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계신뢰도 및 정기검사주기가 저장신뢰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 일회성 군수장비 시스템을 대상으로

        추연원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7

        장시간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되는 일회성 군수장비 시스템의 경우, 저장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신뢰도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사용시점이 도래하였을 때 제품 사용에 있어 저장신뢰도가 중요한 품질특성으로 작용하게 되며, 기존의 연구들은 저장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최적의 정기검사주기 산출을 위한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기검사주기 뿐 아니라 설계신뢰도를 포함한 분석을 통해 융합적인 관점에서 저장신뢰도에 두 인자가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일회성 시스템의 대표적인 제품인 유도탄에 기존의 Martinez 저장신뢰도 결정모델을 적용하여 각각 설계신뢰도와 정기검사주기가 미치는 정량적인 효과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현 제품의 설계신뢰도 범주 내에서는 설계신뢰도보다는 정기검사주기 관리가 저장신뢰도 향상에 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a one-shot logistic equipment system that has been stored for a long time, reliability change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refore, when the time comes to use, the storag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an important quality characteristic, and the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search for calculating the optimal period inspection cycle to improve the storage reliabil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two factors on the storage reliability at the convergence point by analyzing the design reliability as well as the periodic inspection cycle. To do this, we applied the existing Martinez storage reliability model to the missile, a representative product of a one-shot system, and analyzed the quantitative effects of the design reliability and the periodic inspection cycle.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tenance of the periodic inspection cycle is more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orage reliability than the design reliability in the design reliability category of the current product.

      • KCI등재후보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에 미디어 신뢰도와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 -정치 신뢰도, 부정주의, 정치 정보효능감을 중심으로-

        송종길,고삼석,박상호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16

        본 연구는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 미디어 신뢰도와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미디어 신뢰도와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분석결과, 우선 매체별 신뢰도에 대한 유권자의 평가는 지상파방송, 신문, 케이블방송, 인터넷 순으로 신뢰도평가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매체별 미디어 신뢰도가 정치적 신뢰・부정주의・정치 정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신문 신뢰도의 경우 정치적 신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정주의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지상파방송 신뢰도의 경우는 정치적 신뢰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정주의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치 정보효능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신뢰도의 경우 정치 정보효능감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매체별 미디어 신뢰도가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신문 신뢰도는 투표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터넷의 경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신뢰・부정주의・정치 정보효능감이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정치 정보효능감만이 투표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과 지상파방송이 뉴스미디어를 대표했던 시대를 지나서 케이블방송과 인터넷이 대표되는 뉴스미디어 시대가 도래했지만, 선거기간에 주요한 정보매체 또는 미디어 신뢰도는 아직까지 올드미디어인 신문과 지상파방송이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bout the research on media credibility and political behavior of the voters seen during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The studies concerning on this issues which are media credibility and political behavior have not been done much in Korea. By research finding first, evaluation of media credibility of news media terrestrial broadcast, newspaper, cable TV, Internet appeared in order to evaluate. Next, each media credibility and the political trust, negative attention, the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analysis, the only terrestrial broadcasts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trust.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and newspapers, terrestrial broadcasting, cable television, Internet, and a positive correlation were found. As a third each media credibility effect voting behavior on the regression analysis, Newspaper credibility was expose that affect positive voting behavior, and internet is found a negative effect. Finally, political trust, negativism, political efficacy information regarding the effect on the voting behavior regression analysis, and only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gave a positive effect on voting behavior. Newspapers and terrestrial broadcast news media representatives after the era of cable television and the Internet era the news media are represented. Information leading to the elections, the media or media credibility and the newspaper is still the old word for terrestrial broadcasting media has become. Campaign period leading to the news media(media credibility), yet the old newspapers and terrestrial broadcast media is.

