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 연구

        주월랑(Ju Woalr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언어불안 양상을 논의하기 위해서 베트남과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였으며, 이후 여성결혼이민자의 각 변수(국적,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관, 한국어 학습기간)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적, 한국어 학습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거주기간에 따라 문화적응(F=3.076,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기간에서는 언어불안(F=2.829, 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언어불안과 문화적응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관, 한국어 학습기간이 문화적응과 언어불안 간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국적별로 분리하여 상관성을 측정한 결과,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 문화적응이 높아질수록 언어불안이 낮아지지만,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문화적응이 높아져도 언어불안은 낮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별로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의 상관성은 차이가 나타났으나, 결국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간, 한국어 학습기관은 문화적응이나 언어불안 간의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앞서 살핀 본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단순히 제2언어 환경에 단순히 노출되는 상황이 지속 되더라도, 문화적응을 높이면서 언어불안을 낮추기 위한 개인적 및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discuss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 anxiety of femalemarriage immigrants targe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and China. To begin with, average values of language 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 were measured andafterwards,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of female marriageimmigrants(nationalities, length of residence,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length of Koreanlanguage learning), the study carried out t 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came up with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residence-length-based cultural adjustment(F=3.076, p<.05) while nodifferences in nationalities and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observed. Regarding lengthof Korean language learning, only language anxiety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F=2.829, p<.05). In addition, when the study investigated correlations of language anxiety, cultural adjustment andeach of the variables, it learn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nationalities, length of residence, Korean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and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ould not affect correlationsbetween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 anxiety. However, the nationality -based correlationsurvey showed that a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their language anxiety andcultural adjust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en language 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China have a negative(-) correlation. Those results confirmthat a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China, the higher their cultural adjustment gets,the lower their language anxiety gets while in term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Vietnam, even when their cultural adjustment increases, their language anxiety doesn’t decrease. In other words, the nationalitie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ad to correlations with language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 and yet, no correlations with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anxiety were caused by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ngth of residence, length of Koreanlanguag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What the results above signify is thatin spite of exposure to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personal and social efforts shouldbe required not only to increase cultural adjustment but also to decrease language anxiety.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도와 쓰기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연구

        김경령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학 Vol.13 No.3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보이는 언어 학습 불안과 쓰기와 관련된 여러 영역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논문이다. CB 대학 부설 언어 교육원에서 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40명의 다양한 언어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언어 학습 불안에대한 측정 도구로 Horwitz(1986), Cheng(2004), DiLoreto & Kim(2012) 의 연구에서 사용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학습자의 작문에나타난 문장과 어휘 사용을 살펴보기 위해 MLU-m과 MLU-w 값을 측정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도와 다양한 쓰기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가 좋아져도 불안감은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불안을 야기하는 내용에 변화는 일어나나 소멸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급 학습자들은 교사의 피드백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불안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고급 학습자들은 교사의 피드백을 활용하지 못할 경우 불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도가 낮은 학습자들일수록 작문에서 문장 길이와 낱말 길이가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급 학습자들은 특별히 불안도가 낮다 하여 선호하여 활용되는 전략은나타나지 않았으나, 고급 학습자들의 경우 불안도가 낮은 학습자들이선호하는 전략들이 쓰기 전, 중, 후 단계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연구 결과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쓰기 관련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성을 잘 이해하여 지도 시 실질적인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KFL learners’ anxiety and variables in writing. Forty subjects who have various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China, Japan and Vietnam, etc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the participants studied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hey attended language institutes supported by CB University. Participants answered language learning anxiety related questionnaires created by Horwitz(1996), Cheng(2004) and DiLoreto & Kim(2012). In order to measure writing proficiency, participants wrote an essay. The essay topic was selected from TOPIK questionnaire(2013, V.30). Written language data were measured by MLU-m and MLU-w.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ed constant anxiousness in writing even for learners at the higher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Second, intermediate learner felt higher levels of anxiety when they did not understand the feedback while advanced learners felt higher levels of anxiousness when they could not utilize the feedback. Third,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ho showed lower levels of anxiousness in writing got a higher score at MLU-m and MLU-w. Fourth, there existed several preferred strategies for the advanced learners who showed lower levels of anxiousness at language learning.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xiety and other influencing variables can provide meaningful pedagogical implication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 KCI등재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EFL 대학생의 학습 유용성 인식 여부에 따른언어 불안과 완화방안 인식 비교

