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유형에 따른 3-4세 유아와 아버지의 반응성

        손문규,신명선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iveness of toddler between ages 3 and 4 according to age and sex. Methods: The study examined the responsivenes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play types between three- to four- year-old toddler and father.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24 subjects including 12 normal toddlers (3 to 4 years old) who were in the normal category of PRES with no problem of physical, cognitive, or emotional behaviors and 12 fathers. This study recorded 10 minutes of free play between the toddlers and their respective fathers, constructive play, physical play, and role play, respectively, and analyzed their responsiveness Results: In terms of the responsiveness of toddler and father's interaction play type, the responsiveness of toddler's play type was highest in the physical play, followed by role play and free play, followed by constructive play. In the responsiveness according to toddler's age, 4‐year‐old toddlers showed higher in the constructive play than 3‐year‐old toddlers, and showed higher in the role play. In the responsiveness according to toddler’s gender, there was more cooperation in the constructive play of female toddlers, cooperation and involvement in the physical play, and acceptance in the role play than male toddler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responsiveness of the toddler in relation to toddler and fathers' interaction situations are highly related to the responsiveness of the father. As this is a two‐way relationship that affects each other and the play type, sex, and age differ from each other, it can be said that the father should suggest the type of play appropriate to the age and sex of the toddler. 목적: 본 연구는 놀이 유형에 따른 3~4세 유아와 아버지의 상호작용에서 반응성이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연령,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PRES 결과가 정상 범주에 속하고, 신체, 인지 및 정서행동의 문제를 보이지 않는 3~4세에 해당하는 일반 유아 12명과 아버지 12명을 대상으로 자유놀이, 구성놀이, 신체놀이, 역할놀이 상황을 각각 10분 간 녹화하여 반응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아버지의 상호작용에서 놀이 유형별 유아의 반응성은 신체놀이, 역할놀이와 자유놀이, 구성놀이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반응성에서 4세가 3세 유아보다 구성놀이, 역할놀이에서 반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반응성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구성놀이, 신체놀이, 역할놀이에서 반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아버지의 상호작용에서 놀이 유형별 아버지의 반응성은 신체놀이, 역할놀이, 자유놀이와 구성놀이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의 반응성은 4세 유아 아버지가 3세 유아 아버지보다 구성놀이, 신체놀이, 역할놀이에서 반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반응성은 여아 아버지가 남아 아버지보다 구성놀이, 역할놀이에서 반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의 반응성은 아버지의 반응성과 관련성이 매우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양방향적인 관계로 놀이 유형과 성별,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아버지가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맞는 놀이 유형을 제시하고 각각의 놀이 속에서 필요한 반응성들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놀이를 하지 못하는 아버지들에게 놀이 유형과 놀이 유형 속에서 유아에게 반드시 집중해주어야 할 반응성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며, 부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근거를 제시하는 임상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아버지의 반응과 아버지에 대한 아동의 표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송하나 한국인간발달학회 2008 人間發達硏究 Vol.15 No.2

        본 연구는 서울 시내 및 근교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학 중인 58명의 아동과 그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아버지의 반응이 아동이 아버지를 어떤 존재로 인식하는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 하였다. 아버지들의 정서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CCNES)을 번역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의 아버지에 대한 표상은 애착 이야기 완성 과제에서 아동이 만든 이야기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들의 아버지에 대한 표상은 도움을 주는 대상, 아동을 지키는 대상, 애정의 대상, 일하는 대상, 집안 갈등의 대상, 처벌하는 대상의 여섯 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아버지를 애정의 대상으로 표상한 반면, 남아는 여아보다 아버지를 일하는 대상으로 표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움을 주는 대상으로의 표상은 아버지의 스트레스 반응에 부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아버지의 문제 중심 반응과 정서 중심 반응과는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문제 중심 반응과 정서 중심 반응은 아동을 지키는 대상으로서의 아버지에 대한 표상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들은 자율성을 강조하는 권위가 있는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성역할 모델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 KCI등재

        반응적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신용주 한국성인교육학회 200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2 No.3