      • KCI등재

        경찰 신뢰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 비교연구

        장현석 한국경찰연구학회 2014 한국경찰연구 Vol.13 No.2

        지금까지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에서 국가 간 비교 연구는 드물었다. 지정학적으로 이웃하면서 역사적으로 서로 관련이 있고 또한 학문, 문화, 등 다양한 사회분야에서 교류가 있어 온 일본에서 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의 경찰 신뢰 도와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이를 위해 Global Barometer Survey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과 일본 국민들의 자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 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첫째 경찰 에 대한 신뢰도가 두 국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로 어떠한 요인들이 신뢰도를 유 의미하게 설명하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두 국가에 대한 회귀모형 비교에서 각 변수의 계수 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는 지 알아보았다. 또한 의미 있는 결과 해석을 위하여 일본 경찰학자 2 명에게 면접 조사한 내용을 결과 부분에 기술하여 일본에서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 지 질 적 연구를 추가하였다. 연구결과 종속변수인 경찰에 대한 신뢰도의 경우 일본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한국 국민 들 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일 양국 전체 모형에서는 관 료부패에 대한 인식, 민주주의 만족도, 지역 안전도, 이웃에 대한 신뢰가 경찰에 대한 신뢰와 유의 미한 관계를 보였다. 두 나라 모형간의 계수 비교에서는 성별, 민주주의 만족도, 그리고 불평등대 우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왔다. 두 나라 모두 관료부패에 대한 인식이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이 결과는 두 일본 경찰학자 와의 심층면접에서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제언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에 미디어 신뢰도와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 -정치 신뢰도, 부정주의, 정치 정보효능감을 중심으로

        박상호,송종길,고삼석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 미디어 신뢰도와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미디어 신뢰도와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분석결과, 우선 매체별 신뢰도에 대한 유권자의 평가는 지상파방송, 신문, 케이블방송, 인터넷 순으로 신뢰도평가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매체별 미디어 신뢰도가 정치적 신뢰・부정주의・정치 정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신문 신뢰도의 경우 정치적 신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정주의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지상파방송 신뢰도의 경우는 정치적 신뢰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정주의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치 정보효능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신뢰도의 경우 정치 정보효능감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매체별 미디어 신뢰도가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신문 신뢰도는 투표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터넷의 경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신뢰・부정주의・정치 정보효능감이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정치 정보효능감만이 투표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과 지상파방송이 뉴스미디어를 대표했던 시대를 지나서 케이블방송과 인터넷이 대표되는 뉴스미디어 시대가 도래했지만, 선거기간에 주요한 정보매체 또는 미디어 신뢰도는 아직까지 올드미디어인 신문과 지상파방송이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bout the research on media credibility and political behavior of the voters seen during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The studies concerning on this issues which are media credibility and political behavior have not been done much in Korea. By research finding first, evaluation of media credibility of news media terrestrial broadcast, newspaper, cable TV, Internet appeared in order to evaluate. Next, each media credibility and the political trust, negative attention, the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analysis, the only terrestrial broadcasts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trust.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and newspapers, terrestrial broadcasting, cable television, Internet, and a positive correlation were found. As a third each media credibility effect voting behavior on the regression analysis, Newspaper credibility was expose that affect positive voting behavior, and internet is found a negative effect. Finally, political trust, negativism, political efficacy information regarding the effect on the voting behavior regression analysis, and only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gave a positive effect on voting behavior. Newspapers and terrestrial broadcast news media representatives after the era of cable television and the Internet era the news media are represented. Information leading to the elections, the media or media credibility and the newspaper is still the old word for terrestrial broadcasting media has become. Campaign period leading to the news media(media credibility), yet the old newspapers and terrestrial broadcast media is.

