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儒學, 連續性의 世界와 哲學

        정병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하나의 文化體系가 가지고 있는 性格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그 문화를 형성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어떤 문화적 특징을 찾는데 있을 것이다. 중국 문화가 가지고 있는 가장 뚜렷한 특징을 생각할 경우 가장 분명하게 떠오르는 것은 아마도 ‘連續性’이라는 개념일 것이다. 예를 들면 자연과 인간의 연속과 조화를 말하는 氣나 ‘天人合一’, 도덕과 정치의 연속성을 말하는 ‘修身齊家治國平天下’나 전통과 현재의 歷史的 連續性을 말하는 ‘溫故知新’ 등의 유가의 대표적인 개념들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연속성’이라는 개념은 단순한 觀念的 思索의 결과라기보다는 현대의 考古學的인 성과들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우선 ‘연속성’이란 개념의 기원 또는 원시적 형태를 개략적으로 考索하고 난 후 그것이 유가철학 전반에 어떻게 전개되고 발전하였는가 하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려고 한다. 본 논문은 유가철학이 가지고 있는 ‘連續性’이라는 독특한 문화적 성격을 통하여 유가철학이 가지고 있는 전체적 본질과 특징을 立體的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왜냐하면 유가의 철학체계가 가지고 있는 자연관ㆍ도덕적 견해ㆍ정치적ㆍ역사관이나 종교적인 관점들은 모두 인간과 자연 및 만물이 포함된 우주 전체가 有機的이고 相關的으로 연결되어 조금의 斷裂도 없이 구성되어 있는 하나의 連續體로 보고 있는 독특한 세계관에 근거하거나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연속성의 문화 특징은 生産道具ㆍ고대 도시 문화와 의식 형태 속의 각기 다른 영역 속에서도 모두 표현된다. 이런 고고학의 관점은 중국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天人合一의 관점에 고고학적 또는 인류학적인 근거와 해석의 관점을 제공한 것으로 대단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고대 중국의 shaman式의 문화적 胎盤은 고대 유가 사상에 매우 깊고도 풍부한 사상적 유산을 제공한다. 고대 유가는 이런 문화의 태반위에서 다양한 양분을 흡수하고 새롭게 발전시켜 새로운 의미체계를 만들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런 연속성의 문화 특징은 自然과 人文은 斷裂하지 않는 하나의 연속체이고, 自然的 連續性이 人文的 연속성으로 자연스럽게 전환한 것을 의미한다. 이런 유학의 몇 가지 중요한 연속성의 유형들과 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유가들은 우주의 整體的인 모습을 氣의 流行인 生命力으로 표현하고, 우주의 모든 만물은 연속적, 動態的, 상호 의존적인 상태에 있음을 말한다. 氣를 ‘生命力’으로 보고 陰陽이라는 氣의 相反相成이라는 운동과정을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자료인 氣는 순수한 정신도 아니고 또한 단일한 물질도 아닌, 단순한 물질이 아니고 정신성을 충만하게 가지고 있는 일종의 生命力이다. 이런 이유에서 氣의 학설은 순수 자연적인, 無價値的인 세계를 창조해 내지 못하는 것이다. 유학의 인문적 연속성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부분이 바로 도덕과 정치의 연속성이고 이것이 유가의 철학적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이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는 곳이 바로 유가철학의 理念에 해당하는 內聖外王이다. 전통 유가가 강조하는 內聖外王은 지나치게 도덕과 정치의 연속이라는 구조 속에서 도덕의 優越性을 강조하는 道德的 理想主義的 관점이라는 한계를 보여준다. 공자는 ...

