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장원석(Won Suk Jang),신도형(Do Hyoung Shin) 한국방재안전학회 2009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2 No.2

        건설공사의 대형화, 고층화에 따라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국제노동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60,000건의 건설 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산업재해의 17%에 해당하고 있다. 건설재해 발생 유형을 살펴보면 충돌과 추락사고가 전체 건설재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건설근로자와 위험 대상체간의 안전거리를 예측함으로써 추락 및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무선신호 강도와 노이즈 계수를 분석함으로써 안전거리를 예측하고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건설근로자의 안전거리를 추적하고 경보음을 통한 안전관리 및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법 을 제시하였다. High incident of accidents in construction jobsite became a social problem.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more than 60,000 fatal accidents occur each year in construction workplace worldwide. This number of accidents accounts for about 17 percent of all fatal workplace accidents. Especially, accidents from struck-by and falls comprise of over 60 percent of construction fatalities. This paper introduces a prototype of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ex (RSSI)-based safety monitoring to mitigate the potential accidents caused by falls and struck-by. Correlation between signal strength and noise index is examined to create the distance profile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roughout the distributed sensor nodes attached on potential hazardous objects, the proposed prototype envisions that construction workers with a tracker-tag can identify and monitor their current working environment in construction workplace, and earl y warning system can reduce the incidents of fatal accident in construction job site.

      • KCI등재후보

        안전기준 분류에 따른 효과적 안전관리

        이현우(HyunWoo Lee),이영재(YoungJai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3

        본 연구는 다양한 안전사고와 관련된 법령들 간의 적용되고 있는 많은 안전기준을 분석하고 검토하여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게 안전관리를 체계화하는 것이다. 안전관리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안전기준체계를 일본, 미국, 독일 3개 국가 의 기준체계를 살펴보고 안전관리(KOSAM) 개체관계도를 도출하였다. 개체관계도는 안전기준범위, 안전관리법령, 안전관리기준, 안전관리대상, 안전사고원인, 안전사고요인, 안전관리조직 개체들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각 개체들의 코드를 부여하였고 끝으로 개체관계도들 토대로 KOSAM 안전관리 조건검색화면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안전기준 DB구축 및 안전관리 시스템개발 수행을 통해 안전기준 관리 및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atize safety management for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analysis and review of several safety standards currently in force among the statutes and rules regarding various safety accidents. Accordingly, the safety standard systems of Japan, US, and Germany were examined and a KOSAM entity relationship diagram (ERD) was drawn based on the ontology system. The ERD consists of the safety standard scope, safety management statute, safety management standard, safety management subjects, causes of safety accidents, and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 entities. Next, each entity was assigned a code and finally a KOSAM safety management condition search screen was designed based on the ER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ring an overall improvement in safety standard management and operation through safety standard DB construction and the execu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재난관리표준을 위한 국가재난 및 안전관리 국가통계분석 및 통합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박덕근(Dug keun Park),오정림(Jeong rim Oh) 한국방재안전학회 2009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2 No.2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는 소방방재청과 부처 간 통계중복 및 연계성 부족으로 정책수립시 어려움이 초래되고 있으며, 통계인프라가 빈약하여 과학적 재난관리를 위한 통계관리 및 개발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분류체계를 통합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통계체제 정립 안을 도출하고 통계지표의 개선 및 신규지표를 개발하며,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통합 구축방안 마련에 있다. 또한 유관기관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활용을 위한 법·제도정비, 방재센서스 실시방안, 통계 인프라 확충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정비를 통한 과학적 재난관리 정책수립의 환경을 조성하고 부처별, 재난 유형별 분산관리에서 통합형 통계관리로의 개선 및 공동 활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재난유형별 국제비교가 가능한 통계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atistics of disaster and safety control which have been produced by NEMA(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other related agencies have some problems which show redundancies and the lack of connections. These problems can result in disbelief of disaster-management related policies and cause uncertainties on standardization. One of the main problems is caused by the lack of an integrated system that can coordinate available statistical resources.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propose possible ways for the rearrangement of statistics categories, the improvement of statistics indicators and the integration of statistics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the integrated system for an efficient production of disaster and safety-related statistics,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more accredited disaster-management policies based on the scientific statistics and international standard.

