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의 윤리 풍토와 조직 구성원 직무 결과간의 관계에 대한 교차수준 연구

        심창현(Sim, Chang Hyun),신유형(Shin, Yuhyu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1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 경영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조직의 윤리 풍토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윤리 풍토에 대한 많은 선행 연구들이 윤리 풍토가 조직 수준의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주로 개인 수준에서 측정하고 고찰해 왔다. 본 연구는 조직 수준에서의 윤리 풍토가 조직 구성원의 직무결과를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247개 기업의 5,845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위계적 선형 모형을 통해 분석된 결과는 서로 다른 윤리 풍토가 조직 구성원의 직무 결과를 차별적으로 예측함을 나타내었다. 즉, 조직의 법과 윤리중심 풍토와 지역사회 중심 풍토는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반면, 조직의 권위에 대한 복종 풍토는 구성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성 풍토는 예측과 달리 직무만족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법과 윤리 중심 풍토 및 지역사회 중심 풍토는 다른 두 유형의 풍토에 비해 구성원의 직무 결과의 보다 중요한 선행 변수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국내의 다양한 산업 및 규모의 조직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크며 기업 윤리 및 조직 풍토 연구에 대한 학문적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Wi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business ethic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growing body of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linkage between ethical climate and employee work outcomes. However, past research on ethical climate has mainly examined ethical climate at the individual level of analysis. Given that ethical climate itself is an organizational level construct, it may need to be measured and analyz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this end,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and employee work outcomes from a cross-level perspective. Drawing on ethical climate literature, we identified law and ethics climate, community-focused climate, efficiency climate, obedience-to-authority climate as four key climates that reflect the level of ethicality in an organization. We predicted that law and ethics and community-focused climates w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dividual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On the other hand, we propose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efficiency and obedience-to-authority climates and the three work outcomes. Data were collected from 5,845 employees in 247 Korean companies that were recruited via stratified sampling based on firm size, industry, and location. The four types of ethical climate were measured with employees’ perceptions of each type of climate within their organization, and their responses were aggregated to the organizational level so that they could reflect the corresponding type of organizational climate. Aggregation statistics such as rwg, ICC(1), and ICC(2) indicated sufficient within-organization agreement as well as between-organization variability in the four types of ethical climate. The result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nalysis showed that law and ethics climate and community-focused climat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employe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In contrast, efficiency climate and obedience-to-authority climate were not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Contrary to expectations, w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fficiency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aw and ethics climate and community-focused climate are more influential in predicting employees’ work outcomes than efficiency and obedience-to authority climate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have implications for both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 다행복학교를 중심으로

        엄문영(Eom, Moonyoung),길혜지(Kil, Hyeji),이재열(Lee, Jaeyeol),황정훈(Hwang, Junghun),서재영(Seo, Jae 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5

        본 연구에서는 탐색 설계라는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적 학교풍토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구성원 면담을 통해 이론적 모형을 도출하고, 부산교육종단연구 제4차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확증하였다. 그 걸과 개방적 학교풍토의 형성 요인으로 ①학교장의 리더십, ②민주적인 교육활동/학교운영, ③자발적 모임을 기반으로 협력하는 교사, ④열의가 있고 교직에 만족하는 교사 등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부산시교육청 및 부산시 중등학교들의 관련 구성원들은 학교풍토를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첫째, 학교장 리더십을 제고하기 위한 교장 자격 과정, 자격 이후 연수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활동과 학교운영에 민주적 의사결정 체제를 규칙과 제반 제도로서 명확히 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비롯한 자발적 교사모임을 다양하게 지원하고 격려하며 보장해주어야 한다. 넷째, 학교장과 교사가 모두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긍정적 교직관과 열의를 장려하는 풍토를 조성해야한다. 다섯째, 학교풍토를 측정하는 설문 문항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하여 확장하고, 유사한 설문 문항을 학생들을 통해 응답하게 하여 학교풍토가 교사뿐만 아닌, 학생들에 의해서도 측정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질적 연구 결과 인정된 다행복학교의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추후 부산교육종단연구 조사 설계에서 다행복학교 샘플 추가 또는 학교풍토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장기적 시각에서 계속적으로 관찰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 the open school climate with an exploratory mixed methods approach. A theoretical framework was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FGI, and verified by using data from the 4th year of the BELS. As a result, as factors for an open school climate are ①leadership of the principal, ②democratic educational activities/school management, ③teachers who cooperate voluntarily, ④teachers who are enthusiastic and satisfied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Research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incipal qualification course and post-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 principal"s leadership. Second, it is needed to clearly establish a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as rules for school manage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 variety of voluntary teacher meetings. Fourth,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school climate that encourages teachers" positive teaching intuition and enthusiasm. Fifth, the questionnaire that measures the school climate should be expanded in a variety of ways, and the school climate should be investigated not only for teachers but also for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구윤리 확립에 있어서 정부개입에 대한 미국 사례 분석및 한국에의 시사점

