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Overexpression of EFGR as Prognostic Factor and Effect of EGF in the Progression of Hypopharyngeal Cancer

        Young Chang Lim(임영창),Eun Chang Choi(최은창),Yoon Tae Kim(김윤태),Jang Hee Kim(김장희),Hye Sook Hwang(황혜숙),Sung Un Kang(강성운),Jae Won Chang(장재원),Yoo Seob Shin(신유섭),Chul-Ho Kim(김철호)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는 HER2/neu(erbB2), HER3(erbB3), HER4(erbB4)를 포함하는 receptor tyrosine kinase의 erbB 그룹에 속하는 수용체이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은 다양한 종류의 암, 특히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 예후를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인두편평세포암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 및 분포를 확인하고, 하인두암에서 표피성장인자(EGF)가 암세포의 증식과 침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57명의 하인두편평세포암 환자의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을 면역화학적염색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대해 임상병리학적 요인과 생존율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일부 환자의 정상 및 암조직에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하인두편평세포암 세포주인 FaDu에서 proliferative assay, colony dispersion, wound healing assay, invasion assay를 시행하여, 하인두암의 진행에서 표피성장인자의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RT-PCR과 Zymography를 통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MMP)-2, 9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 과 63.2%의 하인두편평세포암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은 정상조직에서 비하여 하인두암 조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병리학적 병기( p=0.022)가 올라갈수록 유의 하게 증가하였으나, 증례수의 제한으로 생존율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얻지는 못했다( p=0.053). in vitro 의 결과로 표피성장인자를 FaDu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FaDu 세포주의 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p<0.05), Transwell invasion chamber상 침습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p<0.05). RT-PCR과 zymogram 실험상 표피성장인자처리시 FaDu세포주의 MMP-2, 9이 발현이 증가되고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이 하인두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표피성장인자가 하인두편평세포암의 증식과 침습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SCOPUSKCI등재

        원저 : 간 ; 간세포암의 자연경과 및 예후지수에 의한 병기분류법

        엄순호 ( Soon Ho Um ),류호상 ( Ho Sang Ryu ),박미라 ( Mi Ra Park ),이재원 ( Jea Won Lee ),진윤태 ( Yoon Tae Jeen ),전훈재 ( Hoon Jae Chun ),송치욱 ( Chi Wook Song ),이상우 ( Sang Woo Lee ),김창덕 ( Chang Duck Kim ),현진해 ( Jin Ha 대한소화기학회 199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9 No.6

        목적: 간세포암의 자연경과시 예후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인자들을 재평가하고, 환자를 예후별로 층별화할 수 있는 간세포암의 병기분류법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 6월 부터 94년 11월까지 고려대학교 병원에서 간세포암으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만으로 추적관찰하였던 환자 18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간세포암의 예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임상적 변수 서른 세가지를 설정하고, 각 변수에 대하여 Kaplan-Meier법과 log rank test를 이용하여 단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단 변량분석 결과 유의한 변수를 대상으로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여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예후지수를 산출하고 병기를 분류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남녀비는 5.4:1이었으며 나이의 중앙값은 54세이었다.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개월이었고, 누적생존률은 1, 3, 6, 12, 24개월이 각각 74%, 33%, 11%, 7%, 5%이었다. 단변량분석 결과 열 네가지 인자가 유의하였으며, 다변량분석 결과 종양의 크기, 복수, 빌리루빈의 세가지 인자가 상호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파악되었다. 회귀방정식에 의하여 예후지수를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예후지수=EXP(종양크기×0.1904+복수×0.4114+빌리루빈×0.0504) 예후지수의 범위는 1.23에서 13.95였으며, 병기간 경계점지수를 1.41과 2.58로 설정하여 병기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각 병기간에 유의한(p<0.01) 생존률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간세포암의 자연경과적 예후인자를 기초로 한 본 병기분류는 향후 간세포암 환자의 치료방법을 비교 평가하는 데 있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Aims: Well designed staging system of hepatocellular carcinoma(HCC) is needed for comparative therapeutic studies regarding HCC to be of value. The aim of study is to reevaluat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natural history of HCC and to devise a staging system according to prognostic index estimated mathematically Methods: One hundred eighty patients with HCC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received only conservative treatment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clinical, biochemical and imaging data obtained at diagnosis. Results: The overall acturial survival rate at 1, 3, 6, 12, 24 months were 74%, 33%, 11%, 7%, 5%, respectively. For significant prognostic variables in the un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survival analysis disclosed that tumor size(p=0.0039), ascites(p=0.0190), total serum bilirubin(p=0.001)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Considering the contribution of each of these factors to prediction of survial, a pronostic index(PI) was defined as a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PI=EXP(tumor size×0.1904+ascites×0.4114+Bilirubin×0.0504). According to PI, a new staging system was devised allowing division of patients into three groups with significantly different survival rates(p<0.01). Conclusions: The new staging system for HCC according to PI would be useful for the staratification of HCC patients i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various therapeutic modalities.(Korean J Gastroenterol 1997;29:786-796)

