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림프절 전이가 없는 진행성 위암의 예후 인자

        강상윤,김세원,송선교,김상운,Kang, Sang-Yoon,Kim, Se-Won,Song, Sun-Kyo,Kim, Sang-W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3

        목적: 진행성 위암환자의 예후인자에서 림프절 전이와 침윤깊이 등이 중요한 예후인자로 여겨지고 있지만, 림프절 전이가 없는 진행성 위암환자의 침윤깊이에 따른 예후인자에 관해서는 정립이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림프절 전이가 없는 진행성 위암 환자의 생존율에 관계된 예후 인자를 확인하고 침윤깊이에 따른 예후 인자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 진행성 위암으로 1990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수술 받은 1,761명 중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림프절 전이 및 원격전이가 없는 진행성 위암 환자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 성별, 종양의 위치, 종양의 크기, 종양의 위벽침윤도, 조직학적 분화도, 림프관 침윤, 신경침윤, 혈관 침윤 등을 토대로 생존율에 대한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침윤 깊이(T2, T3, T4)에 따라 대상 환자를 아그룹으로 분류하여 침윤 깊이에 따르는 예후인자를 조사 하였다. T4 군은 제한된 개체 수 때문에 분석에서 제외 시켰다. 결과: 생존율과 관계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예후 인자는 단변량 분석에서는 나이, 종양의 위벽침윤도, 조직학적 분화도, Borrmann 형, Lauren 분류이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나이, 침윤도, Lauren 분류였다. 침윤 깊이에 따른 아그룹의 다변량 분석에서 의미있는 예후 인자는 T2 군에서는 나이와 Borrmann 형, Lauren 분류이며 T3 군에서는 나이와 Lauren 분류, 혈관 침윤이었다. 결론: 림프절 전이 없는 진행성 위암에서 나이와 Lauren 분류, 침윤 깊이가 생존율의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예후 인자라고 볼 수 있다. 단 T2 군에서는 Borrmann 형 또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로써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in gastric cancer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and to specifiy which prognostic factors can be available in detail according to the depth of invas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based on the medial records of 268 gastric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resectional therapy from 1990 to 1999. The patients who revealed pT2NOMO, pT3NOMO, pT4NOMO on postoperative pathologic reports were enrolled. The survival rate was analyzed according to clinicopathologic and therapeutic factors. Results: According to the depth of invas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pT2a, pT2b, pT3 and pT4 were 86 (32.1%), 56 (20.9%), 108 (40.3%), and 18 (6.7%) respectively. Age, depth of invasion, histological type, Borrmann type, and Lauren classifi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and the age, the depth of invasion, and Lauren classification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identified by multivariate analysis. On multivariate analysis of subgroups according to the depth of invasion,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were age, Borrmann type, and Lauren classification in pT2, and age, Lauren classification, and vascular invasion in pT3. The prognostic factors of pT4 patients could not be analyzed due to limited sample size. Conclus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age, the depth of invasion, and Lauren classification should be checked to predict prognosis. In patients with pT2 lesion among the above patients, the Borrmann type should be added in check-list.