        모수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EFL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Usefulness andAlleviating Language Anxiety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ukyoung Mo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tend our knowledge of language anxiety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y explor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alleviating language anxiety depending on perceived learning usefulness. One hundred fifty undergraduates completed an online survey after taking a semester-long real-time online English clas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ether they perceived the course useful for learn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alleviating language anxiety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u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for alleviating language anxiety, except for a variable, learners' willingness to learn. Both groups considered it the most necessary element for alleviating language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it is essential to design and manage real-time online English classes by reflecting on the elements that help students relieve language anxiety. Key Words: Online Learning Environment, Language Anxiety, Perceived Learning Usefulness, EFL College Student, Learner Perception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EFL 대학생의 학습 유용성 인식 여부에 따른언어 불안과 완화방안 인식 비교모 수 경*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학습 유용성 인식 여부에 따라 언어 불안과 완화방안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온라인 학습환경에서의 언어 불안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한 학기 동안 실시간 비대면의 방식으로 교양영어를 수강한 학생 150명을 학습 유용성 인식 여부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두 집단의 언어 불안을 비교하고, 독립표본 t-검정으로 언어 불안 완화에 필요하다고 인식한 요인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연구 내용: 두 집단은 언어 불안 정도에 차이가 있었고, 언어 불안 완화에 필요하다고 인식한 요인 대부분에 평균 차이가 있었다. 결론 및 제언: 학습 유용성 인식은 언어 불안과 관련이 있고, 본인의 학습 의지는 두 집단 모두에서 언어 불안 완화에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간 온라인 영어 수업에서 언어 불안 완화를 돕는 요소를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온라인 학습환경, 언어 불안, 인지된 학습 유용성, EFL 대학생, 학습자 인식 □ 접수일: 2022년 9월 29일, 수정일: 2022년 10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가톨릭꽃동네대학교 교양학부 강의전담 조교수(Professor, Catholic Kkottongnae Univ., Email: skmo@kkot.ac.kr)

      • KCI등재

        언어 불안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재한(在韓)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趙晨薇(Zhao, Chen-wei) 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4

        한국어 학습자가 느끼는 정의적 요인은 문화적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 불안이 한국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재한 중국인 학습자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학습자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충격, 향수병과 한국어 학습 등으로 인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언어 불안 간에는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재한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 불안에 비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연구 대상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학습 기간 1년 미만과 1~3년의 한국어 학습자가 3년의 한국어 학습자에 비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재한 중국인 학습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가운데에는 언어 불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학습자의 언어 불안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affective factor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 can have a partial influence on Korean culture.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language anxiety among Chinese learners in Korea on Korean cultural adaptation stress. For this purpose, 273 Chinese learners in Korea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hinese learners were subjected to cultural adaptation stress due to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cultural shock, homesickness,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language anxie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ss of cultural adapt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language anxiety experienced by Chinese learners in Korea. Fourth,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t was verified than 1 year of study and 1~ 3 year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higher cultural adaptation stress than those with learned Korean for more than three years. Fifth,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Chinese learners in Korea, language anxiety had the greatest impact. Thus, the factors that caus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mong Chinese learners (in Korea) are emphasized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이승훈 초기시에 나타난 불안과 언어의 의미

