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교육프로그램 사회적 요구분석 모형

        윤규원,김문섭,김진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odel of needs analysi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verify social needs as well as personal needs. The overall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 questionaire based on six mode class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invented in order to apply to program development. Secondly, a questionaire was designed to evaluate personal needs and social needs simultaneously. Thirdly, t-test, needs analysis of Borich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conducted with a view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al needs and social needs. As a result, there showed the categories of education which are high in both personal and social needs, whereas a category like certification program is higher in social needs rather than in personal needs. The results represent the necessities of promoting programs which are high in social needs even if there is no personal needs. Therefore the needs survey and the needs analysis need to be conducted to find out not only personal needs but also social needs. 본 연구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 중 요구분석 단계에서 개인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는 평생교육프로그램 사회적 요구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의 주요 과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평생교육 6진 분류체계에 근거한 질문항목으로 설문지를 만들어 요구도 조사의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개인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셋째, 재구성하여 개발한 요구분석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생교육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t-검정, Borich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개인적 요구도와 사회적 요구도를 모두 고려한 요구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개인적 요구도와 사회적 요구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자격인증과 같은 개인적 요구도는 낮지만 사회적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개인의 요구는 없지만 사회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대변해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요구 조사 설문방법과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개별 평생교육기관들이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한다면 사회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개설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연구 개발에서 학습자 집단의 요구분석을 위한 영역과 항목 설정 연구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2

        교육과정을 개선할 때 학년이 높아질수록 진로 선택이 가까워질수록 학습자들의 교육과정적 요구, 즉 적절한 학습기회 제공에 대한 요구는 더 중요해진다. 그러나 실상은 주로 정치사회적 요구나, 성인들의 사회적 요구가 일시적으로 파악·반영되는데 반해, 학습자의 요구는 체계적으로 파악·반영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연구 개발에서 초·중등학교 학습자들의 요구에 관한 정보를 왜, 무엇을, 어떻게 수집할 것인가를 시론적으로 밝혀 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현재 학업에서 선호도, 자신감, 이해도, 장차 학업 및 직업 진로 계획을 중심으로 조사항목을 설정하였고, 그 선행 사례를 정리해 보았다. 이를 기초로 요구조사할 학습자 집단을 초등학생, 중학생, 진학계 고교생, 직업계 고교생의 4개로 나누고, 영역은 총론,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하며, 각각의 유지와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는 항목을 시론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학습자 요구는 달라질 수 있지만 다년간 꾸준히 개인적·집단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축적하면 일정한 패턴을 찾을 수 있다. 초·중등학교에서는 NEIS나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Edupot)을 통해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다른 집단의 요구와 절충하여 반영함으로써 국가교육과정기준은 학습자존중 교육과정으로 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It gets more important to identify students` needs regarding school curriculum as students grows up. School curriculum, which means offering learning opportunities for realizing students` potentiality, should be tailored to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plan. However socio-political ideology and opinion leaders` views had been represented excessively in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comparing with students` needs and views. This article address how to identify students` needs and put the results of needs survey into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Thus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problems of discovering and selecting questionnaire items, through NEIS or Edupot in Korea, to find out the curricular needs of learners who enrolled in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With the justification of each items students needs were selected surrounding educational expectation, academic plan, career plan, school choice, course choice, course preference, course difficulty, etc.. Long term and systemic survey of students curricular needs shall brings forth coherent trends and patterns of change for a number of years to students-honored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학습자 요구조사와 만족도 조사를 통한 한국어 중급 교재 개발 연구: 국민 한국어 4를 중심으로

