박 신경병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 중 진구성 월상골 주위 탈구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한 수지굴곡건의 다발성 파열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3예가 보고되었으나 아직 국내 문헌에서는 보고된 적이 없다. 이에 저자들은 62세 남자에서 발생한 진구성 월상골 주위 탈구에서 전방 탈구된 월상골에 인하여 이차적으로 발생한 수지 굴곡건의 다발성 파열과 정중 신경 및 척골 신경 마비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Perilunate dislocation represents approximately 3% of all carpal injuries and is diagnosed late in 25% of cases. Neglected perilunate dislocation accompanies many complications. Multiple flexor tendon rupture is a very rare complication of neglected perilunate dislocation. Three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English literatures. No case has been reported in Korean literature. We report on a case of multiple flexor tendon ruptures with compressive neuropathy of median and ulnar nerve caused by neglected volar perilunate dislocation.

      • KCI등재후보

        봉합나사 및 금속강선 고정술을 이용한 월상골 주위 탈구에 대한 치료

        김갑래,현윤석,신성일,박정섭,한결,홍성엽 대한수부외과학회 2014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9 No.4

        Chronic lunate dislocations are very rare injuries comprising of less than 10% of all wrist injuries. Volar lunate dislocations account for less than 3% of perilunate dislocations. We present a case of a missed volar lunate dislocation for 6months after initial injury. He fell down and had hyperextension injury during his sports activity. When the patient visit in our hospital, neurologic symptom was devel- oped in distribution of median nerve. Tingling sensation and radiation symp- tom was found in affected hand. A plain radiograph revealed a volar lunate dis- location. Nerve conduction studies confirmed compression of the median nerve at the wrist, carpal tunnel level. Operation was performed with open reduction of lunate, fixation with K-wires and anchor suture. The outcome was excellent in relieving pain, function,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There was improve- ment in Mayo wrist score and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So we report a patient and a operation technique which can be considered in similar cases. 만성적 월상골 탈구는 매우 드문 손상이며 모든 완관절 손상의 10% 미만을 차지한다. 그 중 배측 월상골 탈구는 월상골탈구 중 3% 미만에서 발생한다. 환자는 과신전 상태로 넘어지며 수상하였으며 초기 손상 이후 6개월이 지난 상태였다. 내원시 제2-4 수지의 저리는 증상과 이상감각증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방사선 사진상 배측 월상골 탈구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저자는 관혈적으로 탈구를 정복하고, 주상골-월상골-삼각골간의 근위부위를 봉합나사 및 금속강선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수술 후 완관절의 통증완화, 운동범위 회복, 수술전의 기능회복 및 Mayo wrist score와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상에서 좋은 결과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월상골의 골절이 동반된 월상골 주위 손상

        박현수,김성재,박성배,이광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7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2 No.2

        저자들은 월상골의 골절과 주상골의 요부 골절 및 삼각골과 두상골의 수배측 피질골 견인 골절을 동반한, 흔하지 않은 손상에 대한 증례 보고를 소개하고자 한다. 주상골의 분쇄 골절은 진행성 월상골 주위 불안정성의 1단계에 해당하는 수근관절의 과신전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월상골의 골절은 기존의 진행성 월상골 주위 불안정성의 기전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유구골의 월상골을 향한 축성 압박력에 의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측한다. 주상골에 대하여 비관혈적 정복 및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월상골의 골절 및 동반된 다른 손상들에 대하여 외고정 장치를 시행하였다. 이는 유구골의 월상골에 대한 축성 압박력을 중화시켜 월상골의 추가적인 함몰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29개월의 추시 결과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저자들은 문헌 고찰과 함께 흔하지 않은 이러한 손상에 대한 치료상의 주의점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We present an atypical case of combined comminuted lunate fracture and the scaphoid waist fracture, chip fracture of triquetrum and pisiform. Comminuted scaphoid waist fracture was caused by forced hyperextension of the wrist, similar mechanism to stage I of progressive perilunate instability (PLI), and lunate fracture might be caused by axial compression force, does not appear on the original theory of PLI. We performed closed reduction and screw fixation for the scaphoid fracture and immobilized and mildly distracted the wrist joint with the use of a bridging external fixator to prevent further collapse of comminuted lunate by neutralizing the compression force imposed by the capitate on the lunate. We achieved excellent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at 29-months of follow-up. We aimed to introduce this rare injury and clinically important points in its treatment wit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간과된 월상골 전방 탈구로 인한 수근관 증후군과 수지 굴곡건 파열

