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문화 길들이기: 대학교 신입생환영회로 인한 사고와 언론
정준영 ( Jun Young Ch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8
대학의 신입생환영회에서 과도한 음주로 인해 빚어지는 갖가지 사고는 오래 전부터 우리 사회에 존재해 왔으며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오래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신입생환영회를 대하는 대학 신입생의 태도와 신입생환영회 관련 사고에 대한 언론, 그 중에서도 신문의 보도 태도에는 시대에 따라 차이가 발견된다. 1990년대 초반까지는 대학 신입생들이 신입생환영회 참가를 당연시했고 그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이였으며 언론의 보도 역시 신입생 환영회에서의 음주를 대학의 낭만 중 하나로 취급하고 있었다. 반면 1996년 이후 우리 언론은 일제히 신입생환영회에서의 음주에 대한 부정적 기사를 쏟아내기 시 작했으며 대학 신입생들의 신입생환영회 참가도 저조해졌다. 또 신입생환영회의 형식이나 음주의 형식에 대해서도 비판적 태토가 자리잡히게 되었다. 대학 신입생들의 신입생환영회 참가가 줄어들게 된 것은 학부제가 시행되면서 환영의 주체가 모호해지게 된 것과 언론의 부정적 보도가 함께 영향을 미쳤다. 신문에 따라 동기에는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언론은 신입생환영회를 포함한 대학 문화 전반을 특정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신입생환영회에 대한 부정적 기사를 지속적으로 내보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보수언론들은 진보적 대 학문화가 계승될 연결고리를 붕괴시키고자 하는 맥락에서 신입생환영회를 겨냥한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에는 신입생환영회가 주사파 양성의 주된 고리가 된다는 1994년 서강대 박홍 총장의 말과 대학생의 급격한 수적 증가가 지니고 있는 잠재적 위기감이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 집요한 공격속에서 우리 사회의 대학생들을 공통 문화의 형성 기반을 상실하고 원자화되었으며 신자유주의의 논리를 무기력하게 받아들이는 존재로 바뀌고 말았다. Drinking lots of alcoholic beverages in the college parties has been a long tradition in the Korean universities. Despite such long history, however, the attitudes of college freshmen and of the Korean newspapers on those parties changed dramatically in the middle of the 1990s. Before that college freshmen had taken for granted the participation on those parties and had showed pretty pleasant memories on those parties. Similarly Korean newspapers had seen the parties as necessary parts of college tradition. But after 1996 Korean newspapers, especially conservative ones, criticized the parties as corrupting culture of Korean colleges and has shown enormous efforts to change that culture. This paper explains those efforts as the taming of college culture to spread the neo-liberalistic individualism in the Korean college students. Effectively and by the influence of other institutional changes Korean college students became to see the parties as corrupting culture and to refuse to participate on them. Consequently they no longer able to form a communal culture and easily captured by the neo-liberalim.
포용적 리더십이 신입구성원의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 연구 : 특성 및 일일 핵심자기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현명(Hyunmyung Lim),정원호(Wonho Jeung)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5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3
최근 들어 국내 청년층의 실업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취업난이 더욱 가중된 반면, 어렵사리 취업에 성공한 신입사원들 중 조직 및 직무 부적응으로 인해 1년 내 조기퇴사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모순된 사회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 날 정부, 교육기관, 기업 등 각계각층에서 청년들의 조직 및 직무적응 유도및 신입사원의 조기퇴사율 감소를 통해 청년과 기업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모순된 사회적 현상과 최근 그 심각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신입구성원의 부적응 및 조기퇴사율 증가 문제와 관련하여,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을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Inclusive Leadership)이 신입구성원의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더불어 행 위적 탄력성 이론(Behavioral Plasticity Theory)과 자원보존이론(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을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이 신입구성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서 특성 및 일일 핵심자기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육군 상비사단에서 신병교육을 받는 218명의 훈련병을 대상으로 8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중 187명에 의해 작성된 187개의 특성 설문과 914개의 일일단위 설문을 바탕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리더가 일일단위 포용적 리더십을보일수록 신입구성원의 일일 핵심자기평가 및 일일 정서적 몰입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신입구성원의 특성 핵심자기평가는 신입구성원의 일일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일일 핵 심자기평가는 신입구성원의 일일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입구성원의 일일 핵심자기평가는 일일 포용적 리더십이 일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정(+)적인 효과를 부분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신입구성원의 특성 핵심자기평가는 리더의 일일 포용적 리더십이 신입구성원의 일일 핵심자기평가를 매개로 신입구성원의 일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가 가진 한계와 더불어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During the recent years, one contradictory phenomenon increasing the un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and the early leave rate of the new recruits at the same time has been emerged in South Korea. Fou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new employees that leave their first job due to the organizational or job maladjustment, various ways to derive the adaptation of new members and to reduce the early leave rate of them have been discussed in political, economical, educational, and many other fields. With respect to this social phenomen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newcomer’s organizational adaptation based on the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mechanism of trait and daily core self-evaluation based on the behavioral plasticity theory and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187 trait data and 914 dai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87 trainees on the recruit training course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daily inclusive leadership of leader is positively related to daily core self-evaluation and daily affective commitment of newcomers. Second, while trait core self-evalu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daily affective commitment, daily core self-evalu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mmitment. Third, daily core self-evaluation of newcomer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daily inclusive leadership and newcomer’s daily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trait core self-evaluation negatively moderates the positive mediation effect of daily core self-evaluation between daily inclusive leadership and daily core self-eval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대학신입생의 인생과제 수행방식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및 효과 분석
