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직후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민족의식 고찰

        최진옥(Choi Jin-ok)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3

        본고는 염상섭이 해방 직후 창작한 소설에서 ‘민족’의 문제를 어떻게 서사화하고, 그것의 의미를 추적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1937년 진학문의 주선으로 만주로 이주한 염상섭은 해방 전까지 창작 활동을 중단하다가, 해방 직후 〈해방의 아들〉(1946)을 시작으로 창작활동을 재개한다. 〈해방의 아들〉로부터 시작된 염상섭의 해방직후 소설은 ‘민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것은 해방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왔던 민족의 문제를 염상섭이 다시 소설 속에서 천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민족에 대한 관심은 크게 혼혈인에 대한 서사와 일본인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드러나고 있다. 해방 후 창작한 첫 소설인 〈해방의 아들〉에서 염상섭은 혼혈인을 소재로하여 국적 선택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것은 식민지 시기 〈만세전〉(1924), 〈남충서〉(1927), 〈사랑과 죄〉(1927~8) 등의 작품에서 혼혈인을 통해 민족 정체성을 모색했던 작가의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염상섭은 〈남충서〉에서 혼혈인 충서의 내적 갈등을 세밀하게 보여줌으로써 민족 정체성을 전통, 즉 문화의 공유라는 측면과 연결시켰다. 반면 〈해방의 아들〉에서는 식민지 시기 일본인 마쓰노로 살아온 조준식에게 조선에 대한 귀속의식, 민족의식을 강조함으로써 ‘민족’의 의미를 의식의 차원에서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작가는 혼혈인 조준식의 내면을 보여주기보다는 서술자인 홍규를 통해 조선인이 되어야 한다는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여기서 서술자인 홍규의 의지는 곧 작가 개인의 의지로 치환이 가능하다. 그것은 만주에서의 염상섭의 이중적인 위치와 무관하지 않다. 만주에서의 염상섭의 생활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일본인과 비등한 것이었지만, 민족적 차별이 엄연히 존재하는 만주국의 상황에서 염상섭의 위치란 이중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해방의 아들〉에서 ‘온전한’ 조선인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 민족의식을 강조하는 서술자의 의지는 염상섭이 만주국 시기 가졌을 의식적․무의식적인 부채감을 민족의식으로 봉합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염상섭이 일본인에 대한 인식의 차원을 시선의 문제와 관련시켜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염상섭은 해방 이전 〈만세전〉에서 일본인(타자)의 시선을 통해 주인공 이인화의 민족 정체성 자각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타자의 시선이 가지는 문제성은 해방 직후의 〈모략〉을 통해서도 드러나고 있다. 〈모략〉에서 염상섭은 만주국에서 이중적인 위치에 있던 창규가 가진 일본에 대한 강박관념을 드러냄으로써 민족 정체성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모략〉의 결말에서도 작가는 설득력 없이 민족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민족’을 내세워 분열된 민족의식을 강조하는 이러한 태도는 자신의 경계인적 위치로 인한 부채감을 해소하고자 한 의도로 해석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make clear how Yeom Sang-Seop describes the problem of 'nation' through the image of Korean and Japanese in Yeom's works and how he gives the meaning of this problem. In 1937, Yeom emigrated to Manchuria through Jin Hak-Moon's good offices. After emigration, Yeom had stopped writing novels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But after the liberation, he reopened writing novels with The Son of the Liberation(〈해방의 아들〉)(1946). In this novel, Yeom offers the problem of choosing one's nation using mixed-bloods. I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Yeom's awareness which he sought the ethnic identity through mixed-bloods in Nam Chung-Seo(〈남충서〉)(1927) and A Sin and Love(〈사랑과 죄〉) (1927~8). Though Yeom connected the ethnic identity with the tradition or sharing culture by showing Nam Chung-Seo's inner conflict in detail, in 'Nam Chung-Seo', Yeom brought the consciousness thing into relief by emphasiz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belonging consciousness towards Chosun to Cho Jun-Sik who lives as "Matsuno" the Japanese during the colonial period. Especially the latter, the author emphasized his will to have to be a Korean through the narrator Hong-Gyu rather than showed mixed-blood Jun-Sik's inner. In here, we could replace the narrator Hong-Gyu's will with the author Yeom's will. This has a relation with Yeom's dual position at Manchuria. Because his life in Manchuria was about the same with the Japanese's in financial conditions though, there was an undeniable national discrimination unlike "five-race harmony(오족협화)" in Manchuria. Therefore the narrator's will emphasiz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as "the whole Korean" in 'The Son of the Liberation' connected with Yeom's will trying to recover the identity as Korean by paying off the conscious or unconscious feeling of a debt. On the other, Yeom represented Manchurian situation right after the Liberation by reconstructing the narration changing the time order of a returning journey. In 'A Trap(〈모략〉)', 'A Disorder(〈혼란〉)'(1948) and so on, Yeom pictured the position of Korean in Manchuria as a person on a borderline and their dissociation which were lasting after the Liberation. Especially in 'A Trap', it could be read as a reflection of Yeom's will trying to muster a nation in a conscious level that Chang-Gyu who was on a dual position in Manchuria made an effort to overcome an obsession of Japan with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brotherly love.

