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고지신(溫故知新)의 교육학적 오독(誤讀) : 이무기 같은 공자의 삶과 스승의 파라독스

        엄태동(Taedong, Eom) 한국교육원리학회 2021 교육원리연구 Vol.26 No.1

        온고지신은 논어에 나오는 말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구절 가운데 하나다. 이는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라는 문장 속의 한 구절로서 스승이 지녀야 하는 능력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런데 종래의 논어 해석에서는 온고지신을 ‘옛것을 소홀함이 없이 습득하고, 새것도 알 수 있어야 한다’라는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온고지신은 스승이 지녀야 하는 회화(誨化)의 능력이 아니라 제자에게 필요한 학시습(學時習)의 능력이 되고 만다. 이 글은 온고지신을 스승의 회화 능력을 가리키는 말로 재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엄밀히 말하면, 단순한 재해석을 넘어서 스승이 지녀야 하는 회화의 능력을 담은 말이 되도록, 교육학의 관점에서 온고지신을 창조적으로 오독(誤讀)한다. 이를 통해 온고(溫故)는 스승이 자신의 옛 앎에 열정을 담아 다루는 능력을 의미하며, 지신(知新)은 회화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다양한 능력들을 새롭게 습득하는 일을 뜻한다는 논의를 펼친다. 나아가 온고지신하는 스승은 제자의 눈에 파라독스적인 존재로 비치기 마련이며, 공자가 자신을 ‘이무기’에 비유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는 점을 밝힌다. This study is to try an educational misreading about Ongojisin in the original context of Confucian Analects. Ongojisin is almost always understood to mean ‘cherishing or restudying old and acquiring new knowledge.’ Although it is generally recognized as predominant understanding, this is very dubious and questionable. Ongojisin originally means the abilities of teachers. But cherishing or restudying old and acquiring new knowledge is definitely the abilities of learners. In order to clarify the educational meaning and significance of Ongojisin, this study deconstructs and re-interprets original and relevant sentences of Analects with constant reference to various recent educational inquiries and theor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to be able to teach others, one must see his old knowledge with passion as if it is new knowledge. This passion for old knowledge is Ongo(溫故) as an ability of teachers. In order to teach others, one must newly acquire various teaching abilities such as communicating knowledge by containing it into appropriate words, diagnosing learner’s level, exemplifying knowledge with his own living, and enjoying the unique pleasure of teaching. These abilities are contents of Jisin(知新) teachers have to acquire. Teachers who can do this kind of Ongojisin are projected as paradoxical beings onto the eyes of their learners.

      • KCI등재

        온고지신 프로그램의 중학교 적용 연구

        윤영돈,한성구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우리 시대에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온고지신의 정신을 살려 전통을 재해석하고 재구성하되, 학교급별 학생의 발달 수준에 맞게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현장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함양 및 유덕한 시민으로서 공동체 역량 제고를 위한 온고지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의순서는 다음과 같다. 오늘날 인성교육의 유의미한 주제로 정신건강, 특히 회복탄력성 증진이 중요한 교육목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먼저 논구하고,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온고지신 프로그램 개발방향을 제시하며, 동 프로그램의 구성과 실행계획 및 현장적용(중학교)을 통한 그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계획(plan)-실행(do)-평가(see)로 볼 때, 본 연구는 온고지신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과 현장적용과 평가 과정의 환류를 통해 개선된 프로그램이 유덕한 시민으로서 공동체 역량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 증진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이 연구가 더 큰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시연 대상과 설문 대상의 폭이 넓어져야 할 것이다. 비록 제한적인 상황 하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시연이었지만 전통 교육 내용과 방법, 덕목이 현대 교육에도 여전히 의미가 있고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ith a view to dealing with various problems in our times,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and reconstruct the educational tradition with the spirit of wen-gu-zhi-xin(溫故知新), and plan and apply the educational program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students of school g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review the effectiveness of the wen-gu-zhi-xin program for enhancing community capacity as a virtuous citizen and reinforcing resilience of students in middle school. The order of discussion runs as follows. First, we discussed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which is a meaningful topic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n, we proposed developmental approach of wen-gu-zhi-xin program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中庸」과 「論語」의 溫故知新에 대한 退溪의 해석과 그 특이점