      • KCI등재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시 국소 재발의 임상 병리적 예후 인자

        최철원(Chul Won Choi),김미숙(Mi Sook Kim),류성렬(Seong Yul Yoo),조철구(Chul Koo Cho),양광모(Kwang Mo Yang),유형준(Hyung Jun Yoo),서영석(Young Seok Seo),김민석(Min Suk Kim),이승숙(Seung Sook Lee),황대용(Dae Yong Hwang),문선미(Sun Mi 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24 No.4

        목 적: 진행된 직장암의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국소 재발한 군의 병리학적 예후 인자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치료 방침의 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원자력의학원에서 수술을 시행한 후 병기 3기 이상으로 방사선치료 및 항암 요법을 시행 받은 직장암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검체를 모두 조사하여 면역조직화학검사가 가능한 총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국소전이가 발견된 군이 14명, 발견되지 않은 군이 40명이었다. 이들의 조직 검체를 대상으로 종양의 침윤 깊이, 종양의 조직학적 등급, 임파절 침윤 여부, 혈관 침윤 여부, 신경 침윤 여부 등의 병리적인 특징 및 p53, Ki-67, c-erb, ezrin, c-met, phospho-S6K, S100A4, HIF-1 alpha의 다양한 암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단변량 분석 및 다변량 분석, hierarchical clustering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치료 후 예후와 관련된 인자를 찾았다.결 론: 병리학적 예후 인자 중 단변량 분석상 종양 침윤 깊이, 종양의 등급, 혈관 침범이 의미 있었고 다변량 분석상 침윤의 깊이가 5.5 mm 이하, 혈관 침윤이 없는 경우가 국소 재발이 낮은 군이었다. 면역조직화학검사 결과의 단변량 분석상 c-met 양성, HIF-1 alpha 양성이 국소 재발률이 높은 예후 인자였고 다변량 분석상 c-met이 의미 있는 예후 인자였다. 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해서 조사한 결과 HIF-1 alpha, c-met 및 종양 침윤 깊이가 국소재발과 관련된 인자로써 국소 재발을 한 군의 71.4%가 3가지 인자 중 2개 이상을 가지고 있는 반면 국소 재발을 하지 않은 군에서는 27.5%가 2개 이상을 가지고 있었다. 결 론: 국소적으로 진행되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해야 하는 직장암 환자군 중에서 HIF-1 alpha 양성, c-met 양성,종양 침윤 깊이 5.5 mm 이상의 병리학적 예후 인자를 두 개 이상 가지는 환자는 국소 재발의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인자가 방사선치료 저항군의 지표로써 유용한지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local recurrence after radical surgery and adjuvant radiation therapy in advanced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ifty-four patients with advanced rectal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radical surgery followed by adjuv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between February 1993 and December 200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mong these patients, 14 patients experienced local recurrence. Tissue specimens of the patients were obtained to determine pathologic parameters such as histological grade, depth of invasion, venous invasion, lymphatic invasion, neural invasion and immunohistopathological analysis for expression of p53, Ki-67, c-erb, ezrin, c-met, phosphorylated S6 kinase, S100A4, and HIF-1 alpha. The correlation of these parameters with the tumor response to radiotherapy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multivariate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Results: In univariate analysis, the histological tumor grade, venous invasion, invasion depth of the tumor and the over expression of c-met and HIF-1 alpha were accompanied with radioresistance tha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venous invasion, invasion depth of tumor and over expression of c-met were also accompanied with radioresistance tha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nalysis with hierarchical clustering, the invasion depth of the tumor, and the over expression of c-met and HIF-1 alpha were factors found to be related to local recurrence. Whereas 71.4% of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had 2 or more these factors, only 27.5% of patients without local recurrence had 2 or more of these factors. Conclusion: In advanced 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by radical surgery and 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und to be related to local recurrence were HIF-1 alpha positive, c-met positive, and an invasion depth more than 5.5 mm. A prospective study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these factors would be useful clinical parameters to measure and predict a radio-resistance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위험 인자 및 수술적 치료 후 예후인자

