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제(replica)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토기 압흔 분석

        孫晙鎬,中村大介,百原新 한국문화유산협회 2010 야외고고학 Vol.0 No.8

        본 연구에서는 농경사회로 인식되고 있는 청동기시대의 토기를 대상으로 복제법을 이용하여 압흔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당시 사회의 식물 이용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돌대문토기 단계의 벼와 기장이 확인되어, 신석기시대 이후로 조, 기장의 재배에 벼가 더하여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벼가 확인된 주거지는 돌대문토기 단계 중에서도 이른 시기에 해당하여 벼의 이용이 돌대문토기 단계 성립의 계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추정되었다. 더불어 돌대문토기가 출토된 취락들은 대부분 벼농사에 적합한 하천 주변의 충적대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단계에 논농사가 도입되었을 가능성도 언급하였다. 둘째, 토기에 찍힌 압흔의 위치를 바탕으로, 제작 중의 토기를 의복 위에서 조정하거나 작업대 위에 토기를 두는 경우, 점토 반죽 시에 혼입될 가능성 등을 상정하였다. 또, 청동기시대 이른 단계의 토기에서 상대적으로 다수의 압흔이 관찰되는 이유에 대하여, 전기 이후 토기를 제작하는 공동 작업장에 더 이상 곡물이 흩어져 있지 않은 상황과 토기 제작 장소가 별도의 공간으로 분리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토기 제작의 계절에 대해서는 곡물 이외에도 가을에 관찰되는 열매의 압흔이 확인되어, 수확 종료 후의 가을, 즉 농한기에 토기를 제작한다는 제작 주기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 세 번째는 일본열도 농경과의 관계에 대하여 벼의 확실한 사례가 한반도의 돌대문 토기 단계와 이에 병행하는 조몬시대 후기 후반에 등장하기 때문에, 이 시기를 벼 이용의 획기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일본열도에서는 조의 사례가 매우 적고 기장의 이용도 야요이시대 이후에나 확인되는 것에 반해 한반도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조·기장의 이용이 성행하여, 양 지역 농경의 차이도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었다. The replication of impressions on pottery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constructing subsistence from sites without plant residue. Even if excavation has already finish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cereals by replication. In addition, the replication of impressions left on pottery can be used from Neolithic to historical times, so far as pottery exists. In the case of severely weathered pottery it is difficult to replicate a large number of impressions. However, by attentive observation, it is at least possible to obtain some impressions from the pottery. The most meaningful result from our research was the identification of rice and millet from the Hanam Misari site, which has not yet yielded cereal remains. Pottery from Hanam Misari has been dated to the earlier part of the Initial Bronze Age. This period was examined as it is related with agricultural developments of the Late Jomon period in the Japanese archipelago. In addition, the season in which pottery production took place was calculated using impressions of plant remains other than cereals. These results illustrate that replications can be widely used and not be limited to the reconstruction of subsistence. It may therefore be suggested that the replication of impressions left on pottery, as with the analysis of plant remains, is a useful way to shed light on the nature of human lives in the past. It should therefore be established as an important method of archaeological analysis.

      •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활용연구 성과와 과제

        이경아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고고학지 Vol.21 No.-

        본고는 신석기 유적에서 보고된 식물 유체 및 압흔 자료를 검토하여 식물자원의 이용상 및 그 변천, 특히 작물의 기원과 생계경제상 중요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중국 황하유역에서 작물화된 조와 기장은 신석기 중기부터 도입되었다고 간주되었으나 최근 압흔분석에 의하면 조기에 동남해안 지역에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콩과 팥은 한국과 일본, 중국에서 다발적으로 작물화되었을 가능성이 유전학과 고고학에서 거론되고 있다. 콩과 팥의 탄화 유체는 중기부터 출토되나, 오산리 유적 조기 무문양토기에서 팥의 압흔이 확인되고 그 탄착물의 연대가 조기로 측정되어 가장 이른 자료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전기 운서동 유적 횡주어골문토기에서 확인된 팥 압흔 역시 이른 자료이다. 살내 유적 전기토기에서 각각 보고된 콩의 압흔은 좀더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신석기시대 식물자원의 이용, 특히 도작 이전 잡곡 재배는 생계경제상 중요도가 낮고 문화상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농경의 집중화나 식생활의 큰 변화를 시사하지는 않더라도 신석기인이 이르면 조기부터 작물을 이용 혹은 재배하면서 주변 환경을 개척할 수 있는 기초를 쌓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문화진화상 중요한 전환점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즉 조와 기장 및 팥은 조기부터 수용되었으며 이러한 이른 수용을 거쳐 중기에 이르면 최소한 일부 지역에서는 전작이 생계경제의 일환으로 자리 잡았으리라 추정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plant use patterns and origins and role of plant resources in the Neolithic Korea, based on the findings of plant remains and grain impression. Foxtail and broomcorn millets, originated from the Huangehe Basin, are beloved to have been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Middle Neolithic period, but the recent study on grain impressions reveal their adoption as early as the Initial Neolithic period along the eastern part of southern coastal regions. Both genetic and archaeological studies suggest the multiple origins of azuki and soybean in China, Korea, and Japan. The earliest charred remains of both legumes are dated to the Middle Neolithic period. Azuki impression was found at the Initial Neolithic plain pottery at Osanri with the matching AMS date on encrustation on it, suggesting a possibility of early use of azuki. Moreover, azuki impression was also identified on the Chulmun pottery at the Unseodong site. Soybean impression at the Salnae Early Neolithic site needs to be reexamined. A role of plant resource in Neolithic diet and subsistence has been overlooked, regarding them as minor resource and no cultural significance. Despite of actual contribution to diet, the management of landscape for intensive harvesting and management of plant resources itself was a significant part of cultural niche construction, a turning point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at is, initial adoption and use of both millet taxa and azuki paved an evolutionary path to a more established dry farming by the Middle Neolithic period.