      • KCI등재

        전이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와 예후 인자

        김정일(Jeung-Il Kim),유총일(Chong-Il Yoo),서정탁(Jeung-Tak Suh),서근택(Kuen-Tak Suh),김휘택(Hui-Taek Kim),문남훈(Nam-Hoon M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목적: 저자들은 수술적 치료를 한 전이성 골종양 환자의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여 병적 골절이나 경막 외 침범들이 있는 환자와 같이 수술적 적응이 필요한 환자들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2003년 12월 사이에 걸쳐 수술적 치료를 받은 78예의 전이성 골종양 환자에 대해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후 인자를 찾기 위해 Cox 비례위험모형과 Kaplan-Meier 생존곡선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생존에 의미 있는 4가지 예후 인자로는 원발암의 종류, 내장기 또는 뇌로의 전이 유무, 다발성 전이 유무, 이전 항암치료의 유무이었다. 4가지 예후 인자 중 2가지 이상을 만족시킬 경우를 좋은 예후군으로 분류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를 나뿐 예후군으로 분류하였다. 좋은 예후군의 6개월 평균 생존율은 95%, 1년 생존율은 87%이었고 나쁜 예후군의 6개월 평균 생존율은 28%, 1년 평균 생존율은 13%였다. 결론: 골 전이 환자의 수술적 치료의 결정에 있어서 생존 가능기간이 짧은 환자에게는 보다 덜 침습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생존 기간이 길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에게는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사지의 골 전이에서는 생존 가능 예상 기간이 최소한 2개월 이상, 척추의 전이의 경우는 3내지 6개월이라면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골 전이 환자의 치료의 결정에 있어서 본 연구의 예후 예측인자를 고려하면 더욱 유용한 수술적 치료의 선택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tried to find out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treatment for some conditions that are indicated for surgery like pathological fractures or epidural com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5 and 2003 we treated 78 patients with skeletal metastases. A multivariab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rates of survival were calcul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We identified four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the site of the primary lesion, the presence of visceral or cerebral metastases, any previous chemotherapy and multiple skeletal metastases. With these factors, we could divide the patients into two prognostic groups: the good prognostic group satisfies more than two of the four significant factors and the poor prognostic group doesn't. For the good prognostic group, the average rates of survival at 6 months and a year were 95% and 28%, respectively, and those for the poor prognostic group were 28% (6 mo) and 13% (1 yr), respectively. Conclusion: Each patient's life expectancy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decide the surgical method for treating metastatic bone tumor. Patients with a very short life expectancy should probably be treated with a less invasive method but patients with a long life expectancy require aggressive surgery. If the life expectancy is estimated to be at least more than 2 month and 3-6 months for bony metastases to the extremity and spine respectively, then an aggressive surgical method should be chosen. With these practical prognostic factors, the life expectancy may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and so the optimal surgical treatment can be selected more appropriately.

      • Overexpression of EFGR as Prognostic Factor and Effect of EGF in the Progression of Hypopharyngeal Cancer

        Young Chang Lim(임영창),Eun Chang Choi(최은창),Yoon Tae Kim(김윤태),Jang Hee Kim(김장희),Hye Sook Hwang(황혜숙),Sung Un Kang(강성운),Jae Won Chang(장재원),Yoo Seob Shin(신유섭),Chul-Ho Kim(김철호)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는 HER2/neu(erbB2), HER3(erbB3), HER4(erbB4)를 포함하는 receptor tyrosine kinase의 erbB 그룹에 속하는 수용체이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은 다양한 종류의 암, 특히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 예후를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인두편평세포암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 및 분포를 확인하고, 하인두암에서 표피성장인자(EGF)가 암세포의 증식과 침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57명의 하인두편평세포암 환자의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을 면역화학적염색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대해 임상병리학적 요인과 생존율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일부 환자의 정상 및 암조직에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하인두편평세포암 세포주인 FaDu에서 proliferative assay, colony dispersion, wound healing assay, invasion assay를 시행하여, 하인두암의 진행에서 표피성장인자의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RT-PCR과 Zymography를 통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MMP)-2, 9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 과 63.2%의 하인두편평세포암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은 정상조직에서 비하여 하인두암 조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병리학적 병기( p=0.022)가 올라갈수록 유의 하게 증가하였으나, 증례수의 제한으로 생존율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얻지는 못했다( p=0.053). in vitro 의 결과로 표피성장인자를 FaDu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FaDu 세포주의 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p<0.05), Transwell invasion chamber상 침습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p<0.05). RT-PCR과 zymogram 실험상 표피성장인자처리시 FaDu세포주의 MMP-2, 9이 발현이 증가되고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이 하인두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표피성장인자가 하인두편평세포암의 증식과 침습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Overexpression of EFGR as Prognostic Factor and Effect of EGF in the Progression of Hypopharyngeal Cancer