        Since two decades ago, the issue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A review of literature reveals that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has become a more important factor in fostering healthy child development in many aspects. However, in most of nuclear families, where women work outside home, mothers have experienced difficulty in providing necessary care for children without sufficient help from their husbands. To date, a new generation of fathers ar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are expected to participate more in child care and they are eager to learn how to fulfill that expectations. Although the number of fathers who want to increase their knowledge and skills relating to fathering, there have been limited kinds of father education programs available to them. In this paper, a new father education program called, 'Responsive Father Education Program' which consists of six sessions has been suggested and discussed in detail. Definitions and theoretical frameworks were introduced, and major them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each session were presented. The 'Responsive Father Education Program' is aimed at promoting responsiveness of fathers by encouraging them to adjust to the needs of their spouse and children, to relate to them, as well as to enhance their family life. 전통적으로 부모교육은 자녀양육 및 교육의 주체는 어머니이며 부모교육의 주 대상도 어머니라는 인식에서 대부분 어머니 대상으로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와 가족의 변화는 여성 취업의 증가와 함께 아버지의 적극적인 자녀양육에 대한 참여를 요구하고 있으며, 아버지 역할의 차원이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아버지 역할교육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아버지 역할참여가 자녀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아버지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아버지교육의 현황을 살펴본 후, 근래 서구에서 제시된 새로운 아버지 상인 반응적 아버지의 개념에 기초한 반응적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반응적 아버지란 아내 및 자녀의 요구에 부응하며 자녀양육에 적극 참여하여 결혼생활과 가족역량의 증진을 추구하는 아버지로, 본 연구에서는 반응적 아버지가 되도록 지원하기 위한 6회기에 걸친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반응적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고, 프로그램의 취지와 목표를 설정한 후 각 회기별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교육활동들을 소개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아버지 언어와 아동의 반응

        황하민,이수향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는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아버지 언어와 아동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3세 영유아와 그 아버지 23쌍을 영유아의 언어능력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눈 후 아버지-영유아 상호작용 상황에서 언어를 수집하고 언어 측정치 및 아버지 질문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용어휘점수 상위집단 아버지의 평균낱말길이가 수용어휘점수 하위집단의 아버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었으며. 상위집단 아버지들이 폐쇄형 질문의 하위 유형인 예/아니오 질문을 더 많이 산출하였다. 아버지의 질문에 대한 영유아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주제지속 폐쇄형 질문에서 반응빈도가 높았고, 주제지속 개방형 질문에서 가장 길게, 주제개시 개방형 질문에서 가장 짧게 반응하였다. 본 연구에서 아버지는 영유아의 언어수준에 맞추어 발화길이를 조절하였으나 질문 유형을 크게 변화시키지는 않았다. 하지만 아버지의 질문유형에 따라 영유아의 언어적 반응률과 반응길이가 다르다는 것은 부모가 영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해 적절한 질문을 사용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thers' language and children's responses during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toddlers. Twenty-three pairs of infants, aged 2-3 years, and their fat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infants' language abilities. Language data were collected during father-infant interaction sessions, and language measures and father ques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fathers in the higher receptive vocabulary score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nger MLU-w(mean length of utterrance in words) than fathers in the lower receptive vocabulary score group. Additionally, fathers in the higher group asked more yes-no questions, which are a subtype of closed-ended questions. Analysis of infants' responses to their fathers' questions showed that both groups responded more frequently to topic-sustaining closed questions, responded longest to topic-sustaining open questions, and responded for the shortest to topic-initiating open questions. In this study, fathers adjusted the length of their utterances to match their infants' language level but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types of questions asked. However, the variation in infants' verbal response rates and response lengths, which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questions asked by father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parents using appropriate questions to enhance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어머니의 언어반응에 관한 연구

