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미션스쿨의 지식인 풍경 — 숭실전문학교 교수들을 중심으로

        이경숙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6

        This article paints a landscape painting of intellectuals working at the Colonial Mission College. The author believes that landscape painting includes three elements. The first is the wide space landscape paintings describe, the second is the specific time zone captured by landscape paintings, and the third is the vanishing point. This is the starting point and extension line that defines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In light of these three elements, the author attempts to paint a picture of intellectuals in colonial mission college using the example of Soongsil College professors in Pyongya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 of intellectuals at Soongsil College, a colonial mission school, was both global and local. Second, time at Soongsil College was uneven and curved. The straight time of intellectuals trying to move toward the future collided with the colonial power that pulled it toward the time of state power. Third, with regards to intellectual activity, which is a defining role for intellectuals, professors at Soongsil College conducted their academic activities under the limitations imposed by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institution’s status as a vocational school. They tended to focus on technical education as this met the interests of various groups. 이 글의 목적은 식민지 미션스쿨에 재직 중인 지식인들을 하나의 풍경화로 묘사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풍경화가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한다고 본다. 하나가 풍경화가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공간, 둘째가 풍경화가 포착하는 특정한 시간대, 마지막으로 풍경화의 구도를 잡아주는 출발점이자 확장선인 소실점이다. 이 세 가지 요소에 비추어 평양에 있었던 숭실전문학교 교수들을 사례로 식민지 미션스쿨 지식인들을 풍경화로 그려보고자 한다. 지식인 풍경이라는 이 새로운 방법은 식민지 지식인들을 당대의 시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좀 더 사회적 존재로 이해하기 위해 고안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숭실전문학교 교수들이 활동한 공간은 식민지에서는 때 이르게 글로벌하면서도 로컬했다. 지역 유일 사립전문학교였던 숭실전문학교는 평양의 역사와 식민지적 특성으로 인해 인구구성이 비교적 다양했고, 교수들의 학력구성도 제국을 기반으로 글로벌했다. 동시에 평양이 역사적으로 오래 차별받아 온 서북지역이이면서 민족주의와 사립학교의 설립운동이 활발했던 지역이라는 특성이 지식인에게 영향을 미쳤고, 지식인들 역시 지역에서의 책무를 기꺼이 맡는 지역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지식인들이 처한 시간대를 보면, 미래를 향해 나아가려는 지식인들의 직선적 시간과 이를 제국주의 국가권력의 시간 쪽으로 끌어당기는 권력의 힘이 충돌하면서 울퉁불퉁한 구부러진 시간대를 살아갔다. 셋째, 지식인들에게 핵심적 역할인 지적 행위를 소실점으로 두고 봤을 때, 식민지 미션스쿨 지식인들은 식민지라는 한계와 전문학교라는 한계 속에서 그들의 학문적 활동을 진행했으며, 여러 집단들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기술교육에 몰두하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담론의 균열과 지식인의 위치

        이상옥(Lee, Sang-ok)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이 글은 식민지말기 제국 담론의 균열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대개 지배 담론을 모방, 반복/확대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균열의 흔적들을 제국 담론의 본질적 한계로 해석하고는 한다. 하지만 균열의 문제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왜냐하면 중일전쟁(1937.7)에서 태평양전쟁(1941.12)으로 이어지는 식민지말기의 전시상황에서, 제국 담론 균열은 제국/식민지 담론공간이 생성되는 기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주지하듯이 중일전쟁의 고착화/장기화로 인해 제국 일본은 전시체제의 구축을 위해 식민지 조선과의 관계를 재정립한다. 흔히 황국신민화 정책이라 일컬어지는, 황국신민의 서사 제정, 조선교육령 개정, 육군지원병제도 실시, 국어(일본어) 전용, 창씨개명 등 식민지 조선(인)의 적극적인 전시협력/전쟁동원을 요구/명령하기 위한 일련의 제도적 장치들은 그 구체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원활한 전시협력/전쟁동원을 요구/명령하기 위해 식민지 조선을 제국의 경계 내부로 포섭/포획하려고 하면서도 제국의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고자 했던 식민 지배 권력의 이율배반성이다. 이로 인해 “국책담론”은 일관성이나 구체성을 가지기 어려웠고, 담론적 이상과 현실 사이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동안 이와 같은 균열의 흔적들은 제국 담론의 불완전성/비완결성을 증명하는 근거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식민지말기 전시국가 총동원(총력전)체제 구축을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국책담론들은 애초부터 완결되지 않은 상태로 식민지에 던져진 것이었고, 당연히 조선의 현실에 적용되었을 때에도 다양한 문제점이 표면화될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피식민지인의 적극적인 전시협력이 “필수불가결한” 사항으로 부각된 식민지말기의 상황에서 그러한 담론의 균열은 어떻게든 봉합되어야만 하는 것이었다. 조선의 지식인들이 제국/식민지 담론공간으로 호명된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었다. 그리고 “서구 근대의 파국”으로 상징되는 세계사적 정세를 바탕으로 “근대의 초극”이라는 일본의 탈근대적 이상을 새로운 시대의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였던 식민지 조선의 친일파시즘 지식인들은 “국책담론”에서 나타나는 균열을 봉합하는 “지식인의 책무”를 수행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적 담론공간과 위치를 창출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식민지 지식인들은 제국 담론의 균열 속에 존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ain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n the late colonial era. Existing discussions interpreted as inherently limits of colonial discourse, imita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and the cracks that appear in the process. However, the problem of crack is not so simple. Because, in the situation of the late colonial period, leading to the Sino-Japanese war in the Pacific War,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s the origin that forming the space of empire/colonial discourses and discourse system of interpellation and response.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mperial Japanese is Redefining the relations with Colonial Korea to build a system of war. But the problem is contradictions of dominant power that subsumed to the colony inside the boundaries of the empire, but wanted to retain the status of the empire. As a result, the cracks between the discursive ideal and the reality will occur. Meanwhile, signs of cracks has been used as evidence to prove the imperfec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But the dominant discourse was thrown into the colony as a non-completion status. That"s why they called intellectuals of this colonial korea. Based on the world-historical situation, chosun intellectuals that embraced it as a new paradigm Japan"s postmodern ideal, has created a discourse space and intellectual position through the stitching of cracks appearing in the national discourse.