        박종용 영남퇴계학연구원 2020 퇴계학논집 Vol.- No.26

        In Confucian the constant Way is only to change according to circumstances. Being long lasting does not mean being in a fixed and definite state. Being fixed and definite, a thing cannot last long. Reanimating the Old(溫故) and the knowledge of the New(知新) are also constantly circulating Way(dao, 道). The former is a vestige of its own nature and the latter is a coordinate of its true identity. An attempt to build a new identity by taking advantage of its inherent nature is a creative capacity that cannot be gained without accumulating while repeatedly challenging and failing on the premise of a long period of trial and error. First of all, Toegye said that the phrase “Reanimating the Old can gain the knowledge of the New(溫故知新)” in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emphasizes ‘Reanimating the Old(溫故)’ because it focused on cultivating the Virtue(德), advancing the Way(道), and preserving the Mind&Heart(心).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is a book that passes down the Way and it means “that by which something is so(suoyiran 所以然).” Cultivating the Virtue(德) and advancing the Way(道) make us ponder how to find the uniqueness of values and reason for their seriousness in the stream of the times where the lightness of trivial things is valued and the value of values is underestimated. Toegye said that “Reanimating the Old can gain the knowledge of the New”(溫故知新) in The Analects(論語) emphasizes the Knowledge of the New(知新) because it focused on knowing the Way(道) by discussing the qualifications as a teacher. This means that if scholars learn from time to time what you've heard before, and endlessly apply it to something new. Toegye emphasized that those who want to become teachers should be good at Deductive and Inference, which means that the core is the creativity of 知新 rather than the traditionality of 溫故. Toegye asked us, “Do you have more Memories than Dreams?” or “Do you have more Dreams than Memories?” Toegye’s answer seems to keep the permanence of wisdom and open up the dynamism of creation. In this context, I suggest that the Value of values is found rather than inherited, created rather than imitated, and inherited rather than accepted. 본 논문에서 필자는 ‘退溪 李滉(1501~1570)이 『中庸』과 『論語』에 나오는 溫故知新의 의미를 다르게 해석했던 그 특이점을 연구하였다. 유학에서는 오직 때에 따라 變易하는 것을 일러 떳떳하고 恒常하는 道인 常道라 한다. 恒은 일정함을 말한 것이 아니기에, 일정하면 항상 하지 못한 것이 된다. 溫故와 知新도 끊임없이 순환하는 道이다. 溫故는 고유성의 자취이고 知新은 참신성의 좌표가 된다. 고유성을 반석삼아 참신성을 쌓으려는 시도는 곧 오랜 기간의 시행착오를 전제로 도전과 실패를 거듭하면서 축적하지 않고서는 얻을 수 없는 창조적 역량이다. 먼저 退溪는 『中庸』의 溫故知新은 德을 닦아 道를 이루고 마음을 보전함을 위주로 하였기 때문에 溫故에 중점을 두었다고 하였다. 『中庸』은 道를 전하는 책이므로 德을 쌓고 道를 닦아야 하는 所以然을 말한 것이다. 德을 쌓아 道에 나아간다는 것은 오늘날 무가치들의 가벼움이 중시되고 가치들의 가치가 경시되는 풍조에서 어떻게 가치들의 고유성을 찾고 그 진지함을 사유할 것인가를 숙고하게 한다. 退溪는 『論語』의 溫故知新은 스승의 자격을 논하여, 道를 아는 것을 위주로 하였기 때문에 知新에 중점을 두었다고 하였다. 이는 배움이란 전에 들은 것을 때로 익히고 새로 터득함이 있으면 배운 것이 나에게 있어서 그 응용됨이 끝이 없다는 뜻이다. 퇴계는 스승이 되려는 자는 演繹과 推論을 잘 해야 하며 인간다움을 강조하였다. 이는 『論語』는 핵심이 溫故라는 전통성보다는 知新이라는 창조성에 있음을 뜻한다. 退溪는 우리로 하여금 “당신은 미래에 대한 상상보다 과거에 대한 기억이 더 많은가?” 혹은 “미래에 대한 상상이 과거에 대한 기억보다 더 많은가?”를 스스로 자문하게 한다. ‘지혜의 영속성’을 지켜 ‘창조의 역동성’을 열어 가라는 것이 퇴계의 대답일 듯싶다. 이런 맥락에서 진정한 가치는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찾아지는 것이며, 답습되기보다는 창조되는 것이고, 수용된 것이라기보다는 전승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중 김충현 궁체의 서맥 고찰