      • KCI등재

        인터넷 검색 광고 효과과정에서 정보원 신뢰도의 영향력 및 광고 신뢰도의 매개효과 연구

        신동희(Dong Hee Shin),장우성(Woo Sung Cha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7 No.1

        본 연구는 인터넷 검색 광고를 통하여 정보원 신뢰도와 광고 신뢰도가 광고 효과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특히 정보원 신뢰도와 광고효과변수 사이에서 광고 신뢰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9월 16일부터 동년 9월 22일까지 일주일 동안 서울 및 충청지역 대학의 컴퓨터 실습실에 협조를 요청하여 컴퓨터를 사용 중인 학생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는 서베이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문제 1은 정보원 신뢰도 수준별 광고효과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 결과 정보원을 높게 신뢰하는 응답자들에게서 상대적으로 높은 광고 태도와 클릭의도가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연구문제 2는 정보원 신뢰도와 광고 신뢰도 그리고 광고 효과변수 간의 관계, 특히 광고 신뢰도의 매개효과 여부를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 결과 정보원 신뢰도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분매개모형으로 나타났다. 즉 검색 포털 사이트의 신뢰도는 직접 검색 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검색 광고 신뢰도를 경유하여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and advertising credibility through internet search advertising, have on the process of advertising effect, and in particular, to examine the role of advertising credibility on source credibility and advertising effect variables.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in university computer labs located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Research thesis 1 looks at the difference of advertising effect related to the level of source credibility. The study founded that respondents have shown higher advertising attitude and clicks in sources they highly trust. The research thesis 2 looks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 credibility, advertising credibility and advertising effect variables; the effect of advertising credibility’s role as a mediation in particular. The study founded that the effect of source credibility on advertising attitude is shaped as a partial mediation model. In other words, the credibility of search sites directly affect the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and may have influence by routing the search advertising credibility.

      • KCI등재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 또래 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 관계

        양미경,김경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또래와 교사가 평가한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 또래 유능성 그리고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보육시설에 재원 중인 5세반 유아 180명과 그들의 어머니 180명, 그리고 유아의 담임교사 13명이었다.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는 또래와 교사가 평가하였으며 또래 유능성은 담임교사가 평정하였고 자기조절능력은 유아의 어머니가 평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평가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와 교사-평가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 간에는 의미있는 관련성이 없었으며 또래보다 교사가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를 높게 평가하였고 또래와 교사 모두 남아보다 여아의 대인간 신뢰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둘째, 또래-평가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와 또래 유능성, 대인간 신뢰도와 자기조절능력 간에 의미있는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교사-평가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와 또래 유능성의 관계성 그리고 대인간 신뢰도와 자기조절능력의 관계성은 정적인 방향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셋째, 또래-평가 대인간 신뢰도 수준에 따른 세 집단 중 대인간 신뢰도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이 중간 집단에 비해 또래 유능성이 높았으나 교사-평가 대인간 신뢰도 수준에 따른 세 집단의 또래 유능성의 정도는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 수준의 크기와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평가 대인간 신뢰도 수준에 따른 세 집단 간 자기조절능력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평가 대인간 신뢰도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조절능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자기점검에서는 세 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자기통제에서는 대인간 신뢰도 수준이 높은 집단과 중간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자기 통제력이 우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trustworthiness, peer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80 children at age 5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their mothers, and their teachers.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trustworthiness was reported by their peers and teachers. The teachers rated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each child's mother rated her child's self-regul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first, that peer-reported and teacher-reported interpersonal trustworthines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that teachers scored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trustworthiness as greater than peers did. Both teachers and peers assessed higher girls' interpersonal trustworthiness than they did boys' trustworthines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peer-reported trustworthiness, peer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However, teacher-reported trustworthines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eer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Third, based on peer-reported trustworthiness, the highest group and lowest group showed higher peer competence than did the medium group, whereas, based on teacher reports, the magnitudes of peer competence showed in sequences with levels of interpersonal trustworthiness.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mong the three groups based on peer-reported trustworthiness whereas the highest teacher-reported trustworthines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 -regulation than did the lowest teacher-reported trustworthiness group.