      • 자동차용 이종두께 점용접물의 압흔 깊이와 인장-전단강도 특성

        김회현(Hoi-Hyun Kim),박정훈,Seung-Su Kim,백승세(Seung-Se Baek),권일현(Il-Hyun Kwon),양성모(Seong-Mo Yang),유효선(Hyo-Sun Yu) 대한기계학회 200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4 No.10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elding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ensile shear strength with various welding conditions on the 3-lap spot welded joint. The indentation depth are used to propose the optimum welding conditions. The tensile-shear strength has affected by the welding current and the welding time for 3-lap spot welded joint constructed by a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galvanized steel sheet.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indentation depth has a relativel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xpulsion occurrence. The optimum welding conditions are proposed for the 3-lap spot weldment.

      • KCI등재

        동삼동패총·비봉리유적 출토 기장·조 압흔의 동정과 그 기준

        小畑弘己 한국신석기학회 2013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5

        Recent ethnobotanical studies in Korea have got a remarkable progress concerning to the cultivated millets in Neolithic and Bronze Age using “impression method”. We also discovered the oldest broomcorn millet impression and foxtail millet impressions from the Earliest Neolithic and the Early Neolithic potsherds in Dongsamdong Shell Midden in Busan City. Additionally we discovered the first half of the Early Neolithic foxtail millet impressions from the potsherds in Bibongri Site in Changwon County. These discoveries are 1000 or 1500 years older cultigens than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Korea so far and let us to rethink about the timing and the process of beginning of early agriculture in the southern Korea. However a doubt on our identification of the earliest millet in Korea have been proposed soon after our publications. To answer the question this paper shows the descriptions about diagnostic characteristics to identify the broomcorn millet, foxtail millet and barnyard millet spikelet with which we re-identified the millet impressions from Dongsamdong Shell Midden and Bibongri Site and refers to the forming process of the early agriculture in Neolithic Korea based on the ethnobotanical analyses on the millet impressions discovered from these sites. The sizes of millet spikelet impressions in Neolithic Korea indicate that the millets were not been full-domesticated but on the domestication process in that time. As the result we recognize that the millet farming was introduced from the northern China by the cultural propagation and not by the people emigration with the agricultural package from the origi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점용접 시 압흔 깊이 감소를 위한 최적 용접조건 선정에 관한 연구

        서승일,이재근,장상길,차병우 대한용접접합학회 1996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14 No.2

        In this paper, authors are trying to find optimum spot weldig conditions to minimize indentation of the plate surface which is crucial to quality of stainless rolling stocks. At first, to derive a simple equation to estimate the depth of indentation, a simplified one-dimensional bar model is proposed and validity of the model is confirmed by experiments. And also, to find proper welding conditions giving satisfied tensile strength of the welded joint, a simple formula is derived referring to the standard spot welding conditions by AWS. Optimization problem is formulated to find welding conditions such as welding current, time and applied force which give minimum indentation and proper tensile strength of joint, and solutions are found ou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depth of indentation can be expressed by applied electrode froces and it can be shown that an optimum applied force exists.

      • KCI등재

        배터리 리드탭 압흔 오류 검출의 딥러닝 기법 적용

        김윤호,김병만 한국산업정보학회 202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7 No.2

        자동차용 배터리 제조공정 가운데 하나인 Tab Welding 공정에서 생산된 제품의 샘플링 인장검사를 대체하기 위해 현재 비전검사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비전검사는 검사 위치 오차 문제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도 그런 사례 중 하나로 기존 제품 검사에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Faster R-CNN을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 비전검사기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들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Faster R-CNN ResNet101 V1 1024x1024 모델을 사용하여 학습하였다. 검사 기준인 미검률 0%, 과검률 10%의 기준으로 기존 비전검사와 Faster R-CNN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미검출률은 기존 비전검사에서 34.5%, Faster R-CNN 검사에서 0%였다. 과검출률은 기존 비전검사에서 100%, Faster R-CNN에서 6.9%였다. 결론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 리드탭 암흔 오류 검출에 딥러닝 기술이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