      • KCI등재

        연속과 불연속 : 5・16 쿠데타와 헌법적 단층

        조동은(JOH, DONG EUN) 한국헌법학회 2021 憲法學硏究 Vol.27 No.3

        헌법재판소는 유신헌법 제53조의 긴급조치에 대한 위헌심사형 헌법소원 사건에서 “현행헌법은 전문에서 ‘1948. 7. 12.에 제정되고 8차에 걸쳐 개정된 헌법을 이제 국회의 의결을 거쳐 국민투표에 의하여 개정한다.’라고 하여, 제헌헌법 이래 현행헌법에 이르기까지 헌법의 동일성과 연속성을 선언하고 있으므로 헌법으로서의 규범적 효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오로지 현행헌법뿐이라고 할 것이다”라고 판시한 바 있다. 그러나 여기서 헌법의 동일성과 연속성이 뜻하는 바는 무엇이며 어떤 기준에 의해 판별할 수 있는지, 헌법의 동일성과 연속성은 헌법을 정점으로 하는 법체계, 나아가 그 법체계가 속하는 국가의 동일성・연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에 관한 문제들은 해명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본고는 5・16 쿠데타라는 헌정사적 사례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시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는바,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5・16 쿠데타를 전후로 한 두 헌법 즉 1960년 헌법과 1962년 헌법은 실체적 차원에서 많은 연속성을 가지고 있었을지라도 후자가 전자로 이어지는 법적 도출의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절차적・형식적 차원의 연속성을 결하고 있었다. 1962년 헌법은 그 성립근거를 1960년 헌법에 두고 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1962년 헌법 중 1960년 헌법부터 효력을 지속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규정은 없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즉, 양자 사이에는 어떤 헌법적 단층이 자리하고 있다. 둘째, 헌법적 단층이 헌법을 정점으로 하는 법체계의 연속과 불연속이라는 차원에서 어떠한 파급효과를 낳는지에 대해서는 이론적 관점에 따라 상이한 평가가 가능하다. 법외적 규범들의 변화도 법체계의 동일성과 연속성에 유의미한 귀결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보는 라즈・피니스의 입장에서는 그러한 단층의 존재만으로 전후 법체계의 동일성과 연속성을 확정적으로 판별하기 어려웠다. 반면, 법적 도출관계의 유무라는 기준을 중심으로 법체계의 동일성과 연속성을 판별하는 켈젠의 관점에서는 헌법적 단층을 전후한 양 법체계가 다른 법체계를 구성하게 될 것이었고, 그 연장선상에서 국가의 동일성과 연속성이 유지되는지의 문제도 제기될 여지가 있게 될 것이었다. 셋째, 헌법적 단층이 국가 차원의 동일성과 연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는, 적어도 일반적인 국제법적 견해에 따르면 국가승인 문제가 새롭게 제기될 정도로 국가의 연속성을 깨뜨린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이는 당시 5・16 쿠데타 국면의 헌법적 단층이 초래한 가장 예민한 문제로 취급되었다. 우여곡절을 거쳐 1962년 헌법이 헌법적 단층의 현존에도 불구하고 기존 헌법의 ‘개정’ 헌법임을 표방한 것은 - 이는 현행 헌법 전문의 태도로까지 이어진다 - 이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헌법재판소 결정의 “헌법의 동일성과 연속성”이 뜻하는 바와 그 효과에 대한 온전한 인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유구한 헌법적 연속성 못지 않게 헌정사 곳곳에 자리하고 있는 단층들도 시야에 둘 필요가 있음을 환기하고자 한다. 본고는 연속과 불연속의 상이한 차원을 나누어 고려하는 것이 헌정사적 고찰에서 유용할 수 있음을 5・16 쿠데타 전후 법적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이고자 시도하였다.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uled in the Case on Emergency Decrees under Yushin Constitution(2010Hun-ba132, March 21, 2013) that “as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states that it has been ‘ordained and established on the Twelfth Day of July anno Domini Nineteen hundred and forty-eight, and amended eight times subsequently’ and thereby declares its identity and continuity. It follows that the only Constitution with valid normativity is the current one in force.” But questions regarding