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수준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어문 규범 교수ㆍ학습 방안

        신호철(Shin, Ho-cheol)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4 No.-

        본고에서는 국가 수준의 평가(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모의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대상으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을 추출하여 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어문 규범 교수ㆍ학습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1. 국가 수준 평가에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은 20여 년 동안 수능, 모의수능,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총 3084개 문항에서 34개 문항만이 출제되었다. 수능에서 11개 문항, 모의수능에서 17개 문항,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6개 문항이 출제되었다. 이 34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에서 26개가 한글 맞춤법 관련 문항이고, 8개가 표준어 규정 관련 문항이다. 특기할 점은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관련 문항이 한 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2. 한글 맞춤법에서는 고쳐 쓰기에 결합된 문항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단독으로는 합성어나 접사 등을 포함하는 ‘제4장 형태에 관한 것’이 4.5개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다음으로 한글 맞춤법 총칙과 관련된 것이 3개 출제되었다. 표준어 규정에서는 8개 문항 중 5개가 표준 발음법과 관련된 문항이다. 3. 어문 규범 관련 문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에 대한 교수ㆍ학습 방안으로 4단계의 단계별 교수ㆍ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곧 ‘단계 1 어문 규범 ‘총론’에 대한 원리 중심의 연계 교수’, ‘단계 2 원리 학습기반의 탐구 중심 교수’, ‘단계 3 실제 언어 자료를 활용한 보기/자료/답지 등의 상호관련성 해석 중심의 교수’, ‘단계 4 혼동 어휘 중심의 교수’가 그것이다. 어문 규범 관련 문항 분석 결과 탐구의 과정이 배제된 채 결과의 내용을 추론하는 형태의 문항이 다수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원리 학습을 기반으로 한 탐구적 사고 과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탐구 중심의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실에서 사용되는 실제 언어 자료들을 ‘<보기>’의 대상으로 제시하고 이 자료의 정확한 해석과 그와 관련되는 언어 자료를 적용시키는 학습이 유용하다고 제안하였다. 끝으로 혼동하기 쉬운 어휘들을 중심으로 학습할 것을 주장하였다. For this paper, I extracted certain test questions from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alyzed them, and discussed the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From 20 years of questions papers, I selected 33 questions out of 2919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from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ollege Scholastic Aptitude Pretests, and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ut of the 33 questions, 25 are Korean orthography-related questions and eight are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related questions. Questions combined with rewriting are the most characteristic of Korean educational norms. Of the eight questions based on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 three were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and five were related to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law in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 have proposed fou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principle-centered education linked, inquiry-based education, analysis of correlation-based education, and confusion-centered learning vocabulary.

      • KCI등재

        어문 규범의 현황과 전망

        정희창(Jeong, Hui-chang)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0 No.-

        우리나라의 어문 규범은 국가 어문 기관의 설립, 국가가 주도한 규범적인 사전의 편찬, 그리고 국어의 위상과 역할을 법률로 규정한 ‘국어기본법’의 제정으로 확고한 기반을 갖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어문 규범에 대한 조사와 연구, 정책의 집행 등이 모두 가능해졌고 실제로 어문 규범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표준어 목록을 확장하는 등의 정책이 실행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규범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철학을 구체적인 정책으로 실천하는 근거와 내용이 무척 중요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규범의 과거를 탐색하고 현재를 분석하며 미래를 예측하는 조사와 연구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어문 규범, 국어사전, 국어 정책이 서로 균형 있게 발전하고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어문 규범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Korean literary norms can be been to have a solid foundation. This poin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ment of national literary agency, language-related legislation, compilation of dictionary. Language policy is being implemented such as survey and research on literary standards , policies such as the enforcement of the use of all available norms. Thus, the norm in the future for a variety of specific policy discussion and practice based on the philosophy and content can be estimated to be very important . Navigate to the norms of the past, present, analyze, and predict th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Literary norms, languages, dictionaries, language policy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enable a balanced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in-depth discussion of literary expect to be activated.