      • KCI등재

        한일조약체제와「식민지」책임의 국제법적 재조명

        도시환(DOH See-hwan) 대한국제법학회 2012 國際法學會論叢 Vol.57 No.3

        본 연구는 「식민지」책임이라는 관점에서 한일조약체제를, 1910년 한일병합조약체제, 1951년 대일강화조약체제, 1965년 한일협정체제, 2010년 한일지식인에 의한 “1910년 한일병합조약은 원천무효”라는 공동성명을 기점으로 한 「식민지」책임에 대한 판결 체제, 그리고 남겨진 현안과제이자 역사적 후속작업으로서 2015년 한일협정 체결 50년 체제로 구분하여, 각 조약체제상의 국제법적 문제점과 그 극복방안에 대해 재조명해 보았다. 2010년 한일 양국 지식인이 ‘역사적 정의’에 입각하여 천명한 “1910년 한일병합조약은 원천무효”라는 공동성명에서와 같이, 침략을 본질로 하는 무효사유로서의 1910년 한일강제병합조약을 전제로 한 일제식민지배의 불법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한일청구권협정상 배상청구권이 포함되어야 하며, 그러한 불법적인 식민지배로부터 시작된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 역시 카이로 선언(1943년) 및 포츠담 선언(1945년)에서 일본이 ‘폭력과 탐욕에 의해 약탈한’ 영토인 독도를 일본의 영역에서 분리하여 취급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일본정부는 지금까지 1910년 ‘한일병합’에 대해 유효부당론을 포함하여 합법이라는 전제에서 1951년 대일강화조약체제 하에 1965년 한일협정체제를 복속시킴으로써 전후 책임을 외면해 왔다. 그러나 한국은 1951년 대일강화조약의 비당사국일 뿐만 아니라 2010년 한일지식인 공동성명을 통해 “1910년 한일병합조약은 원천무효”가 천명됨으로써, 연합국에서 제외된 한국으로서는 한일간 양자조약인 1965년 한일협정에서조차 배제된 불법식민지배 책임을 포함하여 전후배상을 위한 논의의 토대가 최초로 구축된 것이다. 더욱이 2011년 8월 헌법재판소가 내린 일본군‘위안부’ 및 원폭피해자 문제와 관련하여 한일청구권협정 제3조상의 중재재판을 근거로 한 부작위위헌결정을 비롯하여, 지난 5월 24일 대법원은 12년간에 걸친 강제징용피해 배상소송과 관련하여 불법적인 일제강점기의 식민지배 자체를 합법으로 보는 일본판결은 대한민국 헌법의 핵심적인 가치와 상충되므로 승인할 수 없다는 역사적 정의에 입각한 판결을 내렸다. 따라서, 2015년 한일협정 체결 50년을 앞둔 시점에서, 한일 양국 지식인공동성명에서 천명된 ‘1910년 한일병합조약은 원천무효’라는 국제법적 불법론에 입각하여, 1951년 대일강화조약의 비당사국인 한국으로서는 양자조약인 1965년 한일협정체제에서도 해결하지 못한 「식민지」책임에 대한 국제법적 문제점을 규명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15년 반세기를 맞이하는 한일협정체제가 역사갈등의 본질적 문제를 극복함과 아울러 진정한 역사화해를 모색함으로써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를 위한 한일조약체제로서 국제법적 기여를 다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Japan Treaty System in the perspective of the responsibility for colonial rule is classified as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system of 1910, The system of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of 1951(Treaty of San Francisco), The system of the Korea-Japan Basic Relations Treaty in 1965, Ruling system based on the responsibility for colonial rule started with scholars’ a joint statement;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is originally invalid? in 2010 and the Basic Relations Treaty semi-centennial system of 2015 which remains as a current issue and needs to historically follow-up. In this essay treaty systems are respectively reexamined legal issues on the international level and I try to seek for handling measures. Like the joint statement by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that “Japan -Korea Annexation Treaty is originally invalid”, to eliminate illegality of Japanese colonial rule based on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10 concluded through coercion which can be invalid due to invasion, the Annex agreement of the Basic Relations Treaty relates to the right of claim must include the right to demand reparation. Besides the claim of the Japanese sovereignty over Dokdo started since illegal colonial rule period needs to review that Japan specified that Dokdo conquered with violence and greed by Japan would be treated separately from the Japanese territory in Cairo Declaration(1943) and in Potsdam Declaration(1945). Under the premises that the Japan-Korea Annexation in 1910 is legitimate including the “unjust but valid” theory,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disregarding the post-war responsibility. Korea has had no legal basis to claim for post-war reparations as Korea was excluded from the Allied Powers as well as is a non-contracting party to Treaty of Peace with Japan of 1951. Proclaiming that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is originally nullified through the joint statement of intellectuals in 2010, the foundation is laid for the first time for discussing post-war reparations including responsibility of illegal colonial rule by Japan excluded even in the Basic Agreement of 1965. Moreover,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a decision on unconstitutionality of omission regarding Japanese military’s Comfort Women and atom bomb victim issues based on arbitration on the Korean-Japanese claim agreement article 3 in August 2011 and the Supreme Court rendered a verdict related to appeal for redress for the compulsory manpower draft of 12 years duration that Japan’s Judgment which regards the colonial rule as legitimate is against the core value of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Therefore, at this point with only three years before the 50th anniversary for the “Basic Agreement of 1965”, we need to clear up such problems of the responsibility for colonial rule o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based on the Korean-Japanese intellectuals’ joint statement that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is originally null and void. By doing so, Korea-Japan Basic Treaty System which becomes half a century in 2015 after entering into the Korea-Japan Basic Agreement must contribute to build peaceful and prosperous North East Asia era o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overcoming the fundamental problems of historical conflicts and finding a way of true history reconciliation.