        임영창,최은창,김윤태,김장희,황혜숙,강성운,장재원,신유섭,김철호,Lim, Young Chang,Choi, Eun Chang,Kim, Yoon Tae,Kim, Jang Hee,Hwang, Hye Sook,Kang, Sung Un,Chang, Jae Won,Shin, Yoo Seob,Kim, Chul-Ho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1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는 HER2/neu(erbB2), HER3(erbB3), HER4(erbB4)를 포함하는 receptor tyrosine ki-nase의 erbB 그룹에 속하는 수용체이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은 다양한 종류의 암, 특히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 예후를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인두편평세포암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 및 분포를 확인하고, 하인두암에서 표피성장인자(EGF)가 암세포의 증식과 침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57명의 하인두편평세포암 환자의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을 면역화학적염색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대해 임상병리학적 요인과 생존율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일부 환자의 정상 및 암조직에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하인두편평세포암 세포주인 FaDu에서 proliferative assay, colony dispersion, wound healing assay, invasion assay를 시행하여, 하인두암의 진행에서 표피성장인자의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RT-PCR과 Zymography를 통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MMP)-2, 9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 과 63.2%의 하인두편평세포암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은 정상조직에서 비하여 하인두암 조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병리학적 병기(p=0.022)가 올라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증례수의 제한으로 생존율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얻지는 못했다(p=0.053). in vitro의 결과로 표피성장인자를 FaDu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FaDu 세포주의 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5), Transwell invasion chamber상 침습의 증가가 확인되었다(p<0.05). RT-PCR과 zymogram 실험상 표피성장인자처리시 FaDu 세포주의 MMP-2, 9이 발현이 증가되고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이 하인두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표피성장인자가 하인두편평세포암의 증식과 침습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임상 병기에 따른 췌장암의 생존 기간과 예후 인자

        김윤지 ( Yoon Ji Kim ),서동완 ( Dong Wan Seo ),백관미 ( Kwan Mi Pack ),정은희 ( Eun Heui Jeong ),김송철 ( Song Cheol Kim ),한덕종 ( Duck Jong Han ),이상수 ( Sang Soo Lee ),이성구 ( Sung Koo Lee ),김명환 ( Myung Hwan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1 No.3

        목적: 췌장암은 예후가 극히 불량하며, 점차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췌장암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각기 다른 환자, 기와 치료 방법을 포함하고 있어 일정한 결론에 이르지 못하였다. 이에 저자 등은 대규모 연구를 통해 췌장암의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들을 분석하여 향후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췌장암으로 진단되어 치료를 받았던 9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임상 병기에 따라 절제 가능형(226명), 국소 진행형(409명), 말기 진행형(336명)의 세 군으로 나누었다. 후향 조사를 통하여 각 군 간의 생존기간과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치료 방법에 따른 생존기간을 비교하여 췌장암의 적극적인 치료가 생존율의 향상에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적극적인 치료를 한 환자와 보존 치료를 받은 환자의 중앙 생존기간은 절제 가능형에서 각각 18개월과 9개월, 국소 진행형에서 각각 10개월과 7개월, 말기 진행형에서 5개월과 3개월로, 모든 병기에서 적극적인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생존기간이 길었다. 다변량 분석 결과, 절제 가능형에서는 CA 19-9 농도, 조직 분화도, 종양의 크기, 국소 림프절 전이 여부가 예후에 영향을 주는 독립적인 인자로 나타났다. 반면에 말기 진행형에서는 연령, 수행 능력, 알부민 농도가 예후와 관련된 인자로 확인되었다. 결론: 췌장암의 적극적인 치료는 진행된 병기를 가진 환자에서도 생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또한 췌장암의 예후와 관련된 인자는 임상 병기에 따라 차이를 보여, 절제 가능형 췌장암에서는 주로 종양의 특성과 관련된 인자가, 반면에 말기 진행형 췌장암에서는 주로 환자의 특성과 관련된 인자가 생존율에 영향을 주었다. Background/Aims: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remains very poor. Although many studies have eva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of pancreatic cancer, their results are inconclusive because of different inclusion criteria, tumor stages, and treatment modalities. This large scale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whether active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even in its advanced stage, could improve patients` survival. In addition, we sought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favorable prognosis of pancreatic cancer. Methods: Between 1994 and 2004, a total of 971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were treated at Asan Medical Center.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clinical stages: resectable (RE, n=226), locally advanced (LA, n=409), and far advanced (FA, n=336). Treatment response and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were analyzed in each group. Results: Compared to supportive care, active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edian survival time in all groups (RE: 18.0 vs. 9.0 months; LA: 10.0 vs. 7.0 months; FA: 5.0 vs. 3.0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differed according to clinical stages. In the RE group, unfavorable prognostic factors were high CA 19-9, poor histologic differentiation, large tumor size, and regional lymph node involvement. In the FA group, however, poor outcomes were associated with old age, poor performance status, and hypoalbuminemia. Conclusions: More active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even in advanced stage, can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patient`s survival. The prognosis of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is dependent on tumor-related factors, while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far advanced pancreatic cancer is dependent on patient-related factors. (Korean J Gastroenterol 2008;51:181-189)

