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p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적용

        이철우,박명선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연결이 강조되는 온택트 시대에 적합한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미래 문화예술교육의 방 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을 위해 디지털 디바이스 활용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내의 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4시수씩 3학급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 여한 6명의 교사(예술강사 3명, 초등교사 3명)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수업 적용 전 부터 이후까지 약 4개월 동안 수업 관찰 및 면담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교사가 디지털 디바이스 활용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접하 게 된 계기, 교육 실행 경험, 본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저해하는 현실적이고 구조적 인 제약들, 그리고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갖는 교육적 의 미 등을 살펴보았다. 이 교사들의 내러티브에 근거하여 볼 때,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은 첫째, 새로운 온택트 연결주의 시대라는 환경에서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유의미성과 학교 현장에서의 상행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둘 째, 새로운 디지털 문명을 접하고 활용하는 세대의 학생들에게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 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가진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빠르고 새롭게 변하는 교육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유용한 교육 방법이자 내용이 바로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화예술교육임을 보여준다. 하지만, 학교 교육 현장의 변화에 대한 부정적인 문화와 학교별 지원예산과 배움에 대한 문화 적 차이, 개인 역량 등 디지털 디바이스를 활용한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화예술교 육을 실제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다양한 제한점들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연결주의 학습이론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미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by interpreting the experienc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of art instructors and teachers practic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connectivism and future arts and culture educ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the meaning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experiences based on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of art instructors and teachers in charge who are practicing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n this study, after defining the basic concep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we discussed theoretically about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schools, connectivism, the era of open learning, and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And as a future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e meaning and valu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was analyzed. Next, a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o interpret the future arts and culture education experiences of art instructo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connectivis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arts and culture education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nnectivism and future arts and cultur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art instructors have formed their pride and identity as art instructors, arts and culture education experts, and artists even before working at Arte School. This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put them in the position of experts as arts and culture education experts and artists, and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at Arte School. Second, at Arte School, art instructors had a new experience of encountering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system and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and this experience led to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a new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Third, art instructors experience meeting with teachers at Arte School, learning and practicing connectivism, developing and practic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new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and experiencing connectivism learning theory-based culture as the direction of futur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 came to understand the value and meaning of art education. Since the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a new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at Arte School has been linked to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a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elsewhere. Fourth, the new narrative of teachers who practiced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rt instructors reaffirmed the value and meaning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based on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which became a driving force for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practi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xperience of development and practi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can suggest a direction as an alternative to new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nd future society. In order to expand the value and meaning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connectivism learning theory in the future, more research and professional arts instructors and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계산주의, 연결주의, 그리고 칸트의 건축술

        백승환 서양근대철학회 2024 근대철학 Vol.23 No.-

        본고는 오늘날의 철학적 화두인 인공지능 문제를 계산주의자들과 연결주의 자들이 어떻게 상반되게 다루는 것인지를 검토한 후에 칸트의 건축술적 방 법론에 기초해서 양자의 유의미한 절충을 기도한다. 첫째, 필자는 서양근대 철학사에서 완전히 반대됐던 두 입장들인 이성주의와 경험주의가 계산주의 와 연결주의가 형성하는 긴장에 드러나고 있음에 주목하여, 비판기 칸트의 사유가 이성주의와 경험주의의 절충에서 실효를 보였듯이 크게 다르지 않 게 계산주의와 연결주의의 절충에도 실효를 보일 것임을 주장한다. 둘째, 필자는 특히 양자에 공유되는 체계성과 조합성을 중심으로 삼아서 실제로 계산주의와 연결주의가 맞서는 상황을 단계별로 꼼꼼히 검토한다. 셋째, 칸 트의 비판철학적 통찰을 구현하는 방법론인 건축술이 경험의 가능성 개념 을 통해 어떻게 계산주의적 독단주의와 연결주의적 회의주의를 떨치는 길 을 열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 논설한다. 넷째, 칸트의 비판철학 체계가 끊임없이 변화를 겪는 역동적 모습에 필자는 시선을 두고서 결국 표준화된 계산주의 대 연결주의 논의에서 비판기 칸트의 사유에 의해 새겨질 의의와 한계를 음미하는 것으로 논의를 끝맺는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computationalists and connectionists convey their opposing views about today’s important philosophical topic A.I. and then to come up with a feasible compromise between them by referring to Kant’s architectonic methodology. Firstly, from the fact that rationalism and empiricism run directly counter to each other in the history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and the fact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m has been mirrored in the conflict between computationalism and connectionism, I argue that the critical Kant’s thinking would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the latter (computationalism versus connectionism) conflict, as already quit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the former (rationalism versus empiricism) conflict. Secondly, I address it concretely in a step-by-step way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systematicity’ and ‘compositionality’, both of which are shared by the two parties. Thirdly, I show how Kant’s architectonic methodology, supposed to embody his critical-philosophical insight, with its very key term the ‘possibility of experience’, can prepare the ground for overcoming the pitfalls of both computationalist dogmatism and connectionist skepticism. Fourthly, I close this paper by seeking to appraise what contributions the dynamics of Kant’s critical-philosophical system does make to the future discussion of computationalism versus connectionism.