최성복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6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신입생의 인생과제에 대한 수행방식을 향상하기 위해 Adler의 인생과제이론을 바탕으로 대학신입생의 인생과제 수행방식을 향상을 위한 교과목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단계에서는 교과목의 5개 전체목표와 13개의 세부목표가 Adler의 인생과제 이론을 토대로 수립되었고, 2단계에서는 26개의 학습내용이 86명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사전조사와 3명 전문가에 의한 타당성을 평가를 통해 구성되었다. 3단계에서는 35명의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고, 4단계에서는 3명의 전문가평정을 통해 교과목을 최종 개발하였다. 5단계에서는 교과목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K대학 대학신입생 69명이며, 36명의 실험집단과 33명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1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인생과제 수행방식 향상 교과목을 주당 1회 2시간씩 15회, 총 30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효과를 평가하고자, 사전⋅사후에 대학신입생의 인생과제 수행방식 수준을 확인하는 인생과제 척도,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확인하는 대학생활 적응 척도, 대학신입생의 사회적 관심수준을 확인하는 사회적 관심 척도, 대학신입생의 현재 삶의 만족도 수준을 알 수 있는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고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과목에 참여한 대학신입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신입생들보다 인생과제, 수행방식, 대학생활 적응, 사회적 관심, 삶의 만족도의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들의 인생과제 수행방식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목이 개발되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urse to improve the life tasks performance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based on Adler’s Life tasks and test its effectiveness. Methods: In step 1, the overall five goals and detailed thirteen goals of the program were set established on Adler’s Life tasks. In step 2, the twenty-six learning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of eighty-six first-year college students and the validity evaluation of three experts. In step3, a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thirty-five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step 4, the course was finally developed through the evaluations of three experts. In step 5,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was evaluated. The sample was from sixty-nine first-year college students from K university of Korea. The sample was divided with thirty-six first-year college students for the treatment group and thirty-three first-year college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course to improve the life tasks performance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for the treatment group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30 hours, divided into 15 sessions, with one session per week.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the Life Tasks Scale, Social Interest Scale, the Life Satisfaction Scale, and College Life Adaption Scale were used for pre-post test. The scale-score was analyzed by ANOVA. Results: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urse develope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ife tasks demonstrated significantly improved levels of life task performanc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ocial interest, and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 course was successfully developed to improve life tasks performance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유솔아(Sol-A Yu)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5
본 연구는 미국의 신입생 대상 교육(first-year experience: FYE)의 필요성을 알리고, 한국 대학 교육과정에 도입되어 효과적으로 정착ㆍ실행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는 크게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신입생 대상 교육의 발상지인 미국의 신입생 대상 교육의 역사와 배경 그리고 기본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신입생 대상 교육의 모범적 사례로 평가되는 5개 미국 대학의 실행 사례를 교육내용, 운영방식, 교육적 효과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셋째, 미국 대학의 신입생 대상 교육 관계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신입생 대상 교육의 도입과 실행에 관한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이에 기반하여 향후 한국에 신입생 대상 교육을 성공적으로 도입ㆍ실행하기 위해 요청되는 과제들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제언으로 신입생 지원을 목적으로 한 대학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정부의 지원, 신입생 대상 교육의 준비-실행-보고를 위한 공적 채널 구축과 이를 관리하는 전문 기관 마련, 고등학교와 대학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에 대한 고찰 및 이를 위한 노력, 그리고 대학 자율성을 보장하는 교육정책의 마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of U. S. first-year experience (FYE) and present its suggestions so that it could be introduced to Korean college curriculum and settled and implemented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stages are adopted: First, literature review is made in terms of history, background, and directions of U.S. FYE. Second, cases of five U. S. colleges considered to be exemplary ones of FYE a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s, implementatio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Third, those responsible for FYE in the five colleges are interviewed to collect their ideas about FYE and, on this basis, examine tasks required to adopt FYE to Korea and implement it successfully in the future.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governmental support to colleg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first-year students, build a formal channel for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FYE, establish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managing the tasks, make considerations and efforts for curriculum articulation between school and college, and make an educational policy for guaranteeing autonomy of colleges.