what is meant here by conceptions such as identity and continuity of the constitution and how can they be assessed, what impact does identity and continuity of a constitution has on identity and continuity of legal systems or even on those of statehood remains to be clarified. This study sets out to explore these questions by examining a rather specific case in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 the Coup of May 16th.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Constitutions before and after the Coup has substantial continuity in many respects, they lack formal and procedural continuity in that 1962 Constitution was not generated by an authorized procedure of the former Constitution. Instead, it was adopted by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and ratified by a popular referendum. A constitutional fault-line can be identified here. Second, the implications of this fault-line on the continuity of the legal system can be ass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oretical orientations. I have tried to show that while Joseph Raz or John Finnis would find it rather difficult to draw a clear line of continuity or discontinuity depending only on the criteria of constitutional fault-line, Hans Kelsen would probably see a discontinuity of legal systems before and after the Coup since a new Constitution came into being without any authorization of the former legal system. Moreover, adhering to Kelsen’s view could lead to questioning the continuity of the Korean State, which did actually take place during the early debates over the new Constitution. Third, although this concern regarding the continuity of the state was widespread at the time, it was unlikely that the above mentioned legal constellations would constitute a discontinuity of statehood according to the dominant doctrines of international law. Regardless, it was conceived as the most sensitive issue apropos the constitutional fault-line caused by the Coup. The Fact that 1962 Constitution proclaimed itself the amendment of the former Constitution - the aforementioned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an important consequence of this self-proclamation - indicated a conscious effort to deal with this problem. In order to appreciate ‘the identity and continuity of the Constitution’, as formulat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t is crucial to take into account not only the substantial continuities of the Constitution over time but also the constitutional fault-lines subsisting here and there in the fields of constitutional history. Focusing on legal analysis of the Coup of May 16th, this study suggests that differentiating the levels of continuity - constitutional norms, legal systems and statehood - could contribute to this endeavor.