        전병준 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 Vol.- No.80

        Among the many poems, prose, and poetics left by poet Lee Seung-Hun, this thesis focused on the early stage and tried to give a meaningful new interpretation to his early poems, taking anxiety and language as important topics. Lee Seung-Hun explores the question posed by anxiety, that is, between freedom and bondage. It follows from the enlightenment of the state of solitude that human beings acquire by making themselves the object of questioning. Lonely people naturally desire to meet others. However, that desire is frustrated without being fully realized. Repeating going out and returning somewhere between being alone and being together is the entire process of human life. For Lee Seung-Hun, both solitude and communication are achieved through the medium and means of language. He roughly divided this situation into the language of silence and the language of eloquence, and expre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s the irony of self-proving. Language is not only a means and opportunity to escape from solitude and return to solitude, but also works on the problem of anxiety. This is because the two moments of choice and coercion raised by anxiety, that is, freedom and bondage, are expressed in poetry through the form of language. In Lee Seung-Hun's three early collections of poetry, Thing A(사물A) , The Bridge of Illusion(환상의 다리) , and Your Portrait(당신의 초상) , the poet expresses feelings of anxiety arising from trying to escap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objects, freedom and bondage, or the dilemma formed by meaning and nonsense was intended to be expressed through poetry. In other words, his poetics is precariously formed between freedom and bondage, or meaning and meaninglessness, and it is only for a moment that the two terms that form an opposing and tense relationship are rarely stabilized. It is strongly implied that it will lead through. 이승훈 시인이 남긴 많은 시와 산문과 시론 가운데 초기에 집중하여 살핀 이 논문은 불안과 언어를 중요한 화두로 삼아 그의 초기 시학에 의미 있는 새로운 해석을 가하고자 하였다. 이승훈은 불안이 제기하는 물음, 곧 자유와 속박 사이를 주유한다. 그것은 인간이라는 존재자가 자신을 물음의 대상으로 삼으면서 얻게 되는 고독이라는 상태의 깨침에서 이어지는 것이다. 고독한 이는 자연스럽게 타인과 만남을 욕망한다. 그러나 그 욕망은 충분히 실현되지 못한 채 좌절되고 마는데, 홀로 있음과 함께 있음 사이 어디쯤에서 외출과 복귀를 반복하는 것이 인간이 경험하는 삶의 전체 과정이다. 이승훈에게 고독과 소통은 모두 언어라는 매개와 수단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정을 그는 침묵의 언어와 웅변의 언어로 대별하였고, 그 둘 사이에서 주유하는 것을 자기증명의 아이러니라고 표현하기도 하였다. 언어는 단지 고독으로부터 벗어남과 고독으로 되돌아옴의 수단이자 계기만이 아니라 불안의 문제에도 작용한다. 불안이 제기하는 선택과 강요의 두 계기, 곧 자유와 속박이 언어의 형식을 통해 시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이승훈의 초기 시집 세 권, 곧 사물A , 환상의 다리 , 당신의 초상(肖像) 에서 시인은 언어와 사물(혹은 대상)의 관계를 벗어나고자 하는 데서 비롯하는 불안의 감정을, 자유와 속박, 혹은 의미와 무의미가 형성하는 딜레마를 통해 시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곧 그의 시학은 자유와 속박, 혹은 의미와 무의미 사이에서 위태로이 형성되는데, 대립하고 긴장 관계를 형성하는 두 항이 드물게 안정을 이루는 것은 아주 잠시일 뿐으로 형상화되는바, 이는 그의 시학이 계속되는 그 후의 시를 통해 이어질 것임을 강하게 암시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언어재활사의 코로나19에 대한 불안도와 예방행위 실천도와의 관계

        박현린 ( Hyunrin Park ),손은남 ( Eunnam Sohn ),권미지 ( Miji Kwo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언어재활사의 감염병에 대한 불안도와 예방행위 실천도를 파악하여 신종감염병 대응전략 및 신종감염병 예방 교육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언어재활사들에게 설문을 배부하여 회수된 167부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종감염병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불안도의 전체 평균은 3.7점, 예방행위 실천도의 전체 평균은 4.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재활사의 불안도와 예방행위 실천도에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감염 경험 유무에 따라 감염병에 대한 예방행위 실천도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언어재활사들의 감염병에 대한 불안도와 예방행위 실천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언어재활사를 위한 신종감염병과 관련하여 예방행위 실천 교육 및 언어재활사의 불안도를 낮추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 마련 등의 구체적인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anxiety and preventive behaviors about infectious diseases in SLP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new infectious disease response strategies and prevention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7 copies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SLPs. First, the overall average of SLPs’ anxiety about new infectious diseases was 3.7 points, and the overall average of preventive behavior practice was 4.1 point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LPs’s anxiety and preventive behavior practi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reventive behavior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COVID-19 infec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level of preventive behavior practice and anxiety about infectious diseases of SLPs. Based on this,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concrete changes, such as education for practicing preventive behaviors in relation to new infectious diseases for SLPs, and preparation of practical measures to lower the level of anxiety of SLPs.