      • KCI등재

        비교 신뢰도와 기여 순수 신뢰도의 대조 분석 연구

        박희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6

        Today, governments and companies began to actively take advantage of data mining techniques to obtain meaningful information from big data. The most widely used data mining technique is to generate association rules. This technique finds the relevance between two items in a big data. There are support, confidence, and lift in elementary association rule thresholds. Among these measures, confidence is the most frequently used, but it has the drawback that it can not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association. The measure of net confidence was developed to get rid of this drawback, but it is useless in the case that the value of positive confidence is the same as that of negative confidence. So the measure of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was proposed in association rule mining.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compare the compared confidence with the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studi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two interesting measures, and checked whether the criteria were met for. The comparative studies with the compared confidence and the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were shown by numerical ex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was greater than the compared confidence in case that the value of negative confidence was larger than that of positive confidence. 오늘날 정부와 기업에서는 빅 데이터로부터 알려지지 않은 의미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이 활발하게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이 기법 중에서 연관성 규칙은 방대한 데이터 안에 있는 항목들 간에 관련성을 찾아내는 것으로 최근에 고객 관계 관리와 사회연결망 분석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연관성 규칙을 평가하는 기준에는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신뢰도는 관련성 규칙의 예측 지표라고 볼 수 있으나 계산된 값만을 가지고는 연관성의 방향을 알 수 없어서 순수 신뢰도가 제안되었으나 이 또한 결점을 갖고 있어서 기여 순수 신뢰도가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객관적 흥미도 측도인 비교 신뢰도와 기여 순수 신뢰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들 두 측도들에 대해 여러 가지 특성을 살펴보는 동시에 흥미도 측도의 기준에 대한 충족여부를 점검하였다. 이와 더불어 예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여 순수 신뢰도와 비교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음의 신뢰도에 비해 양의 신뢰도가 큰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기여 순수 신뢰도는 비교신뢰도 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비교신뢰도가 기여 순수 신뢰도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관성 규칙에서 활용 가능한 대칭적 기여 순수 신뢰도의 개발

        박희창,Park, Hee Chang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3

        빅 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의 하나인 연관성 규칙은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등의 여러 가지 연관성 평가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항목집합들 간의 관련성을 찾아내는 데 활용되고 있다. 기본적인 연관성 평가기준들 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신뢰도는 연관성의 방향 (음 또는 양)을 알 수가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측도로 순수 신뢰도 기여 순수 신뢰도가 제안되었으나, 이는 전항과 후항이 바뀌면 그 값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신뢰도와 순수 신뢰도, 그리고 기여 순수 신뢰도의 단점을 보완한 연관성 평가 기준으로 네 가지의 대칭적 기여 순수 신뢰도를 제안하였다. 또한 신뢰도와 기여 순수 신뢰도, 그리고 네 가지의 대칭적 기여 순수 신뢰도를 예제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칭적 기여 순수 신뢰도는 그 부호에 의해 연관성 규칙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전항과 후항이 바뀌어도 그 값이 변하지 않으므로 연관성 규칙을 생성하는 데 매우 유익한 평가 기준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네 가지 대칭적 기여 순수 신뢰도 중에서는 두 종류의 기여 순수 신뢰도의 분자의 합과 분모의 합의 비로 나타나는 측도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예제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The most widely used data mining technique for big data analysis is to generate meaningful association rules. This method has been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t of items based on the association criteria such as support, confidence, lift, etc. Among them, confidence is the most frequently used, but it has the drawback that we can not know the direction of association by it. The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was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is drawback, but the value was changed by the position of two item sets. In this paper, we propose four symmetrically and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measures to compensate the shortcomings of confidence and the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And then we prove three conditions of interestingness measure by Piatetsky-Shapiro,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confidence,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and four symmetrically and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measures are shown by numerical examp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ymmetrically and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measures are better than confidence and the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Also the measure NSAPis found to be the best among these four symmetrically and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measures.