        노미연(Noh, Mi-Yeon)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3 No.-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급 교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교재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교재 사용 후 학습자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재 개발 과정에서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교재 개발에 반영하면 교육적인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고자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학습 목적,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 ‘문법, 어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중요도 인식과 학습 시 어려운 부분, 선호 학습 내용과 선호 연습 유형, 듣기․읽기․쓰기 후 활동의 선호유형을 조사하였다. 요구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말하기 중심으로 구성된 교재를 요구하였으며, 어휘와 말하기를 중요시하여 담화 맥락 안에서 구어 산출에 초점을 둔 교재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구어와 문어,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에서 선호 부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구어 영역에서는 실용 중심의 내용, 문어 영역에서는 학문 중심의 내용이 다루어지는 것을 선호하였다. 그 다음으로 말하기와 쓰기와 같은 표현 영역에서는 대화나 문어 담화의 구조에 대한 지식 부족이 학습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대화 구조의 학습이 필요하고, 듣기와 읽기와 같은 이해 영역에서는 어휘 부족이 학습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휘에 대한 선행 학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재를 개발하였고, 교재 사용 후 학습자에게 교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만족도 결과 학습자들은 대체적으로 교재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ers" needs to build basic data in developing a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intermediate level students, and to evaluate their satisfaction after using the textbook. Analyzing student"s needs and reflecting them on developing the textbook could help meet the students" needs and enhance educational efficiency. To reflect their demand and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s, it conducted a survey on the needs targeting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student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students appear to like to have a textbook focusing on speaking that covers various topics, put more stress on lexicon and speaking, and prefer the textbook emphasizing colloquial language found and spoken in the context of discourse. It also appears to have differences in their preference for the areas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and between understanding and expressions. First, students in the survey appear to preferably have practical usage-centered contents for the spoken language section, and academic knowledge for written language. It seems that their lacking knowledge of structure for dialogue and written discourse could be an obstructive factor for students in the expressions sector and therefore they are required to study dialogue structure, and due to the lack of lexicon in their knowledge in an understanding sector, it is prerequisite for them to learn lexicon. Based on these needs, a textbook has been developed. Another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textbook, and most students answered in the survey seem to be satisfied.

      • KCI등재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이경진,최진영,최나영,김지혜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6

        연구는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음악영재들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 였다. 이를 위해 음악영재교육기관에서 음악영재교육을 수혜하고 있는 음악영재 103명을 대상 으로 음악영재교육과정의 요소 즉, 교육 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그리고 음악영재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했다. 요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음악 영재 교육목표 중 ‘자기의 느낌을 표현함으로써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상당히 많은 항목에서 필요수준과 현재수준 간의 차이가 컸다. 교육내용에서 ‘클래스 피아노’와 ‘부전공실기’, ‘음악 현장체험’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부전공 실기’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교육방법에서 음악영재들 은 ‘학습자의 자율적 선택과 흥미를 추구하는 수업’과 ‘현장 수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교육평가에서는‘학생들 서로에 대한 상호평가’와 ‘그룹별로 협동해서 공동의 작품이나 연주에 대한 평가’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그리고 음악영재들은 ‘실기실/실습실(연습실)’에 대한 요 구도가 높았으며, 특히 고등학생들은 실기실뿐 아니라 ‘공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따라 서 음악영재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musically gifted students’needs in order to develop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03 musically gifted students who are being educated in institutes for the gifted. The survey asked the needs about components of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strategies, evaluation as well as educational environment influencing on the curriculum. As for the objectives, the result showed the highest needs was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by expressing one’s feeling.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a large number item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ecessary level and the current level. As for the contents, the highest needs were the class piano, second instrument, and the experience of the musical field. High school students needed the second instrument mo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did. As for the teaching strategies, the highest needs were the autonomous choice by learners, the instruction pursuing learners’ interests, and the field work. As for the evaluation, the highest needs were the peer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on the collaborative performance or team work. A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ifted in music strongly needed spaces to practice instruments. Additionally, high school students needed a space to perform like a concert hall. Thus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must be thoroughly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above.

      • KCI등재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고희선,박지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family support needs survey(FS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verify the support needs of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family support. To this end,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es, and a draft question was developed through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Next, through the Delphi metho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constituting the draft tool was verified; then, the user convenience of the tool was reviewed to complete a survey development. The FSNS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support need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ix sub-areas), support needs for families other than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ight sub-areas), and special considerations. “Special considerations” are divided in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parent families, and each consists of question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parent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the needs survey that can be utilized in planning, implement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family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survey is an appropriate tool to verify the needs of families wit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rough convenience tests of those who will use the FSNS and suggested various ways to use the tool.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에 근거한 가족지원 제공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문항을 추출하고 집단 및 개별 면담을 거쳐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3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 초안을 구성하는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마지막으로 요구 조사지의 사용자 편의성을 검토하여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는 장애 자녀를 위한 지원 요구(6개 하위영역), 장애 자녀 이외의 가족을 위한 지원 요구(8개 하위영역), 특별한 고려 사항의 세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한 고려 사항’은 다문화 가정과 한부모 가정을 위한 범주이며, 각각 장애 자녀와 부모를 위한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선의 장애인 가족지원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 조사와 가족지원 과정 및 지원 종료 후 점검에 활용될 수 있는 요구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둘째, 본 요구 조사지를 실제로 사용할 장애인 가족들을 대상으로 편의성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이 도구가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에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도구 개발과 적용