      • 대학 실험·실습실 안전문화 형성 방안 연구

        이병호,김재영,오지연,이영재 한국방재안전학회 2016 한국방재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최근, 대학 실험·실습 활동 참여와 이공계 분야에 대한 지원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충분한 안전시설을 갖추지 못한 연구실험실에서 안전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각종 유해·위험물질을 다루며 실험활동에 종사하고 있다. ‘14년도 미래창조과학부의 연구실 사고 원인 분석에 따르면, 사고의 76.5%가 인적오류(불안전한 행동, 관리적 원인)에 의해 발생했다고 한다. 사고원인의 대부분이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수칙 미준수, 위험물 취급부주의, 보호구 미사용 등이라고 조사되었다. 대학 실험실이 보유하고 있는 근원적인 위험은 새롭게 사용되는 연구방법의 안전성이 사전에 검증되지 못했기 때문에 실험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일상적으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결국 학생들의 안전이 확보되기 위해서는 실험실 내 일상생활에 안전문화가 정착되어 있어야만 가능해 진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실험실 종사자들의 안전에 대한 현재 의식수준, 사고유형, 안전 리더십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험실 책임자, 실험실 종사자, 안전환경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1) . 본 설문조사에는 실험실 안전문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설문문항을 설문에 포함시켰을 뿐만 아니라 가설 검증을 위한 문항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보통 사람들이 상식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핵심 가설로 설정했는데, 가설은 “대학 실험실의 위험도가 높다고 인지하고 있는 실험실이 위험요인을 더 잘 관리할 것이다, 즉 실험실 위험도와 관리수준 간에는 정(正)의 상관관계가 존재할 것이다”로 설정했다. 이 가설에 대해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Pearson 상관계수가 -.122(SPSS 활용, 0.01 수준에서 유의함)로 나타남으로써, 위험도와 관리수준 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기각되었다. 즉위험도가 높은 실험실 보다 오히려 위험도가 낮은 실험실에서 좀 더 안전관리를 엄격하게 하는 것으로 해석할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나는 괜찮을 것이고, 나는 예외”라고 생각하는 실험실 종사자들의 “인지부조화 현상”을잘 설명해 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서 만연된 안전불감증으로 인해 실험실 내에서 다양한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실에서 발생되는 사고의 사고원인을 비인적요인과 인적요인으로 구분해서 파악했고, 응답자들에게는 복수응답을 허용했다. 응답결과 비인적 요인에는 “제자리두기/라벨링/청소의 습관화 부족(648명)”, “안전장비/보호구 결함(571명)”가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고 인적요인에는 “집중력 부족(711명)”, “실험 방법 미숙달(678명)”로 분석되었 다. 하지만 비인적요인의 2가지 역시 인프라 혹은 제도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 담당자의 관리 미숙 혹은 관리 미흡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안전사고의 많은 부분이 인적요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보았을 때, 실험실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안전관리 미흡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결과 변수”라고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설문분석결과를 좀 더 심층 분석하기 위해서 실험실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In-Depth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에 대한 연구자들의 인식현황을 심도 있게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여 실험실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안전교육 방향성과 제도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는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안전관리미흡과 사고발생 간의 연결고리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것이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라고 본다. 특히 본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것은 안전문화가 실험실에 정착되어 있지 못하며,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교육과 사전 안전조치가 필수적이며, 특히 실험실 책임자뿐만 아니라 학교경영 진의 안전리더십 확보를 위해 안전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안전문화 저변확대를 위한 지원제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실험실 안전 분야 전체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R&D driven researches at the university are looking for an originality. To gain an originality, researchers try a new method or a new material for a study. But this kind of study includes unknown risks. Because it has not been proved. As a result, Researchers could be at risk. To ensure the safety of research process, the safety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in laboratories. But according to accidents report by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ccidents i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are increased steadily. It means group efforts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survey to Lab manager, researcher, safety environment manager to study safety perception, accidents type, safety leadership. Also we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Lab managers. Based on the both results, we developed the directions for safety education and Initiatives for supporting policy. This insight could be adopted by R&D organizations included companies.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재난 탄력적 대응 위한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

        신상민(Sangmin Shin),박희경(Heekyung Park) 한국방재안전학회 2015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8 No.2

        우리나라는 현재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나 구축과정에서의 시행착오와 재난관리의 미비점들로 인해 여전히 국내 재난안전관리에 대한 우려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재난 및 안전관리에 있어서 함께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성과 레질리언스 개념을 고려하여 현재의 국가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성 및 레질리언스를 제고하기 위한 원칙들, 즉 다양성과 가외성, 상호연결성, 완속 변수/ 요소 제어, 시스템적 접근, 학습 및 피드백, 적극적 참여 등을 바탕으로 국내 통합 재난안전관리의 개선방향을 검토 및 논의 하였다. 이는 국가 통합재난안전관리 역량 및 체계를 강화하고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과 레질리언스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 및 정책, R&D를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is recently concerned due to incompletion and inadequacy in establishment of the system. In this regar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concept, which are recently considered i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o do this, the authors examined the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with representative principles to enhance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in community based on diversity and redundancy, connectivity, slow variable, systematic approach, learning and feedback, and active particip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improvements and recommendations proposed by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principles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strategies, policies, and R&D for enhancing domestic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in community.