        김환정,정상욱,이규상,박경훈,박건영,권원조,성환일,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xplore the risk factor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operation in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ause of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is unknown. The objectiv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re still controversia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4, a total of 12 patients with spontaneous epidural hematoma were evaluated. Th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nalyzed were sex, age, underlying diseases, medications, neurologic status, level and extent of hematoma, cord edema,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neurologic recovery. The neurologic status was analyzed using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impairment scale (AIS) at the first and the last neurologic examinat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68.6 years.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ticoagulation therapy, and two were advised to switch to a healthier diet. The initial neurologic status of the patients was AIS A in 2 cases, B in 5 cases, C in 4 cases, D in 1 case, and in two patients, cord edema was reveal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interval of time from onset to surgery was less than 24 hours in 6 cases, 24–48 hours in 4 cases, and more than 48 hours in 2 cases. Conclusions: Th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were found to be initial neurologic status, cord edema on MRI,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found no correlation between anticoagulation therapy or healthy diet and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but anticoagulation therapy cannot be excluded as a risk factor.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적: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아직 발생 원인에 대해서 밝혀지지 않았고 이와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성별, 나이, 기저 질환, 약물 복용 및 건강 보조 식품 복용 여부를 신경학적 증상과 관련된 예후 인자로서 내원 당시의 신경학적 손상 정도, 혈종의 발생 부위, 혈종의 범위, 척수 부종 동반 여부,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에 대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6세였고, 항응고제 복용이 7예,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2예였다. 초기 신경학적 증상은 AIS A가 2예, B가 5예 C가 4예, D가1예였고, 척수 부종이 2예였다.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은 24시간 이내가 6예, 24~48시간이 4예, 48시간 이상이 2예였다. 결론: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예후 인자로 내원 시 AIS정도, 척수 부종의 유무,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이 관련이 있었다. 또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발생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항응고제의 사용과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통계적 상관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위험인자임은 배제할 수 없다.

      • KCI등재

        황색인대 골화증에 의한 흉추부 척수증의 수술적 치료 후 임상적 결과와 예후 인자 분석

        김환정,송대건,박건영,구제윤,권원조,박경훈,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analyzed the clinical results of thoracic myelopathy caused by ossification of yellow ligament (OYL) and to exploreprognostic factors after surgical treatmen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oracic myelopathy due to OYL is difficult to treat; surgery is considered as treatment of choice. However, studies of the clinical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are few due to its rare present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ix patients who had surgery for thoracic myelopathy caused by OYL were evaluated from February2002 to April 2012. We describe the analysis of the clinical results after surgery and prognostic factors. Results: Modified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JOA) score was recorded in all patients by 5.7±1.3 points (range, 2-9 points)preoperatively, 7.8±1.7 points (range, 4-10 points) postoperatively, and 8.4±2.1 points (range, 5-11 points) at final follow-up. Hirabayashirecovery rate was recorded by 60.2±20.2% (range, 45.5-72.0%) postoperatively, 64.5±17.3% (range, 50.2-75.1%) at final follow-up.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was also improved by 7.6±1.8 points (range, 7-10 points) preoperatively, 4.5±1.3 points (range,3-6 points) postoperatively, and 3.8±1.6 points (range, 2-5 points) at final follow-up. Both modified JOA score and VAS score improvedsignificantly (p<0.05). In prognostic factor analysis, OYL type on CT axial image, duration of symptom, and preoperative severity ofmyelopathy was significant (p<0.05). Conclusion: We showed the effectiveness of surgery on patients who suffer from thoracic myelopathy caused by OYL and that OYL typeidentified by CT axial image, duration of symptom, and preoperative severity of myelopathy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Key Words: Ossification of yellow ligament, Thoracic myelopathy, Clinical result, Prognostic factor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황색인대 골화증에 의한 흉추부 척수증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후 인자를 탐색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황색 인대 골화증으로 인한 흉추부 척수증은 수술적 치료가 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치료가 쉽지 않으며 질환의 낮은 빈도로인하여 수술적 결과 및 예후 인자에 대한 연구는 흔치 않은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2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본원에서 황색인대 골화증으로 인한 흉추부 척수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적 치료 후 임상 결과(신경학적 상태, 통증)를 기술 하고 예상되는 예후 인자(자기 공명 영상 촬영 상에서 신호 강도 변화 여부, 수술 방법, 나이, 병변의 위치, 자기 공명 영상 촬영 시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컴퓨터 단층 촬영 축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수술 전 증상의 지속기간, 수술 전 증상의 심한 정도)를 설정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modified JOA score는 수술 전 평균 5.7±1.3점(2-9점), 수술 직후 평균 7.8±1.7점(4-10점), 최종 추시 평균 8.4±2.1점(5-11점)으로측정되었고, Hirabayashi recovery rate는 수술 직후 평균 60.2±20.2%(45.5-72.0%), 최종 추시 평균 64.5±17.3%(50.2-75.1%)로 측정되어 수술 후 신경학적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VAS score는 수술 전 평균 7.6±1.8점(7-10점)이었고 수술 직후 평균 4.5±1.3점(3-6점), 최종 추시 평균 3.8±1.6점(2-5점)으로 호전되었다. Modified JOA score와 VAS score 모두 수술 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p<0.05).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친 예후 인자는 CT 축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수술 전 증상의 지속 기간, 수술 전 신경학적 증상의 심한 정도 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5). 결론: 황색인대 골화증에 의한 흉추부 척수증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의 효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고, CT 축상면에서 병변의 형태, 수술 전 증상의 지속 기간 및 수술 전 증상의 심한 정도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기에 병변을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예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황색인대 골화증, 흉추부 척수증, 임상적 결과, 예후 인자약칭 제목: 황색인대 골화증으로 인한 흉추부 척수증 환자에서 임상 결과와 예후 인자