      • KCI등재

        근대 일본문단과 식민지의 문학자

        김계자(Kim Gae-ja)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2 No.-

        본 논문은 제국 일본의 문단에서 일본어로 글을 써 활동했던 식민지 조선의 문학자가 행한 대내외적 활동과 그 대표적인 작품을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조선의 문학자가 같은 식민지 경험을 하고 있는 대만의 문학자와 연대함으로써, 일제하에서 식민지 지식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공유한 김사량과 룽잉쭝의 문학에 나타난 의미를 살펴보았다. 식민지 조선의 문학자가 일본문단에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하게 되는 것은 1930년대 이후이다. 장혁주, 김사량이 그 중심에 있었는데, 이들은 일본의 잡지 미디어를 통해 일본문단으로 적극 나아갔다. 장혁주는 당시 상업자본의 중심에서 식민지 문학을 의식적으로 포섭하려 한 종합잡지 『개조』를 통해, 김사량은 신흥문학의 거점으로 자리잡고자 한 문예동인지『문예수도』를 통해 서였다. 이들의 활동이 계기가 되어 일본에서는 조선문학 ‘붐’이 일었다. 무릇 문학은 정치사회적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특히 제국의 언어 일본어를 통해 문학 활동을 해야만 했던 1930년대 식민지 문학자들에게는 선택지가 한정됐을 것이다. 그러나 문학자는 결코 시대적 상황에 수동적으로 머물지만은 않는다. 조선의 김사량과 대만의 룽잉쭝은 식민지적 연대를 통해 식민지 지식인의 문제를 공유하면서 문학 활동을 해나갔다. 김사량의 『빛 속으로』는 언어적 관점에서 경계적 사유의 개념을 끌어내고 있으며, 룽잉쭝의 『파파야 마을』은 제국과 식민지의 혼종적 공간을 보여줌으로써 제국과 식민지의 경계를 짓는 자체의 무의미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thesis discuss the colonial novelists’ works under Japanese Colony, containing Chosun and Taiwan. They wrote novels in Japanese, and made a debut in modern Japanese literary world. In that process, the novelists of Chosun and Taiwan recognized each other what living under Japanese colonialism as intellectuals was like. It was since in the 1930s that novelists of Colony Chosun wrote novels in Japanese literary world with the gloves off. Chang, Hyukju and Kim, Saryang were in this center. Chang was through the magazine Kaizo which would take the colonial literature earnestly under the strategy of commercial publication, and Kim through Bungeisyuto which would hold a place as a base in the new literature. That is, Chang and Kim went out to Japanese literary world through magazines published in Japanese empire. Thanks to their literary activities, Chosun literature boomed in modern Japan. Kim’s novel into the Light is questioning the meaning of writing in Japanese. And his critical suggestion raised the relations with the novelists of Taiwan which was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like Chosun. Taiwanese novelist Rung Ingzzhong who banded with Kim wrote a novel Papaya town, which represents the hybridism of empire and colony.

      • KCI등재

        특집논문 : "문학 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위상학 -「조선(朝鮮),태만(台灣),중국신예작가집(中國新銳作家集))」(1936.1)과「조선현대작가특집(朝鮮現代作家特輯)」(1937.2)을 중심으로-