      • KCI등재

        염상섭 단편 「E부인」과 나혜석

        장두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2

        It is a well-known fact that Rha Hye-seok has special meaning in the study of Yeom Sang-seob. However,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eom Sang-seob and Rha Hye-seok show conflicting aspects. Some argue that the frustration of first love led to Yeom Sang-seob 's misogyny and that it led to a negative view of the new woman, and that Rha Hye-seok was the person that Yeom Sang-seob missed. In this paper analyzed the work and their writings and memoirs written by acquaintances, under the assumption that “Madam E” is a material that helps us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Based on the similarities with “mourning”, this paper reaffirmed the previous discussion that “Madam E” is a work modeled after Rha Hye-seok. And this paper confirmed that Rha Hye-seok, who visited Seoul in the 1920s, met Yeom Sang-seob, and that what Rha Hye-seok had arranged for Yeom Sang-seob to match was used as the subject of the novel. Next, this paper looked at the fictionalization of “Madam E”. When fictionalizing real persons or events, there is no other choice but to be transformed.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author, unlike real facts, has fabricated his first love into a beautiful romance. Until the late 1920s, Rha Hye-seok was the person that Yeom Sang-seob missed, and this fact provide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 new woman character in his works, which requires further study.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hat “Madam E” is a work that Yeom Sang-seob wrote around the time of his success as a novelist, gaining stability in life and getting married. In “Madam E”, the thoughts of art and life that Yeom Sang-seob felt at that time, such as relief from becoming a famous writer and gaining composure in life, and self-absorbed feeling of lowering the standard of work for popular readers, are found. And “Madam E” can be interpreted as a work written by a writer ahead of the wedding while clearing his thoughts and feelings about first love. But Yeom Sang-seob has distanced himself from Rha Hye-seok since the 1930s of her divorce, which seems to have led to “Mourning”. As such, “Madam E” is meaningful as a material that allows one to look into the author's personal history behind him and his thoughts on art at the time, and help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Yeom Sang-seob and Rha Hye-seok. 염상섭 연구에서 나혜석의 존재가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염상섭과 나혜석의 관계에 관한 기존의 논의는 엇갈리는 양상을 보인다. 나혜석을 향한 첫사랑이 좌절된 경험으로 인해 염상섭에게 여성혐오의 시각이 생겼고, 이후 여러 작품에서 신여성을 향한 부정적 시선으로 이어졌다는 통설과 염상섭에게 나혜석은 그리움의 대상이었다는 반론이 있다. 이에 본고는 염상섭의 단편 「E부인」이 염상섭과 나혜석의 관계에 관한 견해를 정리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라는 가정 아래 작품 분석은 물론 염상섭과 나혜석이 남긴 글과 주변의 회고 등을 검토하였다. 우선 「추도」와의 유사성을 근거로 「E부인」이 나혜석을 모델로 하였다는 기존의 논의를 구체적으로 재확인하고, 1920년대 나혜석이 안동현에서 서울로 올라와 염상섭과 종종 만났던 일, 1927년 나혜석이 염상섭에게 결혼 소개를 주선했던 일 등 실제 사실을 소재로 활용하였음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E부인」의 소설적 허구화 양상을 살폈다. 실제의 인물과 사건을 소설화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변형이 동반될 수밖에 없음에 착안한 것으로, 실제와는 달리 작가가 자신의 첫사랑을 아름다운 로맨스로 미화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즉 1920년대 후반까지 염상섭에게 나혜석은 그리움과 미련의 대상이었으며, 이러한 염상섭과 나혜석의 관계는 염상섭의 소설에 나타난 신여성 인물을 이해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추후 추가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한편 「E부인」은 염상섭이 장편소설 작가로 성공하면서 생활의 안정을 얻어 결혼식을 올릴 무렵 쓴 작품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이렇게 볼 때 「E부인」에서는 유명 작가로 생활의 여유를 찾은 안도감과 대중 독자를 상대로 하여 작품 수준을 낮춘다는 자괴감 등 예술과 생활에 관한 당시 염상섭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또한 「E부인」은 결혼을 앞둔 염상섭이 첫사랑을 향한 감정을 정리하며 쓴 작품으로 읽을 수 있으며, 1930년 나혜석이 이혼한 후 공식적인 자리에서 그녀와 거리를 둔 것이 「추도」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E부인」은 작가의 개인사적 이면과 예술에 관한 당시 작가의 생각을 들여다보고, 염상섭과 나혜석의 관계를 재구성하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염상섭과 4·19혁명