        정영율,장영재 대한수부외과학회 2015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0 No.1

        월상골 전방 탈구는 비교적 드문 손상으로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 정중신경 압박으로 인한 수근관 증후군과 마멸로 인한 굴곡건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진단이 지연된 월상골 전방 탈구로 인하여 수근관 증후군과 제2수지 굴곡건 파열이 동시에 나타난 증례를 경험하였다. 이에 대하여 월상골 절제 및 정중신경 유리술, 장장근건을 이용한 제2수지 굴곡건 재건술을 시행한 후 1년 추시상 좋은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은 바 있어 이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Anterior dislocation of lunate is rare, it can result in median nerve compression and attritional rupture of flexor tendon when delay diagnosed. We report a patient with second finger flexor tendon rupture and carpal tunnel syndrome caused by neglected anterior lunate dislocation. Patient underwent operative treatment for that excised lunate, released carpal tunnel and reconstructed second flexor tendon using palmaris longus tendon. One year after surgery, fucntional and neurologic symptom were recovered. Also carpal alignment was maintained on plain radiographs, even after excision of the lunate.

      • KCI등재후보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골절 탈구: 배측 접근법을 통한 주상골 나사못 고정 및 월상-삼각 골간 인대 봉합술

        이창호,오진록 대한수부외과학회 201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6 No.3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screw fixation of the scaphoid and lunotriquetral ligament repair using a dorsal approach in the treatement of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3 to August 2007, 11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ve management of a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58 months. In all patients, screw fixation of the scaphoid and lunotriquetral ligament repair with a suture anchor after open reduction was performed.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by measuring range of motion and grip power and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evaluation for functional recovery at the last follow up. Union of scaphoid, change in lunotriquetral distance, and development of any instability and arthritis of wrist joint were radiographically assessed. Results: In clinical outcomes, 89.3% recovery of grip power and 87.5% recovery of range of motion compared to healthy side were observed at the last follow-up. Average range of motions of extension, flexion, ulnar deviation, radial deviation, supination and pronation were 51.8˚, 58.4˚, 21.2˚, 16.2˚, 74.3˚, 75.1˚respectively. Average DASH score was 13.2. Bony union of scaphoid was achieved in all cases at the average of postoperative 19.3 weeks. Lunotriquetral distance after the operation and at the last follow up were 1.9 mm and 2.0 mm, respectively. There were no radiographic evidence of instability or arthritis. Conclusion: Dorsal approach allows reduction of carpal bone, scaphoid fixation and lunotriquetral ligament repair in the treatment of trans-scaphoid perilunate fracture dislocations, providing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목적: 주상골 골절을 동반한 월상골 주위 탈구에서 배측 접근법을 통해 주상골의 나사못 내고정과 월상-삼각 골간 인대의 봉합을 시행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8±21.2개월이었다. 배측 접근법을 통해 주상골을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월상골을 정복한 뒤 월상-삼각인대를 고정나사를 사용하여 봉합한 후 핀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최종추시에서 관절 운동 범위와 파악력을 건측과 비교하고,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DASH) 점수를 통해 환자의 기능적 회복을 확인하였다. 방사선학적결과의 측정은 최종 추시에서 주상골의 유합 여부, 월상-삼각골 간격의 변화, 불안정성과 관절염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여 판단하였다. 결과: 파악력은 건측에 비해 평균 89.3%의 회복을 보였으며, 관절 운동 범위는 건측에 비해 87.5%의 회복을 보였다. 평균 신전 범위는 51.8˚, 굴곡 범위는 58.4˚, 척측변위는 21.2˚, 요측 변위는 16.2˚, 회외전 범위는 74.3˚, 회내전 범위는 75.1˚이었다. 최종 추시에서 DASH 점수는 13.2점이었다. 주상골은 모든 예에서 평균 19.3주에 일차 골유합을 확인하였다. 평균 월상-삼각골 간격은 술후 1.9 mm였으며 최종 추시에서 2.0 mm로 측정되었다. 불안정성과 관절염이 발생한 예는 없었다. 결론: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골절 탈구에 대한 배측 접근법은 수근골의 정복과 주상골 고정, 월상- 삼각 골간 인대의 봉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우수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월상골 주위 탈구 및 골절-탈구