        신지영 ( Ji Young Shi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본 논문은 1930년대 중반 「문학안내」에 실린 “문학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장에 초점을 맞춰, 프로 문학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제국주의적 검열의 심화라는 세 가지 양상 속에서 ‘식민지 문학특집’의 장이 펼쳐졌음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치 속에서 ‘문학특집’에 수록된 작품들이 제각각 어떤 전략을 모색했는가를 원본(조선어)과 번역본(일본어) 사이의 차이를 통해서 살펴본다. 이때 제국/식민지 관계뿐 아니라, 제국 문단 속 대만과 조선의 위치가 서로를 어떻게 참조하면서 제국 문단을 내면화하고 또 제국 문단에서 비껴난 접촉의 공간을 형성했는가를 모색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회주의 문학자들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아시아로의 제국주의적 침략의 그림자가 뒤엉킨 상황 속에서 ‘근로자 대중’이 직접 창작하는 문학을 목표로 하여 만들어진 1930년대 중반의 「문학안내」라는 잡지의 성격을 일종의 독자란인 「안테나」에 초점을 맞춰 규명한다. 둘째로 프로문학의 교조성을 탈피한 대중성, 출판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근로자 대중의 현실에 기반하고 그들의 손으로 생산하는 문학, 엄격한 검열에 대한 경계라는 양상 속에서 1930년대 중반의 「문학안내」의식민지 문학 소개의 장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때 1935년 10월부터 시작된 「새로운 보고」란의 식민지 문학 소개가 1936년 1월호의「朝鮮·台灣·中國新銳作家集」 과 1937년 2월의 「朝鮮現代作家特輯」로 이어지는 과정을 중국, 대만, 조선의 관계성 형성 속에서 고찰한다. 이때 대만과 조선이 서로를 어떻게 참조하고 제국 문단의 위계를 내면화 하는가를 비판적으로 논한다. 셋째로 1937년 2월의 「朝鮮現代作家特輯」 에 실린 작품들의 한국어 원본과 일본어 번역본을 비교하여, 각각의 문학자들이 제국 문단에 소개되는 기회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어떤 지점을 드러내려고 했는가를, 각 문학자들이 지닌 내재적 논리(자본주의 비판, 식민지주의 비판, 식민지적 근대성 비판)를 통해서 드러내고, 이러한 논리들이 대만의 작가들의 전략과 어떤 공통점을 지녔는가를 시사한다. 결론에서는 이것이 1940년대에 이것이 문학전집으로 묶일 때 무엇이 배제되는가를 1937년 2월 「문학안내」의 문학 특집과의 관련성이 강하게 보이는 「朝鮮文學選集」(1~3)(赤塚書房, 1940)의 편집의도를 통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문학 특집과 문학 선집과의 제도적 연계가 지닌 가능성과 한계를 1940년대라는 문단적 사상적 상황을 통해 드러내고, 1940년대에 만들어진 조선 문학 특집과의 비교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1930년대 중반의 문단적 조건, 프로 문학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제국주의적 검열의 심화라는 세 가지 양상 속에서 ‘식민지 문학특집’의 장은 펼쳐졌다. 그런 점에서 문학특집은 포섭과 탈주가 공존하는 장이었다. 이러한 배치 속에서 ‘문학특집’에 수록된 작품들의 원본(조선어)과 번역본(일본어) 사이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작가들이 제각각 지닌 논리(국제 사회주의 연대, 피식민지 지식인의 내면 묘사, 식민지 농촌 근대화 비판, 일본인들과의 다층적인 관계와 식민지 어촌, 하층민의 사투리) 등을 통해 번역했고 이것이 식민자로 하여금 새로운 소재=식민지 문학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을 동시에 갖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있다. 또한 이때 제국/식민지 관계 뿐 아니라, 제국 문단 속 대만과 조선의 위치가 서로 경쟁하면서 상호 참조하는 과정을 밝혔다. In the middle of 1930’s, the proletarian literatures were undergoing conversions, the print capitalism was emerging and the imperial censorship was strictly imposed. Under the harsh circumstances, Bungaku annai [Literary guide] carried special literary issues. I examine the works in them with the focus on colonial contacts. I notice the different ways in which the works in them adopted the strategies for introducing themselves to the imperial world, while comparing the original versions with the translated ones. Besides, I look into the temporal space in which Choson and Taiwan interiorized imperial literatures by implicating each other and twisted or foiled them at the same time. Firstly, Bungaku annai aimed to produce and publish literary works created by laboring masses. It contained the section called “Antenna” which carried the readers’ opinions, which complied with the magazine’s plan. Thus, I deal with the section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goals of the magazine. Secondly, I show the processes in which the magazine designed the introductory sections for the colonial literature, based on popularity free from the ideological code of proletarian creativity stemming from the laboring masses despite the harsh imposition of censorship. The introductory section named “Fresh Report”, which began in October, 1935, developed into “The Collection of New Writers from Choson, Taiwan and China,” which appeared in January, 1935 and “The Special Issue of Contemporary Writers from Choson,” in February, 1937. I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s in the ligh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na, Taiwan and Choson, with a critical discussion about the way how they implicated, compared and stratified one another. Thirdly, the works in “The Collection of New Writers from Choson, Taiwan and China” have their original versions and translated ones. Comparison between the two versions brings to light the way how the writers strategically utilized the chances to be introduced to the imperial literary world, and their criticism against capitalism, colonialism and modernity which they fostered in their inner minds. I suggest the logics and strategies the Taiwanese and Choson writers shared in common through making comparisons. Fourthly, there appeared “The Special Issue of Choson Literature” in the magazine Bungei [Literary arts] in July, 1940. It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early 1940’s, when the language, together with themes, was beginning to be incorporated into the imperial world and, thus, the “Choson” was “absent” from the colonial literary special issue. Then, writers were forced to write only in Japanese, whereas they, in the former days, could write in Korean and translate in Japanese. Here, they changed their strategies to represent their thoughts in the imperial literary situation. I treat the changing tactics they employed. Taiwan Koron [Taiwan opinion], which interiorized imperial literary systems, carried “The Special Choson Issue,” in December, 1943. None of the Choson writers, ironically, participated in arranging the Issue. However, Taiwan writers expressed their strong colonial emotions like competitiveness, empathy, jealousy and others toward the Choson literature and culture. By carefully looking into the Issue, I reify the colonial contac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aiwan and Choson. What is remarkable here are the situations in which the victims of imperialist’s violence sold out their suffering experiences (or imparting their information) to the metropole of the empire which inflicted damages on them and the situations in which the intellectuals in the diaspora resisted the centrality the metropole suggests and at the same time they interiorized the empire. Now we ask a question how they appropriate or avoid them. I examine them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r and colonized as well as between the colonized themselves. Together with them, I discuss the strategies the writers made use of when they translated their works into Japanese and expound their literary logics while deflecting the imperialist’s intents.