신입사원의 직무이해도, 신뢰관계, 직무스트레스, 충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애리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2 직업과 자격 연구 Vol.11 No.4
최근 신입사원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었지만 신입사원 이직은 여전히 사회적 문제로 남아있다. 신입사원 이직에 대해 기업측면에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채용한 신입사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여 손실이 생기고, 개인측면에서도 안정적인 경력형성을 저해하고 생애소득을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요구자원모델에 근거하여 신입사원의 직무이해도, 신뢰관계, 직무스트레스, 충성도, 이직의도의 관계경로를 분석하여 신입사원의 이직을 낮추고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Ⅱ(HCCPⅡ;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2021년 2차 근로자조사에 응답한 85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신입직원의 직무이해도와 신뢰관계가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신입사원의 신뢰관계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직무이해도는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신입직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충성도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신입사원의 직무 이해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신뢰관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충성도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차원에서 신입사원의 특성을 반영한 인적자원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형 집합교육 형태의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 개발 및 효과성 분석
홍성연,안지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5 교육논총 Vol.45 No.1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은 학생 유지율과 학업 성취 향상에 기여하며, 대학 적응과 소속감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소규모 형태의 신입생 세미나나 사전에 제작된 온라인 강의를 활용해 신입생 적응 과목을 운영한다. 그러나 학생들의 소속감을 고취하고, 대학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다수의 학생에게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형 집합교육 형태의 신입생 교육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해 수도권 A 대학교에서 대형 집합교육 형태의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 개발 절차를 정리하고 시범 운영에 따른 효과성 분석을 통해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수업 주제 면에서 대학 생활 안내와 학습 전략과 같은 실질적인 정보 제공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수업 방식 면에서 온라인 강의보다 대면 강의와 체험형 활동이 더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학습 목표와 과제 계획이 명확한 수업을 선호하며, 특정 계열 중심의 강의보다는 전공에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주제에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교육 효과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목 개선을 위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 내용 구성, 둘째, 대면 강의 및 체험형 활동 확대, 셋째, 지속적인 평가 및 피드백 체계 구축, 넷째, 대학 차원의 지지 기반 확보 및 부서 간 협업 강화이다. 이를 통해 신입생 적응 지원 교과목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설계, 개발, 운영됨으로써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 생활 정착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irst-year adaptation support courses enhance student retention, improve academic achieve ment, and strengthen students’ sense of belonging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Most universities conduct first-year adaptation courses as small-scale first-year seminars or prerecorded lectures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However, to foster students’ sense of belonging, utilize university resources efficiently, and provide uniform information to a large number of students while maintaining consistency in both information an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large-scale collective education for first-year adaptation effectively.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large-scale first-year adaptation support course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evaluates its effectiveness through a pilot implementation, and proposes improvem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ents expresse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al information provided, such as university life guidance and learning strategies. Regarding instructional methods, students considered face-to-face lectures and experi ential activities more effective than online lectures. Additionally, students preferred courses with clearly defined learning objectives and assignment plans, showing greater satisfaction with univer sally applicable topics than with lectures focused on specific academic disciplines. The effectiveness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key implications for course improvement: structuring course content to reflect students’ needs, expanding face-to-face lectures and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establishing a continuous assessment and feedback system, securing institutional support, and strengthening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These improvements enabled the first-year adapta tion support course to be systematically designed, developed, and implemented, facilitating first-year students’ successful transition into university life
대학 신입생의 진로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심리 지원을 중심으로