      • 비즈니스연속성 관리시스템(BCMS) 중 업무영향분석(BIA)에 대한 연구

        장지웅 한국재난정보학회 2020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1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연속성 관리시스템(BCMS)을 도입하고 구축하기 위해서는 그 핵심적인 요소가 업무영향분석 (BIA), 리스크 평가(RA), 사업연속전략(BCS)이다. 사업연속성확보계획(BCP)은 사업 중단의 원인이 되는 여러 가지 리스크 를 상정하여 이들을 미연에 회피, 경감, 보호, 완화를 통해 재난발생(또는 업무중단사고) 시에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는 방침이 나 행동수준을 규정한 것으로 전사차원의 경영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또는 조직)의 비즈니스연속성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요한 세 가지 요소 중 특히 업무영향분석에 대해 중점을 두어 연구하고자 한다. 업무영향분석 (Business Impact Analysis)은 조직의 업무(또는 사업)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업무중단의 영향을 분석하 여 핵심업무를 파악하고, 복구목표시간, 복구우선순위, 복구에 필요한 자원, 필요인력 등을 산정하여 비즈니스연속성 관리시 스템 구축에 활용한다. 그리고 제품 서비스의 중단사태가 발생한 경우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평가하기 위한 절차이다.

      • KCI등재후보

        공간디자인에서 색채 대비에 의한 시지각적 연속성에 관한 연구

        이영주,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2

        The development of culture caused the development of complex space. According to the change, there is a high need to plan space systematically. The study is unfolded by concentrating on the visual perceptive continuity that may give an effect to experiencer's space perception and direction. Especially, the researcher tried to access color contrast as a factor to induce experiencer's behavior and psychological chan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xpression method and possibility of visual perceptive continuity in space by analyzing cases through expression skill of visual perceptive continuity and color analysis using NSC colorimetric system. For the purpose, case study was performed by focusing on color contra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rightness contrast gave the most outstanding effect to space display with regard to visual perceptive continuity and color contrast and complementary contrast reacted to mouvement most greatly.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lor gives a very important effect to visual perceptive continuity in space and it also gives an effect to experiencer's behavior and psychological change. 문화의 발달은 복합적인 공간의 발전을 가져왔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체계적인 공간계획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체험자의 공간지각과 진로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지각적 연속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체험자의 행위와 심리적 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는 요소로서 색채대비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지각적 연속성의 표현기법과 NSC 표색계를 이용한 색채분석을 통해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공간에서의 시지각적 연속성의 표현방법과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색채대비를 중심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명도대비가 시지각적 연속성과 관련하여 공간연출에 가장 두드러지게 영향을 주었으며 색상대비와 보색대비는 동세에 가장 크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공간에서 시지각적 연속성에 색채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판명되었으며, 공간에서의 체험자의 행위와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인도불교에서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 * -불타, 부파불교 , 용수의 중도설을 중심으로

        남수영(Nam, Sooyoung)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0 No.-

        논자는 본 연구에서 불타, 부파불교, 그리고 용수의 중도설을 비교하여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용수의 부파불교 법유론 비판 동기를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이라는 측면에서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연구에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타는 중도를 고락중도, 유무중도, 일이중도, 단상중도 등의 의미로 사용하였지만, 부파불교의 논사들은 불타의 중도설을 고락중도와 단상중도를 중심으로 이해하였다. 불타, 부파불교, 그리고 용수의 중도설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부파불교의 법유론은 불타가 설했던 유무중도와 단상중도의 단절과 불연속성을 함축한 다. 그러나 용수의 중관사상은 불타가 설했던 유무중도 및 일이중도와 단상중도의 복원과 연속성을 함축한다. 용수는 그 밖에도 부파불교의 법유론이 불타의 중도설만이 아니라, 사성제, 연기, 삼법인 등과 같은 불타의 근본 가르침과 세간의 도덕 관습들을 모두 올바르게 설명할 수 없으며, 오직 일체법이 연기이고, 무자성, 공, 가명, 중도임을 승인할 때에만 비로소 불타의 근본 가르침과 세간의 도덕 관습이 모두 올바르게 성립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로부터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용수의 부파불교 법유론 비판 동기를 새로운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요컨대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부파불교 법유론에 대한 용수의 비판 동기는 불타의 중도설 복원을 통한 불타의 근본 가르침 및 세간적 도덕 관습의 복원이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both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from standpoint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Middle Way conception. In order to catch out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this study compared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in Early Buddhism with that of Schola Buddhism and of Nagarjuna. In Early Buddhism, the Middle Way was generally used in four conceptions; the Pain-Pleasure Middle Way,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the Sameness-Difference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But the scholars of Schola Buddhism understood the Middle Way of the Buddha through two conceptions of the Pain-Pleasure Middle Way and the Eternity- Extinction Middle Way. When we compared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in Early Buddhism with that of Schola Buddhism and of Nagarjuna, we can know that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implies the cutting and discontinuity of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of the Early Buddhism, but Nagarjuna’s Madhyamika Philosophy implies the restoration and continuity of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the Sameness-Difference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of Early Buddhism. Nagarjuna proved that only when we admit that all things are the Middle Way,the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and the moral customs of people can be correctly established. From this, we can understand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from a new perspective. In short,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were the restoration of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and moral customs of people through the restoration of Middle Way theory.