      • KCI등재

        연결주의 학습이론에 관한 이론적 탐색과 평생학습에 주는 시사점

        박로사(Park Rosa),윤창국(Youn Changg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기술의 디지털화를 기반으로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가는 사회 체계의 변화 안에서 인간의 학습 또한 일련의 연결의 과정으로 규정되어 가고 있다는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사회의 맥락과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학습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연결주의 이론은 복잡성 이론, 사회적 구성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이론적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산 지식, 창발, 패터닝 개념을 제시하며 학습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전개해 가고 있다. 이 틀에서 데이터, 정보, 지식은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끊임없이 변화해 가기 때문에, 학습은 맥락에 적합한 연결을 이해하고 형성해 가는 일련의 연결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학습자들은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새로운 정보를 찾고 공유하며 새로운 학습의 관점에서 그들의 믿음을 수정한 다음, 그들의 새로운 이해를 공유하고 더 많은 정보를 찾기 위해 다시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연결주의 이론을 독립적인 혹은 대안적인 이론으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논의들이 존재하지만, 이 이론은 네트워크라고 하는 연결망 개념을 통해 개인, 조직, 사회로의 지식의 흐름과 사회 체계의 상황적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개념과 설명의 틀은 향후 평생학습영역에 있어 네트워크 학습 체계의 자율성, 다양성, 상호작용, 개방성 등의 특성과 이를 원칙으로 발생하는 창발적, 자기 조직적 학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적응력 높은 네트워크 학습 체계를 설계하는 데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connectivism was established as a learning theory by Siemens and Downes in 2005 to explain learning in the current technology and knowledge based society. This theory criticizes previous learning theories and raises different perspective on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connectivism and find implications to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al study and practic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 and analyze philosophical roots and critical concepts of connectivism. After that, this study examines current trends of research related with connectivism and suggests some implications. Connectivism is influenced by three main philosophical roots such as complexity theory, constructionism, and postmodernism. Based on these, connectivism raises different perspectives on truth and values from other learning theories. So, connectivism argues that the subject of learning is the network and knowledge and meaning is distributed to all over the nework, not belong to individual any more. Also, connectives suggests eight principles and some important concepts such as network, emergence, distributive knowledge and patterning in order to explain learning. Though connectivism have been criticized because of its perspective on knowledge and meaning, many studies and practices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suggestions of connectivism. From this perspective, connectivism could contribute to expand the boundary of study on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s.