정소미(Jeong, S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진로준비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 신입생이 현재 하고 있는 진로준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 신입생이 경험하는 진로준비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대학 신입생이 진로준비 중 받은 지지는 무엇인가?, 넷째, 대학 신입생이 앞으로 진로준비를 하는데 있어서 받고 싶은 지지는 무엇인가? 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신입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서면 설문을 실시하였다. CQR-M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영역 및 범주를 개발하고, 코딩팀을 구성하고, 영역 및 범주를 수정하고, 데이터를 수정된 범주에 코딩하였으며, 이후 반응의 빈도수를 결과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신입생이 현재 하고 있는 진로준비에서는 진로 관련 정보수집, 기본적인 스펙 관리, 아직 하고 있지 않음 등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대학 신입생이 경험하는 진로준비의 어려움에서는 진로를 결정하지 않은데서 오는 어려움, 진로결정 후 심리·정서적 어려움, 진로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등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대학 신입생이 진로준비 중 받은 지지에서는 부모님께 받은 지지, 친구 및 선배에게 받은 지지, 교수님께 받은 지지 등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넷째, 대학 신입생이 앞으로 진로준비를 하는데 있어서 받고 싶은 지지에서는 부모님께 받고 싶은 지지, 친구 및 선배에게 받고 싶은 지지, 평소 관계 맺고 있지 않은 타인에게 받고 싶은 지지 등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입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대해서 이해하고 적절한 진로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s of college freshm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30 first-year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Busan. Data was analyzed by the CQR-M method. Data analysis developed domains and list of categories, selected a coding team, revised domains and categories, coded data into the modified categories. After that, the frequency of each categories was described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ee new categories of career preparations for college freshmen, including career-related information collection, basic spec management, and those not yet completed, were derived. Second, in the difficulties of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d by freshmen of college,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the difficulty of not deciding the caree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fter the career decision, 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Third, three categories of support received by college freshmen during career preparation were derived: support from parents, support from friends and seniors, and support from professors. Fourth, the three categories of support that college freshmen want to receive in the future are derived from the support they want to receive from their parents, the support they want from their friends and seniors, and the support they want to receive from others they don t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on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prevention of career guidance in college.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학 신입생 프로그램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승형(Seung hyeong Lee),강기수(Kang Gi-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대학 신입생 프로그램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분석대상은 1983.3월부터 2021.7월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후보지 및 등재지에 게재된 총 138편의 대학 신입생 프로그램 관련 논문이며,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키워드 빈도분석의 ‘TF, TF-IDF’, 의미망 분석의 ‘동시출현빈도, 네트워크 연결중심성, Bigram’, Word2Vec 분석의 ‘Skip-gram’, 토픽모델링 분석의 ‘LDA 토픽모델링, Hot 토픽과 Cold 토픽’을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키워드 빈도분석의 TF와 TF-IDF 분석을 통해 본 주요 키워드는 ‘적응(213회)’, ‘생활(183회)’, ‘진로(183회)’, ‘전공(109회)’, ‘글쓰기(79회)’, ‘상담(75회)’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미망 분석의 동시출현 빈도, 네트워크 연결 중심성, Bigram 분석을 통해 본 결과는 동시출현 단어에서 ‘생활-적응’ 키워드가 가장 많이 도출되었고, ‘가치’, ‘적응’, ‘전공’, ‘진로’ 등의 키워드는 다양한 보편적 관념을 내재한 키워드들과 유기적인 의미망을 형성하였다. 셋째, Word2Vec 분석의 Skip-gram 모델을 통해 대학 신입생들이 느끼는 학업 불안, 학교생활 적응, 정서에 대한 연구와 신입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었음을 분석할 수 있었다. 넷째, 토픽모델링 분석의 LDA 토픽모델링과 Hot 토픽 및 Cold 토픽 분석 결과는 네 개의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Hot 토픽 신입생들을 위한 교과 또는 비교과 연계 글쓰기 프로그램 관련 연구, Cold 토픽은 대학 신입생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로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대학 신입생 프로그램 관련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 진로, 정서, 교과 및 비교과와 연계된 신입생 교육지원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으며, 따라서 신입생을 위한 교과 및 비교과 연계 교육지원 프로그램 관련 연구는 향후 주요한 연구과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이 연구는 기존 선행 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과 달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대학 신입생 프로그램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Freshman Program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through text mining techniques. Methods Researchers referred to domestic master s/doctoral dissertations/theses from March 1983 to July 2021 and 138 papers involving Freshman Programs published in the nominations and journal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or research trend analysis, researchers utilized ‘TF, TF-IDF’ of keyword frequency analysis, simultaneous frequency, network centrality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Skip-gram’ of Bigram, Word2Vec analysis, ‘LDA topic modeling, Hot topic and Cold topic’ of topic modeling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the main keywords of ‘TF, TF-IDF’ analysis indicate ‘adaptation (213 times)’, ‘lifetime (183 times)’, ‘career (183 times)’, ‘major (109 times)’, ‘Writing (79 times)’ and ‘Counseling (75 times)’. Second, in the co-occurrence frequency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network centrality, Bigram analysis, it shows that ‘life-adaptation’ appears the most and ‘value’ ‘adaptation’ ‘major’ and ‘career’ organically forms a semantic network with those inherent various universal concepts. Third, the Skip-gram model of Word2Vec analysis indicates that studies on academic anxiety, school life adaptation, emotions felt by the freshmen, and writing courses for the freshmen were actively conducted. Fourth, four topics come from the results in the LDA topic modeling of topic modeling analysis and Hot topic and Cold topic analysis, which include research in writing for the freshmen concerning curricular/non-curricular courses(Hot topic) and studies related to counseling programs for the freshmen(Cold topic).