      • KCI등재후보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생활안전지수 보정 방안 연구

        오혜수(Hyesu Oh),정종운(JongWoon Jeong),이재일(Jaeil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2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6 No.3

        본 논문은 생활안전지수 보정 방안에 대한 연구를 소개한다. 생활안전지수는 생활안전 예방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써, 개인의 일상생활 안전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개개인의 안전상태를 수시로 파악하고,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종합지수 형태로 나타낸다. 이전의 선행 연구에서는 생활안전 예방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준(항목)을 기반으로 하여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와 Likert Scale 기법을 혼용하여 개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생활안전지수를 기반으로, 개인의 특성에 따른 보정 인자를 생활안전지수에 적용하는 방안을 탐구하고자 한다. 기존의 국가 통계를 활용한 보정 인자를 개발하여 개인프로파일에 맞는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생활안전지수 개발 및 보정 방법론에 대한 응용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troduces a study on the adjustment methods of the Life Safety Index. The Life Safety Index is a service provided by the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 System. It comprehensively evaluates individuals’ levels of safety in their daily lives, continually monitors their safety status, and presents a comprehensive index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Previous studies have developed the Life Safety Index using evaluation criteria (items) for assessing life safety prevention services, incorporating both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Likert Scale techniques. In this study, we build upon this existing Life Safety Index and explore methods for applying adjustment factors based on individuals’ characteristics to enhance its accuracy and customization. We develop adjustment factors using existing national statistics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tailored to individual profil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by applying adjustment factors to the Life Safety Index,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ife safety index adjustment methodologies.

      • KCI등재후보

        재난환경변화에 대응한 인적재난 R&D중장기 로드맵 수립 기획연구

        이태식(TaeShik Lee),석금철(GeumCheol Seok),안재우(JaeWoo An),송철호(CheolHo Song),정종수(ChongSoo Cheung),이영재(YoungJae Lee),조원철(WonCheo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4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7 No.1

        본 연구는 재난환경 변화에 대응한 인적재난 R&D 중장기 로드맵 수립 기획에 관한 것으로서, 인적재난 안전기술 분야의 기술개발 투자 확대 방안 및 관련분야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격차해소를 위한 전략 제시, 인적재난안전기술개발 사업의 차세대대응기술 예측을 통한 사업 고도화, 중장기 로드맵 및 중점추진전략 도출, 중점 추진전략에 따른 주요 추진사업 및 세부추진과제 RFP 도출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성과로서, 인적재난안전기술개발 중장기 투자 확대, 미래 인적재난 발생 가능성 예측을 통한 향후 재난대응 환경 변화와 안전관리 정책관련 패러다임 예측 및 효율적 대응, 인적재난안전기술 개발 중장기 로드맵을 통해 인적재난기술의 가치향상과 미래도약 기반강화 등이 기대된다. This research has been shown the Research Plan for R&D Long-term Load-map Design in the Facility Disaster on response of the changing Disaster Environment, Showing the Strategy for the extending investment method of the technical development and related on that the advanced nation’s technical level gap is minimized in the same area, Designing for the business’ high-level, long-term load-map and the core driving strategy of the safety technology development business in the facility disaster, RFP Documentation on the core driving Business and the detailed driving Issue. This research has been resulted the three lists, trend analysis and Vision of the Technology Research Development (R&D) of the Safety Technology Area in domestic and foreign, the Responding Technology Predict and the Extended Research Strategy of the Next Generation Safety Technology in the facility Disaster, long-mid Term Road-Map of the Safety Technology in the facility Disaster, finally the Action Issue’s RFP of the Safety Technology in the facility Disaster.