      • KCI등재

        단재 신채호의 국권회복을 향한 사상과 행동

        정윤재(CHUNG YOON-JA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 No.2

        지식인의 정치사회적 영향력은 말과 글, 그리고 담당하는 일에 의해 시작되거나 심화된다. 그런데 지식인이 지적 리더십(intellectual leadership)을 발휘한다는 것은 그(녀)와 그(녀)의 영향을 받은 추종자들이 어떤 문제제기 및 그 해결과정에 함께 참여하면서 토론을 포함 한 각종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통해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혼자서 지적작업을 진행하면서 주변 사람들과는 아무런 의미있는 인간적, 지적 교류가 없이 고립된 천재철학자의 생활을 지속했던 비트겐슈타인과 주변의 소피스트들이나 제자들, 그리고 일반인들과 아테네에서의 이상적인 삶에 대해 줄곧 논쟁하다가 결국은 아테네의 청년들을 ‘잘못 이끈’ 죄;로 독배를 마셨던 소크라테스는 서로 아주 대조적이다. 이 경우 지적리더 십을 발휘했던 사람은 물론 소크라테스다. 실제 삶의 세계속에서 비트겐스타인은 다른 사람들을 이끌었거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이끌림을 당하는 경우가 없었지만, 소크라테스는 계속적인 대화와 토론을 통해 서로 배우며 가르치는 지적 리더십 과정의 한복판에서 살았다. 우리가 “역사민족주의자” 혹은 “근대적 민족사관”의 개창자로 알고 있는 단재 신채호(丹齊 申采浩, 1880-1936)는 바로 소크라테스와 같은 지적리더십을 발휘했던 지식인이었다. 그는 당대의 정치사회적 문제들에 대해 철저한 도전의식으로 일관하면서 국권상실기 대한제국과 일제강점하의 조선을 구하고 일으켜 세우기 위해 치열한 글쓰기와 말하기, 그리고 그에 따른 행동에 매진했던 지식인이었다. 그는 언제나 주변의 의식있는 지식인들과 교류하면서 민중계몽에 앞장서며 자신의 생각을 펼쳤으며, 존경받는 지식인 혹은 소문이 자자한 애국지사로서 그를 따르는 주변의 인물들 및 대중들과 공통목적의 성취를 위해 지속적으로 교류하였다. 그는 또 여러 언론사에 초빙되어 수많은 논설을 쓰며 민족독립을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폈다. 일제강점기동안 중국으로 망명하여 동지들과 함께 군사적 무장투쟁론을 주창하고 이를 실천하기에 전력으로 매진하였다. 또 그의 글이나 저작들은 당대 주요 신문들에 연재되어 많은 엘리트와 백성들을 고무하고 개명시켰다. 그의 삶과 사상에 대해서는 안재홍, 홍명희, 문일평, 이극로, 이윤재, 심훈, 정인보 등 살아 생전 그와 교분이 있던 많은 지식인들이 평가한 바 있으며, 그가 중국 땅 여순의 감옥에서 옥사하였을 때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조선중앙일보 등 당시의 유수 언론기관들이 적극 나서 장례비를 각출하여 그를 추모하였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와 신채호는 무엇보다도 그들이 각각 처했던 국가적 현실이 근본적으로 달랐기 때문에 그들의 생각과 행동, 즉, 지적 리더십의 성격이 달리 나타났다. 즉, 소크라테스는 조국 아테네의 자부심 넘치는 시민 중 한 사람으로 수많은 논쟁과 갈등속에서 거침없이 자유롭게 활동했지만, 신채호에게는 스스로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조국이 없었기 때문에, 비밀리에 암약하거나 하시라도 잡혀갈 각오로 글을 써야 했다. 언론인, 역사가로서의 신채호는 언제나 목숨으로 걸지 않으면 안 되는 상태에서 속박과 부자유의 삶을 살았다. 즉, 소크라테스는 조국이 있는 행복한 지식인이었지만, 신채호는 조국이 없는 불행한 지식인이었다. 그래서 양인은 적어도 다음 네 가지 면에서 서로 다른 모습을 보였다. 첫째, 신채호에 있어서 국권상실과 일제하 식민지의 불행한 현실은 그 자체로서 악(惡)이기 때문에, 그런 현실과 타협이란 있을 수 없었고 폭력을 포함하여 그것에 대항하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선(善)으로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의 현실에서 관찰되는 부조리와 모순을 예리하게 지적하면서도 "악법도 법이다”라며 그 모든 것을 훌륭한 조국에 대한 자긍심으로 관용하고 타협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폭력사용과 같은 비합리적인 행태는 언제나 회피와 비판의 대상이었다. 둘째, 신채호는 국권상실과 망국의 좌절이 지속되는 가운 처음에는 문제해결자로서 “영웅”을 기대하기도 하였고 마침내는 무정부주의사상에 경도되어 내외의 무정부주의자들과 연계하여 항일과 독립쟁취의 방도를 구하고자 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소크라테스는 편안하고 여유있는 삶을 즐기는 가운데 보다 이상적인 민족국가형태와 선 혹은 정의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들에 대한 “절대정의” (episteme)를 추구하며 진지한 논쟁을 즐기면서 누구든지 개인이 절대화 혹은 영웅시되는 경향을 경계하였다. 셋째, 신채호는, 실제 자신의 삶속에서 공적인 임무수행과 관련한 주요한 결단의 시기마다 부인과 가족이라는 사적 차원의 ’장애물’을, 마치 계백장군이 그랬던 것처럼 포기해버렸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비록 자신의 유명한 악처 크산티페때문에 자신이 존경받는 남편으로서 단란한 가정에서의 행복을 덜 누렸을지는 몰라도 전체적으로 선한 아테네 도시국가의 정의와 질서를 위한 자신의 역할을 소임을 다하기 위해 부인과 가정을 의도적으로 포기하지는 않았다. 넷째, 소크라테스는 배우고 싶고 알고 싶은 욕망에 가득찬 진리추구자로서 사람들과 끊임없이 질문하고 토론 하면서도 결국은 무지의 자각을 강조하며 질문에 대한 명확한 대답을 제시하지 않고 열어놓은 것만으로도 족한 편안한 여유속에서 지냈지만. 신채호는 국권을 상실한 민족의 살길을 찾기위해 분투하는 문제해결자로서 언제나 구체적이고 명확한 행동차원의 처방을 제시하고 실천하는 것을 소임으로 여겼다. 즉 소크라테스가 지혜와 진리를 탐구하는 철학적 사유의 실천가였다면, 신채호는 현실적 문제해결의 처방책을 추구하고 실천하는 지식인으로 행동하면서 각자 지적리더십을 발휘하였다. 이상에서 우리는 신채호와 소크라테스는 조국의 없음과 있음에 따라 각각 다른 내용의 지적 리더십을 발휘했음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우리는 정치사회적 문제해결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지식인들이 추구하는 지식과 행동을 ‘보편적 진리탐구’라는 하나의 시각만으로 평가 할 수는 없음도 알게 되었다. 어느 지식인이 처해있는 정치공동체의 상황에 따라 그리고 그가 스스로 주체하기 어렵다고 인식하는 양심의 명령에 따라 그(녀)가 추구하는 지식은 “진리” (theoria)를 최고기준으로 하는 것이 되기도 하고, 또는 “좋은 행동” (praxis)을 최고기준으로 삼는 것이 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생각할 때, 조국이 없음에서 비롯되는 불행속에서 살았던 신채호의 지적작업과 행동은 조국이 회복된 상태에서 비교적 풍족한 삶을 사는 가운데 있는 ‘보편적 진리탐구’에 경도되어있는 현대의 지식인들과는 다른 시각에서 평가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여전히 앞뒤가 꽉 막힌 “닫힌 민족주의자”로 남아있을 것이다. 그는 민족이 처한 불행에 대해 열정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개인차원의 고난을 감당하며 그 해결을 추구했던 떳떳한 민족주의 지식인이었다.