      • KCI등재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 방향 탐색

        조진수 ( Jin Su Jo ),소지영 ( Ji Yeong S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57 No.-

        본고는 그간의 학교 교육에서 어문 규범이 언어 주체의 전 생애에 걸친 국어생활에 관여하는 문제라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했음에 문제를 제기하고, 학교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에 생애교육 관점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성장``하는 존재를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본다는 점에서, 일정한 수준의 지식에 ``도달``한 존재를 목표로 삼는 이전의 어문 규범 교육과 차별화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문 규범 교육의 연구사를 재검토하여, ``국어의 구조에 관한 문법 지식 활용``과 ``규범에 내재한 원리 활용``이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에서 메타학습의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 생애교육이라는 거시적 조망 하에서 학교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이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생애교육 관점의 어문 규범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 경험의 구조화 방식, 사례 제시 측면에서 기존의 어문 규범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고, 이러한 관점에서 구체적인 학습 활동이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지를 예증하였다. This study raises an issue that the school education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fact that language norms is involved in the language use of a person all throughout their life, and proposes to integrate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nto the language norms education in schools. When approaching language norm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t views the ideal person to be someone who pursues to grow via self-directed learning. In this regard,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which strives to become like those who ``achieved``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By reexamining the research on language norms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usage of grammatical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structure`` and ``the usage of the principle embedded in the norm`` can function as a material for meta-learning in the language norms education. It is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how the language norms education can be designed in school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reveals how language norms education, with the lifelong education approa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in terms of the pursued human type, the way of structuring educational experience, and case presentation. In this regard, the study also illustrate how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can be designed.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어문 규범’ 영역 문항 분석 연구

        조남현 ( Cho Nam-hyeon ),이선미 ( Lee Seon-mi ),남경영 ( Nam Kyeong-yeong ),강미영 ( Kang Mi-y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어문 규범 문항이 예비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높은 내용 타당도를 갖추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6년 1회부터 2019년 14회에 걸쳐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항 가운데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항이 어문 규범 세칙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더 나아가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의 분석 틀을 마련하여 어문 규범 관련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항이 한국어 교사의 자격을 평가하고 이를 선발하는 데 적합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검토 결과 거시적 영역에서는 회차별 출제 비율의 변화가 매우 컸고, 미시적 영역에서는 각 어문 규범 조항들의 출제 빈도의 편차가 클 뿐 아니라,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출제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문항들이 다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에 대한 연구는 문화, 발음, 문법 등의 체계, 방안, 모형 등에 대해 이루어지거나 이에 대한 개선 사항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었는데, 어문 규범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어문 규범 관련 논의를 제외하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을 온전히 검증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1회부터 14회까지의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을 어문 규범 영역을 중심으로 관련 문항을 추출하고 이를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으로 나누어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이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적합한지 정밀하게 검토한 후 개선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 자격 시험의 평가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한국어 교사 양성을 통한 한국어 교육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language norms of the Korean teaching ability test have high content validity as a tool to measure the expertise of prospective Korean teachers. To this end,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norms of language were extracted from the questions of the test from 1st in 2006 to 14th in 2019 and analyzed how the questions were related to the rules of language norms. Furthermore, the analysis framework of macro and micro perspectives was prepared to critically examine whether the test related to language norms consisted of questions suitable for evaluating and selecting Korean teachers' qualifications.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variation in the ratio of the questions was very large in the macro area, and that in the micro area, the variation in the frequency of the questions of each language norm was large, and that there were many questions that did not meet the intention of the test. So far, research on the test has been mainly conducted on systems, methods, and models such as culture, pronunciation, and grammar, and it is hard to say that the Korean teaching ability test has been fully verified except for discussions on language norms, given the importance of language norm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test, which was conducted from 1st to 14th, was extracted based on the language norm area and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erspectives, carefully examined whether the language normative area was suitable as a tool to measure the expertise of Korean teachers, and suggested improvements. The study is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evaluation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 tests as well as boost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fostering excellent Korean language teachers.