      • KCI등재후보

        안전도시 모델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이준학(Joon-Hak Lee),여옥경(Okkyung Yuh) 한국방재안전학회 202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6 No.2

        코로나 19 이후 도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기관에서 도시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표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용산구는 2021년 사회안전지수 평가에서 1위로 선정되어 한국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로 선정되었으나, 2022년 이태원 참사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도시의 안전을 평가하는 지표가 담지 못하는 영역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 외 안전도시 모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모델의 차이점과 안전도시를 평가할 때 사용되는 지표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11개 안전도시 모델을 수집하고 각 평가지표를 분석한 결과, 안전도시 모델은 세계보건기구의 국제안전도시와 유엔재해경감기구의 국제안전도시와 같이 기관에서 인증을 하는 “프로그램 기반의 안전도시 모델”과, 기관별 안전 관련 평가지표의 점수에 의해서 안전도시 순위 및 등급이 결정되는 “점수기반의 안전도시 모델”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안전한 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모델이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될 때 도시 안전을 위협하는 제반 요소를 전방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안전에 대한 위협이 다양해짐을 고려해볼 때 안전도시를 평가할 때 디지털 보안, 보건 안전, 인프라 안전, 개인 안전, 환경 안전, 교통 안전, 화재 안전, 범죄 안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는 결론을 얻었다. As interest in urban safety has increased since COVID-19, various institutions have developed and used indicators that evaluate the safety city model. Yongsan-gu was ranked No. 1 in 2021 by Social Safety Index evaluation and was selected as the safest city in Korea. However, the Itaewon disaster in Yongsan-gu in 2022 caused many casualties. The study of indicators for evaluating cities’ safety was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domestic and foreign safe city models and review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model and the indicators used to evaluate safe cities. As a result of collecting 11 safe city models and analyzing each evaluation index, safe city models can be classified into program-based safe city models, such a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nternational safe community and the UN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s International Safe city. Considering the diversification of threats to safety, it is reasonable to comprehensively consider digital security, health safety, infrastructure safety, personal safety, environmental safety, traffic safety, fire safety, crime safety, life safety, suicide, and infectious diseases when evaluating safe cities as evaluation parameters.

      • KCI등재후보

        강동구사례를 중심으로 한 안전모니터링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성수(SungSoo Kim),홍현숙(HyunSook Hong),이태식(TaeShik Lee)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1

        정부부처는 지역사회 내 크고 작은 재난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사망자 및 재해자수를 경감시키고 기능적으로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정안전부의 안전모니터링시스템, 소방방재청의 재난전조정보시스템, 국토해양부의 시설위험 신고시스템, 환경부의 환경감시시스템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부분 안전 위험요소를 신고하면 이를 개선하여 줄 수 있는 다양한 민원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동구에 거주하며 방재안전관리사 마스터교육과정을 이수한 전문자원봉사자가 행정안전부 안전모니터링시스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안전모니터링활동을 2012년부터 강동구 최초로 지속적인 신고활동을 해오며 안전모니터봉사단의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강동구를 서울시 안전모니터링 표준모 델로 설정하여 강동구 및 개인 신고 및 제보활동사례의 통계자료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지역사회특성에 맞는 안전 모니터링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Government ministries operate various system dealing with filed civil appeals. There are representative systems such as Safety Monitoring System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OPAS), Disaster Premonitory Information System of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Facilities Hazard Information System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MLTM), Environmantal Monitoring System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E). The purpose managing these systems is to reduce casualties and to improve safety by preventing disasters and accidents in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 to effectively operate a safety monitoring system which fits to local situations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on filed complaint cases in Gangdong-gu as a sample region. The cases has been collected since 2012 through the voluntary safety monitoring activity of a specialist who had finished the Emergency and Safety maneger’s master course.

      • KCI등재후보

        학교 지진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재대책 개선에 관한 연구

        이병호(Byoung ho Lee),조원철(Won cheo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0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3 No.1

        학교는 지진재해시 학생 및 교직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지역주민의 대피소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방재교육과 대피소에 필요한 방재기능 및 내진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학생 및 교직원의 지진방재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도덕, 과학, 체육 등 교과과목에 지진방재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여 지도하고, 지역주민과 교직원이 학교 방재시설 및 대피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재계획과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학교시설 내진화 및 내진보강은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건축물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철골브레이스와 내진벽체 공법 중심으로 추진하되, 사회적 합의를 위해 노후시설의 개축 등 교육환경 개선사업과 병행해야 한다. 또한, 학교시설을 대피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방재시설을 갖추고 방재기능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School is a place to be done the education of Disaster Preventi on and to be established the function of Disaster Prevention and seismic performance to secure the safety of children as well as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for local communities in case of disaster. To improve the ability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for students and teachers schools have to put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on the subjects, for an example ethics, social study, science and gym and make a plan to efficiently manage school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Seismic retrofitting on school facilities have to be established with the method of construction for steel bracings and seismic shear walls choosing old architectures first which is not the design with the seismic performance considering educational environmental aspects, and reconstruction of old architectures to get the agreement of societies. Furthermore, there is great demand for the effective, efficient and systematic improvement of school facilities for the use of shelters to be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