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유아 어머니와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비교

        이주옥(Lee Ju-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5

        일반유아 어머니와 장애유아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을 보다 포괄적으로 비교해보고자 일반유아 151명과 장애유아 83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척도(신숙재, 1997), 양육효능감척도(이순복, 2005) 및 양육행동척도 (홍계옥, 1995)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장애유아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일반유아 어머니의 그것보다 높았다. 둘째,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어머니 모두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에서 자녀 변인보다 어머니 자신과 관련된 변인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셋째,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어머니 모두 자녀의 성별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일반유아 어머니는 첫째 자녀를 양육할 때 높은 스트레스를 보고한 반면, 장애유아의 어머니는 둘째이하의 자녀를 양육할 때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다섯째, 장애유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은 자녀의 장애유형과 장애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경우 모두 전업주부인 어머니가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between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 with(N=83) and without disabilities(N=151). 233 mothers of 3 to 5 year -olds responded to 3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The main results as follows: 1) The mothers who have disabled children had more parenting stress than those who have ordinary children. 2)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of mothers were more influenced by mother-related variables than child-related variables. 3) There's no sex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4) Whereas mothers who have ordinary children had more parenting stress to their first-ordered children, mothers who have disabled children had more parenting stress to their second-ordered children. 5)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of mothers with the disabled were not different by disabled children's types and degrees of disorders. 6) Whereas mothers' age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explain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of mothers with the disabled, mothers' job was very influential variable to explain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of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논문 고찰 -2000년대 논문을 중심으로-

        장은정 ( Eun Jung Ja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를 통하여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논문들을 고찰해 봄으로써 장애아의 부모 자녀 관계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원인을 이해하고, 도움 요인을 분석해 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감소에 도움을 주고 양육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 3가지 변인을 선정하여 고찰해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장애아동의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연구에 대한 석 박사 논문, 학회지의 연도별 분석을 하였는데 학회지는 거의 사회복지 관련 학회에서 연구 발표되어졌고 또한 학회지와 석, 박사 논문으로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어지고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에 관한 분석 결과로 먼저 아동의 장애 유형으로 대상을 살펴보면 발달장애(40%) 아동의 부모가 가장 많았으나 시각, 청각 장애아동의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 장애 아동의 교육환경은 특수학교 및 치료실 22(73%)가 가장 많았으나 가정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거의 없는 것은 가정이나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는 아동의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소외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인 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어머니보다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비율은 1(3%)로 상대적으로 적었고 더 많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 대상 논문에 제시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총 주요 독립변인은 14개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양육 스트레스에 대해 가장 많이 쓰이는 주요 독립변인은 스트레스 대처 방식으로 8(27%)편으로 가장 많았고, 즉 장애아동 부모가 느끼는 양육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양육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더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앞으로는 더 많은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research, through study of research papers on parent`s rearing stress of a handicapped child, we can search methods of enhancing handicapped child`s parent-child relationship, understand the origin of parent`s stresses, help in reducing rearing stresses of a handicapped child`s mother through analysis of support factors, and aid in developing a program to overcome the rearing stresses. For these objectives, we will take a closer look into research on parent`s rearing stress of a handicapped child. Research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1. A yearly basis analysis of master`s thesis, doctoral thesis, and journals were done in this research, while studies on parent`s rearing stress of a handicapped child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2. In this research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handicapped child, researches on parents of developmental handicapped child were the largest in proportion at 40%, while researches on parents of visually handicapped child and child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the least in proportion at 3% each. Also, a lot of researches on visually handicapped child and child with hearing impairments are in need. Secondly,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handicapped child, researches on special educational school and treatment centers were largest in number at 22(73%), while studies of combined social environment (home) were not done at all. Overall research on parents of handicapped child should be done along with the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al schools as well. 3. A total of fourteen principal concepts and variant factors have been extracted from the selected papers for this research. Analysis results show that of the 30 papers in total, the most emphasized principal concept variant factor was stress management method with 8 researches (27%), research each.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김세연(Se-Y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0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ADHD의 증상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아정신과 3곳에서 ADHD로 진단받은 만 4∼12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양육행동, ADHD 증상 척도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ADHD 증상은 각각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 수정한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부모용 한국형 ADHD Rating Scale(K-ARS)를 사용하였다. 총 59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ADHD 증상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F=12.88, p<.0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 중 애정적 태도와 부적상관을, 거부적 태도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F=10.23, p<.001). ADHD 증상은 양육행동 중 거부적 태도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F=5.64, p<.01). ADHD 자녀를 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위해서는 아동의 ADHD 증상에 대한 치료적 접근와 함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DHD symptoms, parenting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e data were provided by 59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who is aged between 4 and 12.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were recruited through 3 departments of child psychiatry.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the Korean version of revised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and ADHD Rating Scale(K-ARS) was used to assess parenting stress,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and ADHD symptoms respec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arental distress and warmth, rejection behavior. Parental distress is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DHD symptom and rejection behavior. ADHD symptom is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is related to ADHD symptom, parental distress. Therefore, it is needed for not only treatment related to ADHD symptom but also interventions for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양육지식, 영아의 성별과 기질을 중심으로