      • KCI등재

        문화적 식민지의 풍경과 지식인의 ‘부재의식’ ― 김남천과 이효석의 소설을 통해 본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지식인의 형상과 전망

        배하은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9

        In the process of rapid modernization of Seoul(Gyeongseong) during the 1930s, colonial intellectuals painfully noticed cultural colonialism. Yet, they tried to perform their role and responsibility to satisfy the cultural desire of colonial Korea(Chosun), not embracing easily the superior culture of the empire of Japan. At that time, as the influx of Japanese capital into cultural business in the colony increased, the ideological subject interpellated by the capitalism of the empire appeared in the popular culture. During the late 1930s, the imperial ideology functioned in two ways: on one hand, providing cultural desires to the natives in the colony, on the other hand frustrating their desires by social(racial) discrimination and political oppression. The decadence and hedonism of so called “modern boys and girls” were originated in the very ideological mechanism of desire and frustration. In their novels, Kim Namcheon and Yi Hyo-seok show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and fascinated into technology and Bildung, which was a part of the project to explore a new agent with artistic creativity, intellectual passion, and vivid life. The phenomenon of so called “ero-gro-nonsense(the eroticism, the grotesque, and the nonsense)” disrupted the moral and artistic value, norms, and ideal in the late 1930s, while the Japanese wartime system was increasing the political oppression. In this situation, technology and Bildung were supposedly making a path to the satisfaction of cultural desires in the colony. People considered them as something modern and fascinating, which might lead them to a cultural richness. Colonial intellectuals were challenged to appropriate technology and Building not for an ideological practice but for a possibility of value neutrality. In order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value neutrality, Kim Namcheon and Yi Hyo-seok performed a simulation of how their protagonists meet the challenging in their novels. As a result, Kim Namcheon found that the so called “value neutrality” of technology and Bildung were actually functioning as the ideological practice of the Japanese wartime system. In his novel, “Maeg(Barley)” he represented a prototype of the colonial intellectuals who rejected the place of an ideological subject and escaped from the decadence and the hedonism of the colony by the consciousness of absence. 1930년대 경성의 근대화와 도시화의 결과 식민지 조선이 처한 문화적인 피식민 상태를 훨씬 더 강렬하게 체감하게 된 지식인들은 ‘우월한’ 제국의 문화를 수용·추종하는 손쉬운 방식으로 열등감을 해소하기보다는, 식민지 조선의 문화적 열망을 정당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인의 역할과 임무에 대해 고민하는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특별히 이 시기에는 식민지 조선의 문화 사업이 일부 거대 기업, 특히 내지 자본에 의해 주도되면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문화 창작·생산과 향유의 주체가 아닌, 제국 자본에 포섭되는 대중문화의 이데올로기적 주체들이 양산되기 시작했다. 1930년대 말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 속에서 작동하는 제국의 이데올로기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문명화된 일본인’으로 자신을 동일시하고자 하는 욕망을 제공하되, 그와 동시에 정치적인 억압과 사회적인 차별을 통해 그 욕망의 좌절을 선사하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종종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모던보이·모던걸의 퇴폐와 향락은 이러한 욕망과 좌절의 토양에서 자라난 위험한 감수성이었다. 1930년대 후반 김남천과 이효석의 소설 작품에서 드러나는 기술과 교양의 가치중립성에 대한 관심과 매혹은 문화적 열망의 좌절이 불러오는 데카당스에서 벗어나 문화·예술의 창조성, 지적 열정, 삶의 풍요를 추구하고 경험할 수 있는 주체에 대한 모색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에로·그로·넌센스 따위의 대유행이 사상적 전망의 부재를 틈타 도덕적·예술적 가치와 규범, 이상을 사장시키는 가운데, 또 한편으로는 전시 체제가 커피와 홍차의 풍미조차 마음껏 즐길 수 없는 억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와중에, 기술과 교양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의 문화적 열망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신선하고 참신한 것’이자 ‘현대적인 매혹’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시대에 지식인이 맞닥뜨린 가장 큰 도전은 기술과 교양의 가치중립성이라는 새로 발견된 이 매혹적인 가능성을 체제 이데올로기적 실천이 아닌 방식으로 전유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였다. 그리고 김남천과 이효석의 소설은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일종의 시뮬레이션처럼 주인공을 비롯한 여러 인물들을 그러한 서사 속에 던져 넣고 인물들의 행로와 서사의 향방을 기록해 나가는 작업이었다. 그러나 김남천은 그러한 ‘가치중립적(이라고 여겨지는)’ 기술과 교양이 실상은 신체제의 이데올로기적 실천에 제도적으로 또한 담론적으로 동원되는 함정을 알고 있었다. 그리하여 결국 그는 「맥」에서 이관형이라는 인물과 그가 탐색하는 ‘부재의식’을 통해 욕망과 좌절이 혼재된 “낭비”의 세계를 탈출하되, 오시형의 다원사관으로 대변되는 지배 체제의 담론적 구성물인 갈등과 고통이 해소된 주체의 자리 또한 사양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형상과 존재 방식에 관한 사유를 보여준다.