      • KCI등재

        어문규범의 교육 방향 탐색 ―한글맞춤법을 중심으로

        이기연 ( Yi Kiyoun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4

        국어 교육에서는 꾸준히 어문 규범을 교육 과정에 포함하고 어문규범에 대해 교육해 왔다. 그러나 정규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어문규범 교육만으로는 일상생활에서 마주하는 언어 현상에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글맞춤법을 중심으로 언중들의 어문규범에 대한 인식과 실제 사용 양상 사이에 괴리가 있음을 밝히고 교육과정과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글맞춤법 교육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주로 개별 표기 차원의 정확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맞춤법 교육 방향을 평생을 두고 학습하면서 성장해 가는 존재를 대상으로 한 생애 교육 차원에서 어문규범교육, 한글맞춤법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규범의 개별 조항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 대신 어문규범의 가치나 의의, 규범의 필요성, 규범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길러주는 교육을 보다 강조하는 방향으로 교육의 세부 내용이 구안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included language norms in the curriculum and taught it to students steadily. However, there are limits in responding to the language phenomena encountered in daily life only through the education provided in the formal curriculum. In this paper, I found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recognition of grammar and the actual usage of the language, particularly in the spelling of Hangeul, and confirmed the situation of Hangeul spelling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and teachers’ perception.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regarding grammar norms and Hangeul spelling should be planned and executed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aimed at “an ever-growing being as a learner.” Therefore, the curriculum needs to be devised so as to emphasize education that cultivates the value or significance of the norm, the necessity of the norm, and a desirable attitude toward the norm, instead of education centering on individual provisions of the norm.

      • KCI우수등재

        100여 년의 언어 변화와 규범 -어문규범안과 국어사전의 길항 양상을 중심으로-

        최경봉 국어학회 2024 국어학 Vol.0 No.109

        이 논문에서는 어문규범화 과정에서 등장했던 어문규범안과 국어사전의 내용상 차이에 주목하면서, 이러한 차이를 언어 현실을 반영하는 데에서 나타나는 규범 간 길항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두 가지 사실을 밝혔는데, 첫째는 지난 100여 년간 규범의 변화가 언어 현실의 변화와 단선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었고, 둘째는 규범 간 길항이 언어 현실의 다층성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이었다. 그리고 언어 현실이 다층적인 상황에서 복수 표준어의 확대는 어문규범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이었음을 밝혔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이 논문에서는 어문규범 정책의 방향을 제시했는데, 그 핵심은 향후 어문규범 정책이 어문규범안 중심에서 국어사전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codified language norm and the Korean dictionary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standardizing Korean. And we explained these differences as an antagonism between norms that appears in reflecting language reality. Through this, two facts were revealed: the first was that the change in norms over the past 100 years did not respond linearly to changes in language reality, and the second was that the antagonism between norms stems from the multi-layered nature of language reality.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expansion of plural standard was a way to secure the stability of language norms in a situation where language reality was multi-layer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language norm policy. The key was that the policy of language norms should be changed from the center of codified language norms to the center of Korean dictionaries.

      • KCI등재

        표준국어대사전 개편과 규범 정보

        김종희 반교어문학회 2024 泮橋語文硏究 Vol.- No.66

        본 연구는 표준국어대사전 의 <한 걸음 더>를 분석하여 규범 사전으로서의 표준 의 성격과 방향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은 한국어 규범 사전으로서, 언어 생활의 규범 역할을 한다. 어문 규범이나 어문 규범의 해설만으로는 전달할 수 없는 규범의 상세한 적용 실례는 규범 사전에서 확인해야 한다. 그러한 면에서 표준국어대사전 은 규범에서 제시한 것 이외의 원칙을 제시하거나 관습적으로 굳어진 예외를 수록하고 해설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한 걸음 더>, 구 <규범 정보>는 사전 표제어에 적용된 규범을 보충하여 해설해 주는 부가 정보이다. 본 연구에서는 <규범 정보>의 유형을 총 8개로 나누어 보았는데, 순서대로 표제어의 표준어 여부에 대한 해설, 표제어의 표기에 대한 해설, 표제어의 표준 발음에 대한 해설, 표제어의 활용 정보에 대한 해설, 표제어의 용례/용법에 대한 해설, 표제어의 의미(뜻풀이)에 대한 해설, 표제어의 화용 정보에 대한 해설, 표제어 간의 형태/의미의 차이에 대한 해설이 있었다. 처음의 두 유형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어문 규정에서 제시하지 않은 것들까지도 기술의 대상에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규범 정보>의 검토를 통해 표준국어대사전 이 목표하고 있는 규범성의 범위가 더 넓어지고 있다는 점과 규범성이 점점 더 강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표준국어대사전 의 규범성이 강화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지, 앞으로 <규범 정보>의 기술 확대가 긴요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며, <규범 정보>의 역할은 실질적으로 표준국어대사전 의 내적 체계를 보충하고 어문 규범의 실질적인 문제들을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ne Step Further” section of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n order to explore the nature and direction of the “Standard” as a normative dictionary.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serves as a normative dictionary for Korean, playing a normative role in language use. Detailed examples of norm application that cannot be conveyed solely through linguistic norms or their explanations must be confirmed in normative dictionaries. In this regard,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not only presents principles beyond those stated in norms but also includes and explains exceptions that have conventionally solidified. The current “One Step Further,” formerly known as “Normative Information,” supplements and explains the norms applied to dictionary entries. In this study, the types of “One Step Further” were divided into 8 categories: explanations on whether the entry is standard Korean, explanations on the spelling of the entry, explanations on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the entry, explanations on usage information of the entry, explanations on examples/usages of the entry, explanations on the meaning (definition) of the entry, explanations on pragmatic information of the entry, and explanations on the differences in form/meaning between entries. The first two types comprise the majority, but it was noted that even aspects not specified in linguistic norms were included in the scope of description. In conclusion, through the review of “One Step Further,” it can be observed that the scope of normativity pursued by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s expanding, and normativity is increasingly being strengthened. It will be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the reinforcement of normativity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s indeed desirable and whether the expansion of the description in “One Step Further”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to complement practical issues in linguistic norms.