      • KCI등재

        Enquête sur l’anxiété en classe de FLE

        미요 마리안느(Marianne MILHAUD) 프랑스학회 2016 프랑스학연구 Vol.75 No.-

        최근 30년 동안 영어권에서는 외국어 수업시간에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불안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불안은 복잡하고 다원적인 특징을 가지며 여러 종류의 학습에 관여하는데,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는 외국어 습득능력을 저해하는 하나의 장애요소로 취급되어 왔다. 본고는 한국의 두 대학에서 프랑스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불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한 결과이며,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 차기의 학습자 불안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학습자불안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를 밝히고, 이 분야의 선구자인 Horwitz 연구팀이 1986년에 제시한 불안등급에 근거하여 이에 대한 양적인 측정을 시도했다. 4개 언어능력과 연관된 일반적 언어불안을 측정하는 5단계 33항목의 Likert등급 중에서 구어능력과 직결된 20개 항목만 골라 적용한 결과, 우리는 학습기간 동안 끊임없이 개입하는 불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불안으로부터 야기되는 새로운 상황에 대해서도 알아낼 수 있었다. 이 불안요소를 잘 파악하고 좀 더 신중하게 수업에 임한다면 학습자들의 불안이 제거되는 것은 물론, 장차 학습자들이 더욱 부담 없이 프랑스어 학습에 임할 수 있으리라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불안감이 관광영어교육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정혜진(Chung, Hye Jin),최화열(Choi, Hwa Yeol)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주로 인적자원의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관광산업의 특성으로 유창하고 완벽한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전문인 양성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의사소통 중심의 관광영어 교육에서 학생들의 수업참여와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성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에서 나타나듯, 논쟁 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커뮤니케이션 기술, 비판적 사고력, 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은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기술의 향상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광영어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교수법의 변화에 따른 만족감 연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며, 관광영어 교육의 당사자인 학생들의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불안감을 살펴본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논쟁 성향과 언어적 공격성향 등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이 관광 영어 교육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이슈들에 관한 입장을 주장하는 논쟁 성향은 관광영어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수업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상대방의 자아개념을 공격하는 언어적 공격 성향은 학생들의 수업 만족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은 관광영어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수업 만족감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스피치 불안감과 수업 불안 요인만이 수업 만족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의 관계에서는 논쟁 성향과 커뮤니케이션 불안감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 자신의 입장을 잘 표현하는 논쟁 성향이 높을수록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불안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논쟁 성향이 높고, 언어적 공격 성향이 낮으며, 커뮤니케이션 불안감 중에서 스피치 불안과 수업 불안감이 낮은 학생일수록 관광영어교육의 만족감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 개개인의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불안감의 정도를 파악해 그에 맞는 세분화된 관광영어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ourism English Education is supposed to foster fluent English bilingual professionals who can work in the tourism industry, in which quality service by human resources is the key factor in its success. This research initia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where the current tourism English education is not effective enough to achieve the goal. In the communicative tourism English education, students' participation and individual communication styles has been considered very important. As it can be seen in the previous researches, argumentative communicators seem to have better communication skills, think critically and show better learning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apprehension seems to inhibit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skills. Despit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tyles and apprehension, studies on tourismEnglish education tend to be interested only in the trend of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eaching methods while it's hard to find the studies on the students' communication styles and apprehens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communication styles such as the debate style and the aggressive style and the communication apprehension on the satisfaction of the tourismEnglish education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습과정에서 언어불안이 오류고쳐 말하기의 효과와 수정출력에 미치는 영향

        김지현 ( Ji Hyu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언어불안이 오류고쳐 말하기를 통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목적격 관계대명사 학습과정과 수정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서른다섯 명의 한국어 학습자와 세 명의 한국어 화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는 언어불안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높은 불안감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 낮은 불안감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 높은 불안감 통제 그룹. 낮은 불안감 통제 그룹, 총 4그룹으로 나누어 졌다.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 통제 그룹 모두 한국화자와 일대일로 의사소통중심의 네 가지 활동을 수행하였다.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에 속하는 학습자는 활동중 발생된 목표언어 형태오류에 대해 한국어 화자로부터 오류고쳐 말하기를 이용한 교정피드백을 받은 반면, 통제 그룹은 오류에 대한 교정피드백을 받지 못했다. 사전검사와 두 번의 사후검사 결과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의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정확성 향상도는 통제 그룹보다 높았다. 그러나 오류고쳐 말하기의 효과는 학습자의 불안감의 정도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낮은 불안감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은 높은 불안감 오류고쳐 말하기 그룹에 비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이와 더불어 오류고쳐 말하기를 통해 교정을 받은 후 낮은 불안감 그룹의 학습자는 높은 불안감 그룹의 학습자보다 빈번하게 수정출력을 만들어 내었고 수정출력을 통한 오류수정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The study investigated (a) whether or not language anxiety affected the effectiveness of recasts on accuracy development in the use of objective relative clauses in Korean and (b) whether or not language anxiety influenced the frequencies of modified output following recasts. Thirty-fiv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three native Korean speakers participated. Based on their responses to a questionnaire of language anxiety, the learners were assigned into four groups: low-anxiety recast group (n=10), high-anxiety recast group (n=9), low-anxiety control group (n=8), and high-anxiety control group (n=8). All learners engaged in a dyadic interaction with a native Korean speaker using four different communicative tasks. While the learners in the recast groups received recasts to their errors of the target form, the learner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get any types of corrective feedback to their errors. The study found that both recast groups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s in the tests which measured accuracy development of the target form, but the low-anxiety recast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the high-anxiety recast group. In addition, the low-anxiety recast group produced modified output and repairs following recasts far more often than the high-anxiety recast group.