      • 지진 및 지진해일 대비 중앙행정기관 업무연속성관리 프레임워크 개발

        윤준영,민금영,정덕훈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지진 및 지진해일로 인한 중앙행정기관의 기능 정지에 대비하여 연속성 관리를 통해 국가와 재난관리책임기관의 회복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지진 및 지진해일 시 연속성관리 프레임워크 구축을 위하여 ISO 22301을 기반으로 하여 국내ㆍ외 업무연속성 구축 현황을 조사하고, 중앙행정기관인 소방방재청의 중앙재난안전 대책본부 업무 분석을 통하여 업무연속성을 구축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도출한다. 미국과 일본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지진 및 지진해일 발생 시 발생하는 대응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업무연속성관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중앙행정기관에 적용가능할 수 있도록 필요 요구사항 등을 정의하여 프레임워크를 도출한다. 중앙행정기관의 업무연속성관리 프레임워크는 기업의 BCM(BCP)와 기능연속성(COOP)을 비교 분석하여 도출하며, 대한민국의 현황을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업무영향분석(BIA), 위험평가(RA), 복구목표시간 등을 도출할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하며, 업무연속성관리 전략 및 계획, 교육 및 훈련, 개선을 쉽고,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구축하며, 중앙행정기관에 대한 지진 및 지진해일대비 업무연속성관리 정책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칼뱅, 축자영감설의 창시자인가?

        양신혜(Shinhye Ya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3

        칼뱅과 칼뱅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문제는 칼뱅주의자들의 정체성에 관한 것으로 여전히 큰 의미가 있다. 한국의 칼뱅주의는 칼뱅과 17세기 후기개혁정통주의를 계승한 것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신학은 축자영감설에 근거한 성서 이해를 그 특징으로 삼고 있다. 또한 성서 이해는 장로교단의 분열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축자영감설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칼뱅과 칼뱅주의의 연속성이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최근 칼뱅의 성서 영감 연구를 세 부류, ‘축자영감설’, ‘사상영감설’그리고‘인격적영감설’로 나누어 각각의 이론적 토대를 살펴봄으로써 해석학적 거리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성을 드러내고 그 다양성이 지닌 시대의 물음에 대한 대답으로써, 신학의 의미를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칼뱅의 영감 이해에 관한 논쟁에서 제기된 다음의 쟁점들을 중심으로 칼뱅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추적하였다. 칼뱅의 영감을 축자영감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학자들이 내세운 논증들로 (1) 특별계시이자 성서의 신적 본질로서‘독트리나’(doctrina)에 대한 이해 (2) 성서의 신적 본질을 담보하기 위한 논증의 근거로‘받아쓰기’(dictare)와 (3) 하나님의‘전능성’, 마지막으로 (4) 하나님의 말씀과 성서의 본질적인 일치를 찾아냄으로써, 하나님 이해를 칼뱅의 원본을 통해서 그 불연속성관계를 분명하게 드러내어 칼뱅 이후에 형성된 축자영감을 새롭게 이해하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ubject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Calvinists”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the Calvinist. It is defined that the Calvinists in Korea have followed Calvin and post-reformedorthodoxy of the 17th century and their theology is characterized by the verbal inspiration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ible. Because this had the large effect on the separ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this study aims to give the investigation into what way different Calvinists’ understanding of the inspiration is related to that of Calvin’s. I classified the various interpretations in recent research into three groups, the verbal inspir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spiration that is how only the Holy Spirit inspires the content of the Bible related to the salvation of Jesus Christ and personal inspiration. Then, I examined the theological basis of the verbal inspiration and showed, how Calvinists got into the following argument: (1) the term of doctrina as divine essence of the scripture and as specific revelation, (2) arguments over the verb dictare and (3) the omnipotence of God for the basis of inerrancy of the scripture, (4) correspondence between the term the ‘Word of God’and the ‘scripture’. Finally, I showed distinctively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Calvinist by Calvin’s text and I tried to understand again the meaning of verbal inspiration.