      • KCI등재

        최시형 사상의 생태여성주의적 특징과 의의 - 자연과 여성의 연결 문제를 중심으로 -

        황종원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60 No.-

        이 글은 자연과 여성의 연결 문제를 중심으로 최시형의 사상에 어떤 생태여성주의적 특징과 의의가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적 혹은 영적인 생태여성주의는 자연과 여성을 연결하여, 이 둘의 가치를 함께 폄하해온 서구의 가부장제를전복시켜, 자연의 여성성과 여성적 가치의 우월함을 강조했다. 이와 유사하게 최시형도 어머니의 ‘젖’과 ‘포태’의 은유로 자연의 여성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역사적으로 희생당해온 자연과 여성을 공경할 것을 요구했다. 그렇지만 자연과 여성의 연결에 관한 최시형의 생각은 유학의 생태적 윤리를 계승하면서도, 음양론에 근거하여 자연을 위계화해 여성을 은근히 억눌러온 유교적 가부장제를 비판하였다는 점에서 반(反) 생태적인 동시에 가부장적인 서구 전통에 저항한 서구의 생태여성주의와는 그 사상적 배경이 다르다. 바로 이 차이로 인해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에 대한 여러가지 비판은 최시형의 사상에는 대부분 적용되지 못한다. 우선 서구에서 급진적 여성주의자들은 자연과 여성의 연결이 여성에 대한 모욕이라고 극언했지만, 천지를부모처럼 공경하라는 유학의 관념을 계승한 최시형에게는 자연과 여성의 연결이 결코 여성에 대한 모욕이 아니다. 다음으로 사회적 생태여성주의자들은 문화적 혹은영적인 생태여성주의가 여성의 우월성을 강조하여 남성을 적으로 돌리고, 영적인것에 대한 관심으로 사치스러운 정신주의에 빠져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최시형의 경우는 남성이 앞장서서 여성을 하늘님처럼 공경하라고 당부했고, 종교적 영성을 중시했을 뿐 아니라, 민중, 여성,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를 존중하는 사회 개혁적지향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 요컨대 최시형의 생태여성주의 사상은 영적인 생태여성주의와 사회적 생태여성주의를 아우른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시대 교수학습법으로서 연결주의 수업 사례 연구

        김미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1

        In this study, a consideration and case study on the theory of connectivism were conducted to suggest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the digital era. Presently, education is mainly conducted in an online environment Learning proceeds while an individual actively participates within a digital network in order to connect data and to generate meaning.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a theory known as “connectivism,”which may prove to be consistent and compatible with learning in the digital era. The type of learning involved in connectivism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network because it is achieved through constant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data (what is meant by “disconnection” of data? Are you sure this is the right word?), as well as with the communication taking place among the learning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connectivism program based on an examination surround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nnectionism (do you mean “connectivism”?),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and the learning stage according to the formative study method. After this, the difference in the learning effect was compared by applying 7 lectures each to the same university online course as the existing class and the connectivism class, and then collecting the questionnaires and learning outcomes.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onnectivism as a practical methodology for effective learning in the digital era was confirmed.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시대 효과적인 학습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연결주의에 대한 고찰과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제 학습은 강의실 밖의 온라인 환경에서 주로 이루어지며, 개인이 디지털 네트워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데이터를 연결하고 의미를 생성하면서 진행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시대 학습에 부합할 수 있는 이론을 연결주의로 보았다. 연결주의에서의 학습은 디지털 네트워크의 특성이 강조된 것으로 데이터의 끊임없는 연결과 단절, 그리고 학습 구성원과의 소통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 다. 교수자의 역할도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학습 적합한 데이터를 찾고 연결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고 학습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형성적 연구 방법에 따라 연결주의의 개념과 특징, 교수 학습 원리, 학습 단계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연결주의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에는 동일한 대학 온라인 강좌에 기존 수업 방식과 연결주의 기반 수업으로 각 7차시씩 적용하고 설문지와 학습 결과물을 수집하여 학습 효과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연결주의를 적용한 수업 집단에서 디지털시대 교육에서 필요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나 창의 융합적 사고력에서 유의미 한 학습 효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디지털시대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실천적 방법론으 로서 연결주의의 가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연결주의connectivisme에 입각한 하이브리드 프랑스어 수업연구

