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의 조절효과

        채민경,장경은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과 놀이중심지지 신념,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를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이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3세, 4세, 5세 유아 254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담임교사이다. 어머니의 자기보고 자료와 담임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놀이성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은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 및 유아의 놀이성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의 놀이성 중에서 사회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신념은 유아의 놀이성, 특히 신체적 자발성 및 즐거움의 표현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의 조절효과에 있어서 유아의 즐거움의 표현에서만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 놀이성의 다른 하위요인과 놀이성 전체에 대해서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가 놀이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이 유아의 즐거움의 표현 능력과 관련된 놀이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할 수있음을 보여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insecure attachment and children's playfulnes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254 children aged 3 to 5, who attended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and their 254 mothers. For data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program. Results: First, there was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insecure attachment and play support beliefs. Social spontaneity and expression of joy were negatively related to mothers' insecure attachment. However,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showed positive associations with children's playfulness, particularly including children's physical spontaneity and expression of joy. In addition,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insecure attachment and children's expression of joy. However, the beliefs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insecure attachment and other playfulness trait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mothers'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play may buffer the adverse effect of mothers' insecure attachment on children's capabilities of expressing their sense of pleasure.

      • KCI등재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천혜영 ( Hey-young Chun ),김영희 ( Yeong-hee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2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청주시에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10곳)에 다니고 있는 1~36개월 영유아들의 어머니 272명이었다.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고, AMOS 7.0 프로그램을 통해 경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불안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우울, 양육스트레스,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은 언어적 상호작용과 민감성과 같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서 처벌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처벌과 같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을 통해 언어적 상호작용과 민감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어머니의 타인양육 죄책감은 언어적 상호작용, 처벌, 그리고 민감성과 같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mother's anxiety,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on mother-child interac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2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1 to 36 months attending 10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Cheongju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and path analysis was done by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nxiet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mother -child interaction, but it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daily parenting stress, and guilty feeling of parenting stress. Second, mother's de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child interaction such as linguistic interaction and sensitivity while it had an indirect effect on positive interaction and corporal punishment of mother-child interaction through daily parenting stress. Third, mother's daily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child interaction such as positive interaction and corporal punishment, and it had an indirect effect on linguistic interaction and sensitivity through guilty feeling of parenting stress. Fourth, mother's guilty feeling of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child interaction such as linguistic interaction, corporal punishment, and sensitivity.

      • KCI등재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회복탄력성에미치는 영향: 어머니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황윤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자녀의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와 충청 지역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78명과 그들의 어머니 및 담임교사가 연구에 참여했고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 그리고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그리고 어머니의 회복탄력성은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머니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기 자녀의 회복탄력성 교육에서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동시에 유아기 부모교육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건강성에 해당하는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신념, 어렸을시 또래관계 및 사회화전략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안선희 한국인간발달학회 1998 人間發達硏究 Vol.5 No.2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과 어머니의 어렸을 시 또래관계가 아동의 사회성을 지도하는 사회화 전략과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신념, 아동기 시절의 또래관계 및 사회화 전략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 실제로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세에서 6세사이의 185명의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였으며, 어머니의 신념과 그들의 아동기시절의 또래관계 및 사회화 전략은 어머니용 설문지에 의해 평가되었고,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은 교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대다수의 어머니들이 취학 전 아동에게 사회적 기술은 아주 중요하다고 믿고 있었으며, 사회적 기술의 획득 방식에 대한 어머니의 믿음은 아동의 경험, 부모의 가르침, 선천적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신념, 즉 사회적 기술이 중요하다고 믿거나 그러한 기술은 부모의 가르침에 의해 발달될 수 있다고 믿는 어머니들이 자녀의 사회성을 도모하기 위한 사회화 전략에 더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어머니 자신의 아동기 때 또래관계에 대한 기억이 현재 자신의 자녀를 위한 사회화 전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기 때 사회적으로 유능하였던 것으로 회상하는 어머니들이 아동의 사회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활동에 더 자주 참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어머니의 사회화 전략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기술의 향상을 위해 또래관계를 지도해주거나 감독해 주는 등 더 많이 노력하는 어머니들의 자녀가 보다 사회적 유능감이 있는 것으로 교사들에 의해 평가되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신념,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연구 - 내국인 어머니와 중국계 이주 어머니를 대상으로 -