        이송호(Lee, Song-Ho),정일환(Chung, Il-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의 연구윤리 확립과정에서 정부개입의 주요 쟁점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정부개입 범위, 정부개입 방법, 정부개입의 수준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에서 발표된 관련 법령, 보고서, 언론보도 자료 등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정부개입의 범위는 정부지원 연구는 물론 민간 부문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어야 하며, 윤리뿐만 아니라 법적문제가 될 수 있는 사안에 대한 예방적 규제에 대해서도 정부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개입의 방법은 1차적인 책임을 대학 및 연구기관에 부여하는 간접적인 방식이 바람직하며, 학문분야별로 개입의 방식에 차별화를 두고, 규제와 지원의 균형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정부개입 수준은 규제와 지원의 기본틀 마련까지만 개입하고 구체적인 세부 규제와 지원은 대학과 연구기관에 맡겨야 한다. 즉 목표및 원칙 제시에만 정부가 직접 개입하고 이행 기준 설정, 윤리위반 감시, 비윤리성 판단, 제재수준 결정 등에는 간접 개입해야 한다. [결론] 한국내 연구윤리 확립은 연구의 가치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적인 장치로 볼 수 있다. 연구윤리 확립 정책으로 정부의 단기적 획일적 개입은 지양되 어야 한다. 연구윤리의 범위와 정부개입의 적정성을 결정하는 데는 국제표준과 학문분야별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자 및 연구기관의 참여를 확대해야 하며, 연구윤리 확보를 위해서는 연구자 및 연구기관의 자율적인 관리풍토의 조성에 초점을 두고 심각한 연구윤리 위반 사항에 대해서는 정부차원에서 대응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for adequate span, methods and degree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academic society in order to secure research ethics. [Methods] or this purpose, it examined an American Case in depth and suggested directions of Korean government intervention on the basis of American experience. [Results] First, the span of government intervention needs to expand beyond government-sponsored researches into private organizationsponsored and independent researches. Second, the government needs to intervene in researcher’s activities, indirectly via university and institutes and discriminately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academic disciplines. And the government intervention should maintain balance between regulations and assistances. Third, the government regulation should be confined to setting principles of regulation. The authority to set criteria of regulation, identify violations of them, and decide the kinds of sanction should be relegated to universities and institutes. The government assistance should be extended from compliance with regulation to fostering an atmosphere of ethical research, and be complementary to the efforts of universities and institutes. term and uniformed intervention.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consider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discipline, but also guarantee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and institutes.

      • KCI등재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in the Field of Ancient Korean History

        Moon Chang Rho(문창로)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8 No.-

        본고는 광복이후부터 현재까지 이룩한 한국고대사 연구의 주요성과를 살펴서 그 동향과 과제를 정리한 글이다. 광복이후에 전개된 좌ㆍ우 대립의 정국과 분단의 고착화 과정에서 일제의 식민사학을 청산하고 고대사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기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비록 소박한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1950년대에 실증적인 연구풍토가 정착되는 가운데 모색된 새로운 연구주제와 방법론은 이후 한국고대사의 주체적인 인식에 토대가 되었다. 곧 1960년대에 이루어진 연구성과는 식민 사학에 의해 왜곡된 한국고대의 역사상을 불식시켰으며, 이후 고대사분야의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연구주제를 구체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1970년대에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문제가 제기되면서 연구활동이 촉진되었고, 고대사회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다. 또한 고대의 사회구조 및 구성단위 문제와 함께, 고대국가의 지배체제가 논의되면서 삼국의 지배세력, 중앙 및 지방 통치체제의 정비, 군사조직의 운영, 민에 대한 편제방식 등을 해명하여 고대사회의 구조적인 인식이 가능하였다. 1980년대 이후 연구자의 증가, 다양한 주제와 연구내용의 심화로 고대사의 체계적 구성은 더욱 튼실해졌다. 실제로 민족의 형성문제와 함께 단군 및 고조선사와 관련된 논의가 구체화되었고, 신라와 백제사에서 축적된 연구성과는 가야와 고구려사 분야로 확장되었다. 발해 또한 귀속문제에서 점차 발해사 자체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으며, 이밖에 낙랑ㆍ대방군의 재검토, 부여사의 전개과정, 삼한의 성장과 대외관계,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과 그 축조세력을 둘러싼 논의 등으로 연구의 지평을 넓혀갔다. 1990년대로 접어들어 건국신화 및 제의, 고대 여성사와 관련된 문제, 농업생산 및 교역에 관한 접근 등도 다양한 연구주제의 모색에 일조하였다. 이와 함께 고대 동아시아의 정치적 국제질서나 문화적 교류에 대한 이해를 더하였다. 나아가 고대와 중세의 시대구분 문제, 삼국의 천도 및 도성제에 대한 접근, 불교사상사 연구의 심화, 촌락문서 및 통일신라의 토지제도에 대한 재검토, 장보고와 청해진을 중심으로 한 해상활동, 나말여초 호족의 동향과 후삼국의 성립, 필사본 「화랑세기」를 둘러싼 진위논쟁 등의 문제도 부각되었다. 한편 고고학적 성과와 새로운 금석문의 발굴은 고대사연구에 활력소가 되었는데, 실제로 백제본기의 신빙성 확인, 백제문화사의 이해증진, 삼국의 중앙정치 및 점령지 통치방식, 민의 존재양태, 고구려-신라의 대외관계, 신라의 정치ㆍ경제ㆍ제도사 정리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처럼 한국 고대사학계는 식민사학의 폐해를 극복하고 고대사의 체계화를 위해 부단히 노력한 결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연구주제의 다양한 접근, 관련자료의 발굴 등을 통해서 큰 진전이 있었다. 이는 전적으로 어려운 여건을 딛고 고대사연구의 디딤돌을 마련했던 1세대 연구자들, 그리고 이들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2ㆍ3세대 연구자들의 노력과 구체적인 성과물의 축적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 KCI등재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효능감, 교사 직무만족도 간 관계: 민주적 학교풍토에 의한 조건부 과정 분석