        이정일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3

        Perilunate dislocations and perilunate fracture-dislocations are one of the most severe forms of wrist injuries and are generally caused by high-energy trauma such as falls from a height or traffic accidents. Prompt recognition and immediate, gentle closed reduction are critical, but diagnosis can often be missed at the initial presentation. The current standard management is open reduction, ligamentous and bony repair, and supplemental fixa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repair. The pathomechanics of the injury, diagnosis by plain wrist radiographs, closed reduction techniques, current surgical treatments, and complications are presented in this review. 월상골 주위 탈구 및 골절-탈구는 고에너지 손상으로 손목관절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연부조직 및 골성조직의 손상을포함하는 손상이다. 단순 방사선 사진을 자세히 검토하여 빠르게 진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진단 후에는 가능한한 빨리 도수 정복을 시도하는 것이 좋으며, 정복 후에는 수배부 혹은 수배부, 수장부 동시 접근을 통해 인대 봉합 및 골편 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현재까지는 적절한 치료에도불구하고 어느 정도의 관절운동의 제한 및 악력 감소의 발생은 피할 수 없다. 그럼에도 빠른 진단 및 정복, 적절한 인대 봉합 및 골절 고정이 좋은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해 중요하다.

      • KCI등재

        중년의 Lichtman 제IIIB기 Kienböck병 환자에서 월상골 제거술 및 건구 충진술

        천상진,이동호,박시환,전웅기 대한수부외과학회 2015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0 No.3

        목적: 중년의 Lichtman 제IIIB기 Kienböck병에서 월상골 제거술 및 건구 충진술과 일시적 주상-유두골 고정을 시행했던 환자들의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Lichtman 제IIIB기 Kienböck병으로 상기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최소 24개월 이상 추시 가능했던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4명, 여자가 6명이었고 환자의 평균연령은 55.4세(범위, 48-67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6개월(범위, 24-68개월)이었다. 임상적으로 동통의 감소, 파악력의 회복, 일상생활로의 복귀 유무, 운동범위의 증가를 측정하였고, 수술 전, 수술 후, 최종 추시 시의 영상학적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평균 6개월에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였으며 최종 추시관찰 시 8명은 통증호소가 없었고, 2명은 직업 활동 시 경도의 통증을 호소하였다. 손목관절의 신전은 평균 14.5 , 굴곡은 8.5 증가되었으며, 건측에 대한 파악력은 평균 88%였다. 수근골의 높이(carpal height)는 수술 전 평균 0.49이었고, 최종 추시 관찰시 평균0.47이었다. 최종 추시관찰 시 병의 진행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기능적 결과는 Cooney’s wrist function score상 4명은 excellent, 4명은 good, 2명은 fair였고, 평균 83점이었다. 결론: 중년의 Lichatman 제IIIB기 Kienböck병에서 월상골 제거술 및 건 충진술과 병행하여 일시적 주상-유두골 고정술을 시행한 수술 방법은 임상적, 기능적, 영상학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유용한 술식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Our purpose was to assess the results of lunate excision and tendon ball implantation with temporary scaphocapitate fixation for Lichtman stage IIIB Kienböck’s disease in middle-aged patients. Methods: Ten patients with Lichtman stage IIIB Kienböck’s disease who underwent lunate excision and tendon ball implantation and followed up at least 24 months were analyzed. There were 4 males and 6 female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55.4 years (range, 48-67 years), and follow-up period ranged from 24 to 68 months (mean, 46 months). Radiocarpal joint pain, grip strength, return to daily living activity, range of motion were evaluated and radiologic findings of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were evaluated. Results: All patients returned to daily living activity after 6 months of surgery. At the last follow up, 8 patients had no pain and 2 patients experienced mild pain occasionally. The mean improvement of extension arc was 14.5°, and the mean flexion arc improved 8.5°. The mean grip strength was 88% of unaffected side. The mean carpal height ratio was 0.49 preoperatively, 0.47 at final follow-up. No patients showed osteoarthritis change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Cooney’s wrist function were 83, 4 patients had excellent, 4 had good, and 2 had fair. Conclusion: Lunate excision and tendon ball implantation with temporary scaphocapitate fixation for Lichtman stage IIIB Kienböck’s disease in middleaged patients showed satisfactory clinical,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So this can be a reasonable treatment option.