      • KCI등재

        ‘한글 맞춤법 해설(2018)’의 개정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이지수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1

        The Hangul spelling commentary, published in 2018, reflects the changing reality and aim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spelling by explaining the rules easily and in detail. This researcher highly evaluates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Hangul spelling commentary and intends to investigate the revision part specifically with the educational use in min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understanding of the attributes of norms that are most important to be considered in this educational applica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linguistic norms are the outcome of social consensus, the linguists expect the linguistic norms to be non-contradictory, consistent, intuitive, and more complete. This is an obstacle to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attributes of the linguistic norms.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use Hangul spelling to understand the attributes of norms such as academic systematicity and temporality for reflecting reality. 2018년에 발간된 한글 맞춤법 해설은 변화한 현실을 반영하여 규범을 쉽게, 자세히 설명하여 한글 맞춤법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한글 맞춤법 해설의 교육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교육적 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정된 부분을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그리고 어문 규범 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것으로 규범의 속성에 대한 이해를 제안하였다. 어문 규범은 본래 사회적 합의의 결과물임에도 불구하고 언중들은 어문 규범이 무모순적이며 일관되고 직관적인, 보다 완전한 것이기를 기대한다. 이는 어문 규범의 속성을 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장애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어문 규범이 가지는 보수성, 규범성과 함께 학문적 체계성, 그리고 현실 반영을 위한 가변성, 임시성 등 규범의 속성을 이해하는 데 한글 맞춤법 해설이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중국 조선어 어문규범의 변천 연구 - 85년판, 96년판, 07년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림,이래호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Chinese Koreanlanguage norms in China’s “Joseon Language Norms”. To theseaims, the system of China’s “Joseon Language Norms” wasintroduced, and the contents of the “Joseon Language Norms”,which was revised several times, were compared with theprevious edition.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revised contentswith the language norm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changes in the Chinese Korean language norms wereconsidered. Based on the 85 year’s edition of China’s “JoseonLanguage Norms”, the contents changed in the 96 year’sedition are related to consonant pronunciation, phonemes, andabbreviations, and the contents changed in the 07 year’sedition are spacing and punctuation marks. Since the 96 year’sedition, most of China’s “Joseon Language Norms” has beenrevised by referring to South Korean norms, but it alsoincludes independent revision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the daily language of Chinese Korean. 본고는 중국 『조선말규범집』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 규범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중국 『조선말규범집』의 체재를 소개하고 여러 차례의 개판 수정한 『조선말규범집』의 내용을 그 전 판본과 비교하여 수정한 부분을확인하고 남한과 북한의 어문규범과 비교함으로써 중국 조선어 어문규범의 변화를고찰하였다. 중국 『조선말규범집』 85년판을 기준으로 96년판에 변화된 내용은 자음 발음, 음운, 준말 등과 관련된 내용이고 07년판에 변화된 내용은 띄어쓰기와 문장부호이다. 96년판 이후 중국 『조선말규범집』은 대부분 남한의 규범을 참조하여수정되었지만 중국 조선어의 일상언어의 특징을 반영하여 독자적으로 개정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KCI등재