        국준봉,경미선,김갑성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효능감, 교사 직무만족도 간 관계에서 민주적 학교풍토의 조건부 과정(조절된 매개연구)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경기교육종단연구 9차년도(2020년) 자료이다. 해당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 v4.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학교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효과적으로 발휘할수록 교사 직무만족도가 올라간다. 둘째, 교사 효능감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도를 매개하였다. 이는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과정에서 교사 효능감을 통해 그 과정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셋째, 민주적 학교풍토는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교사 효능감의 관계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대해 유의한 조건부 직접효과를 가졌다. 즉 민주적 학교풍토는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였다. 넷째, 민주적 학교풍토는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교사 효능감→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대해 유의한 조건부 간접효과를 가졌다. 즉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 효능감을 매개하는 경로는 민주적 학교풍토의 수준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졌다. 본 연구결과에 터해 교사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사회·정치적 환경변화에 따른 정부출연(연)의 창의적 연구개발풍토 조성

        정형진,정선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4 정책연구 Vol.- No.-

        기술혁신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1) 국가적 차원에서 과학기술발전의 비전과 철학을 정립하고 국민의 생활 환경에서 기술적 요소를 고도화하는 정치 사회적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국가 발전 철학은 누가 기술개발을 책임지느냐 하는 이데올로기적 문제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어떻게 잘 해야 하느냐 하는 실천적 철학이어야 하며 그러한 국민 각자에게 부과된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도덕적 기준이 제시 되어야 할 것이다.(2) 기존의 시장수요지향적 국가연구사엽의 관리체제를 개편하여 장기적 안목과 국가적 차원에서 파악한 국가적 기술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국가 주도적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추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3) 출연(연)의 기술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출연(연)의 기술 개발과제를 획일적으로 시장수요지향적 관리체제 하에서 관리할 것이 아니라 연구자가 독창적 원전기술 개발을 소신것 능률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선택적 환경 여건과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4) 기술개발 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환경의 경쟁적응론적 조사와 분석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국가 전체 또는 기술개발 단위의 기술개발력을 측정하여 지표화하고 관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비영리조직 모금활동의 윤리적 풍토에 관한 질적연구