      • KCI등재후보

        유경험자과 무경험자의 브랜드 정보처리과정의 차이

        현소은(Hyun, Soeun),박성용(Park, Seong Yo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사전지식,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고려할 때, 기존 연구는 사전지식을 친숙도와 동일시하여 취급하였거나, 이들 변수의 직접적 효과만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사전지식과 친숙도를 구분하는 것을 간과하였고, 사전지식과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와의 상호작용 또는 사전지식의 조절변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을 무경험과 유경험으로 구분하고, 경험여부에 의하여 구분하여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비교한다. 특히 무경험자의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즉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브랜드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다. 무경험자는 유경험자에 비해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에서 낮은 평균값을 가질 것이고, 무경험자에 있어서는 호감도가, 유경험자에 있어서는 신뢰도가 중요하다는 기존연구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제품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저관여 제품, 고관여 제품, 서비스에 따라서 브랜드 평가의 영향력에 대한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소주, 에어컨, 헤어숍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시도하여 본다. 분석결과는 제품이나 서비스 경우 모두에서,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호감도와 신뢰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저관여 고관여 제품 모두, 무경험인 경우에는 호감도가 영향을 미치고, 유경험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이고, 서비스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임을 보여주었고, 친숙도는 무경험인 경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 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따른 문화적 의미를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차이를 통해 도출하였다. When previous research studies investigated the impact of brand equity compooents such as familirity, favor, trust on brand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 they considered only direct impacts of them or they dealt previous experience as familirity. As a result, they failed to differentiate familiarity with previous experience and did not consider the possibility ofmoderating role or interactions of previous experience with the relevant brand equity components. In this research, we divide previous experience into no-experience and experience and estimate the impacts of brand equeity component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under no experience situation. First,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brand equity components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situation. Then, we explore the possible difference in the brand equity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By using path analysis, we propose and test hypothesis on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on dependent variables. No-experence situation has low scores on the familirity, favor, and trust compared with experence situation. There has been several previous research studies that showed that , for no-experience people, favoriteness and for experenced people, trust is important factor and showed that the results depend on the types of products. While recognizing the possibility that results differ according to low-involvement, high-involvement, or service, we test hypothesis using soju, air-conditioner, and hair-shop. E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rand attitude affects bran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favor, and trust influeces brand attitudes for products and service. For products, in the case of no-expereince, favor and in the case of experience, trust are the important variables, and for services, trust is important variable regardless of involvement. Familiarity is also important variable for no-expereince case. In addition, we discuss the cultural meanings or implications through no-experence and experence difference. 사전지식,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고려할 때, 기존 연구는 사전지식을 친숙도와 동일시하여 취급하였거나, 이들 변수의 직접적 효과만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사전지식과 친숙도를 구분하는 것을 간과하였고, 사전지식과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와의 상호작용 또는 사전지식의 조절변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을 무경험과 유경험으로 구분하고, 경험여부에 의하여 구분하여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의 영향을 비교한다. 특히 무경험자의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즉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브랜드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호감도, 신뢰도, 친숙도가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다. 무경험자는 유경험자에 비해 친숙도, 호감도, 신뢰도에서 낮은 평균값을 가질 것이고, 무경험자에 있어서는 호감도가, 유경험자에 있어서는 신뢰도가 중요하다는 기존연구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제품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저관여 제품, 고관여 제품, 서비스에 따라서 브랜드 평가의 영향력에 대한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소주, 에어컨, 헤어숍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시도하여 본다. 분석결과는 제품이나 서비스 경우 모두에서,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호감도와 신뢰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저관여 고관여 제품 모두, 무경험인 경우에는 호감도가 영향을 미치고, 유경험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이고, 서비스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임을 보여주었고, 친숙도는 무경험인 경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 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따른 문화적 의미를 무경험자와 유경험자의 차이를 통해 도출하였다. When previous research studies investigated the impact of brand equity compooents such as familirity, favor, trust on brand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 they considered only direct impacts of them or they dealt previous experience as familirity. As a result, they failed to differentiate familiarity with previous experience and did not consider the possibility ofmoderating role or interactions of previous experience with the relevant brand equity components. In this research, we divide previous experience into no-experience and experience and estimate the impacts of brand equeity component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under no experience situation. First,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brand equity components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situation. Then, we explore the possible difference in the brand equity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no-experience and experience. By using path analysis, we propose and test hypothesis on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brand equity components on dependent variables. No-experence situation has low scores on the familirity, favor, and trust compared with experence situation. There has been several previous research studies that showed that , for no-experience people, favoriteness and for experenced people, trust is important factor and showed that the results depend on the types of products. While recognizing the possibility that results differ according to low-involvement, high-involvement, or service, we test hypothesis using soju, air-conditioner, and hair-shop. E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rand attitude affects bran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favor, and trust influeces brand attitudes for products and service. For products, in the case of no-expereince, favor and in the case of experience, trust are the important variables, and for services, trust is important variable regardless of involvement. Familiarity is also important variable for no-expereince case. In addition, we discuss the cultural meanings or implications through no-experence and experence difference.