        김정란(Jeongnan KIM) 프랑스학회 2023 프랑스학연구 Vol.- No.102

        디지털 시대의 학습이론인 연결주의는 네트워크 안에서 다양한 교점 node의 연결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 새로운 학습이론을 적용한 프랑스어 문법 수업을 기획하여 그 실효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수업은 2∼3명의 학습 모둠을 구성해 연결주의 학습 단계를 참조하여 진행된다. 학습자 모둠은 인터넷을 검색하여 프랑스어 문법을 학습하고 체계화한다. 학습한 내용을 교수자가 제시한 상호작용 연습문제와 피드백을 통해 검증한 후 모둠별 활용 문제를 제작하고 LMS에 공유하여 평가받는다. 평가는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학습자가 온전한 배움의 주체가 되어 오픈 지식을 이 용해 평생 학습하는 법을 배우는 이 수업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온라인과 오프라인, 지식의 수용과 재생산이라는 다채로운 배움을 실현한다. 특히, 연결주의에서 지식이나 정보의 연결 과정과 연결 지식을 구성하는 모든 과정이 학습이므로, 학습자의 연결 능력 및 디지털 문해력 등 미래 핵심역량 강화에 주력해야 한다. Le connectivisme est une théorie novatrice où l'apprentissage se fait par la connexion de différents noeuds dans les réseaux numériques. Notre cours hybride de grammaire française applique ce concept en petits groupes de deux à trois étudiants, qui explorent des informations sur Internet pour apprendre la grammaire française, utilisant des exercices interactifs proposés par l'enseignant. Les apprenants créent leurs propres exercices soumis à évaluation sur une platefonne d'apprentissage en ligne(LMS), avec auto-évaluation et évaluation entre pairs. En tant qu'acteurs autonomes de leur apprentissage, ils développent des compétences clés telles que la capacité à se connecter, la littératie numérique, ainsi que l'acquisition et la reproduction de connaissances variées, tant analogiques que numériques. Ils sont aussi encouragés à 'apprendre à apprendre', en faisant appel à des ressources ouvertes et en combinant différents modes d'apprentissage, en ligne et en présentiel.

      • KCI등재

        체화인지 기반 통합형 인지계 모델에 관한 예비적 고찰 ― 인지계의 구조에 관한 한 연구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0 No.-

        인지과학의 중핵 과제 중 하나가 인지계의 모델을 제시하는 일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는 시도의 과정에서 인지과학은 태동 이후 계산주의 인지과학, 연결주의 인지과학, 체화주의 인지과학, 행위주의 인지과학 등을 낳았고 그리고 이 과정에서 직렬컴퓨터/논리계산주의 모델, 병렬컴퓨터/연결주의 모델, 지각-행동 및 개체-환경 연동의 체화인지모델(포섭구조 모델) 그리고 자기관계에 기반한 사이버네틱스 모델의 일종인 자가생산체계 모델 등이 제시되었다. 각 인지과학이론들은 각자 자신의 인지계 모델을 가지고 서로 각축을 벌이면서 패권다툼을 벌이고 있다. 필자의 견해로, 비록 그러한 모델들이 제반 인지현상들을 보편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제시된 것들이긴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특수 용도의 인지계를 모델링하는 과제에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러한 맥락에서라면 그것들은 서로 경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특수 용도가 아닌 범용적인 성질의 목적이라면, 헤게모니싸움보다는 상호 공존과 화합, 보완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소기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리고 범용 용도의 인지계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각 인지계 모델들을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3의 전략이 요구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사실 각 인지과학이론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들은 각기 달랐고 그리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인지계 모델들을 제시하였음은 이미 인지과학의 문제사가 내보여주고 있다. 후속하는 인지이론들은 선행하는 인지이론들이 미처 챙기지 못한 주제와 문제들을 추가로 고려하는 가운데 새로운 인지계 모델들을 제시해 왔다. 근래 들어서는 체화인지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행 체화인지만으로는 범용 용도의 인지계를 모델링할 수는 없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게다가 현행 체화인지가 그 자체 온전한 체화인지이론인지도 의문이다. 결국 현행 체화인지 자체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 필자는 여타 인지계의 구조를 다루면서도 체화인지이론을 심화시키고 있는 바렐라의 행위주의 인지과학을 끌어들여 체화인지를 심화시키되, 그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논하고 보완작업을 병행하는 가운데 체화인지이론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 하고자 한다. 그리고 다시 이 토대 위에서 여타 인지계 모델들을 추가로 장착하는 방법을 간단하게나마 언급함으로써 앞으로 범용용도의 인지계를, 원리적인 수준에서나마, 어떤 방향에서 모델링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힌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One of the core tasks of cognitive science is to clarify the question of how to build an viable architecture of cognitive system. In the course of answering to this question, some models have appeared since the advent of cognitive science. They are mainly the serial computer model of the computational approach, the parallel network model of the connectionist approach, the subsump- tion model of the embodied cognition, the autopoietic model of the enactivistic approach. Today, various models of cognitive systems are competing each other. In my opinion, when it comes to modelling of a cognitive system of special purpose but not of general purpose, they may compete against each other. But if the task is to model a cognitive system with (relative) general purpose, it might be better for them to move in the direction of mutual coexistence and harmony instead of competing against each other. That is, it is highly recommended for cognitive scientists to combine the various models of cognitive systems into an integrative cognitive system with general purpose. In fact, the factual history on the problems of cognitive science already shows that issues and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accordingly different models of cognitive system were introduced. Each descendant cognitive theories have brought even more effective solutions to the problems that the preceding theories have not yet taken into account. This is also the case for the embodied theory of cognition. Recently embodied theory of mind, which criticizes the internalist models of cognition, receives special attention among cognitive scientists. But the model of embodied cognitive science alone, in my opinion, is not enough to model a cognitive system with general purpose. That is to say, the embodied model of the cognitive system itself is not yet satisfactory as a general theory of cognition. It requires a reinforcement. For this purpose, I introduce and discuss the Varela’s autopoiesis model of enactive cognitive science critically and use the result of it for the deepening of the embodied cognitive theory. Here I propose my own model. Thereafter I present a short but principal answer to the question how to model a cognitive system of general purpose. The proposed answer tries to combine the various models of cognitive systems to a hybrid system -model on the basis of the revised model of embodied cognitive system. But this proposal is just a preliminary study that must be further scrutinized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공직사회 주요직위에 대한 연고주의 연결망 검증: 기획재정부 고위공위자에 대한 MR-QAP의 적용