        1930년대 어문 환경과 김유정 문학어의 이해 —어문규범 인식과 문학적 대응을 중심으로

        박보름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1

        김유정 문학어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위해서는 김유정 문학을 배태하고, 김유정 문학이 유통되었던 1930년대 문단의 언어 현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30년대 민족어로서의 조선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사정한 조선말 표준어 모음>(1936)이라는 조선어 어문 규범의 정립으로 수렴되었고, 문인들은 이러한 어문 규범 확산의 사도로 호명되었다. 1930년대 대다수의 작가들이 <통일안>(1933)을 자신의 소설쓰기에 적극적으로 준용하고자 했던 것과 달리 김유정은 이를 수의적으로 준용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유정 문학어의 이러한 탈규범적 특징은 천재적인 문재(文才) 또는 농촌 친화적 성향의 소산으로 설명되기 어렵다. 김유정 문학어 형성의 배경에는 소설 집필 직전 2년 동안의 야학 활동이 놓여있다. 김유정의 야학 활동은 조선어학회의 이윤재가 집필하고 동아일보사에서 출간한 문자보급 교재를 통해 이루어진 국문 교육 활동이었다. 이러한 어문 교육의 경험이 어문 규범으로 통제되거나 재단될 수 없는 문학의 언어에 대한 감각을 형성시켰던 것이다. <통일안>(1933)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지문과 대화에 사투리가 빈번하게 사용된 김유정의 소설은 어문 규범의 준수를 중시하는 1930년대 문단에서는 환영받지 못했었는데 조선어학회와 함께 <통일안>(1933)과 <표준어>(1936) 확대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동아일보』, 『신동아』에 김유정의 소설이 단 한편도 실리지 못하고, 이 사실이 당시 김유정의 동료들에게도 문제시되었다는 사실이 이를 보여준다. 이는 1930년대 어문 규범 운동의 도식성과 엘리트주의적 성격에 비판적 입장을 취한 홍기문이 편집국을 맡았던, 그리고 <통일안>(1933) 준용에 있어 가장 소극적이었던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김유정의 소설이 당선되고, 이후 『조선일보』와 『조광』에 소설을 발표할 수 있었던 것과 대비를 이룬다. 김유정의 등단 과정과 발표 지면의 분포는 김유정 문학어가 1930년대 매체 환경의 영향 속에서 수용되거나 배제되었던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 이렇듯 김유정의 문학어는 조선어 소설 쓰기의 하나의 준거로 여겨졌던 어문 규범에 대한 자각적인 의식과 선택 속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김유정 문학의 해석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For a concrete understanding of Kim’s literary languag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linguistic reality of the 1930s literary circles, which gave birth to and circulated Kim Yoo-jung’s literature. In the 1930s, efforts to preserve the Korean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focal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norms in the form of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and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Regulation>(1936), and writers were hailed as apostles of the spread of these language norms. Unlike the majority of writers in the 1930s who actively sought to apply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to their novels, Kim Yoo-jung seems to have sought to incorporate it on his own terms. These consistent non-normative features of Kim’s literary language are difficult to explain as a product of genius literary talent or rural-friendly tendencies. The formation of Kim’s literary language lies in his yahak activities during the two years immediately preceding the authorship of his novels. Kim’s yahak endeavors consiste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throug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 written by Lee Yoon-jae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nd published by the Dong-A Ilbo. This experience of language education shaped his sense of the language of literature as something that could not be controlled or molded by linguistic and literary norms. Kim’s novels, which did not adhere to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 (1933) and frequently used dialect in narrative text and dialogue, were not welcomed by the contemporary trend that emphasized an adherence to language norms,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Kim’s and his colleagues’ novels were not published in the Dong-A Ilbo and Shindonga, which were most active in expanding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Regulation>(1936) along with the Korean Language Society. This is in contrast to Kim’s novel being selected for the New Young Writers’ Prize at the Chosun Ilbo, which was the most passive newspaper in implementing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and whose editorial board was headed by Hong Ki-moon, a critic of the formalism and elitism of the language norms movement in the 1930s. Kim’s novel was subsequently published in the Chosun Ilbo and Jogwang. The process of Kim’s debut and the distribution of his publications mirrors the ways in which his literary language was embraced or excluded by the media environment of the 1930s. As such, Kim’s literary language can be said to have been shaped by his conscious awareness and choice of the grammatical norms that were considered the norms for writing the Korean novel, and this fact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interpretation of Kim’s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