      • KCI등재

        식민지 인도 지식인들의 한국인식 연구

        선저이,반사박,박인순,유성선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3 No.-

        한국과 인도는 고대부터 독자적인 문명을 발전시켜 상호간 교류해 왔으며 양국교류의 관한 언급은 고대 1C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후 4C경에 불교가 전파되면서 한ㆍ인 관계의 초석을 이루었으며, 많은 한국 스님들이 경 전을 구하러 부처의 땅으로 고난의 순례를 했다. 인도 스님들도 불교의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한국으로 방문 한 바가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교의 숭상과 불교의 억제로 상호간의 문화적 협력이 쇠퇴하게 되었다. 하 지만 21C 현재, 특히 식민지로서 억압을 격고 있었던 아시아인들의 영감의 원천이 된 Rabindranath Tagore, Mahatma Gandhi와 Jawaharlal Nehru 등의 추앙을 받은 영향력이 있는 지도자들에 의하여 상호간의 인식이 재조명되었다. 식민통치 아래 한국인들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정책을 저항하였다면, 인도인들은 영국 제국주의 저항에 있어 동일한 경험을 했다. 아울러 양국은 독립을 쟁취하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한 점도 공통적이다. 본 논 고에서는 그 암울한 식민지 통치 시대에 인도민족운동에 중대한 역할을 하였던 식민지 인도 지식인들의 한국 인식을 고찰하려고 한다. 따라서 반제국주의의 관점 제시와 사회적 개혁 및 민중을 깨우는 역할에 있어서 양 국의 지식인들의 영향과 의의가 있었다. 본 논고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일본 식민지시대 인도지식인들이 직접·간접적으로 관찰한 인식을 검토하면서 그 인식의 근거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Available records show that the history of interactions between India and Korea dates back to the first century A.D.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independent ancient civilizations were largely indirect. This was because there was no direct land route between India and Korea. The spread of Buddhism later in the 4th century provided the foundation for cultural interactions. Afterwards, many of the Korean monks and scholars went on pilgrimage to the land of Buddha in search of scriptures and knowledge. Indian monks also visited Korea to spread the teachings of Buddha. The policy of expanding Confucianism during the Joseon period as well as a decline in the practice of Buddhism over a long period of time resulted in decreasing cultural interactions among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 In recent times,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were rekindled during the period of colonial hardships under the leadership of important Indian leaders like Gandhi, Tagore and Nehru who perceived Korea indirectly and expressed their accumulated perceptions. Furthermore, Indian writers like Rahul Sankrityan and Shiv Prasad Gupta visited Korea via Japan and wrote their observations about colonial Korea based on their direct interaction. In fact, Indian views of Korea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ere mixed, and depended greatly on the respective observers' relationship and the incidents which took place during their colonial period. Although Korea was not very well known among the common masses of India during the colonial period due to various reasons but nevertheless its cognizance and recognition among the representative Intellectuals and leaders of Independence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ortraying Korea as a separate cultural and racial entity distinct from Japan.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direct and indirect cognizance of Korea among the Intellectuals of Colonial India and objectively examine their views of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1910~1945).