        서인석,강국진 한국행정학회 2018 韓國行政學報 Vol.52 No.4

        This study analyzed the occupation network of major governmental positions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network and the actor's sympathizers. We carried out the empirical hypothesis verification study using QAP analysis, which can confirm the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synthesizing the variables of empathy affecting the main job network. First, in the case of trends, it was necessary to confirm as many variables as possible, as long as they were not confirmed in the whole model. Second, the same universit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in the major job network. Third, the variable and explanatory factor that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major job network was the academic field. We interpreted this result as meaning that when the actor and his or her sympathizers had the same academic field, the actor was more likely to be appointed to the position. The implication of this is that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has taken on the role of expertise and ability in the presence of the omission. 2) The result of the linkage analysis considering the important variables to supplement the limit of the single variable influence factor. First of all, we could confirm the similarity network of major positions when the university and academic fields were all in agreement. Second, when the hometown, university, and academic fields all agreed, we could confirm the similarity networks of major positions. Third, if all of the hometown, college, department, and course ridership fields coincided, we could confirm the similarity network of major positions. This is a low level of explanatory power, but it still implies that “synchronicity” is a very meaningful variable in explaining major job networks. The social awareness of the public sector has led to an ointment effect, even though the ointment status has improved significantly in key positions. 본 연구는 주요 공직사회에서 여전히 연고주의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주요직위의 점유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고, 이 네트워크와 행위자가 지닌 연고주의 네트워크 간의 유사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관계성을 확인할 수 있는 QAP 분석을 활용해 실증적 가설검증 연구를 수행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았다. 한 가지는 주요직위 연결망에 영향을 미치는 연고주의 변수를 종합한 결과이다. 첫째, 동향인 경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나, 모형 전체에서 확인되지 않은 만큼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둘째, 주요직위 연결망에 동일대학 역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는 변수였다. 셋째, 주요직위 연결망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는 변수이자 설명인자는 학문분야였으며, 연고주의 보다는 분야의 동일함이 직위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기획재정부의 연고주의가 존재하면서도 상당부분 전문성과 능력 부분으로 변화했다고 판단해볼 수 있는 결과이다. 다른 한 가지는 단일 변수 영향인자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중요변수를 함께 고려한 연계변수 분석결과이다. 우선, 대학-학문분야가 모두 일치할 때 주요직위의 유사성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고향-대학-학문분야가 모두 일치할 때도 주요직위의 유사성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고향-대학-학과-행시기수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역시 주요직위의 유사성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설명력이 낮기는 하지만, 여전히 주요직위 연결망을 설명하는 데 있어 ‘연고주의’는 매우 의미있는 변수임을 의미한다. 공공부문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주요 직위에서 연고주의는 상당 수준 개선되었을지라도 연고주의 효과는 존재하고 있었다.