        김민정(Min Jeong Kim),김소영(So Young Kim),이경옥(Kyung Ok Lee) 한국보육학회 2020 한국보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취업 여부, 양육지식, 영아의 성별, 기질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설명력을 검토하였다. 이를위해 18개월~36개월의 영아를 자녀로 둔 취업모(87명)와 비취업모(98명) 185명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과 더불어 영아의 기질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영아의 성별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취업모가 비취업모 보다 양육 스트레스가 더 높았으나 영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영아의 기질 중 부정적 정서를 높게 인식하고 의도적 통제를 낮게 인식할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아졌으며, 어머니의 양육지식 중 정서발달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낮았다. 셋째, 동시적 회귀분석을 통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있어 영아의 성별과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취업 여부의 상대적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영아의 기질 중 부정적 정서와 의도적 통제가 중요한 변수임을 알수 있었으며, 특히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어머니의 양육지식이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중요한 변수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자녀의 기질을 잘 이해하고, 양육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하며,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고려하여 다양한 지원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loyment status, parenting knowledge, infant gender and temperament in relation to the infancy parenting stress, and examined the unique contribution of these variables to parenting stress. Methods: Subjects were 185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aged 18-36 month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to perform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effect siz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was higher than that of non-employed mother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gender of infants. Second,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were closely related: the higher the negative affectivity and the lower the effortful control,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Also, among the mother"s parenting knowledge, the more knowledge about emotional development, the lower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ird, simultaneous regression analysis investigated the unique contribution of these variables to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we found the importance of their child"s temperament,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mong infant teperament, negative affectivity and effortful control were important factors i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knowledge of parenting proved to be important variables in parenting guilt. Conclusion/Impli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nature of infants, and to reduce the social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mother"s role in reducing guilt about other people"s parenting, and to reduce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it suggests that mother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ir child"s temperament well and help in different approaches depending on whether the mother is employed or not.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손수민 ( Soo Min Soh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의 전반적인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를 둘러싼 다양한 생태학적 변인들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2008년 자료를 바탕으로 배우자가 있는 취업모 656명과 비취업모 138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보통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양육비용에 대한 부담, 육아정보선택, 자녀의 정서적 안정에 대한 책임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취업모에 비해 비취업모가 더 높은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에 관련된 변인들을 살펴보았을 때, 취업모가 비취업모에 비해 자기효능감과 부모됨의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남편이 자녀양육에 더 많이 참여하였고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도 높아 양육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에 관련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의 어머니 모두 양육 관련 특성인 자기효능감, 부모됨의 태도, 양육방식이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쳤다. 또한 비취업모의 경우에만 남편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ir related factors which influence their child rearing. The participants were 656 employed mothers and 1380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from 2008 Korean Children Pan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ent though medium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non-employed mothers reported parenting stress higher than employed mother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high level of parenting stress in parenting costs, selection of appropriate paren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responsibility of infants` emotional stability. Second, compared to non-employed mothers, employed mothers reported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positive attitude of being parent. In addition, employed mothers experienced spouse`s and social supports for child rearing. Third, mothers` child-rearing related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positive attitude of being parent, and parenting style, had influential impact on parenting stress. Furthermore, in terms of parenting stress, only non-employed mothers were influenced by their spouse`s and social supports.

      • KCI등재

        중학생의 부모 양육태도와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및 자아효능감의 관계

        조결자,이명희 한국아동간호학회 201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6 No.2

        본 연구는 중학교 1, 2학년생 262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행동과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및 자아효능감의 정도와 부모양육태도와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빈도와 백분율, 평균점수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스트레스 정도는 보통 이하이었으나 학업과 부모영역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갖고 있었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적극적인 대처행동을 가장 많이하였고, 사회적지지 추구대처행동은 가장 적게 하였으며, 자아효능감은 보통 이상으로 높았다. 넷째,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트레스간에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스트레스가 낮았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 효능감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 효능감이 높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는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의의는 부모의 자율,관심, 애정을 포함한 양육태도를 긍정적인 면으로 높여서 중학생 자녀의 스트레스를 낮추고 자아 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매우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트레스 대처행동들과는 상관이 없고,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부족함을 확인하게 되었으므로 대처행동에 관한 부모의 관심과 양육방법 및 자녀의 행동수정 등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반복연구가 요구되며, 중학생의 스트레스를 낮추고 스트레스 대처방안과자아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들을 제언하는 바이다.