        강정찬(Kang Jung 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에 관한 인식 및 요구도 분석을 위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데 있다. 이에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교수역량 및 요소를 도출하고, 도출된 교수역량 체계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전문가 검토를 거쳐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조사 도구는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교수역량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실시 후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도구로 완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교수역량을 기본역량 과 수업역량 으로 구분하여 도출하고,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원역량 을 추가하고 3개 영역 및 52개 요소로 교수역량 체계를 구성하여 조사 도구를 개발, 적용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조사 도구 개발 및 적용의 체계적인 과정 및 절차를 제시하여 대학의 교수역량 인식이나 요구도 조사 도구 개발 및 활용의 안내 자료 및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결과의 타당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IPA에 Borich 요구도 분석과 LfFM 분석을 단계적으로 추가 실시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nd apply research tools for the analysis of recognition and needs regarding teaching competencies to university faculty members. In response, the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through expert review through Delphi survey on the teaching competencies and the model of teaching competencies derived through consideration of prior research. Research tools were conduc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the final tools were completed after the recognition and needs analysis of teaching competencies by applying them to university faculty members. If this research result is presented, firstly, through consideration of prior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s, the required teaching capacity was derived by dividing into basic competencies and instructor competencies . In addition to support competenc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the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by forming the model of teaching competencies of three areas and sub-components. Second, by presenting systematic processes and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search tools in this study, universities will be provided guidance needed to develop and utilize research tools for the analysis of recognition and needs regarding teaching competencies. Third, the recognition and needs for teaching competencies were also gradually added Borich s Needs Assessment Model and LfFM(The Locus for Focus Model) to the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 대학생 일본어학습자의 니즈 분석 - 초급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

        조대하(Dai ha Cho)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논총 Vol.27 No.-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를 전후해 대학에서 일본어과가 신설되어 일본전문가를 양성하기기 시작한 이래, 대학의 일본어교육은 일본의 경제성장과 국제화의 분위기 속에서 학습자수가 증가해갔으며 2001년의 일본문화 전면개방으로 전성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일본의 장기적인 경제 불황과 2011년 동일본지진 이후 방사능 오염사태를 비롯해 외교관계 악화 등의 영향으로 최근 일본어학습자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여파는 대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국제교류기금이 2012년 조사한 ‘세계의 일본실어교육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2009년도에 비해 한국 내 일본어학습자수는 12.8% 감소했다. 본고는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일본어교육 환경변화가 대학의 일본어교육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며, 이러한 변화가 학습자의 학습요구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고찰 대상으로써는 우리 대학의 초급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needs) 조사를 실시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설문을 통해 조사·분석하고 앞으로 대학의 일본어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고찰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일어일문학과 교과과정의 경우, 심화과정이나 복수전공 과정 모두 일본어교육을 위한 주당 단위수가 매우 부족해 전공교육이 부실화되고 있으므로 전공과목 단위수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요구(need)조사 결과 학생들의 일본어교육 목적은 실리지향성이 높으므로 도구적 동기(instrumental motivation)가 강화되도록 취직이나 앞으로 학생들이 담당하게 될 업무와 관련된 교과목을 개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산·학·연을 아우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university of Japanese education is a process to train in Japanese experts. Therefore, university of works to grasp a current status of Japanese education correctly, is that will be had an important meaning in Japanolog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 machinery and tools bring a big change for education including economy and a social change recently. The wave of such as a change begins Japanes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while overlapping negative events such as Korea-Japan relations and radioactive contamination, Japan’s image is falling to the ground. Needs of the Japanese learner is being changed and diversified by these changes in flow. In this paper, as research of Japanese education current status grasp examine the author’s affiliated university of Japanese literature curriculum. Furthermore, check the current learning situation and think about future countermeasures though the survey of majored students needs.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 due to lack of Japanese education units in intensive and double major curriculum, the units should be increased. In addition, result of needs survey is that students of Japanese education purpose aim for tangible advantage, so we need to increase a class related to employment and responsibilities to enhance an instrumental motivation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제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 요구