        정복동(Jeong Bok dong)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2 No.-

        일중은 가전된 궁중의 우수한 한글서체를 독학으로 익혀 자신만의 서풍을 완성한 근현대서예가이다. 그는 한글과 한자서예를 병행하되, 한글서예를 중시한다. 일중 궁체의 서맥은 순원왕후의 둘째 공주 복온공주가 일중 가문에 하가 시 가지고 온 고전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하지만 고전 임모에 있어서 온고지신의 창작정신으로 용필법은 한자필의를 사용하였고, 결구법은 궁체를 임모하여 자신만의 개성 있는 서풍을 완성한다. 일중이 서예계에 남긴 대표적인 족적은 궁체만으로는 인간의 감성을 표현하기에 부족하다고 여겨서, 한문서체의 5체처럼 한글도 그와 같이 다양한 서체로 표현하도록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근거로 고체(판본체)를 작품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글서체를 한자서체와 비견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확대하였다. 이와 같이 고전을 중시하는 교육관은 후학들에게도 스승의 아류가 되지 않도록 가르쳤다. 그 일환으로 교과서와 서예교본 등에 소장하고 있는 왕실의 고전 자료를 아낌없이 소개하여 스스로 서법을 터득할 수 있는 토대자료를 제공한다. 아울러 한글서예의 필법에 관한 논문과 교과서 및 저서를 간행하여 일반대중에게 널리 서예를 보급하고자 하였다. 또한 5백이 훨씬 넘는 작품을 궁체정자, 궁체흘림, 고체, 한자의 5체, 한글과 한자의 혼서, 궁체의 변형체 등 다양한 서체로 다양한 규격에 발표를 하였다. 일중은 일생이 학예일치로 온고지신하는 서예가이자 교육자의 삶이었다. 일중의 교육관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청출어람’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은 물론 후학들이 보다 발전하고 자신만의 세계를 열어갈 것을 바랐던 것인데, 현재 그의 훌륭한 제자들이 그의 예술정신의 맥을 이어 서예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에서 그 가르침과 배움의 열정이 ‘저 강물처럼 밤낮으로 쉬지 않고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lljoong is a modern calligrapher who taught himself the excellent writing style of the Korean script used at royal court, which was passed down in the family, and perfected his own style of calligraphy. Although he practiced both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y, he put more emphassis on Korean calligraphy. The legacy of lljoong’s Gungche(a court style of Hangul calligraphy) originated from the classical materials that princess Boak-on, the second dauhghter of Queen Soon-won, brought when she was married to lljoong’s family. However, when it comes to imitating classical calligraphy, in the spirit to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he used a writing style of Dhinese characters os to a technique to write calligrphic work with a brush and imitated Gungche for structure, thereby completing his unique calligraphic style. lljoong’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otprints is that he worked on the writing style of Jumminjeongeum Haerye on the abasis of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Humminjeongeum, so that Hangeul could be written in many calligraphic styles like the five script styles in Chinese calligraphy. He believed that Gungche alone was not enough to express various human emotions. Therefore, he expanded a writing style of Korean scripts to be comparable to that of Chinese scripts. His view of education emphasizing classics taught hes students not to be simply imitators of their teacher. For instance, he introduced the royal classical works that were possessed in textbooks and calligraphy course books to the students and provided a foundation that they could learn calligraphic styles themselves. Furthermore, he published a number of theses, textbooks and publications regarding writing techniques of Korean calligraphy to spread calligraphy among the general public. Additionally, he released more than 500 works written in various calligraphic styles, such as Gungche in printed form, Gungche cursive writing five script styles of Chinese characters, Korean mixed script, and a variant Gungche. lljoong was a calligrapher and an educator who united study and art with an attitude to ‘review the lod and learn the new.’ lljoong’s view of education can be defined as ‘Cheong-Chul-Eo-Lam’ which means students surpass their master. He wished that not only himself but also his students would develop and advance their own art styles. Now, lljoong’s students inherit his spirit and make efforts to develop calligraphy, which shows that his teaching and the students’ passion to learn ‘continuously flow day and night like a streaming river.’