      • KCI등재

        부의 양육참여와 모의 양육신념이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권정미(Kwon, Jung Mi),박영준(Park, Young J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느 정도인지 그 실태를 파악한 후, 부의 양육참여와 모의 양육신념이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지역사회의 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에 따라 모의 양육 스트레스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어머니 중, 모의 양육신념, 부의 양육참여, 지역사회환경,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련된 문항에 충실히 응답한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여 1,572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부의 양육참여와 모의 양육신념은 지역사회환경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의 양육참여는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모의 양육신념에 따른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본 본 결과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사회환경은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사회환경을 매개로 검증한 결과 부의 양육참여와 모의 양육신념은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환경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a degree of rearing stress of mothers who take care of infancy and young children, to analyze the analysis an influence toward mother's rearing stress by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beliefs, and to find a solution to relieve mother's rearing stress with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environment. By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 total of 1,572 mothers participating in the fifth year survey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selected, who answered all questions related to mother's beliefs,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community environment, and mother's rearing stres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beliefs influence the community environment in positive way. Second,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has a straightforward and positive influence on mother's rearing stress. Third, mother's beliefs directly affects mother's rearing stress. Fourth, community environment has advantageous and direct impact on mother's rearing stress. Fifth, by mediating with community environment,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beliefs influence mother's rearing stress not only a directly way but also a indirect way. With those result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alleviate mother's rearing stress

      • KCI등재후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방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eral tendency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and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as well as seek efficient ways to improve their parenting efficacy.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between April 7, 2018 and April 19 in Seoul that included 200 mothers with infa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tudy of the overall trend of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among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showed that the overall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were all high. Second, after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the whol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 care was an amulet correlation. Third, in the study of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knowledge on the ability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parental role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were affected throughout the child care system. Subsection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ability to raise children were affected by parental role and knowledge, and parenting skills were influenced by parental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education and parental counseling program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stress on the parenting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nd to enhance the efficacy of parenting through parenting knowledge.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전반적인 경향과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4월 7일부터 4월 19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과 직장 어린이집의 영아기(만 1세, 만 2세) 자녀를 둔 어머니 200명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모두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소는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소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양육효능감 전체에서는 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양육지식이 영향을 주었다.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소별로는 전반적인 양육능력, 의사소통능력,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에는 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양육지식이 영향을 주었으며, 훈육능력에는 양육지식이, 학습지도능력에는 부모역할 스트레스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양육지식을 통해 양육효능감을향상시킬 수 있도록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정서조절능력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조효숙,이석자,박영숙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5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정서조절 능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어 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경기도와 서 울의 어린이집 만 3, 4, 5세 유아 145명의 담임교사와 유아의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 집하였다. 양육 스트레스는 어머니가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 유능감은 담임교사가 체크하도록 하였으며 SPSS 25.0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유아 의 사회적 효능감, 정서조절 능력 인식수준은 모두 평균보다 높았으며 둘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 회적 유능감, 정서조절 능력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유아의 사 회적 유능감과 정서조절능력은 낮아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조절능력에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영향을 끼침을 밝힘으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감소와 긍정적 해소가 유아의 성장발달에 중요함을 인식시키고 주 양육자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해소시킬 수 있는 방법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정서조절능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로 그램 개발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이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infant, and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to find out how the parenting stress affects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5 homeroom teachers and Mot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earch method Infant mothers checked parenting stress, homeroom teachers checked infants'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and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three variables are higher than average. Seco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Third, as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increased,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decreased, and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negatively affected the infant'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Follow-up studies sugges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ducing and positive relieving mother parenting stress in infant growth development by revealing that mother parenting stress affects infant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suggesting development of infan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control.

      • KCI등재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

        이지연(Ji-Yeon Lee),김원경(Won-Kyung Kim),정경미(Kyong-Mee Chung)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mechanisms of caregiving stress,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s, stress-coping, and social support between caregiving grandmothers and the caregiving mothers. Three caregiving groups were compared; One hundred and fifty-two grandmothers rearing their grandchild as daytime care-giver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 group), 152 mothers who shared the responsibilities of caregiving the same child (partial caregiving-mother group), and another 157 mothers who rear their child as daytime care-giver (primary caregiving-mother group).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for these caregiving groups were also asses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 group had more depressed than two mother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rental stress among three caregiving groups. In addition, primary caregiving-mothers used more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more social support than did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In parental behaviors,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significantly had more laxness, less overactive than two mother groups. In the analysis of hierarchical regression, overactivity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in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On the other hand,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overac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in partial caregiving-mothers. In primary caregiving-mothers, overactivity, depression, and emotion-focused cop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We discussed the differences of the predictors in parental stress between grandmothers and mot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의 양육을 지원하는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그의 예언변수들을 탐색하고 이를 양육모집단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할머니 152명(지원 양육조모)과 그 아동의 어머니 152명(부분 양육모),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 157명(주 양육모)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양육행동,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와 부분 양육모에 비해 유의하게 우울하였으나 양육 스트레스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보다 사회적 지지와 문제 중심 대처 능력이 뚜렷이 낮아 스트레스에 가용한 자원이 취약함을 시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예언변수로 양육행동(과잉반응성, 방임성), 스트레스 대처(문제 중심 대처 및 정서 중심 대처), 사회적 지지, 우울의 설명량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변수는 과잉 반응성, 우울이었다. 주 양육모도 과잉반응성과 우울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였고, 정서 중심대처도 예언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부분 양육모는 사회적 지지, 우울, 과잉 반응성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로 나타나 낮시간 양육 집단과는 차이를 보였다. 우울이나 자원의 측면에서 조모 집단과 모집단의 차이를 논의하고, 예언 변수를 중심으로 양육 집단과 비양육 집단의 차이, 조모 집단과 모집단 간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