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東겗亞 靑銅器ㆍ初期鐵器時代 首長墓 副葬遺物의 展開

        中村大介(Nakamura Daisuke)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일본열도, 한반도, 중국 동북지방에서는 괞寧式銅劍이나 세형동검 등의 공통되는 문물이 관찰되며, 부장품도 직ㆍ간접적으로 관련성을 가진다. 그러나 부장품의 종류와 취급 방법, 사회 복잡화의 과정에 대해서는 지역마다 다른 점도 많다. 본고에서는 부장품의 종류와 수량, 매장시설과 부장품의 상관성, 구획시설에서 확인되는 출자집단의 유대 강화에 착안하여 동북아시아 각지의 사회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부장품의 양ㆍ질과 구획시설을 포함한 매장시설의 규모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遼西地域을 제외한 동북아시아 청동기시대에는 기본적으로 출자집단의 유대를 강화하면서 집단끼리 경합하는 脫平等社會가 먼저 성립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후 遼西地域의 夏家店上層文化의 영향에 의해 개인이 돌출하는 계층화 사회가 遼東地域이나 한반도에까지 확산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일본열도의 近畿地方에서는 동북아시아 각지에서 계층화 사회가 성립되고 있던 기원전 1세기에도 출자집단 간의 경합이 현저한 탈평등 사회가 지속되었다. 近畿地方에서는 다수의 수전이 확인되었으며 큰 분구를 가진 무덤도 발달하였지만, 기본적으로 부장습속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었다. 청동기시대의 한반도 남부에서도 부장품은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이와 유사한 사회 환경이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사례들을 비교 검토하면 물질적인 풍부와 계층화가 반드시 서로 관련된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There were common artifacts such as Liaoning style dagger and slender style daggers in different time between northeastern China,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archipelago. However, many different points are seen in the type and treatment of burial, besides in the process of social complication in these areas. Therefore, in this paper, author studied social changes in some areas of Northeast Asia from the view point of relationship between kinds, quantity of burial goods and the size of graves including dividing facility as cairn and moat. As a result, considering many cases which the kinds and quantity of burial good were not relate with the size of grave, it was found that trans–egalitarian societies which some descent groups basically reinforced steady connection and competed each other were formed at first in Bronze Age of Northeast Asia except Liaoxi area. Besides, author showed stratified society, which has predominant individual, formed in Upper Xiajiadian culture of Liaoxi area and spread throughout Liaodong area and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trans–egalitarian society was continued in Kinki area of Japanese archipelago around 1st century B.C. when stratified societies were formed in almost all areas in Northeast Asia. It has been recognized that so much paddy fields and graves with large burial mound existed in Kinki area, but the people there rejected the custom of offering burial goods basically. Almost all societies in Bronze Age of Korean peninsula is similar to Kinki area in social circumstance, although the custom of offering became common. Hence, from these case, it can be concluded that material affluence are not always correlated to progress of social complication including formation of stratified society.

      • KCI등재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의 編年과 年代

        中村大介 한국고고학회 2008 한국고고학보 Vol.68 No.-

        Various views have been put forth regarding the calendrical age of the Bronze Age in Korea, with the accumulation of AMS dates, in particular, suggesting that it may be older than previously assumed. The timeline for the appearance of the ‘Jumtodae Pottery Culture’ in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however, had yet to be considered sufficiently. The aim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reconstruct the ceramic chronology of the Liaoning area, which is closely associ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o compare this with the chronology of northern Korea to see how it relates to the southern Korea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learly indicate that Jumtodae pottery cannot be earlier than Shuangtuozi Phase III of the Liaodong peninsula, and that clay banded (doldaemun) pottery and double rimed pottery continued to coexist until the appearance of the Liaoning type bronze daggar (late 9th century BC).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Jumtodae pottery appeared in the Liaodong peninsula at around the ‘old type Liaoning style bronze daggar’ stage, and was diffused, at the latest, into the Korean peninsula at a time contemporary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If pommel fitting type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it may be argued that Jumtodae pottery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lender type bronze daggar.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features of the Bronze Age and Jumtodae pottery cultures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end of Jumtodae pottery) were heavily influenced by cultures of Northeastern China, which were deeply associated with those of northwestern Korea. The social changes resulting from the Yan invasion and formation of Lelang were quickly transmitted along the Jumtodae exchange networks connecting the northen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The existence of this alterative cultural network may have contributed to the demise of the Bronze Age culture.

      • KCI등재

        복제(replica)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토기 압흔 분석

        孫晙鎬,中村大介,百原新 한국문화유산협회 2010 야외고고학 Vol.0 No.8

        본 연구에서는 농경사회로 인식되고 있는 청동기시대의 토기를 대상으로 복제법을 이용하여 압흔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당시 사회의 식물 이용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돌대문토기 단계의 벼와 기장이 확인되어, 신석기시대 이후로 조, 기장의 재배에 벼가 더하여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벼가 확인된 주거지는 돌대문토기 단계 중에서도 이른 시기에 해당하여 벼의 이용이 돌대문토기 단계 성립의 계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추정되었다. 더불어 돌대문토기가 출토된 취락들은 대부분 벼농사에 적합한 하천 주변의 충적대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단계에 논농사가 도입되었을 가능성도 언급하였다. 둘째, 토기에 찍힌 압흔의 위치를 바탕으로, 제작 중의 토기를 의복 위에서 조정하거나 작업대 위에 토기를 두는 경우, 점토 반죽 시에 혼입될 가능성 등을 상정하였다. 또, 청동기시대 이른 단계의 토기에서 상대적으로 다수의 압흔이 관찰되는 이유에 대하여, 전기 이후 토기를 제작하는 공동 작업장에 더 이상 곡물이 흩어져 있지 않은 상황과 토기 제작 장소가 별도의 공간으로 분리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토기 제작의 계절에 대해서는 곡물 이외에도 가을에 관찰되는 열매의 압흔이 확인되어, 수확 종료 후의 가을, 즉 농한기에 토기를 제작한다는 제작 주기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 세 번째는 일본열도 농경과의 관계에 대하여 벼의 확실한 사례가 한반도의 돌대문 토기 단계와 이에 병행하는 조몬시대 후기 후반에 등장하기 때문에, 이 시기를 벼 이용의 획기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일본열도에서는 조의 사례가 매우 적고 기장의 이용도 야요이시대 이후에나 확인되는 것에 반해 한반도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조·기장의 이용이 성행하여, 양 지역 농경의 차이도 어느 정도 인정할 수 있었다. The replication of impressions on pottery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constructing subsistence from sites without plant residue. Even if excavation has already finish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cereals by replication. In addition, the replication of impressions left on pottery can be used from Neolithic to historical times, so far as pottery exists. In the case of severely weathered pottery it is difficult to replicate a large number of impressions. However, by attentive observation, it is at least possible to obtain some impressions from the pottery. The most meaningful result from our research was the identification of rice and millet from the Hanam Misari site, which has not yet yielded cereal remains. Pottery from Hanam Misari has been dated to the earlier part of the Initial Bronze Age. This period was examined as it is related with agricultural developments of the Late Jomon period in the Japanese archipelago. In addition, the season in which pottery production took place was calculated using impressions of plant remains other than cereals. These results illustrate that replications can be widely used and not be limited to the reconstruction of subsistence. It may therefore be suggested that the replication of impressions left on pottery, as with the analysis of plant remains, is a useful way to shed light on the nature of human lives in the past. It should therefore be established as an important method of archaeologic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