        윤민화,이민영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5 No.1

        비영리조직의 모금활동에 대한 조직 차원에서의 윤리적 실천이 강조됨에 따라, 본 연구는 모금활동에서의 윤리적 기준과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하여, 비영리조직의 윤리적 풍토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중․소규모의 비영리조직에서 3년 이상 모금활동 경력을 가진 실무자 12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사회의 비영리조직 모금활동은 첫째, 원칙주의에 따라 명문화된 규칙과 조직의 사명을 기반으로 법과 제도, 이사회의 결정과 같은 공식적 절차를 따르고자 하였다. 원칙에 따라 기부자의 이익을 제한하는 선택을 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이슈에 대해서는 기존 관례에 따라 결정하기도 하였다. 둘째, 공리주의에 따라 이해관계자인 수혜자와 기부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윤리적 기준을 두었다. 다만, 두 이해관계자의 욕구가 상충할 때는 사전과 사후에 조율하고자 하였다. 셋째, 이기주의에 따라 조직의 효율성을 우선시하는 윤리적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 조직의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규정을 통해, 윤리적 이슈가 발생하였을 때 조직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결정을 내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 비영리조직의 윤리풍토를 제고함과 동시에 윤리적인 모금활동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Ethical practic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for fundraising was emphasized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thical climate of nonprofit organizations by analyzing how the organizations have ethical guidelines and how they are guided by them in actual fundraising activitie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2 practitioners in large, medium and small-sized organizations. As a result, ethical climate of nonprofit fundraising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were, firstly, based on ‘principle’ of ethical criteria to follow formal procedures such as legal system and board decision, and the rules and the mission of the organization were set as ethical standards. Secondly, based on ‘benevolence’ of ethical criteria, the beneficiaries and donors as stakeholders were prioritized while the rights of the beneficiaries were protected and the donors were left to decide. Thirdly, based on ‘egoism’ of ethical criteria, the ethical standard was organizational efficiency as selfishness. The organizations prepared regulations in the line of securing the maximum amount of organizational autonomy, and to make decisions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organizational risks when issues arise. In the ethical climate of nonprofit organization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thical fundraising were suggested.

      • 삼천리 그룹 윤리경영 사례: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 내 윤리풍토형성에 미치는 영향력 고찰

        김보영 ( Boyoung Kim ) 한국윤리경영학회 2016 윤리경영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적 조직풍토를 형성하는데 있어 윤리적 리더십의 역할을 살펴보고 윤리경영을 수행하기 위한 시사점을 기업에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종합에너지 기업인 삼천리 그룹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삼천리 그룹은 신의와 화합의 정신을 핵심으로 하는 창업주의 동업 경영 원칙을 바탕으로 경영자가 윤리적 리더십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에게 강력한 역할 모델이 되어 조직구성원들이 경영활동에 있어서 윤리적 가치체계를 내재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후임 경영자가 창업주의 윤리적 리더십을 계승하여 동업자 관계를 지속하고 있는 점은 윤리적 조직풍토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이와 같은 윤리적 리더십의 존재는 윤리적 조직풍토의 마지막 단계인 윤리적 선진단계로 빠르게 진입 할 수 있게 하는 직접적인 선행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윤리경영을 수행하는 경영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ethical leadership in development of ethical organizational climate and to provide best practice of forming ethical organizational climate for managers. For case study, I analyze the case of Samchully Group, domestic located energy company. Findings indicate that Samchully group has unique ethical leader based on the close partnership with faith and harmony spirit. Two co-founders` close partnership become powerful role model for employees to internalize ethical value in their perception about company and in performing business activities. Also, succession of partnership by current co-CEOs becomes a driving force to strengthen ethical organizational climate of Samchully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critical implications to business ethics manager in that ethical leadership makes it possible for company to jump into “the ethical organization” stage in a short period which is the last stage of corporate moral development model.

      • KCI등재후보

        사회과 평화학습의 단계별 구축과 실행

        황세경(Hwang Se Kyu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4 글로벌교육연구 Vol.6 No.2

        글로벌화, 정보화 등의 급격한 사회 변화로 우리는 심각한 갈등과 대립을 경험하고 있으며 그 무엇보다 학교교육에서 나타나는 비평화적 풍토는 바로 학교의 위기이자 교육의 위기라고 할 수 있다. 지금 시대에 필요한 교육은 평화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평화능력을 함양하는 일이다. 이것을 평화교육의 관점과 매우 연관이 있는 주지교과인 사회과에서 담당하고자 하였다. 우선 사회과에서의 평화학습을 평화유지, 평화만들기, 평화구축의 3단계로 구축하고 실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식변화와 평화풍토 조성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화학습은 학생들의 평화개념을 소극적 평화에서 적극적 평화로 변화하게 하였고 갈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게 하였다. 또한 자신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을 평화적으로 인식하게 하였고 평화적인 방법인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단계별 사회과 평화학습은 자기가 생활하는 공간에 평화에 대한 생각과 평화를 만드는 능력을 함양시키며 평화풍토를 조성하게 하였다. we are experiencing serious conflicts, confrontation and drastic social change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Now the education required is to enhance the peace capability through peace education. The social studies have a very peace education perspective should take charge of this peace education. First of all, the peace learning was designed for the 3 steps including peace keeping, peace making, and peace building and then was executed. Thus, it was understood changing the peace recognition of the student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stablishment of peace climate.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social studies peace learning was effective in making the consciousness shift regarding the concept of peace, from passive peace into active peace. It enabled the students to make the change on positive consciousness on conflicts and to perceive their living space peacefully. In addition, it was effective in enabling them to solve their problems through dialogu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dural construction in social studies peace learning fostered the capability of making peace and the thought on peace in one's own living space and to establish the peace cli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