      • KCI우수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전통 시대의 법조윤리와 현대적 귀감

        김지수 법조협회 2012 法曹 Vol.61 No.7

        본 논문은 새로 도입한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필수과목으로 가르치는 ``법조윤리``의 내용을 비교법제 및 역사철학의 관점에서 풍부하게 확대심화하기 위하여, 동아시아 전통법문화에서 법조윤리의 전통을 탐구 모색하는 작업으로 기초하였다. 먼저 근대 서양의 법치주의에서 비롯한 ``Legal Ethics``의 번역어로서 등장한 ``法曹倫理``라는 단어의 말뜻을 漢字문화의 특성인 文字學과 語源論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재의 ``법조윤리`` 개념내용과 비교 음미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본론에서 전통 법조윤리의 얼개를 그려보는데, 먼저 전통 법문화의 최고 사법원칙과 기본 법조윤리를 확인하고, 이어 행정·사법관리의 私情방지를 위한 법제규정으로 재판관의 직업상 공정성과 청렴성을 살펴본다. 특히 秦漢시대의 失刑罪및 不直죄와, 당률 이래의 出入人罪및 불법고문죄등을 비롯한 獄吏와 法官의 反坐책임을 소개하고, 청렴윤리의 法制史상 淵源과 唐律상 뇌물범죄의 엄벌을 상세히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법관의 공정성과 청렴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親嫌(親族相避)제도를 소개하고, 직업 변호사의 금지와 변호윤리도 대강 언급한다. 본고의 주된 목적과 동기는 溫故知新과 東道西器의 비판적 창조적 계승발전의 발판과 뜀틀로서 21세기 새로운 법조윤리와 법조문화의 창달에 조그만 보탬이 되기 위함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유학 교육사상과 민주적 시민성 함양 연구

        한성구 ( Han Sung-gu ),지준호 ( Chi Chun-h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5 No.-

        이 연구는 현대 교육이 중시하고 필요로 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이러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전통적 핵심 역량을 선별하여 현대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온고지신’이라는 교육 방식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현행 도덕과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인 ‘도덕적인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 가운데 정의로운 시민, 즉 민주적 시민성에 초점을 맞추어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위해 어떤 전통적 덕목과 가치, 내용이 부각되고 활용되어야 하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우선 방대하고 포괄적인 전통이 아니라 민주적 시민주체의 형성 등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와 방향성 속에서 전통문화의 가치와 내용, 소재를 선별 및 발굴하고 현대화하여 종합적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전통문화, 전통사상, 전통예술, 전통놀이 등을 현대의 교육적 맥락에서 재해석해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will explore what competencies are important for modern education. And reconstructs the traditional core competencies that can be utilized to cultivate this capacity. We will also explore whether the education method ‘Wen-Gu-Zhi-Xin(溫故知新)’ can be applied to modern times. Current moral education aims to cultivate ‘moral humanity’ and ‘just citizen’. Among them, we survey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just citizens, democratic citizenship.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 tried to understand what virtues, values, and contents should be used to cultivate democratic citizenship. Through this study, we will help to creatively inherit our own precious educational heritage inherited from tradition and to prepare specific teaching plans that can be used in actual education field.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의 실천성과 지성성 ―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중심으로 ―

        강은애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2 한국불교사연구 Vol.21 No.-

        His unique Buddhist practice and intellect are reflected behind Manhae Han Yong-un's a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national and social issues and to lea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historical field of the time. The Great Texts of Buddhis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mbryonic product of modern Buddhism, is a text that can simultaneously examine Manhae's existential practicality and epistemic intelligence as a kind of doctrinal classification theory. You can see how they tried to interpret and reorganize Buddhism in the new era of ‘modern’. The third Buddha's work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odhisattva by placing the original source, wisdom, and mercy of Bodhisattva in the field of the Buddha's original source, wisdom, and mercy, respective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dea of Bodhisattva is deeply embedded in the root of Manhae's practicality, and the process of planning and editing The Great Texts of Buddhism itself is a religious practice of patience and shows the practical intelligence of Manhae by performing Bodhisattva. Manhae sublimated the spiritual spirit of the righteous and virtuous, which he had deep in his heart as a child, into the power of the Mahayana Bodhisattva, and the Buddha-nature theory of the Buddha-nature of all living beings is freedom and equality. By securing a place in the modern ideological system of Manhae, he built a world of practical intelligence. Compilation of The Great Texts of Buddhism is an example of trying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time in both tradition and modernity. Manhae's intellect can be evaluated as being wen-gu-zhi-xin(溫故知新). By learning the merits of Confucianism, which is the old one, creatively inheriting the new modernity by putting it off, he tried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times through Buddhist re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e Great Texts of Buddhism, which reflects the practicality of bodhisattvas and the intellect of wen-gu-zhi-xin(溫故知新), can be said to be a joint product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Manhae tried to reinterpret his religious belief, Buddhism's ideal, in a turbulent era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 to find a concrete solution to the problem at hand and to realize it in the field of history through practical actions. This practical intelligence of Manhae can be said to be a valuable legacy that is more desperately requested in this era when life and knowledge are divided and fragmented. The biggest reason Manhae is still being talked about today is probably because of his courageous practical ability and consistent attitude to life in harmony with her own intellectual abilities to make history on this earth without isolating her intellectual knowledge in the metaphysical and ranscendental world. He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figure in the modern Korean intellectual world, who personally practiced equality and a savior-like life through an Unconstrained Conduct based on universal intellect, going beyond religion and ethnicity.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서영수합(徐令壽閤) 시(詩)의 풍격(風格) 연구(硏究) -차운시(次韻詩)를 중심으로-