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research shows that Freshman Programs include Freshman support Programs linked to college adaptation, career, emotion, curricular/non-curricular courses. Researchers concluded that studies on curricular/non-curricular courses for a freshman would be primary projects.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uses text mining techniques for analyzing Freshman Programs, unlike the trend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유아교육과 신입생과 타 학과 신입생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 비교 분석
정진,성원경,이춘자,조인경 한국보육학회 2008 한국보육학회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신입생과 타 전공 신입생들이 갖고 있는 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 1곳과 전문대학 3곳의 신입생 223명이며, "유아는~이다"라는 문항을 통해 이들이 가진 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타 전공 신입생들은 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단어는 총 95개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단어들이 유아교육전공 신입생과 유사하였다. 둘째, 타 전공 신입생들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는 총 6개 범주로 분석되었는데 유아교육전공 신입생들에게서 나타난 '유아를 가르치고 돌보는 대상으로서 이미지', '유아에 대한 느낌과 감정에 관련된 이미지', '유아의 발달특성에 관한 이미지','유아가 주는 영향에 관한 이미지' 등 4개 범주 외에 유아는 귀찮고 돈이 많이 든다는 내용의 '부정적 존재로서의 이미지', 유아를 사랑의 결실로 보는 '생물학적 존재로서의 이미지' 등 2개 범주가 더 추가되었다. 결론적으로 타 전공 신입생들과 유아교육 전공 신입생들이 갖고 있는 유아에 대한 이미지는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유아교육 전공 신입생들이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first-year students wh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ose with different majors, in the images they possess about preschool children. The research subject consists of 223 first-year students at one university and three colleges located in T City. The data regarding the images that the students have about preschool childrens were collected by asking them to fill in the blanks in the following statement: "preschool children is ○○○." A content analysis was subsequently conducted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rst-year student with majors other 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used a total of 95 words in describing the images of preschool children.
박선화(Park Sunhwa),이연주(Lee Yeon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최근 국내·외 대학들은 대학의 경쟁률 제고 및 신입생 학습동기 향상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신입생 교육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신입생 교육 발전을 위하여 미국, 영국, 호주 대학의 신입생 교육 경향을 분석하고, 우수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신입생 교육의 선두주자인 미국에서 우수한 사례로 선정된 대학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영어권 국가 중 다른 문화적 전통을 가진 영국과 호주 대학의 사례와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신입생 교육은 과거 단일 오리엔테이션이나 세미나 형태에서 체계적으로 통합된 교육과정으로 발전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활 정보와 같은 단순 정보전달 교육은 온라인기반 정보 전달로 빠르게 대체되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해외 우수 사례 대학들은 전통적 교육의 형태에서 벗어나 학교의 비전과 전통을 반영한 형태의 신입생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특히, 지역사회 참여와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한 선배와의 인간관계 구축이 강조되었다. 넷째, 각 국가의 교육적 전통에 따라 신입생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전공과 학업 상담을 위한 체제는 전문적이고 다양하였다. 이 연구는 FYE프로그램 개발 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have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First Year Experience (FYE) programs, which raises the competition rate of universities, improves the motivation for learning new students, and fosters a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FYE in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Australia for the development of FYE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investigated excellent cases. To that end, universities selected as excellent examples in the United States, a leader in the FYE, were surveyed. It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e cases of British and Australian universities with different cultural traditions among Anglo-American Culture. Comparative analysis ha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se days the FYE tends to change from a single program of orientation or seminars into a systematically integrative experience linked with various programs. Secondly, overseas universities have quickly adopted online-based systems to provide relevant and simple information for new students, for example, ‘Campus Life’ or ‘School Life’. Thirdly, overseas universities run new FYE programs which reflect their visions and traditions, moving away from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in particular, the universities focus on helping freshmen develop personal relationships with seniors through local community engagement and off-campus social activity. Finally,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traditions of education, each university operates a variety of major courses and counseling programs for their freshmen’s successful settlement in a new campu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ICT and the linkage with the communit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FY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