      • KCI등재

        창세기 5장 1-3절의 한글 번역과 기능에 관한 고찰

        하계상 한국구약학회 2015 구약논단 Vol.21 No.4

        창세기 5:1-3은 대부분, 본질적으로 창세기 1:26-28의 반향(反響, echo)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것처럼, 한글 성경 역본들은 창세기 5:1-3을 미흡하게 번역해 놓았거나 그 번역에 일관성이 없다. 따라서 한글 성경 역본들에서 창세기 5:1-3의 번역을 바람직하게 고치고 그 번역에 일관성을 부여하며, 그 과정에서 창세기 1:26상, 27에 대한 한글 성경 역본들의 번역에도 부분적인 수정을 가하는 것이 본 논문의 첫째 목표이다. 따라서 논자는 BHS의 히브리 본문에 비추어 특히 히브리어 명사 첼렘(~l,c,., “형상, image”)과 더무트(tWmדְּ, “모양, likeness”), 히브리어 전치사 버(בְּ, “in”)와 커(כְּ, “after, according to”), 그리고 히브리어 동사 아싸(hf'[', “만들다, make”)와 바라(ar'B', “창조하다, create”)에 대한 번역과 그 번역의 일관성 여부에 주목하면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그리고 창세기 1:26상, 27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고려하면서 창세기 5:1-3의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둘째 목표이다. 본 연구는 이 두 목표를 염두에 두고 공시적/문학적 관점에서 창세기 1:26상, 27과 5:1-3의 최종 형태의 본문을 가지고 진행하며, 그 본문들에 대한 상세한 주석은 그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 연구의 결과로 ~l,c,.과 tWmדְּ, בְּ와 כְּ, 그리고 hf'['와 ar'B'의 번역들 및 그 번역들의 일관성, 그리고 그것들이 이루고 있는 평행대구 및 교차대구의 문학적인 관점을 고찰함으로써 여섯 한글 성경 역본들의 창세기 1:26상, 27과 5:1-3에 있는 여덟 종류의 미흡한 번역들이 지적되었다. 창세기 5:1-3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본문이 창세기 1:26상, 27과 갖는 밀접한 관련성 및 그 관련성의 본질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들은 ~l,c,.과 tWmדְּ, 그 단어들과 결합되어 있는 בְּ와 כְּ, 그리고 hf'['와 ar'B'가 이루고 있는 절묘한 구조들에 확연히 나타나 있다. 그런데 창세기 1:26상, 27과 5:1, 3에서 ~l,c,.과 tWmדְּ이 만드는 교차대구는, 창세기 5:1, 3이 창세기 1:26상, 27과 연속성 및 불연속성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불연속성은 아담의 범죄로 말미암아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거의 잃어버렸다는 것이고, 연속성은 하나님의 형상이 인간에게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이다. 그 불연속성의 근거는 무엇보다도 창세기 5:3과 그 후에 이어서 전개되는 창세기 5장의 내용 자체이다. 하나님이 사람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신 것뿐만 아니라 그들을 축복하신 것은 창세기 5장의 주제가 근본적으로 생식/번식을 지향하고 있음을 지적하는데, “그들의 이름”을 아담이라고 부른 것(5:2)은 “자기 모양 곧 자기 형상과 같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고 하”는 아담의 역할을 함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담의 바로 이 생식과 작명의 행위는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 그분 자신의 모양으로 사람을 만드시고 그들의 이름을 아담이라고 부르셨던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5:1b-2). 그러나 이 연속성에도 불구하고 불연속성도 나타나는 곳이 바로 여기 창세기 5:3인데, 그것은 창세기 5:1중-2이 교차대구적 상응을 그 시작과 끝에서 함으로써 독립적인 단락의 경계를 정하는 듯이 보이는 것에 이미 암시된 사실이다. 그 불연속성은, 창세기 5:3에서 언급되는 “셋”이라는 이름이 가인에 의한 아벨의 죽음과 관련하여 작명되었기에(4:25) 죽음을 암시하는 바, 아담의 범죄의 결과로 초래된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 Genesis 5:1-3 is, for the most part, essentially an echo of Genesis 1:26-28. As if never percieving it, however, the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undesirably render Genesis 5:1-3, and there is no consistency in the translations. So this paper first aims to correct the undesirable renderings in the Korean versions, to give consistency to the translations, and also to correct the renderings of Genesis 1:26a, 27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n light of the Hebrew text in the BHS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I proceeded with this study specifically by paying attention to the translation of ~l,c,. (“image”) and tWmדְּ (“likeness”), בְּ (“in”) and כְּ (“after, according to”), and hf'[' (“make”) and ar'B' (“create”), and also to the consistency of their respective translations.