        윤혜진(Yoon, Hye-jin),허영림(Hur, Young-rim)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아시아문화연구 Vol.3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 양육에서 경험하는 4가지 상황(자기성취, 형제간 싸움, 떼쓰기, 소외)에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들과 사용하는 언어반응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를 둔 5명의 아버지들과 6명의 어머니들을 선정하여 서울에 소재한 P어린이집에서 면담을 실시하였다. 언어반응의 내용을 분석하는 틀로서 박외숙(2001)의 언어반응 유형(촉진적, 해결제시적, 비판적, 무관심적)4가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자료는 질문지, 심층면담, 면담노트, 녹화기록이다. 연구결과 아버지/어머니 모두가 촉진적 언어반응인 칭찬은 자녀가 자기 성취를 한 상황에서 사용하고, 공감은 자녀가 소외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공통점을 보였다. 차이점으로는 어머니 경우, 해결제시적 언어반응인 명령은 형제간 싸움의 상황에서, 경고는 떼쓰기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버지의 경우 무관심 언어반응인 화제 바꾸기는 떼쓰기 상황에서, 촉진적 언어반응인 공감은 형제간 싸움을 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차이점을 보였다. 따라서 아버지, 어머니가 효율적인 언어반응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칭찬법과 함께 다양한 공감교육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verbal response between father and mother in their conversation with their children under such situations as self-achievement, sibling quarrel, nagging and isolation. For this research five fathers and six mothers with children ages 3 to 5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at P day care center in Seoul. As for the content-analysis tool the four verbal response types were used by Park(2001): stimulating, problem-solving, critical and indifferent ones. Data was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 interview note, and recor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The similarity is that fathers/mothers tend to use stimulating verbal response like praise(self-achievement)and empathy (isolation).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mothers tend to use problem-solving response like command(sibling quarrel)and warning(nagging), fathers tend to use indifference response like changing topic(nagging) and to use stimulating verbal response like empathy(sibling quarrel).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lead to discuss, for effective verbal response of father and mother, parent education programs as to detailed praise strategies and empathy education with variety.

      • KCI등재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변인 탐색: 학부모 참여 모델을 적용하여

        정혜린 ( Jeong Hyeli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3

        이 연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Hoover-Dempsey와 Sandler(2005)가 개발한 학부모 참여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보육 및 교육 정책의 반응성,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입학 전 만 6세로 설정하였으며,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자료의 전반적인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였으며,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보육 및 교육 정책의 반응성은 온정적 양육행동에, 온정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유의한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은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자녀의 학교준비도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 참여에 대한 개인적 동기로서의 양육효능감과 참여의 실제적인 행동으로서의 온정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버지가 자녀의 교육관련 정보에 관심을 갖고 반응하는 것 역시 양육행동에 대한 참여유발 동기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자녀의 교육관련 성취에 기여하는 아버지 참여요인은 아버지의 개인적 동기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한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아버지 참여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parental involvement process developed by Hoover-Dempsey and Sandler (2005) was applied to examine the paternal variables affecting the school readiness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s parenting efficacy, the responsiveness of child-care and education policies, a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readiness were examin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year-olds yet to enter elementary school, and data obtained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2014) were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es, reliability analyses using SPSS 20.0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20.0,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s were verified using a Sobel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fa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he responsiveness of childcare and education policies had a direct effect on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In addition, a father's parent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the children through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involvement of father can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of school regarding children who a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아버지의 언어반응 유형에 관한 연구

        윤혜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들이 자녀 양육에서 경험하는 4가지의 상황들 즉, 자기성취, 형제간 싸움, 떼쓰기, 소외 속에서 자녀들과 사용하는 언어적 반응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자녀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를 둔 5명의 아버지들을 선정하였으며, 서울시에 소재한 P어린이집 원장실에서 2012년 11월 17일 오전 10시에서 12시까지, 자료분석은 질문지, 심층면담, 면담노트, 녹화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녀가 성취한 상황에서는 칭찬과 같은 촉진적 언어반응을, 형제간 싸움에서는 공감과 같은 촉진적 언어반응을, 떼쓰기 상황에서는 화제 바꾸기와 같은 무관심 언어반응을, 소외된 상황에서는 촉진적 언어반응 유형인 격려와 공감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아버지가 효율적인 언어반응 양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칭찬법과 함께 공감교육에 관한 연구 및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parent and child by investigating father's verbal response types in his conversation with his child under such situations as self-achievement, sibling quarrel, nagging and isolation. For this research five fathers with children ages 3 to 5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from 10 to 12 A..M. on Nov. 17, 2012 in the director's room at P day care center in Seoul. For material analysis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 interview note, recording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athers tend to use stimulating verbal response types like praise in the situation of self-achievement; stimulating verbal response types like empathy in the situation of sibling quarrel; indifference response types like changing topic in the situation of nagging and lastly, stimulating verbal response types like encouragement and empathy in the situation of isolation. The result of this paper is to lead to discuss, for effective verbal response of father, methods and programs as to detailed praise strategies and empathy education.