        오창은(Oh, Chang eun)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염상섭은 1960년 4·19혁명이 발발하던 시기에 예술원 종신회원이자 한국문단을 대표하는 원로문인이었다. 이 논문은 노년의 염상섭이 1960년 4·19혁명에 어떻게 대응했는가를 살핌으로써, 그의 문학이 견지하고 있는 사회의식의 실체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염상섭과 4·19혁명’의 관계를 통해, 혁명은 세대간 연대를 통해 정당성이 획득된다는 사실을 확인하려 했다. 염상섭은 1959년 5월 8일에 문인 32명과 함께 「경향신문 발행허가취소처분의 시급한 철회를 정부와 여당에 엄숙히 요구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고, 1959년 5월 9일자 『동아일보』 1면에 「여론의 단일화냐?」라는 장문의 칼럼을 게재했다. 이 시기 염상섭은 자유당을 비판하며 민주주의의 근간으로서 언론의 자유를 강한 어조로 옹호했다. 이승만과 이기붕의 당선을 위해 문화예술인이 동원되던 때에 염상섭이 행한 문필활동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는 원로문인으로서 부당한 권력 정치권력 행사에 대해 분명한 거리두기를 선택했다. 염상섭은 자유당 정권의 부정선거에 분노해 4·19혁명이 진행 중인 시점에서 신문에 문제적인 글들을 발표했다. 그는 「대도로 가는 길」이라는 글을 『동아일보』 1960년 4월 25일자에 발표했고, ‘4·19혁명’ 이후인 1960년 5월 3일에는 『조선일보』에 「학생들의 공은 컸다, 사회적면에서 실핀 4·19위업」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염상섭은 이 두 글에서 4·19혁명에 대한 지지의사를 분명히 표현했고, 원로 문인으로서 현안 문제해결 방안을 제언하기도 했다. 염상섭의 학생 지지발언은 변혁기에 이뤄진 구세대와 신세대의 연대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는 한국사회의 진통을 민주주의의 토대형성이라는 측면에서 긍정했고, 민주국가 건설이라는 대의적 관점을 유지하며 청년세대에 대한 고언을 아끼지 않았다. 염상섭은 민족국가 형성에 대한 열망과 민주주의 토대 형성이라는 대의를 자신의 문학적 태도로 견지했다. 이는 염상섭 리얼리즘 문학의 한 지향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더불어 염상섭의 글은 1960년 4·19혁명이 ‘젊은 학생들의 희생’이 불러일으킨 부채의식, 그리고 노년세대까지 아우르는 광범위한 세대적 공감과 연대 의식을 보여주기에 의미가 있다. Yeom Sang-seop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Korea’s recent-modern literature. He was born in 1897.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he was a representative Korean literary man, and during Korea’s liberation period, he was a journalist serving as the chief editor of the Kyunghyang Shinmun. During the Korean War, he served as a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Officer at Navy Headquarters, and in the 1950s, he was the president of Seorabeol Art College. During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he was a long-life member of the National Academy of Arts, and a representative senior literary man of Korea’s literary circles.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ow Yeom Sang-seop, in his advanced age, responded to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to identify the social perception of Yeom Sang-seop’s literature. Also, it sought to verify that,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eom Sang-seop and April 19 Revolution, the revolution proved legitimate through the ties between generations. On May 8, 1959, Yeom Sang-seop, together with 33 literary men, declared a statement, strongly demanding that the government withdraw its cancellation of the publication of the Kyunghyang Shinmun Newspaper. He ran a long column in the Dong-A Ilbo on the first page on May 9, 1959, under the title of “Is the public opinion united?” At that time, Yeom Sang-seop strongly defended the freedom of speech as the foundation of democracy, and sharply criticized the Liberal Party. When cultural artists were forcefully used to help the election of Syngman Rhee and Lee Ki-poong as president and vice president, Yeom Sang-seop’s literary activities were profoundly meaningful. As a senior literary man, he showed a distinctive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government exercising political power improperly. Yeom Sang-seop’s criticism of the Liberal Party government and his anger over the corrupt election carried bigger weight in his writings published during the April 19. He ran The Way to the Big Road in The Dong-A Ilbo on April 25, 1960. On May 3, 1960,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he ran “Students Did Great Thing; the Great Feat of April 19 Revolution” in The Chosun Ilbo. In these two articles, Yeom Sang-seop distinctively supported the April 19 Revolution, and proposed solutions to the pending issues as a senior literary man. His remarks of supporting the students’ action are meaningful in terms of the ties between the old and new generations during the revolutionary and reformative period. He affirmatively saw the ordeal of Korean society as the creation of democatic foundation, advocated the construction of a democratic nation, and offered bitter yet useful advice to the young generation. Yeom Sang-seop advocated the passion for forming a nation and the creation of a democratic foundation. This is part of Yeom Sang-seop’s realism. In light of his writings published in newspapers, the April 19 Revolution was made successful because young students sacrificed themselves, which obliged adults to do something in return, and because a wide range of sympathy and consensus was formed across generations including the elderly gener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1950년대 문예지와 염상섭의 단편소설