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perceive the function of Genesis 5:1-3 in consideration of its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with Genesis 1:26a, 27. I proceeded with this research from a synchronic/literary perspective, with Genesis 1:26a, 27 and 5:1-3 as the texts in their final form, and a detailed exegesis of the texts was excluded.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 pointed out up to eight kinds of unsatisfactory renderings in Genesis 1:26a, 27 and 5:1-3 occurring in six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which are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l,c,. and tWmדְּ, בְּ and כְּ, and hf'[' and ar'B', to the consistency in translations, and to the literary aspects of parallelism and chiasm. A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Genesis 5:1-3, both perceiving its close relationship with Genesis 1:26a, 27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are needed, as is clearly shown in the exquisite structures made by ~l,c,. and tWmדְּ, by בְּ and כְּ coupled with ~l,c,. and tWmדְּ, and by hf'[' and ar'B'. The chiastic structure that ~l,c,. and tWmדְּ in Genesis 1:26a, 27 and 5:1, 3 make, however, hints at the latter’s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with the former. The discontinuity is that the image of God is almost lost through the Fall, and the continuity is that the trace of the image still remains in humans, and the basis for the discontinuity lies in Genesis 5:3 and the following verses of Genesis 5. Not only God’s creating mankind male and female, but also His blessing them, points to the basic theme of Genesis 5 as procreation, because the calling of Adam as “their name” (5:2) connotes the role of Adam to beget “in his likeness, according to his image” and to call “his name Seth” (5:3). Adam’s activities of procreation and naming are in the same vein with God’s activities of making mankind “in the likeness of God” when He created them (5:1b-2). In spite of this continuity, discontinuity also appears in Genesis 5:3, which is already hinted at in that Genesis 5:1b-2 seems to delimit itself as an independent pericope by the chiastic correspondence of its beginning to its end. As the name “Seth” itself in Genesis 5:3 hints at death because of his being named in relation to Abel’s death by Cain, the discontinuity is the ‘death of mankind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s the consequence of Adam’s Fall. The discontinuity begins to be made clear in the record of Genesis 5 that “Adam ... died” (5:4-5) and is made very clear in the death of his son Seth (5:8) and of all his succeeding descendants. Last but not least is the significance of Genesis 5, which is revealed in the following broader context of Genesis—more specifically in the structural and thematic correspondence of the Genesis record of Noah with that of Abraham, and the similarity of Genesis 5:32 to 11:26. Just as Noah is the remnant (7:23b) who opens the history of the ‘New World,’ having come from the corrupt ‘Old World,’ so Abraham is the remnant who opens the history of the new people Israel (cf. 12:1-5), having come from the rebellious nations. Especially Genesis 5:32 which ...