        이정화 ( Jeong Hwa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시문(詩文)이란 도를 담기 위한 도구로 인식하였던 영수합은 시를 통해 내면적 성숙을 다져가며 자신을 수양하였다. 유가적 시정신은 위기지학(爲己之學)과 상통하는 것이어서, 시 공부에 있어서도 마음의 수양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였다. 영수합의 시에 등장하는 “난(蘭)”의 향기로움은 위기지학(爲己之學)에의 풍모를 비유한 것이다. 영수합 시의 풍격은 선천적인 시인적 자질 위에 선인(先人)들의 전적(典籍)을 두루 섭렵한 공력(工力)에 의해 결정지어진 것이다. 영수합의 시인으로서의 삶을 보면 사실상 그의 최초의 작시(作詩)는 시우(詩友)로서의 아내 역할을 수행하는 와중에 이루어졌다. 또한 부군이 타계한 후에는 작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우(詩友)인 부군의 역할이 매우 크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영수합의 시 가운데 중국시인의 시를 차운하여 지은 작품이 많았던 까닭은 그가 학시(學詩)의 대상과 그 영역을 폭넓게 학습하였기 때문이었다. 특히 영수합은 중국시에 등장하는 은일거사(隱逸居士)의 초월적 경지를 차용하여 자신의 내면에 잠재해 있는 초월의식을 시화함으로써 조선조 여성이 지녔던 비애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영수합은 차운시를 통해 시도(詩道)를 계승하였고 중국시인들의 풍격을 이어받아 학시(學詩)의 수련(修鍊)을 실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영수합 시의 풍격은 관조와 성찰의 시세계를 표출하게 된다. 영수합은 두보시 가운데 자연을 제재로 한 작품에 주목하고 이를 차운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영수합은 산수시에 형상화된 두보의 풍격을 본받아 자신의 내면을 수양하며 시성(詩聖)의 경지를 흠모하였던 것이다. 두보의 시경(詩境)을 학습함으로써 영수합은 깊은 침잠의 과정에서 우러나온 엄숙하고 겸허한 심정을 형상화한다. 이백의 시에는 시인의 풍류적 면모가 술과 달의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이백은 형문산에서의 생활을 기리고 있는 반면에 영수합은 산보다는 강을 주변으로 하는 풍광을 시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영수합 시에 나타난 강호한정(江湖閑情)은 화자의 고독감이 반영되어 있다. 왕유는 산객(山客)의 행위보다는 산객의 마음을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자연물로 묘사하고 있다. 영수합 역시 평소 자연물을 세심히 관조하였던 왕유의 시정신을 본받아 자연물에게 인격을 부여함으로써 사람과 자연물이 우주라는 큰 틀에서 보면 별개의 존재가 아니며 교감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가도의 「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시에서 시적 화자와 동자 사이에 오고간 문답은 “직중유완(直中有婉) 완중유직(婉中有直)”의 기법이 적용된 것인데, 이는 곧 동자의 직답(直答) 속에 숨어있는 의취가 초점이다. 영수합은 가도시에서 추구하는 은사(隱士)의 개결한 삶의 경계(境界)를 흠모하였으므로 시를 지어 자신이 추구하는 것도 이러한 경지임을 보여주었다. 영수합은 중국시인의 작품을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모범으로 삼아 애호하고 기꺼이 차운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와 인격의 완성을 다져갔다. This paper is an attemt to illustrate the poetic spirit of Seo yong su hap. As a wife of high official, Seo yong su hap was a poetess of the latter part of the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her poetry by adding the study on women`s Chinese poem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ccording to the human documentation(행장), Seo yong su hap was thought to be the important character : as a mother, as a wife and as a poetess. Her spirit of the poems linked the spirit of her life with her son and daughter. The Chinese poems written by Seo yong su hap was tried to realized in the Confucian ideology. She were inclined to approach it from the Cha Woon of Chinese Poetry. Seo yong su hap expressed love of nature, sense of public morality, admirable self-discipline. She revealed the constant human nature in whispering the natural phenomena. Gusto of Seo yong su hap poetry is to the open-minded, meditative thought in a mirror of a nature poetess.