        김준현 ( Jun Hyun Kim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이 글은 1950년대 문학 장에서 염상섭이라는 작가와 그 작품이 차지했던 위치와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작품이 생산, 유통되고, 그 작품의 가치가 논자들에 의해 평가받는 과정에서 당대 문학 장을 형성하는 담론투쟁과 그것을 담당하는 문인집단 간의 역학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글은 이러한 관점에서 당대 염상섭의 소설과 문학 장의 관계를 고찰해보았다. 염상섭은 한국전쟁 중 이광수와 김동인을 잃은 당시 문학계의 가장 원로이면서도 가장 활발한 작품 활동을 벌였던, 특이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존재였다. 염상섭의 문학관은 당대 담론 장을 양분했던 ‘민족문학’ 기호의 쟁탈이나 ‘순수/참여’의 대립구도에서 어느 한 쪽의 관점에 치환될 수 없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그것은 해방/분단/전쟁이라는 격변기를 겪으면서 당대 문학 장의 담론 투쟁이 이전 시기의 맥락을 이어오지 않았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사실상 그런담론 투쟁의 전통이 없는 장에서 기실 ‘원로’에 대한 필요성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사실상 새로운 문학의 ‘극복대상’으로 소환될 뿐이었다. 따라서 염상섭의 담론 생산 주체로서의 가능성은 거세된 상태에서, ‘원로작가’라는 타이틀만 존재하는 양상이 계속된다. 1950년대 문학 장은 해방, 단정 수립과 한국전쟁 등의 단절로 인해 기존의 문학적 전통을 계승해야 한다는 당위보다는 전통을 ‘부재로서의 전통’으로 규정하고 새로운 문학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전 세대 문학과 그 담론을 전통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문학 장에서 개인으로서 남은 ‘원로’ 염상섭은 실제로 원로로서의 합당한 지위를 확보할 수 없었고, 염상섭의 작품은 당대 문학 장을 구성하던 문예지들의 매체 이념이 천명되는 과정에서 극복되어야할 구시대 문학의 일면으로 소환된다. 당대 문학 장을 양분했던 『현대문학』과 『자유문학』에 속한 비평가들이 염상섭의 작품의 한계를 지적하는 형식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것은 염상섭이 생활의 부면을 묘사하는 데는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지만, 그 생활의 이면, 혹은원리를 보여주는 데에 있어서는 약점을 보이고 있다는 시각이다. 그러나 당대평자들의 염상섭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반성되어야 할 여지가 있다. 우선 최근의 연구성과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현실의 부면을 그리고 그 이면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것은 작품을 독해하는 관점이 개발됨에 따라 새롭게 개발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1950년대 평자들의 관점을 따르면 당대에 그들에게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던 1950년대 염상섭의 작품 뿐 아니라, 『삼대』와 『만세전』과 같은 염상섭 문학의 본령으로 평가받은 작품들은 물론 ‘자연주의’라는 사조로 설명될 수 있는 성격을 지닌 작품 전반을 부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상대적으로 접근되어야 할 여러 관점 중 하나일 뿐으로, 이러한 관점은 좀 더 비판적으로 재고해야 할 여지가 생긴다. 또한 염상섭의 작품에 대한 당대 부정적인 평가가, 궁극적으로 당대 문학 장을 구성하던 문인 집단의 쟁투와 무관하지 않았음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the short stories of Yoem, sang-sup in the literary-field in Korea in the 1950’s. Yeom’s works in the 1950’s had not been discussed enough compared to their numbers, and it is not because the quality of the works were not good enough.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re related to the dynamical relationship of the literary groups which formed the literary field in the tim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rer reviews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Yeom in the 1950’s. Despite of the fact that Yeom published more stories than any other writers at the time, he was named as an ‘elder’ and not evaluated by critics in the time. However, the literary-field in the 1950’s did not need ‘elders’ because the discourses from the early period actually were not distributed and succeeded due to the cut offs as the Liberation, the national division and the Korean war. As a result, the title ‘elder’ did not meaned ‘respect’, but rather ‘castration’.

      • KCI등재

        염상섭의 소설론에 대한 고찰

        박현수(Park, Hyun-Soo)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2

        염상섭의 소설론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그 주된 이유는 본격적인 소설론을 발표한 적이 없는 염상섭 자신에게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1927년에서 1929년에 걸쳐 발표된 소설론에 대한 검토를 통해 염상섭의 소설에 대한 인식과 그 논리적 근간을 논구하려 했다. 염상섭은 소설을 데모크라시 정신이 발흥하는 당대에 조응하는 문학 양식으로 파악한다. 하지만 문예의 민중화가 초속적 전아보다 우위를 지니는 것으로 보지는 않는데, 여기에는 소설 나아가 그것을 배태한 근대에 대한 염상섭의 인식이 전제되어 있다. 염상섭은 묘사를 소설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 파악하는 한편 묘사에서 주관의 문제를 제기했다. 주관과 객관이 혼연히 일체가 되어 개성이 활동할 때 생동하는 작품 역시 산출된다고 했다. 묘사를 눈에 보이는 사실을 그대로 옮긴다는 개념으로 받아들인 것은 근대 초기뿐만 아니라 이 글이 다루고 있는 시기에 염상섭과 대립의 각을 세우고 논전을 펼쳤던 프로문학 역시 마찬가지였다. 묘사에서 인생, 생활 등의 추이나 방향을 천명한다는 주관이 향한 곳은 식민지적 억압이었다. 염상섭은 엄정한 태도를 견지하며 식민지적 조건과 차별이 강제한 물리적, 정신적 이지러짐을 그려낸다. 그 근간에는 민족문제에 대한 천착이 자리하고 있는데, 염상섭의 민족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는 글은 「민족, 사회운동의 유심적 고찰―반동, 전통, 문학의 관계」이다. 그런데 혈통, 지리 등 민족적 전통은 필연성을 지닌 데 반해 계급적 전통은 변이성을 이용해 개조를 해야 한다는 논리 속에서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이 조우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으며 또 한쪽을 향할 수밖에 없다. 다른 평론들에서 민중에 대한 견해나 민족성에 대한 이해를 밝히는데, 이들은 앞선 논지와 연결이 된다. 염상섭의 소설에는 사회운동이나 이념에 대한 접근이 자주 나타나지만 중심 서사와 결합되지 못하고 에피소드로 제시된다. 염상섭의 주관에 대한 천착이 묘사가 시상을 재현하는 방식이나 체계에 의한 것이며 나아가 그 방식이나 체계 자체가 이데올로기를 지니고 있음을 드러내기 위해서 였는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더 개진될 필요가 있다. The thesis of Yeom Sang-Seop(廉想涉)’s theory of novel is uncomm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and logic of Yeom Sang-Seop’s theory of novel. Yeom Sang-Seop consider novel as the form of literature that correspond to democratic idea of the time. He considers description as the kernel of novel and focuses on the subjective of description. At the time, description is appreciated to the imitation of existence. The subjective of description takes a profound interest in the suppression of colonization. At the basis of interest, the affection for the problem of a nation is militated. We can get a sense of interest toward colonization according to The idealistic study of the racial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At this article, he agitates that the national tradition is lasting but class tradition is temporary. He declares the view of the people and nation at the other criticism. The meaning of subjective of description is in need of wider discussion.