      • KCI등재

        성경의 권위에 대한 베자의 이해 -칼빈과 베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관계에서-

        양신혜 ( Shinhe Y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7 No.-

        17세기에 등장한 회의주의는 종교개혁의 논제인 성경의 권위에 대한 의심을 낳았다. 이로써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의 신적 권위에 대한 논증이 이 시기에 논의의 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베자의 인식론 이해의 주요 주제로서 칼빈과 그 이후의 정통주의자들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판단하는 주요 기제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베자의 성경의 신적 권위에 대한 논증을 주제로 삼아, 칼빈과 그 뒤를 잇는 정통주의자들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칼빈의 초안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프랑스 개혁교회의 『프랑스신앙고백서』(1559)를 비교 분석하였다. 『프랑스 신앙고백서』는 베자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이루어진 신앙고백서로서 칼빈과 베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판단하는 주요 문서이기 때문이다 둘째, 베자의 교리문답서인 『기독교교리에 대한 질문과 답변』(1570)에서 그가 어떻게 성경의 신적 권위를 논증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베자는 정경으로서의 성경의 권위, 기록된 말씀으로서의 권위 그리고 성경의 신적 권위를 나타내는 객관적 표식을 강조하여 성경의 신적 권위를 나타내고 있음을 밝혔다. 베자는 성경의 신적 권위를 담보하기 위하여, 하나님과 필경사로서 선지자와의 인격적 관계를 강조하는 칼빈의 방법을 넘어서, 성경의 신적 본질을 증명하는 객관적 증거와 정경으로서의 권위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발전시켰다. 하지만, 이는 칼빈과 베자의 불연속성을 논증하는 근거가 아니라 오히려 당시의 이성과 믿음을 분리하려는 시대적 정황에 대한 교회의 답변으로, 성경의 권위를 의심하는 시대에 대항하여 성경의 신적 권위를 논증한 것이다. 그러므로 베자는 칼빈과의 동일한 논지에서 성경의 권위를 유지하여 칼빈과 연속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The skepticism in the 17<sup>th</sup> century gave birth to doubts about the authority of the Bible which was the foundation of the Reformation. Thus,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as the Word of God became the subject matter for discussion in the 17<sup>th</sup> century. How to prove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was a main theme of Beza’s epistemology and, at the same time, a litmus test to determin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his later orthodox followers.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question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those orthodox theologians who owed debts to him, centering on Beza’s argument for biblical divine authority. To solve this question, I firstly looked into the French Reformed Church’s “The French Confession(1559)” which originated from Calvin’s preliminary theological draft. “The French Confession(1559)” was a revision of Calvin’s first draft by Beza and his co-workers. Some scholars even claim that Beza was its main revisionist. Since “the Confession (1559)” is closely related to Calvin and Beza, it is appropriate to investigate it to judg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Beza. Secondly, I examined how Beza demonstrated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in his “A Little Book of Christian Questions and Responses(1570).” I have found out that in that book Beza defended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by means of highlighting three points, that is, the authority of Scripture as a canon, its authority as a written Word, and the objective signs that support the divine authority of Scripture. I also pointed out that while Calvin elevated the divine authority of Scripture by emphasizing God’s personal,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prophets as a secretary, in addition to that argument, Beza highlighted all the more Scripture’s divine nature and its authority as a canon. However, such additions on the part of Beza is not an evidence for the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Beza, rather a response of the Church to the contemporary context where reason and faith are drifting apart. I argue that Beza’s theological shift was an desperate attempt to demonstrate the divine authority in times when the authority of the Bible was being challenged and doubted. Therefore, I conclude that Beza maintained the authority of the Bible as much as Calvin did on the same theological ground and Beza has continuity with Calvin on this matter.

      • KCI등재후보

        연속성관리 구축 프레임워크 모색에 관한 연구

        고재철(Jae chul Ko),나성진(Sung jin Na),정종수(Chong soo Cheung) 한국방재안전학회 2016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9 No.1

        현재 연속성관리체계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BCM(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또는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을 기반으로 한 금융분야의 모범규준 및 구축사례는 많이 있었으나, 민간의 시설관리 분야 및 공공기관의 국가기반체계에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표준화된 연속성관리체계 구축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연속성관리 프레임워크의 비교와 시설관리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연속성관리 구성요소의 검토를 통해 민간시설관리 분야 및 공공기관에 적합한 시설관리 분야의 연속성관리체계 구축 프레임워크를 모색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Until now, there were many BCMS case studies in financial sector based on best practices in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However, the research on the standardized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framework that practically appli-cable to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based national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management are relatively scar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search to seek the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framework suitable for the private or public sector-based facility management through the comparison review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frameworks and the reviews of continuity management compone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private or public sector-based facil-ity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