        방은정,성지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lief and efficacy on a children’s self-esteem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mothers and Chinese immigrant mothers with their childre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ative Korean mothers and Chinese immigrant mothers’ maternal parenting belief and efficacy and their children’s self-esteem. Native Korean mother‘s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their children‘s self-esteem were higher than Chinese immigrant mothers‘ and their children‘s. The results also shows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immigrant mothers‘ efficac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children’s self-esteem. However, the result that the children of Chinese immigrant mothers, who have generally lower maternal parenting efficacy than Korean mothers, have less positive self-esteem than the children of Korean mothers, suggests that the maternal parenting efficacy has an important effect on developing children’s positive self-esteem.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내국인 어머니와 중국계 이주 어머니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만 3~6세 유아(n=306)를 양육하는 내국인 어머니(n=203)와 중국계 이주 어머니(n=103)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을 알아본 후, 유아들의 자아존중감을 직접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내국인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중국계 이주 어머니 및 유아보다 각각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개인변인(연령), 어머니의 개인변인(학력, 월평균 수입, 연령),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 결과 또한 내국인과 중국계 이주 어머니 사이에 차이를 나타냈다. 내국인 어머니와 중국계 이주 어머니 모두에서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반적으로 낮은 양육효능감을 가진 중국계 이주 어머니의 유아들이 내국인 어머니의 유아보다 낮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낸다는 결과는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에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지혜와 자녀의 행복: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김혜숙,고재홍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중다-매개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어머니의 지혜가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79쌍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과 그들의 어머니이었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상관분석에서 어머니의 지혜와 어머니의 애정적, 성취적, 합리적 양육행동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어머니 지혜와 자율적 양육행동은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네 가지 양육행동은 모두 자녀의 행복감과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지혜 요인 중에서는 공감적 대인관계 수준이 높은 어머니일수록 애정적 및 합리적으로 자녀를 양육하며, 긍정적 인생태도를 지닌 어머니일수록 자율적 및 성취적 양육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적 대인관계 수준이 높은 어머니의 자녀가 더 행복하였고, 애정적 및 합리적 양육행동을 취하는 어머니의 자녀가 더 행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지혜와 자녀의 행복 사이에서는 어머니의 애정적 및 합리적 양육행동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율적 및 성취적 양육행동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wisdom and her child's happiness, conducting multiple mediation analys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whether 4 kinds of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s affect the child’s happiness in a sample of 379 pai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wisdom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h three dimensions as affection, fulfillment, and rationality among her 4 rearing-behavior dimensions. But her wisdom was not correlated with the dimension of autonom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hild’s happiness obtained among all of the mother's 4 rearing behaviors. Regarding the sub-factors of her wisdom, second, the more sympathetic the mother was in 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more affectionate and rational she was in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s; when the mother took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life, she would more likely reveal autonomous and fulfilling rearing behaviors towards her child; as the mother was more sympathetic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child felt happier; and the mother’s affectionate and rational rearing behaviors made the child happier. Finally, the mother’s affectionate and rational rearing behaviors were found to be mediators between her wisdom and the child’s happiness, but her autonomous and fulfilling rearing behaviors were not.