      • KCI등재

        식민지 조선에서 슈티르너 철학의 변용과 그 의미 및 한계 - 염상섭의 「지상선 (地上善)을 위하여」를 중심으로 -

        박종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2 시대와 철학 Vol.33 No.2

        This thesis explores how Stirner’s philosophy was transformed in colonial Joseon in the 1920s. In addition, we try to find out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such transformation through Yeom Sang-seop’s writings. In 1922, Yeom Sang-seop wrote ‘For the good of the earth.’ In this article, he introduces Stirner’s ‘The Unique and Its Property.’ Yeom Sang-seop is citing Stirner’s writings directly and expressing his views. In this process, Yeom Sang-seop emphasizes ‘Nora’, which appears to be a transformation of Stirner’s ‘The Unique.’ And Yeom Sang-seop portrays Nora as another aspect of the Unique. In other words, the form of ‘the Unique is a traitor’ is transformed into ‘Nora is a traitor.’ And he presents a ‘Egoist’ as a ‘charityist’. Also, Nora as a ‘traitor’ is a transfiguration of Jesus as a ‘traitor’. This structure can already be found in Stirner’s work. Moreover, it can be found that Yeom Sang-seop’s ‘singleness’ is a transformation of Stirner’s ‘uniqueness’. In addition, Yeom Sang-seop’s ‘self’ is a transformation of Stirner’s ‘I’. Yeom Sang-seop’s emphasis on possession can be seen as a transformation of Stirner’s ‘self-ownership’. However, Yeom Sang-seop correctly understood Stirner’s egoism. However, Yeom Sang-seop insists that we serve the object Stirner rejects. So, Yeom Sang-seop shows a contradiction in claiming to serve universality or essence (humanity, nation). The reason is that Yeom Sang-seop understands Stirner’s ‘I’ as a destructive and deconstructive ‘I’ and at the same time an absolute and complete ‘I’. This is the limiting point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However, I think this limitation was the result of the urgency and earnestness to fill the gap between the necessity of national liberation and the existence of colonial Joseon. Nevertheless, it is significant that Yeom Sang-seop’s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Stirner’s philosophy in colonial Joseon was one of the colorful protests for national liberation. 이 논문은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슈티르너의 철학이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탐구한다. 아울러 그러한 변용의 의미 및 한계를 염상섭의 글을 통해 찾아내고자 한다. 1922년에 염상섭은 「지상선을 위하여」를 집필한다. 이 글에서 그는 슈티르너의 『유일자와 그의 소유』를 소개한다. 염상섭은 슈티르너의 글을 직접 인용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염상섭은 슈티르너의 ‘유일자’를 변용한 것으로 보이는 ‘노라’를 강조한다. 그리고 그는 노라를 유일자의 또 다른 모습으로 그려낸다. 다시 말해 ‘유일자는 반역자이다’라는 형태를 ‘노라는 반역자이다’라는 모습으로 변용한다. 그리고 ‘자기중심적 사람’을 ‘자애주의자’로 제시한다. 또한 ‘반역자’로서의 노라는 ‘반역자’로서의 예수를 변용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이미 슈티르너의 저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염상섭의 ‘독이성’은 슈티르너의 ‘유일성’을 변용한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염상섭의 ‘자아’는 슈티르너의 ‘나’를 변용한 것이다. 염상섭의 소유에 대한 강조는 슈티르너의 ‘자기소유성’을 변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염상섭은 슈티르너의 자기중심성을 적확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염상섭은 슈티르너가 거부하는 대상에 봉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니까 염상섭은 보편성 혹은 본질(인류, 민족)에 봉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모순을 보인다. 그 이유는 염상섭이 슈티르너의 ‘나’를 파괴적이고, 해체적인 ‘나’로 이해하면서 동시에 절대적이고, 완성적 ‘나’로 이해하기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변용 과정의 한계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는 민족 해방이라는 당위와 식민지 조선이라는 실존의 간극을 메우려는 다급함과 간절함의 귀결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상섭이 식민지 조선에서 슈티르너의 철학을 수용하고 변용한 것은 민족 해방을 위한 다채로운 저항의 모습 중 하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염상섭 초기 문학에 나타난 ‘폐허’와 ‘죽음’의 의미