      • KCI등재

        한국의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가 보험구매에 미치는 실증연구: 30대 위험군을 중심으로

        이윤석 ( Yun Suk Lee ),서영수 ( Young Soo Se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0 유라시아연구 Vol.17 No.4

        지금까지 주로 표준체인 건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보험구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유병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유병자와 표준체를 구분하여 두 집단 간이 유의한 차이를 갖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런 차이점은 상품마케팅 차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30대 유병자 군과 표준체 군을 구분하여 이들 집단 간의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가 보험구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두 집단 간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 전국 30-40세의 남녀 일반인 418명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료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독립변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요인 적재 값은 0.40 이상, 요인수를 2로 했으며 신뢰성 분석에 필요한 Cronbach’s α 값은 0.7 이상으로 설정했다. 유병자 집단과 표준체 집단의 가설검증은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보험구매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병자 군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검정 결과,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각각 t=1.324, t=1.273으로 나타났고 P-value는 보험회사 신뢰도 .189 보험서비스 만족도 .206으로 유의확률 값이 p>.05로 가설이 모두 기각되었다. 그러므로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보험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표준체 군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검정 결과,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각각 t=2.004, t=2.551, P-value는 보험회사 신뢰도 .046, 보험서비스만족도 .011로 p < .05 나타났다. 그러므로 표준체의 경우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만족도는 보험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t값은 모두 (+)이므로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보험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유병자군과 표준체군의 각 변수에 대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험회사신뢰도는 F값의 유의확률 .000으로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고 t값은 2.758로 보험회사 신뢰도에 대한 지각이 유병자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F값의 유의확률 .003으로 유병자 여부에 따른 집단의 분산이 같다고 가정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그러므로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음’에서 확인결과 t값은 1.460, 유의확률 .146으로 보험서비스 만족도의 지각은 유병자군과 표준체군에서 집단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회사 신뢰도의 평균값은 유병자군 2.92, 표준체군 2.68 수치를 보이고 있으므로 유병자 군의 보험회사 신뢰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회귀분석 결과까지 감안할 때 표준체 군에 비해 신뢰도는 높지만 보험구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체 군의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보험구매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병자 군의 경우에는 그 반대로 모두 보험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유병력자의 실손의료보험 인수조건이 제한적이고, 보험회사 역시 유병자보험의 판매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유병자들의 불만이 표출된 것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유병자보험의 상품마케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정책당국이 유병자보험에 관한 홍보매체를 제작, 배포하고 이를 통해 가입할 경우 우대하되 역선택으로 판명시 가중 처벌하는 방안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보험서비스 만족도의 경우 유병자와 표준체 집단 간 차이는 없었지만 보험회사 신뢰도는 유병자 군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여 유병자군이 표준체보다 보험회사 신뢰도를 더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기존 유병자보험의 활용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보험가입당시 건강상태를 기준으로 보험료를 산정한 후 일정기간이 경과했을 때 그동안의 건강상태를 종합해서 보험료 및 보장범위를 조정하는 방법이나 유병자보험에 가입한 후 건강상태가 호전될 경우 표준형 보험으로 변경해주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유병자 입장에서 건강관리의 동기부여가 될 수 있고 표준체에 근접해질수록 보험회사에 청구하는 보험금도 줄어들어 보험계약자와 보험회사 모두에게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젊은 층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에 특화된 전용상품을 적극 개발하여 이들의 선택폭을 넓혀 주되 역선택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기존 간편심사보험을 세분화하여 고지항목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 유병자용 상품을 구매한 경우라도 일정기간 평가기간을 거쳐 표준체에 해당된다는 사실이 입증되면 일반심사보험으로 전환하여 보장을 두텁게 하고 보험료를 표준체 수준으로 낮추는 방식의 언더라이팅 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병자들이 자신들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편향을 벗어나서 자신의 위험을 인지하도록 다양한 안내와 지속적인 매스미디어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Until now, mos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verify how insurance purchases affect only healthy people, the standard. However, with the prevalence rate increasing, it is believed to be academically meaningful to verify whether the two group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y distinguishing the patients from the standard, and this difference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product market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tri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30s patients and the standard group, to find out how the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between these groups affect insurance purchase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o that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418 men and women aged 30 to 40 nationwide in April 2019. This study used the SPSS 18.0 program and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ponse data. The factor loading values were 0.40 or higher, the factor number 2 was set as well as the Crombach’s α value required for reliability analysis was set at 0.7 or higher.