      • KCI등재후보

        진구성 단독 월상골 골절

        이창훈,배찬일,박성배,박현수 대한수부외과학회 2014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9 No.1

        Isolate fracture of lunate is very rare. The authors reported a neglected fractureof lunate which was founded incidentally after the dorsal wall fracture of triquetrum. Pain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range of motion was achievedafter excising the dorsal fragment of lunate. 단독 월상골 골절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저자들은 삼각골 체부의 배측 골절 후 우연히 발견된 진구성 월상골 골절에대해 배측 골편제거술을 시행하여 통증 감소 및 관절 운동 범위 향상을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삼주상 유합술을 이용한 Kienböck 질환의 치료

        이재성(Jae Sung Lee),박민종(Min Jong Park),정성모(Sung Mo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진행된 Kienbock 질환에서 삼주상 유합술 시 월상골 제거의 필요성과 이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Kienbock 질환(IIIb)으로 삼주상 유합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한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5명은 삼주상 유합술만을, 11명은 월상골의 심한 붕괴로 신전 시 후방 충돌에 의한 운동 제한과 통증이 있어 삼주상 유합술과 함께 윌상골을 제거하였다. 두 군의 임상적 결과는 수술 전후에 완관절 운동 범위, 파악력, modified Mayo wrist scor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로 수근 높이 비와 척 수근 거리 비, 요주상 각을 측정하고 요주상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수술 후 신전 운동 범위 보존율은 월상골을 제거한 군이 수술 전의 94%로 제거하지 않은 군보다 더 보존되는 양상을 보였다. 방사선학적 평가상 수근 높이 비, 척 수근 거리비와 요주상 각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요주상 관절의 퇴행생 변화가 월상골을 제거한 군에서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결론: 진행된 Kienbock 질환에서 삼주상 유합술 시 월상골을 제거하는 것은 후방 충돌로 인한 증상을 완화 할 수 있으나, 요주상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많이 유발되므로 그 시행에 신중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a lunate excision in triscaphe fusion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ho underwent a triscaphe fusion for Kienbock's disease (IIIb) were analyzed. Fifteen patients received triscaphe fusion only and 11 patients received triscaphe fusion and a lunate excision. The indication for a lunate excision included pain and limited motion due to posterior impingement associated with a severely collapsed lunate. The range of motion and modified Mayo wrist score i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he carpal height ratio, ulnocarpal distance ratio and radioscaphoid angle were measured on the plain radiographs, and the presence of degenerative change was evaluated. Results: The mean extension range was more preserved in the lunate excision group than in the lunate preserving group. Several radiology indices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but a degenerative change in the radioscaphoid joint was observed in 45.5% of the lunate excision group and in 13% of the lunate preserving group. Conclusion: When performing the triscaphe fusion in advanced Kienbock's disease, excision of the lunate can relieve the symptoms of posterior impingement. However, this procedure should be carried out carefully because degenerative changes in the radioscaphoid joint are frequently ob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