      • KCI등재

        徐令壽閤 詩의 風格 硏究― 次韻詩를 중심으로 ―

        이정화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This paper is an attemt to illustrate the poetic spirit of Seo yong su hap. As a wife of high official, Seo yong su hap was a poetess of the latter part of the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her poetry by adding the study on women's Chinese poem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ccording to the human documentation(행장), Seo yong su hap was thought to be the important character : as a mother, as a wife and as a poetess. her spirit of the poems linked the spirit of her life with her son and daughter. The Chinese poems written by Seo yong su hap was tried to realized in the Confucian ideology. She were inclined to approach it from the Cha Woon of Chinese Poetry. Seo yong su hap expressed love of nature, sense of public morality, admirable self-discipline. She revealed the constant human nature in whispering the natural phenomena. Gusto of Seo yong su hap poetry is to the open-minded, meditative thought in a mirror of a nature poetess. 시문(詩文)이란 도를 담기 위한 도구로 인식하였던 영수합은 시를 통해 내면적 성숙을 다져가며 자신을 수양하였다. 유가적 시정신은 위기지학(爲己之學)과 상통하는 것이어서, 시 공부에 있어서도 마음의 수양이 절대적으로 중요하였다. 영수합의 시에 등장하는 “난(蘭)”의 향기로움은 위기지학(爲己之學)에의 풍모를 비유한 것이다. 영수합 시의 풍격은 선천적인 시인적 자질 위에 선인(先人)들의 전적(典籍)을 두루 섭렵한 공력(工力)에 의해 결정지어진 것이다. 영수합의 시인으로서의 삶을 보면 사실상 그의 최초의 작시(作詩)는 시우(詩友)로서의 아내 역할을 수행하는 와중에 이루어졌다. 또한 부군이 타계한 후에는 작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우(詩友)인 부군의 역할이 매우 크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영수합의 시 가운데 중국시인의 시를 차운하여 지은 작품이 많았던 까닭은 그가 학시(學詩)의 대상과 그 영역을 폭넓게 학습하였기 때문이었다. 특히 영수합은 중국시에 등장하는 은일거사(隱逸居士)의 초월적 경지를 차용하여 자신의 내면에 잠재해 있는 초월의식을 시화함으로써 조선조 여성이 지녔던 비애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영수합은 차운시를 통해 시도(詩道)를 계승하였고 중국시인들의 풍격을 이어받아 학시(學詩)의 수련(修鍊)을 실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영수합 시의 풍격은 관조와 성찰의 시세계를 표출하게 된다. 영수합은 두보시 가운데 자연을 제재로 한 작품에 주목하고 이를 차운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영수합은 산수시에 형상화된 두보의 풍격을 본받아 자신의 내면을 수양하며 시성(詩聖)의 경지를 흠모하였던 것이다. 두보의 시경(詩境)을 학습함으로써 영수합은 깊은 침잠의 과정에서 우러나온 엄숙하고 겸허한 심정을 형상화한다. 이백의 시에는 시인의 풍류적 면모가 술과 달의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이백은 형문산에서의 생활을 기리고 있는 반면에 영수합은 산보다는 강을 주변으로 하는 풍광을 시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영수합 시에 나타난 강호한정(江湖閑情)은 화자의 고독감이 반영되어 있다. 왕유는 산객(山客)의 행위보다는 산객의 마음을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자연물로 묘사하고 있다. 영수합 역시 평소 자연물을 세심히 관조하였던 왕유의 시정신을 본받아 자연물에게 인격을 부여함으로써 사람과 자연물이 우주라는 큰 틀에서 보면 별개의 존재가 아니며 교감을 이룰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가도의 「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시에서 시적 화자와 동자 사이에 오고간 문답은 “직중유완(直中有婉) 완중유직(婉中有直)”의 기법이 적용된 것인데, 이는 곧 동자의 직답(直答) 속에 숨어있는 의취가 초점이다. 영수합은 가도시에서 추구하는 은사(隱士)의 개결한 삶의 경계(境界)를 흠모하였으므로 시를 지어 자신이 추구하는 것도 이러한 경지임을 보여주었다. 영수합은 중국시인의 작품을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모범으로 삼아 애호하고 기꺼이 차운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와 인격의 완성을 다져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