      • KCI등재

        조기양막파수 산모에서 신생아의 예후 예측을 위한 인자

        조희영 ( Hee Young Cho ),박용원 ( Yong Won Park ),김영한 ( Young Han Kim ),임재학 ( Jae Hak Lim ),문여정 ( Yae Jung M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2

        목적: 조기양막파수 임산부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예후와 그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16주에서 36주 사이에 조기양막파수가 동반되어 입원 치료한 단태아 임산부 217명과 이들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신생아의 예후를 위해 호흡 곤란 증후군, 뇌실 내 출혈, 신생아 괴사성 장염, 신생아 감염에 대한 조사를 하고 이들을 질병이 이환된 군과 질병이 이환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신생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통계 분석을 위해 Pearson`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Student t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군은 217명으로 대부분이 조기양막파수 후 48시간 내에 분만하였다. 조기양막파수가 된 시기의 산모의 나이, 신체 비만 지수, 분만력, 조기양막파수 기왕력, 조기 진통 기왕력, 조기 진통의 유무, 양수 지수, 자궁 수축 억제제,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의 사용, 혈색소, 백혈구, C 반응성 단백질, 조기양막파수 당시의 임신 주수, 조기양막파수 후 분만까지의 기간, 분만 당시의 주수, 태반의 병리소견 등이 신생아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조기양막파수 당시의 임신 주수 (p<0.000), 조기양막파수 후 분만까지의 기간 (p<0.036), 분만 당시의 주수 (p<0.000)가 신생아 예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 양수과소증 (p<0.033), 백혈구 과다증 (p<0.010), C 반응성 단백질이 증가한 경우가 신생아 예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5분 Apgar score (p<0.000) 및 출생 당시 몸무게 (p<0.000) 도 신생아의 이환률이 있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 의하여 조기양막파수 산모에서 신생아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양막파수 당시의 임신 주수, 양막파수에서 분만까지의 기간, 분만 당시의 임신 주수를 들 수 있고, 분만전의 양수 과소증, 백혈구 과다증, C 반응성 단백질 양성이 있는 경우 신생아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신생아 출생 당시의 5분 Apgar score가 7점 미만인 경우 및 신생아 몸무게가 적을 경우도 출생 이후의 불량한 신생아 예후와 관련이 있었다. Objective: To study the neonatal outcomes of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PPROM) and to assess the prognostic factors for poor neonatal outcome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pregnancies registered and managed in Korea from Jan 1st, 2000 to Dec 31st, 2005. The 217 women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in singleton pregnancies from 16 to 36 gestational week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and neonatal infection for poor neonatal outcomes. Prognostic variables included for analysis were age, BMI, parity, history of PPROM, history of preterm labor, preterm labor, amniotic fluid index, tocolysis, antibiotics, antenatal steroid, hemoglobin, WBC, CRP, gestational age at PPROM, interval from PPROM to delivery, gestational age at delivery, placental findings, and etc.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developed neonatal morbidity (n=144) with those who did not (n=65) using the Student t 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the Pearson`s chi-square or the Fisher exact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Results: Total of 217 cases of PPROM were registered and treated expectantly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ajority of cases were delivered within 48 hours of PPROM. There were 64 cases diagnosed with RDS, 21 with IVH, 3 with NEC, 117 with neonatal infection and 8 neonatal mortalities. The gestational age at PPROM (p<0.000), interval from PPROM to delivery (p<0.036), gestational age at delivery (p<0.000), decreased amniotic fluid index (p<0.048), and high level of WBC, CRP (p<0.010, p<0.049)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neonatal outcomes. Birth weight (p<0.000) and APGAR (p<0.000) score at 5 minut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ases resulting in neonatal morbidity. Conclusion: Neonatal outcomes of pregnancie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re related to gestational age at PPROM, interval from PPROM to delivery, an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The decreased amniotic fluid index, and high level of WBC, CRP presented before delivery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neonatal outcomes. Birth weight and APGAR scores at 5 minute are significantly lower in cases resulting in neonatal morbidity