        임희현 구보학회 2016 구보학보 Vol.0 No.14

        More than any other literary figure, Yom Sang-seop focused on the paradoxical force of creation ’ruin’ has. The strength of ’ruins’ were an important power which allowed for Yom to create literature. Yom’s ‘sense of ruin’ originates with the diverse network of people who surrounded him early in his literary career. It is implied that Yom’s literary perspective early in his career was influenced by the literary perspective of his associate Hwang Seok-u due to the way in which Hwang tried to bring his awareness of reality to head in his literature. Starting coterie activities with 『Samgwang』 at Hwang Seok-u’s suggestion became the impetus for Yom Sang-seop to join the 『Pyeheo(ruin)』 group. Yom Sang-seop, who wanted to create a discussion of ethnicity through literature, became interested in the paradoxical meaning of ruin through his activities with the Osan School. The founder of the Osan School, Yi Seung-hun, went through an ideological change due to Christianity and believed that ‘suffering is a blessing’, and this point of view meshed well with the colonial reality as understood through ‘ruin’ in the 『Pyeheo』 group. Yom Sang-seop’s ‘understanding of ruin’ was formed through these experiences and comes through in his early works such as 「Pyo Bonsil’s Treefrog」, 「Dark Night」, and 「Grave」. Yom’s discourse on ‘ruin’ is linked to his inquiry into ‘death’ that he has continued from the start of his career. Using his discussion of ‘ruin’ as a foundation, Yom delved into the problem of the paradox of life and death and started to think of death as being an impetus which draws out ‘beatuy’ and ‘individuality’ in life. Yom, who rationalized life a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ty one’s self carries’, understood death which draws forth beauty and individuality to be the same as life. Because of this, he focused on ‘suicide’ as being an act which portrays a person’s individuality well. Yom’s inquiry into ruin and death reflects the author’s efforts to discover hope in the reality of Joseon where depression and dispair were endemic. At the same time, Yom also shows the creative sides of Joseon’s modern literature which has come to be misunderstood as ‘decadent fidelity’, or ‘diseased romanticism.’ 염상섭은 폐허가 지니는 역설적 생성의 힘에 누구보다 주목했던 문인이었다. ‘폐허’의 힘은 그에게 있어 문학을 가능케 했던 중요한 동력이었다. 염상섭의 ‘폐허의식’은 창작 초기 염상섭을 둘러싼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로 인해 배태된 것이었다. 창작 초기 황석우와의 교유는 문학을 통해 자신의 현실인식을 드러내고자 했던 황석우의 문학관이 염상섭의 문학관과 공명하는 측면이 있었음을 암시한다. 황석우의 제안으로 시작된 『삼광』 동인 활동은 염상섭이 『폐허』 동인에 합류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민족에 대한 문제의식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던 염상섭은 오산학교에서의 활동을 통해 폐허가 지닌 역설적 의미에 관심을 두게 된다. 오산학교를 설립한 이승훈은 기독교를 통해 ‘고난이 곧 축복’이라는 인식적 전환을 겪는데, 이는 식민지 현실을 ‘폐허’로 인식하는 『폐허』 동인들의 문제의식과 상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전하게 된 염상섭의 ‘폐허의식’은 「표본실의 청개구리」, 「암야」, 「묘지」 등 그의 문학 곳곳에서 나타난다. ‘폐허’에 대한 염상섭의 문제인식은 그가 초기부터 꾸준히 천착하고 있는 ‘죽음’에 대한 관심과 연결된다. 폐허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죽음과 생명의 역설적 문제에 천착했던 염상섭은 죽음을 인간의 삶에서 ‘미’와 ‘개성’을 이끌어내는 원동력의 하나로 이해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생명을 ‘각 자아가 가지고 있는 개성의 표현’으로 정의한 염상섭은 미와 개성을 이끌어내는 죽음은 생명과 같다고 파악한다. 그가 인간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자살’에 주목한 것은 이 때문이다. 염상섭이 보여준 폐허와 죽음에 대한 천착은 우울과 절망이 만연했던 조선의 현실에서 희망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했던 작가의 치열한 노력을 반영한다. 동시에, ‘퇴폐적 정조’, 혹은 ‘병적 낭만주의’로 오해되어 왔던 조선의 근대문학이 지니고 있었던 창조적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염상섭의 프로문학론 비판과 개성적 사실주의 문학론

        박성태 ( Park Seong Ta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6

        20년대 중후반에 염상섭은 개성을 핵심 개념으로 삼은 자신의 문학론에 입각해 프로문학론자들과 논쟁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이 주로 프로문학의 본질에 주안점을 두고 진행되는 동안 그의 문학론은 논쟁의 한 축으로 세워지지 못했다. 한편에서는 그의 문학론을 이론의 핵심과 무관하게 민족문학론이라 칭했고, 다른 편에서는 절충적이고 민중을 불신한 사실주의라고 폄훼했다. 본고는 염상섭의 산문들을 통해 그의 문학론을 이해하고 그것을 프로문학론자들의 이론과 대등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논쟁의 구도와 의의를 재고했다.염상섭의 초기 문학론은 「개성과 예술」에서 나타났다. 「개성과 예술」은 창작과 개성의 관계를 다룬 글이다. 그의 생각은 다른 산문들을 참조할 때 더욱 명확해진다. 「개성과 예술」을 통해 그는 예술이 작가가 인생에 대해 자유롭게 이해한 바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계급문학을 논하여 소위 신경향파에 여함」에서 염상섭은 박영희의 「신경향파의 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에 대한 반론을 펼쳤다. 신경향파문학의 새로움을 부정하고 이상적 프로문학론을 제시한 다음 현단계에 필요한 것은 개인주의라고 역설함으로써 자신의 문학론으로 프로문학의 가능성을 소화하려 했다. 「문예와 생활」은 염상섭이 프로문학론자들의 영향을 받아 기존의 개성론을 수정하고 생활론으로 나아갔다는 오인의 근거가 되었던 텍스트이다. 그러나 「문예와생활」에서 염상섭이 언급한 생활은 계급에 한정되지 않는 내면적 생활이었다. 「``토구, 비판`` 3제」는 김기진의 「변증적 사실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제출되었다. 염상섭은 사실주의에 작가의 주관적 인식이 개입한다는 점을 분명히 함으로써 프로문학론자들이 사실주의를 자신들의 전유물로 삼으려 했던 시도를 차단했다. 프로문학의 내용·형식 논쟁은 사실주의 논의로 귀결되었다. 프로문학론자였던 김기진은 기존문학을 비판하고 자신들의 입지를 마련해야 했다. 변증적 사실주의는 이러한 필요성에서 파생되었다. 반면에 염상섭은 문학 일반이론을 지향했으므로 자신의 사실주의에 수식어를 붙일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당대 논쟁을 조감할 수 있는 시각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변증적 사실주의에 준하는 명칭으로 염상섭의 문학론을 호명할 필요가 있다. 자아의 각성을 일관적으로 강조한 염상섭이므로 그 명칭은 개성적 사실주의가 적당하다. 20년대 중후반의 논쟁을 통해 한국근대비평사에는 두 개의 사실주의가 나타났다. 더불어 변증적 사실주의와 개성적 사실주의를 종합할 수 있는 인식의 지평도 열렸다. In the mid to late 1920``s, Yeom Sang-seop was grounded in his own literary theory. That is personality theory. He argued with the proletarian literature advocates. However previous research on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nature of the proletarian literary theory. Some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his theory nationalism. Other researchers were critical of his theory eclectic elitist real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terary theory of Yeom Sang-seop and rethink the composition of the 1920``s controversy. The literary theory of Yeom Sang-seop was consistent and not modified by proletarian literary theorist. Two realism theories, personality realism and dialectical realism, appeared through the 1920``s controversy.