      • KCI등재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속의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

        권진숙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2020년 초반부에 시작된 코로나 19 팬데믹은 현재 2021년이 지난 오늘까지 해결이 되지 않은 중장기 사회적 재난이 되었다. 마스크 없이 살아가는 일상을 꿈꾸며, 나도 언젠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어떻게 할까 하는 불안이 일상화된 사회를 살아가고 있 다. 따라서 목회자는 생의 진단자이며 요람에서 무덤까지 성도들의 삶을 보살피는 것 이 소명이라고 할 때, 과연 목회적 돌봄 제공자들은 이렇게 불안한 시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논문이다. 실제로 불안한 일상이 장기화되면서 더 이상 불안이 특정한 누군가의 문제가 아닌 모두 의 문제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이런 사회적 재난과 불안의 일상화 속에서 어떻게 기독교인들이 신앙적 삶의 중심을 지키며 자신들의 삶을 온전하게 살아낼 수 있을지 를 도울 수 있는 목회신학적 성찰과 목회적 돌봄에 대한 성찰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소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메다드 보스(Medard Boss)의 불안에 대한 이론을 성찰해 볼 것이다. 프로이트가 주 장하는 정신분석학적 관점, 키에르케고르가 주장하는 실존주의적 관점, 그리고 그의 확장으로의 현존재 분석 철학의 보스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불안의 원인을 통해서 오 늘날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을 위한 이론적 성찰들을 시도할 것이다. 이 렇게 다양한 이론가들의 불안에 대한 성찰을 근거로 코로나 19 팬데믹 사회를 살아가 는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으로 첫째로, 불안이 일상이 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의 재구성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Hans Urs von Balthasar)의 성 토요일의 영성의 필요성, 둘째로, 앤 율라노프(Ann Ulanov)와 베리 율라노프(Barry Ulanov)가 주장하는 원초적 언어로서의 기도의 필요성, 셋째로, 영적 자원을 활용한 목회 상담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불안한 성도들과 내담자들을 위한 목 회적 돌봄의 자원으로써 영적 자원의 활용의 가능성에 대해서 주장하며 논문의 결론 을 내려고 한다. From the beginning of 2020 to our current lives, the Covid-19 pandemic is a biosocial disaster that has completely reshaped our society. While we earnestly wait for a mask-free life post the virus, we are still living in fear of becoming infected at any moment. In fact, as our initial anxieties became cemented into our everyday routines, anxiety has become a problem for everyone. As pastors who are called to take care of Christians from life till death, we must grapple with how to provide pastoral care amidst a society filled with unprecedented anxiety.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reflect on the theory of anxiety from Sigmund Freud, Søren Kierkegaard, and Medard Boss to propose theoretical reflections on pastoral care for anxious people in our current world. Through Freud's psychoanalytic perspective, Kierkegaard's existentialist perspective, and Boss’s philosophy regarding the causes of anxiety, we will attempt to find integrative theoretical reflections on how to reconstruct the narrative about pastoral care for anxious people during the pandemic. Firstly,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at anxiety has become commonplace and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on St. Saturday as championed by Hans Urs von Balthasar. Secondly, it is essential to see prayer as the original language as proposed by Ann and Barry Ulanov. Thirdly, a case study about spiritual resources will be utilized as a possible solution to providing spiritual support for anxious cl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