      • KCI등재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경험, 부모성찰,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오지현 ( Oh Ji Hyun ),최아영 ( Choi A You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경험의 관계에서 부모역할만족도가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과 부모성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매개된 조절 모형을 설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만 3~6세 유아를 키우는 어머니 327명이 참여하였고, 아동기 수용경험 척도, 부모성찰 척도, 부모역할만족도 척도,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모델의 분석 결과는 첫째, 아동기 수용 경험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서 부모역할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원부모의 양육방식을 수용적으로 지각할수록 부모역할만족도는 높아지고 이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아동기 수용 경험과 부모역할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성찰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 수용 경험과 부모역할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어머니가 아동기 원부모에게 받은 양육경험을 거부적으로 지각하더라도 부모성찰 수준이 높을 경우에는 부모역할만족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기 수용 경험, 부모성찰 그리고 아동기 수용 경험과 부모성찰의 상호작용 변수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역할만족도가 매개변수로 투입된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가 원부모와의 양육에서 수용 받는 경험이 적으면 자신의 자녀를 키우면서 부모역할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지만, 자녀에 대한 이해와 부모역할에 대한 이해가 높을 경우 부모역할 만족도를 높여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으로 이어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부모상담과 부모교육의 방향성 및 개입방안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시사하는 바이다.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ed-moderation effect of parental reflection levels from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by the parents to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by examining it through the lens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27 mothers who and their infants aged 3-6 yea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he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scale, parental reflection scale, parental role satisfaction scale and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scale.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 mediating model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by parents and mother’s reactions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was mediated by parental role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revealed the moderation effect of parents reflection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by parents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Finally, parental reflection levels were also seen to have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parental reflection level from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to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s of their preschoolers through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parental refle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박주연,최영희,황리라,박남심 한국놀이치료학회 201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2 No.1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maternal rearing behavior, and a child’s sociability. 228 children (119 boys and 109 girls) and their mothers compri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A number of study variables were collected by means of survey responses from mothers and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maternal depression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to maternal rearing behavior and a child’s sociability. Maternal rational guidance, limit setting, and affection rearing behavior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 child’s social activity, sensitivity, stability, and levels of cooperation. Additionally, maternal responsivenes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evels of cooperation. Second, rational guidance, limit setting, affection rearing attitudes were seen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a child’s soci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increasing positive maternal rearing behaviors could lead to an enhancement in the levels of sociability amongst children. 본 연구는 어머니의 우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성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228명의 유아들(남아 119명, 여아 109명)과 그들의 어머니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변인들은 질문지를 통해 어머니 보고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우울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 한계설정, 애정성 양육행동은 유아의 활동성, 예민성, 안정성, 협조성 사회성과 정적상관을, 어머니의 반응성 양육행동은 유아의 협조성 사회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 한계설정, 애정성 양육행동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높이면 유아의 사회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증상과 수면의 질이 유앙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선미(Kim, Seon-Mi),김영희(Kim, Yeong-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세운 이론적 모델을 통하여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 증상 및 수면의 질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유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아 유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관련된 어머니 변인을 탐색해 보고, 유아의 수면의 질을 높이고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부모교육이나 유아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C시에 소재하고 있는 8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어머니 449명이었다. 자료는 질문지법으로 수집하여 SPSS 12.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남아의 수면문제에는 어머니의 부부관계와 어머니의 우울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여아의 수면문제에는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 증상, 어머니의 수면의 질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남아와 여아 모두 문제행동에는 어머니의 우울과 자신들의 수면문제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우울이 높을수록, 유아 자신들의 수면문제가 높을수록 문제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부부관계는 어머니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우울은 어머니의 신체화 증상과 어머니의 수면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신체화 증상과 수면의 질은 여아의 수면문제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남아의 수면문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우울은 부부관계를 매개하고, 어머니의 신체화 증상과 수면의 질은 우울을 매개하여 여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 증상 및 수면의 질이 유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어머니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somatic symptom, and sleep quality on young children’s sleep and behavioral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others of 449 young children who were attending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and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x in AMOS 18.0 program using a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had direct effects on boys’ sleeping problem whereas girls’ sleeping problem was influenced directly by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depression, somatic symptoms, and sleep quality.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appeared to be the most relatively influential on sleeping problem of boys whereas mother’s sleep quality did for girls. Second, mother’s depression and children’s sleeping problem had direct effects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As looking into relative influence that had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 it appeared that the sleeping problem was the most influential for boys, while mothers’ depress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or girls. Third,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s depression, which it affected directly on mother’s somatic symptom, and quality of sleep. Mother’s depression ha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sleeping and behavioral problem. In addition, it showed that mothers’ somatic symptom and quality of sleep influenced on sleeping problem and problem behavior among girls, but no influence on ones among boys. In conclusion, it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depression, somatic symptom and sleep quality on children’s sleep and behavioral problem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ren. ce of sleep had on preschoolers’ sleeping problem and problem behavior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ir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역할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신은혜,손강숙 한국발달지원학회 2015 발달지원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역할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이 어떠한 관 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어머니의 양육 역할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경 기도 소재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400명과 유아의 어머니 400명, 그리고 교사 14명을 대 상으로 양육역할 수행 척도, 유치원 적응 척도, 사회적관계망 척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 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 고,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역할, 어 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세 변인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역할은 유치원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중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의 지지가 유치원 적응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역할과 유치원 적응에서 어머니 의 사회적 관계망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역할과 유아 의 유치원 적응에서 어머니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