      • KCI등재

        쓰기 과정 연구의 이론적 재검토

        김혜연 ( Hye Youn Kim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이 연구는 쓰기 과정 연구의 인지적 기반을 확장하고 적절한 적용 방향을 찾기 위한 이론적 토대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쓰기 과정 연구들의 이론적 기반을 고전적 인지주의와 연결주의, 작동주의의 세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쓰기의 인지적 과정 모형을 비롯한 일군의 대표적인 인지주의 모형들은 대체로 쓰기 과정을 상징적 인지 국면들을 단위로 체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며, 이들 사이의 유한하고 결정적인 결합 관계에 의해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경향 때문에 사회 인지주의 및 후기 과정 이론에서는 쓰기 과정 연구들 전반에 대하여 “보편적이고 고정적이며 확고한 형태로 인식하려는 경향”이라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쓰기 과정 연구들이 모두 이러한 고전적 인지주의의 관점에 의거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지적 관점들을 토대로 삼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연결주의 관점의 연구들은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징적이고 고정적인 체계 대신 지식의 처리 단위들의 연결 패턴에 관심을 두었다. 한편, 작동주의의 관점에서는, 두뇌 표상을 전제로 하지 않은 쓰기 행위의 의미와 관계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둘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육적 적용의 차원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가능성 중에서도 고전적 인지주의의 관점에 국한하여 쓰기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쓰기 과정을 입체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이들 입장들을 통합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결국, 교육적 적용의 관건은 인지 과정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포섭하고 활용할 것인지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expanding the cognitive foundation and examin-ing theoretical background to find proper directions of its application. For this reason, theoretical perspectives were divided into three: classical cognitivism, connectionism, and enactivism. Several representative mod-els of cognitivism such as cognitive process model of Flower and Hayes, generally take a position that they can systematize the writing process with symbolic cognitive phases as a unit. They also construct the process as a whole on the basis of the finite and decisive combination relation among these phases. This tendency can be related with the point which social cognitivism and postprocess theory have criticized as “the tendency of recognizing as a universal and fixed form”. However, all of the writing process research are not performed from this classical cognitivism per-spectives. There exist various viewpoints on the cognitive processes dur-ing writing. Research from the connectionism perspectives, for example, tend to investigate operation system in terms of networks instead of sym-bolic and fixed system. But they showed problems such as deficient re-search results which couldn`t make the most of uniqueness of the writing process or vague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itself. Research from the enactivism perspectives showed possibility of present-ing the new perspectives on the writing process, but they had limits in investigating the high dimensional cognitive process. Application of the writing process theories, however, is problematic since it is restricted to the classical cognitivism. Therefore, we need to deal with the writing processes in a multi-dimensional way and to regard it as an integral phenomena. The question of the educational application lies in how we embrace and utilize these various viewpoints on the cog-nitive processes.

      • 연결어미 ‘-(으)면’, ‘-(으)면서'의 ‘ㄴ’ 의미 기능 분석

        홍수영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硏究 Vol.43 No.-

        이 논문은 연결어미 ‘-(으)며’에서 ‘-(으)면’과 ‘-(으)면서’로의 형성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으)면’과 ‘-(으)면서’의 ‘ㄴ’이 보조사 ‘은/는’에서 온 결과임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서론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 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어미 ‘-(으)며’, ‘-(으)면’, ‘-(으)면서’의 의미를 분석하고, 각각의 의미에 따른 용법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2장에서는 선행 연구에 기대어 연결어미 ‘-(으)며’, ‘-(으)면’, ‘-(으)면서’의 형태를 각각 ‘-(으)+ㅁ+이+어’, ‘-(으)+ㅁ+이+어+ㄴ’, ‘-(으)+ㅁ+이+어+ㄴ+서’로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연결어미 ‘-(으)면’의 ‘ㄴ’과 ‘-(으)면서’의 ‘ㄴ’을 각각 보조사와 단순 음운 첨가 현상으로 풀이한 견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셋째, 3장에서는 연결어미 ‘-(으)면’과 ‘-(으)면서’는 ‘-(으)며’와 공통된 형태 ‘-(으)ㅁ+이+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연결어미들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결어미 ‘-(으)면’과 ‘-(으)면서’에 결합된 ‘ㄴ’은 보조사 ‘은/는’이 다른 형태들과 결합하면서 변형된 형태로 보고, 그 의미 기능은 화자의 주의 초점 표지로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