      • KCI등재

        시인의 번역과 소설가의 번역

        정선태(Jeong, Seont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4

        투르게네프의 소설은 후타바테이 시메이가 번역한 ?밀회?와 『루진』 (번역본 제목은 『浮草』) 등을 통해 일본의 독자들을 만난다. 1908년 동경에 유학 중이던 홍명희도 일본어로 번역된 투르게네프의 소설을 읽는다. 이는 투르게네프의 소설이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출발점이었다.<br/> 투르게네프의 소설 가운데 한국에서 처음 번역된 작품은 『사냥꾼의 수기』에 수록된 ?밀회?였다. 번역자는 번역가이자 시인인 김억이었으며, 1919년 2월 『태서문예신보』에 실렸고 1921년 6월 『창조』에 재수록된다. ?밀회?는 소설가 염상섭에 의해 다시 번역되어 1923년 4월 『동명』에 실린다.<br/> 이 논문의 목표는 김억의 ?밀회?와 염상섭의 ?밀회?를 비교하여 둘 사이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두 번역본은 종결어미, 문장의 구성, 어휘의 선택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를 보면 김억의 경우 ?밀회?를 서정적이고 시적인 분위기를 띤 작품으로 인식한 반면, 염상섭의 경우는 러시아의 현실을 여실하게 그린 소설로 인식하고 번역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이것을 우리는 ‘시인의 번역’과 ‘소설가의 번역’ 사이의 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br/> 김억과 염상섭의 ?밀회?는 한 작품의 번역에 번역자의 개성이 어떤 식으로 드러나는지를 잘 보여준다. 김억과 염상섭은 번역을 통해 자신의 감수성과 개성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요컨대 1920년을 전후하여 한국에서 번역된 투르게네프의 ?밀회?는 번역이 독자적인 문학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통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중요한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식민지 시대 일본을 경유한 외국 문학 수용 양상을 읽을 수 있는 의미 있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Ivan S. Turgenev's novels such as The Tryst and Rudin met Japanese readers by way of Hutabatei Shimei's translation of them. Late 1908, Hong-Myeonghee read Japanese translations of Turgenev's novels in Tokyo. This was the starting point at which Turgenev's novels were acknowledged to Korean young intellectuals.<br/> Among Turgenev's novels, The Tryst, a short story from The Sportsman's Diary, is the first work translated in Korea. The translator of it is Kim-Eok who is translator and poet. It appeared on the magazine Taeseomunyesinbo in February 1919 and reprinted on Changjo in June 1921. And once more The Tryst translated by Yeom-Sangseob, the novelist, posted on Dongmyeong in April 1923.<br/> The aim of this essay is comparing The Tryst translated by Kim with The Tryst translated by Yeom and clarifying the differences of them. The important differences of them are as follows; the way of termination in a sentence, the construction of a sentence, the selection of words. Through these differences we can estimate that Kim recognized The Tryst as a poetic work and Yeom as realistic novel. The one can be called 'the translation of poet and the other 'the translation of novelist'.<br/> Two versions of The Tryst translated by Kim and Yeom show the individualities of translators represented in a translated work. Both Kim and Yeom intended to represented their sensitivities and individualities through translations. In a word two versions of The Tryst translated by Kim and Yeom are important examples which show that translation is a passage to translator's unique representation in literature. 투르게네프의 소설은 후타바테이 시메이가 번역한 ?밀회?와 『루진』 (번역본 제목은 『浮草』) 등을 통해 일본의 독자들을 만난다. 1908년 동경에 유학 중이던 홍명희도 일본어로 번역된 투르게네프의 소설을 읽는다. 이는 투르게네프의 소설이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출발점이었다.<br/> 투르게네프의 소설 가운데 한국에서 처음 번역된 작품은 『사냥꾼의 수기』에 수록된 ?밀회?였다. 번역자는 번역가이자 시인인 김억이었으며, 1919년 2월 『태서문예신보』에 실렸고 1921년 6월 『창조』에 재수록된다. ?밀회?는 소설가 염상섭에 의해 다시 번역되어 1923년 4월 『동명』에 실린다.<br/> 이 논문의 목표는 김억의 ?밀회?와 염상섭의 ?밀회?를 비교하여 둘 사이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두 번역본은 종결어미, 문장의 구성, 어휘의 선택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를 보면 김억의 경우 ?밀회?를 서정적이고 시적인 분위기를 띤 작품으로 인식한 반면, 염상섭의 경우는 러시아의 현실을 여실하게 그린 소설로 인식하고 번역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이것을 우리는 ‘시인의 번역’과 ‘소설가의 번역’ 사이의 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br/> 김억과 염상섭의 ?밀회?는 한 작품의 번역에 번역자의 개성이 어떤 식으로 드러나는지를 잘 보여준다. 김억과 염상섭은 번역을 통해 자신의 감수성과 개성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요컨대 1920년을 전후하여 한국에서 번역된 투르게네프의 ?밀회?는 번역이 독자적인 문학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통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중요한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식민지 시대 일본을 경유한 외국 문학 수용 양상을 읽을 수 있는 의미 있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Ivan S. Turgenev's novels such as The Tryst and Rudin met Japanese readers by way of Hutabatei Shimei's translation of them. Late 1908, Hong-Myeonghee read Japanese translations of Turgenev's novels in Tokyo. This was the starting point at which Turgenev's novels were acknowledged to Korean young intellectuals.<br/> Among Turgenev's novels, The Tryst, a short story from The Sportsman's Diary, is the first work translated in Korea. The translator of it is Kim-Eok who is translator and poet. It appeared on the magazine Taeseomunyesinbo in February 1919 and reprinted on Changjo in June 1921. And once more The Tryst translated by Yeom-Sangseob, the novelist, posted on Dongmyeong in April 1923.<br/> The aim of this essay is comparing The Tryst translated by Kim with The Tryst translated by Yeom and clarifying the differences of them. The important differences of them are as follows; the way of termination in a sentence, the construction of a sentence, the selection of words. Through these differences we can estimate that Kim recognized The Tryst as a poetic work and Yeom as realistic novel. The one can be called 'the translation of poet and the other 'the translation of novelist'.<br/> Two versions of The Tryst translated by Kim and Yeom show the individualities of translators represented in a translated work. Both Kim and Yeom intended to represented their sensitivities and individualities through translations. In a word two versions of The Tryst translated by Kim and Yeom are important examples which show that translation is a passage to translator's unique representation in literature.