      • 불안정성 족근관절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정홍근,박희곤,유문집,김태원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2

        목적 : 불안정성 족근관절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임상적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예후 인자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1994년 5월부터 2000년 8월까지 불안정성 족근관절 골절로 수술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중 남자가 52명이었고 수상시 나이는 평균 40.5세이었다. Lauge-Hansen 골절 분류상 회외-외회전형이 42례(56.0%)로 가장 많았다. 술 후 결과 평가는 미국 족부 정형외과학회(AOFAS) 기능적 평가기준을 이용하였고, 술 후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로서 임상적 인자는 성별, 연령, 부위, 체중,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 수술기간, 수상경위 등을, 방사선학적 인자는 골절 분류, 골절의 해부학적 정복 여부, 수술 전·후의 내측 관절 간격, 거골-하퇴각, 거골 경사, 경골-비골 중복, 경골-비골 간격 등에 대해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AOFAS의 기능적 평가상 전반적인 결과는 평균 81.0점이었으며, 이중 우수가 23명(30.7%), 양호가 17명(22.7%)로 양호 이상이 전체의 53.3%를 차지하였다. 술 후 기능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인자로는 연령과 수술 시간 인자가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으며(p<0.001), 방사선학적 인자로는 내 과 및 외 과 골절의 해부학적 정복 여부가 유의성을 보였다(p<0.005). 그 외 성별, 부위, 체중,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 수상 경위, 수술 전·후의 내측 관절 간격, 거골-하퇴각, 거골 경사, 경골-비골 중복 및 간격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결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족근관절 불안정성 골절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나이가 41세 이상인 경우, 수술시간이 90분 이상인 경우, 또는 내 과 및 외 과 골절의 해부학적 정복이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에 술 후 기능적 결과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prognostic factors which may affect the postoperative clinical results of the unstable ank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is based on 75 unstable ankle fractures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rom May 1994 to August 2000, with a minimum follow-up period of 12 months(range : 13 months-7 years 3 months). The 75 patients were average 40.5 years old with male: female ratio of 52:23. Based on Lauge-Hansen classification, the supination-external rotation type was the most common with 42 (56.0%) cases. The clinical results was assessed by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AOFAS) functional scale. The sex, age, side of injury, body weight, trauma-operation interval, operation time, cause of injury as the possible postoperative clinical prognostic factors and fracture type, anatomical reduction of fracture, preoperative medial clear space, postoperative medial clear space, talo-crural angle, talar tilt, tibio-fibular clear space, tibio-fibular overlap space as the possible radiographic prognostic factor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 Postoperative AOFAS functional scale was average 81.0 points with 23(30.7%) cases excellent, 17(22.7%) good, 18(24.0%) fair and 17(22.7%) cases poor results. The age, the operation time(p<0.001) and the anatomical reduction of fracture(p<0.005)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prognosis. The other clinical and radiographic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linical results. Conclusion : The surgically treated unstable ankle fractures in patients whose age was above 41 years old or operation time exceeding 90 minutes or unsatisfied anatomical reduction of fractures showed significantly poor clinical results.