      • KCI등재후보

        위암 수술 1,435예의 예후 인자 분석

        서원홍,서병조,유항종,이우용,이혜경 대한위암학회 2009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9 No.3

        목적: 위암은 한국에서 제일 흔한 암으로 저자들은 단일 술자에 의해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 상병리학적 특성 및 5년 생존율과 이에 따른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만 5년간 위암으로 진단되어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한국위암센터 에서 위절제술을 시행한 위암환자 1,435예의 환자를 대상 으로 성별 및 연령, 종양의 위치 및 크기, 육안적 분류 및 조직학적 분류, 위벽 침윤도, 림프절 전이, 혈관, 신경초, 림프관 침윤 및 수술 방법 등의 인자들을 후향적으로 조 사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2.29:1이었고 평균 연령은 56.7세였으며 UICC TNM Stage IA 35.4%, Stage IB 14.1%, Stage II 12.6%, Stage IIIA 12.3%, Stage IIIB 8.3%, Stage IV 17.3%였고 전체 5 년 생존율은 69.6%였다. 단변량 분석 결과 연령, 종양의 위 치, 종양의 크기, Borrmann type, 분화도, Lauren 분류, 위벽 침윤도, 림프절 전이, UICC TNM 병기, 신경초 침윤, 혈관 침윤, 림프관 침윤, 수술방법에 따라 생존율에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 다변량 분석결과 위벽 침윤도, 림프절 전이 만이 독립적인 예후인자였다. 결론: 다양한 임상병리학적 특성들이 위암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주지만 이들 인자들 중 결국 위벽 침윤도와 림프 절 전이, 즉 병기가 예후에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위암환자 생존율 향상을 위해서 조기 검진을 통한 위암의 조기 발견과 예후 영향인자에 대한 다각적인 치료 방법이 연구, 개발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후보

        위선암에서 p53과 bcl-2의 발현이 예후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홍종현,신동우,백소야,김일동,김기호,박진수,서병선,김상욱,임혜인 대한위암학회 2009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9 No.3

        목적: 세포자멸사의 중요인자인 p53과 bcl-2의 개별발현 및 동시 발현이 갖는 위선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역할과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에서 2007년 7월까지 위선암으로 분당제생병원 외과에서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23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료의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p53과 bcl-2의 발현은 DAKO사의 Envision kit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하여 발현군을 양성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중 p53은 149예(62.5%)에서 발현되었으며, 다른 임상병리학적 예후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세포분화도(P=0.028), TNM 병기(P<0.001)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 bcl-2은 29예(12.2%)가 발현되었으며, TNM 병기(P=0.005)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 단변량 생존율 분석을 통해 p53과 bcl-2는 생존율 감소에 영향이 있으며, 다변량 생존율 분석을 통해 p53은 독립적 예후 인자로서의 확인되었다. 또한 두 단백의 동시 발현군도 TNM 병기(P=0.002)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개별 발현 때보다 동시 발현 시 유의한 생존율 감소를 보였다(P<0.001). 결론: p53과 bcl-2의 개별 발현은 나쁜 예후를 나타내며, 이들의 동시 발현은 더욱 나쁜 예후를 나타냈다. 그러나 bcl-2는 다변량 분석에서 독립 예후인자로서 의미는 부족하여 더 많은 분석을 통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