      • KCI등재후보

        <명당 훔친 딸>과 부모서사진단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문학치료연구 Vol.8 No.-

        이 논문에서는 구비설화 <명당 훔친 딸>에 대한 반응에 따라 그 각각의 부모서사를 진단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를 원망하는 반응들은 부모서사가 미약하거나 누락된 경우이다. 둘째, 딸을 배은망덕하다거나 불효막심하다고 비난하는 반응들은 아이의 삶은 부모가 준 것이다. 나쁜 불효자 자식은 처벌해야 한다는 내용의 부모 서사이다. 셋째, 딸은 소용없고 기왕이면 아들이 좋다는 반응들은 시집간 딸은 남편, 아들, 시부모를 돌보아야 하기 때문에 친정 부모에게 소홀할 수밖에 없다고 의심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부모서사이다. 넷째, 딸의 행동은 용납할 수는 없지만 아버지의 태도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들은 일방적인 불효란 없으며 부모가 효자를 만든다는 부모서사라 볼 수 있다. 다섯째, 주로 딸에게 연민을 보이는 반응들은 효자 자식을 만들려하기 보다는 자식이 행복한 것을 더 우위에 두고 있는 내용의 부모서사를 가졌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eriment in relation to reaction on < A daughter stealing Myungdang > and `Father and Mother Epic Tes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ase is that `Father and Mother Epic` is left out. In this case, father is criticized and Daughter is supported. and, Children who don`t gain love can`t good parents. Second, the case is that Father and Mother Epic is dividing. In this case, `A daughter stealing Myungdang` meet is received angry and undutiful daughter is gain punishment. Third, the case is that Father and Mother Epic is pushing. In this case, parents feel doubt, and think that don`t need marry-off daughter Fourth, the case is that Father and Mother Epic is recovering. In this case, father is criticized and Daughter think that father`s partiality make undutiful daughter . Fifth, the case is that Father and Mother Epic is protecting. In this case, real conditions of parents worry daughter`s happiness. Poor married life, widow-matriarch and rich home to her parents are emphasised.

      • KCI우수등재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성, 공감적 정서반응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오지현(Ji-Hyun Oh),임시형(Shee Hyeong Lim)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6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father‘s and mother’s playfulness, and the child’s playfulness, on the childs emotion regulation level, through father’s and mother’s empathic emotional reaction.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300 mothers and 288 fathers of children aged 5–6 yea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scales to assess thei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playfulness, and their own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playfulnes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lationship of father’s and mother’s playfulness with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level was mediated by the child’s playfulness. Additionally, father’s empathic emotional reaction leve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the child’s playfulness. Further, father’s empathic emotional reaction level had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from father’s playfulness to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through the child’s playfulness.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father’s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the child’s playfulnes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parent counseling and parent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의 부적 정서에 대한 아버지의 반응과 아버지에 대한 아동의 표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송하나 한국인간발달학회 2008 人間發達硏究 Vol.15 No.2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children's mental representations of fathers. Fifty-eight preschool/kindergarten children and their fathers who lives in Seoul and its vicin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Korean version of the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CCNES) was administered to the fathers, and children were interviewed using five stories in the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Children's narratives were analyzed and six types of the representation of fathers were identified: figures for help, for protection, for love, for work, for family conflict, and for punishment. Fathers' distress reactions were negatively, but problem-focused reactions and emotion-focused reac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positive representation of fat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and gender role model in the socialization of e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