      • KCI등재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시 국소 재발의 임상 병리적 예후 인자

        최철원(Chul Won Choi),김미숙(Mi Sook Kim),류성렬(Seong Yul Yoo),조철구(Chul Koo Cho),양광모(Kwang Mo Yang),유형준(Hyung Jun Yoo),서영석(Young Seok Seo),김민석(Min Suk Kim),이승숙(Seung Sook Lee),황대용(Dae Yong Hwang),문선미(Sun Mi 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4

        목 적: 진행된 직장암의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국소 재발한 군의 병리학적 예후 인자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치료 방침의 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원자력의학원에서 수술을 시행한 후 병기 3기 이상으로 방사선치료 및 항암 요법을 시행 받은 직장암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검체를 모두 조사하여 면역조직화학검사가 가능한 총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국소전이가 발견된 군이 14명, 발견되지 않은 군이 40명이었다. 이들의 조직 검체를 대상으로 종양의 침윤 깊이, 종양의 조직학적 등급, 임파절 침윤 여부, 혈관 침윤 여부, 신경 침윤 여부 등의 병리적인 특징 및 p53, Ki-67, c-erb, ezrin, c-met, phospho-S6K, S100A4, HIF-1 alpha의 다양한 암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단변량 분석 및 다변량 분석, hierarchical clustering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치료 후 예후와 관련된 인자를 찾았다.결 론: 병리학적 예후 인자 중 단변량 분석상 종양 침윤 깊이, 종양의 등급, 혈관 침범이 의미 있었고 다변량 분석상 침윤의 깊이가 5.5 mm 이하, 혈관 침윤이 없는 경우가 국소 재발이 낮은 군이었다. 면역조직화학검사 결과의 단변량 분석상 c-met 양성, HIF-1 alpha 양성이 국소 재발률이 높은 예후 인자였고 다변량 분석상 c-met이 의미 있는 예후 인자였다. 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해서 조사한 결과 HIF-1 alpha, c-met 및 종양 침윤 깊이가 국소재발과 관련된 인자로써 국소 재발을 한 군의 71.4%가 3가지 인자 중 2개 이상을 가지고 있는 반면 국소 재발을 하지 않은 군에서는 27.5%가 2개 이상을 가지고 있었다. 결 론: 국소적으로 진행되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해야 하는 직장암 환자군 중에서 HIF-1 alpha 양성, c-met 양성,종양 침윤 깊이 5.5 mm 이상의 병리학적 예후 인자를 두 개 이상 가지는 환자는 국소 재발의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인자가 방사선치료 저항군의 지표로써 유용한지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local recurrence after radical surgery and adjuvant radiation therapy in advanced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ifty-four patients with advanced rectal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radical surgery followed by adjuv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between February 1993 and December 200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mong these patients, 14 patients experienced local recurrence. Tissue specimens of the patients were obtained to determine pathologic parameters such as histological grade, depth of invasion, venous invasion, lymphatic invasion, neural invasion and immunohistopathological analysis for expression of p53, Ki-67, c-erb, ezrin, c-met, phosphorylated S6 kinase, S100A4, and HIF-1 alpha. The correlation of these parameters with the tumor response to radiotherapy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multivariate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Results: In univariate analysis, the histological tumor grade, venous invasion, invasion depth of the tumor and the over expression of c-met and HIF-1 alpha were accompanied with radioresistance tha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venous invasion, invasion depth of tumor and over expression of c-met were also accompanied with radioresistance tha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nalysis with hierarchical clustering, the invasion depth of the tumor, and the over expression of c-met and HIF-1 alpha were factors found to be related to local recurrence. Whereas 71.4% of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had 2 or more these factors, only 27.5% of patients without local recurrence had 2 or more of these factors. Conclusion: In advanced 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by radical surgery and 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und to be related to local recurrence were HIF-1 alpha positive, c-met positive, and an invasion depth more than 5.5 mm. A prospective study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these factors would be useful clinical parameters to measure and predict a radio-resistance group of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