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groups of patients with diseases and the groups of standards was performed by setting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insurance compani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purchase of insurance as dependent variables. The main hypothesis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regression analysis tests for the patients group showed that the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were t=1.324 and t=1.273, respectively, while P-value had a significant probability value of .189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206. All hypotheses were rejected as p > .05. Therefore,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can be seen as not affecting insurance purchases.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sts for the standard group,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insurance company were t=2.004, t=2.551, and P-value showed p < .05 as 0.046, 0.011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case of a standard, the reliability of the insurance compan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insurance service can be regarded as having an effect on the insurance purchase. In addition, because t values are all (+), the insurer’s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can be viewed a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insurance purchases under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n the other hand,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each variable in the patient group and the standard body group showed that the insurer’s reliability was not assumed to be equal variances with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0 of the value F, and the t value was 2.758, which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 perception of the insurer’s reliability was the patient or not. The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is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F value .003, rejecting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group is the same depending on whether the patient is ill or not. Therefore, in ‘No equal variance assumed’ the t value was 1.460,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146, indicating that the perception of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was not different from group to group in the patient group and the standard group. The average value of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is 2.92 for the patients group and 2.68 for the standard body group, indicating that patients confidence in the insurance company is higher. However, give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relia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standard group, but it does not affect insurance purchase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 group’s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insurance purchases, but in the case of patients, neither had an effect on insurance purchases. It is believed that the conditions for the acquisition of loss-making medical insurance by those with disabilities are limited, and that the insurance company has also responded passively to the sale of the disease-ridden insurance, expressing discontent among the sick. Therefore,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duct marketing for the patient insurance. For example, the policy authorities may produce and distribute promotional media on the insurance of the sick and have preferential treatment when subscribing through it, but impose heavier punishment if it turns out to be a reverse choice. Second, in the case of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and the standard group, but the insurer’s reliability showed a higher average value in the group, indicating that the group recognizes the insurance company’s reliability higher than that of the standard body,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For example, if the insurance premium is calculated based on the health condition at the time of insurance subscription and the insurance coverage is adjus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or if the health condition improves after subscribing to the policy, the insurance can be changed to the standard insurance. This can be a motivation for health ca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ck, and the closer you get to the standard, the less insurance sum you charge to the insurance company, which is believed to be beneficial to both the policyholder and the insurance company.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ace of the recent increase in prevalence among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add high-level items by segmenting existing simple screening insurance to expand their choice by actively developing specialized products. Second, if it is proved that existing products for the sick fall under the standard after a certain period of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underlining technique that reduces insurance premiums to the standard level by switching to general audit insurance. Third, various guidance and continuous mass media publicity will be needed to help the sufferers recognize their own risks beyond the bias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ir own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