        문경아 ( Moon Kyung-ah ),권미영 ( Kwon Mi-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필요한 경제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조사연구로 K도와 D시에 재직 중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가르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25문항의 설문지를 통하여 나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제교육에 대해 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으며,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경제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 경제교육을 실시할 전문 인력의 부족과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부재, 행정적 지원이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경제교육을 실시할 경우 참여 의사가 높게 나타났고, 경제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지역사회와 연계된 상호보완적인 방안의 구성과 전문 지도자의 프로그램 개설방안을 모색하도록 요구하였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경제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특성과 요구수준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교사들은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맞는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새로운 경제활동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구성방안에 대해 창의융합프로그램의 개발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일반교육환경에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이해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경제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이러한 요구수준을 반영한 다양한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K and D city as a basic investigation research to suggest various needs for the economic education through the survey on the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economic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150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teaching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25 question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quest investigation for the economics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showed that economic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as needed. The reason why the economics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not well done is the lack of specialists in economics education, the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absence of economic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training of economic education is needed at a very high level, and the need for constructing a complementary plan linked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establishment of programs for professional leaders. Second, the demands of teachers for economic education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shows that experience of economics related education and programs was very poor, based on these needs,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rograms related to the economy was high. In addition, a new program of economic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neede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of supports for economic education which the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he general education environment can understand easily and train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proposed a variety of studies that reflected this level of demand levels.

      • KCI등재

        조사연속구성 문법 기술 내용에 대한 중국인 학습자의 요구 분석 연구

        왕단단 택민국학연구원 2020 국학연구론총 Vol.0 No.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learning needs of Chinese learners about the content of grammar descriptions in continuous research. Through this,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of the content of grammar descriptions for the continuous survey. Grammar descrip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eaching grammar. This is because effective grammar description greatly helps foreign learners with grammar. Since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grammar description related to survey continuation constructs, this study focuses on grammar description in survey continuation constructs, and the learning needs of Chinese learners’s grammar description contents for survey continuation constructs by surveying them, and analyzing the results with SPSS 21.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hinese learners need to learn information about learner questions, constraint information, conversational information, similar grammar information, error examples, Chinese correspondence information, and related sentence examples. This result is related to the aspect of grammar description of Korean materials encountered by Chinese learners, and reflects the current status of the grammar description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이 연구는 한국어 조사연속구성 문법 기술 내용에 대한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조사연속구성 문법 기술 내용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문법 기술은 문법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효과적인 문법 기술 내용은 외국인 학습자가 문법을 학습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조사연속구성에 관한 문법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본고에서는 조사연속구성 문법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인 학습자가 조사연속구성 문법 기술 내용에 대해 가지는 학습 요구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SPSS 21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인 학습자가 학습자 질문 정보, 제약 정보, 맥락 정보 그리고 유사 문법 정보, 학습자 오류 예시 정보, 중국어 대응 정보, 관련 문장 예문 정보에 대해 학습 요구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접하는 한국어 학습 자료의 문법 기술 양상과 관계가 있으며 현재 한국어 학습 자료의 조사연속구성 문법 기술 현황을 반영하고 있다.

      • KCI등재

        중등학교 영어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개선 요구

        이영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교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은 기존 교육과정의 성과 및 문제점, 현장의 요구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개선 요구를 파악하고, 향후 영어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 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전국 240개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적절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224명의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래사회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영어교육 및 영어과 교육과정의 방향으로서 다 양한 영어사용자들과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강조는 지속되어야 하며, 현행 교육과정의 목표는 적절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2) 학습 내용의 양과 수준은 적절한 편이지만 말하기와 쓰기의 학습량 은 다소 적은 것으로 인식되어, 학생들이 경험하는 의사소통 기회의 양과 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 다. 3) 성취기준의 명료성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며, 성취기준과 의사소통 기능 등 주요 내용 요소들 간의 연결성을 명시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4) 대폭 증대된 내용에도 불 구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의 현장적합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높지 않았으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대한 상반된 의견도 있었다. Any attempts to innovate a subject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previous curriculum as well as the needs of school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ive the 2009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what they think needs to be changed to innovate it. The study particularl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concerning the goals, contents,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of the English curriculum. Two questionnaires by school levels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240 secondary schools through stratified sampling, and a total of 224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Given the demands for English education brought up by societal changes,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should continue to be emphasized in the next curriculum, and the goals of the current curriculum were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as well 2) The teachers perceived the level and quantity of learning contents to be appropriate overall, but they thought that the quantity of speaking and writing standards was less than desired, which means that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innovating classroom practices towards communicative competence 3)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tent/performance standards need to be clarified so as to be more intelligible and informative for school teachers 4) The teachers did not express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what is presented in the sections of teaching & 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They also held differing views on how specific information needs to be inclu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