      • KCI등재

        염상섭의 장편소설과 식민지 모던 걸의 서사학

        이용희(Lee, Yong Hee)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2 No.-

        이 글은 염상섭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모던 걸’ 형상의 서사적 함의를 재고하기 위해 쓰여졌다. 192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된 그의 장편소설에 모던 걸이 거의 빠짐없이 등장한다는 점은 주목을 요하는 문제다. 모던 걸로 지칭되는 여성이 최초로 등장하는 작품은 염상섭이 이른바 2차 도일을 마무리하던 시점에 발표한 『사랑과 죄』였는데, 여기에 등장하는 정마리아는 당대의 모던 걸 담론을 전유하여 염상섭이 창조한 ‘식민지적 모던 걸’이었다. 그녀는 스캔들 사건 속에서 대결구도를 형성하는 협의(俠義)의 연대와 협잡꾼 일당 사이를 넘나들며 서사의 진폭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사랑과 죄』이후에 연달아 발표된 『이심』, 『광분』,『삼대』 등에서도 모던 걸들은 특유의 관능성과 활동성을 과시하며 식민지 사회의 도처를 쏘다님으로써 이야기를 중층적으로 구성하는 데 기여한다. 그녀들은 예술가와 직업부인의 형상부터 매춘부와 스파이와 사회주의자의 이미지가 중첩된 표상으로 각인되며 식민지의 사법 사건을 촉발하는 뇌관으로서, 그리고 식민지의 인간 관계망을 형성 혹은 단절시키는 중요한 매개자로서 현상한다. 염상섭은 모던 걸에 관한 당대의 서사적?담론적 관습을 전유함으로써 식민지적 모던걸의 형상을 창출할 방법을 모색했고, 이를 통해 식민지의 암흑면을 부각시킴으로써 장편소설의 서사적 전략과 가능성을 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염상섭의 모던 걸은 장편소설로의 서사성의 확장을 위한 기획의 일환으로 도입되었다는 것이다. 식민지 조선의 실정에 걸맞은 모던 걸의 형상을 창조하는 것이 염상섭에게는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었다. 이를 위해 염상섭은 전통적인 계모형 독부와 사회주의와 연루되어 있는 신여성의 형상에다가 당대 미디어의 모던 걸 표상을 결합시킴으로써 장편소설의 길로 들어설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examine descriptive ways of Modern girls represented in Yoem Sang-seop"s novels. His Novels, which started to pulbish in the second half of 1920s, ostensibly addressed the figure of Modern girl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is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presentations of his novels. the modern girl first represented is his works was Jung Maria who play a major role as Femme Fatale in “Love and Sin.”(1927~28) She was ‘the colonial modern girl’ created by Yoem who appropriated the discourse of Modern girls in 1920s. Jung Maria as a modern girl had a key part in extending the narrative, wandering between a gang of trickers and the righteous group that includes socialist revolutionaries and ‘Sympathizers’. In addition to “Love and Sin,” thhe ‘Modern girl’ characters were represented in Yoem"s other novels like “Two Minds(1928~29)”, “The Madness(1929~30)”, and “Three Generations(1931).” They serves as the medium with sexuality and mobility that constructs and generate multi layered meanings of the stories by wandering the colonial city, Kyongseong. In other words, they were casted in various figures in the texts, such as musicians, business women, prostitutes, spies, and socialists. It might be the narrative strategies that Yoem not only plan to express the dark side of the colonial city, but also create the ‘Colonial modern girl’ character that could be suitable for ‘Colonial Chosun’ by appropriations of the conventional media discourse of modern girls. To make ‘colonial modern girls’ figures, he blended traditional stepmother-type femme fatale and ‘New Women’ figures related to socialism. The conclusion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the ‘modern girl’ character in Yoem"s novels might be essential for writing the ‘colonial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