      • KCI등재

        식민지 아카데미즘과 조선의 지식인 청년들

        정하늬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72

        The paper looked at the colonial Academyism in a novel that shows young people who were intellectuals of the colonial Joseon who wanted to enter the academic world of the colonial Joseon. In colonial Joseon, there was only one university. So it was very difficult to develop knowledge of the colonial Joseon. In The Waste(『낭비』, Kim Nam-cheon), Blue Tower(『푸른 탑』, Lee Hyo-seok), Record of Suffering(『수난의 기록』) and Hwasangbo(『화상보』)Yu Jin-oh), Joseon’s young intellectuals write papers. Their writing is related to intellectuals' responsibility to show the reality of Joseon beyond the question of meeting intellectual desires. Their paper used English literature to talk metaphorically about the establishment of an Imperial-colony relationship, and also corroborate the fact that an academy was not established in Joseon. It also showed the reality that Joseon's things must be part of the empire. After all, the colonial writers show paradoxically the possibility of a new knowledge-reproduction of Joseon, through the young intellectuals who already knew the closeness of the knowledge-field fight the reality, and show their intellectual desire, limitations and frustration. 이 논문은 식민지 조선의 학계에 들어가려고 하는 식민지 조선의 지식 인 청년들을 보여주는 소설에 나타나는 식민지 아카데미즘에 해 살펴보 았다. 식민지 조선에는 학이 경성제국학 한 곳뿐이었다. 그러니 식민 지 조선의 지식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낭비』(김남천), 『푸른 탑』(이효석), 『수난의 기록』(유진오), 『화상보』 (유진오)에는 논문을 쓰는 지식인 청년들이 등장한다. 본고는 이들의 논문 쓰기가 지식인들의 지 욕구 충족이라는 문제는 넘어서서 조선의 실을 보여주려고 한 지식인들의 책무와 련이 있다고 본다. 그들의 논문은 문학을 통해 제국-식민지 계의 조선을 비유으로 이야기하기도 하고, 조선에서 아카데미 확립이 불가능한 실을 방증하기도 하다. 한 조선 인 것이 제국의 것의 일부가 될 수밖에 없는 실을 보여주기도 하다. 결국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불가능성을 알고 있었던 식민지 작가들은 오히 려 그 불가능성 안에서도 지식 재생산을 열망하고 있었던, 그게 학문과 실 사이를 분주하게 오갈 수밖에 없었던 조선의 지식인 청년들의 지 욕망과 한계, 좌, 그러면서도 그것을 뛰어넘는 새로운 지식 재생산의 가 능성을 장의 폐쇄성을 통해 역설으로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일제말 ‘만주(국)의 근대’에 대한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풍경-유진오의 「신경」과 이효석의 「하얼빈」을 중심으로-

        고명철 한민족문화학회 2008 한민족문화연구 Vol.27 No.-

        Manchuria was an independent nation, and an unofficial colon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Due to its combined nature of a nation-state, Manchuria’s international open policy and characteristics of a post-nation -state was the object of attraction to the colonial intellectuals experiencing still more acceleration of despotism of the fascist system at the end of 1930s. Yu Jin-o’s 「Shinjing(신경)」 and Lee Hyo-Seok’s 「Harbin(하얼빈)」 are outstanding works that realistically disclose the inner prospect of those colonial intellectuals. The two works with Manchuria’s main cities, Shinjing and Harbin, for the backgrounds superficially take the prospect from the Japanese Imperialism, as do most works during the period. Both works read, in common, Japan’s inquisitiveness toward East Asian modernization and the admiration of it. Nonetheless, they cannot merely be taken to reflect ‘colonialist unconsciousness’; that is, a projection of the colonized nation’s consciousness. On the contrary, the works expose a narrative attitude of roundabout criticism on the problems of Japan’s colonialist administration of Manchuria. Manchuria’s modernization which is considered a different sort of colonialist administration from Joseon has been witnessed not being taken on a sound status and, hence, brought up a new subjectivity (Yu Jin-o’s 「Shinjing(신경)」) and it reveals pathos and a skeptical attitude toward the manifestation of melancholy modernization (Lee Hyo-Seok’s 「Harbin(하얼빈)」). The colonial intellectual’s inner prospect is not indiscriminately buried by the new order in East Asia under the fascist system which still more accelerates in the en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nstead, it demonstrates the intellectual’s perplexities while trying to secure a critical position. It is, however, pathetic the perplexity is not exposed in the midst of the confrontation with Joseon’s concrete reality, but with the reality in Manchura, a nation with conspicuously different colonialist administration from Joseon. What is important is, however, not whether it is Joseon or Manchuria. The intellectual’s inner prospect revealing a position in order not to be blind-folded, while witnessing a pursue for Japan-oriented modernization perseverance (criticizing the modernization of the West) by wa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Universal Brotherhood (hakkouichiu), can only be a precious narrative asset. 만주국은 독립국이되, 일본 제국의 비공식적 식민지이며, 복합적 민족국가의 성격을 지닌바, 만주국이 지닌 국제적 개방성과 탈국민국가의 속성은 1930년대 후반 파시즘 체제의 전횡이 더욱 가속화되는 식민지 지식인에게 매혹의 대상이었다. 유진오의 「신경」과 이효석의 「하얼빈」은 이와 같은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풍경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는 수작(秀作)이다. 만주국의 주요 도시인 신경과 하얼빈을 배경으로 한 이 두 작품은 일제말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그렇듯, 표면적으로는 일본 제국의 시선을 취하고 있다. 만주국에서 실험되고 있는 일본의 동아시적 근대를 향한 호기심과 그에 대한 동경은 이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읽을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 두 작품을 단순하게 ‘식민주의적 무의식’이 반영된 것, 즉 식민지 본국인의 의식을 투영시킨 것으로 볼 수만은 없다. 도리어 일본의 만주국 식민주의 경영이 낳은 문제점들을 에둘러 비판하는 서사적 태도를 보이며, 조선과 다른 형태의 식민주의 경영으로 추구되는 만주의 근대가 온전한 모습을 띠고 있지 않다는 것을 목도하는 가운데 새롭게 주체를 정립하고(유진오의 「신경」), 음울한 근대의 모습에 대한 애수와 회의주의자적 태도를 보인다(이효석의 「하얼빈」). 이러한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풍경은 일제말 더욱 가속화되는 파시즘 체제의 동아신질서에 무비판적으로 매몰되는 게 아니라 비판적 거리를 확보하는 지식인의 곤혹스러움을 보여준다. 안타까운 것은, 그 곤혹스러움이 조선의 구체적 현실과 부딪치는 가운데 표출되지 않고, 조선과 식민주의 경영이 현저히 다른 만주국의 현실과 부딪치는 가운데 표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조선이냐 만주국이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일제말 대동아공영권과 팔굉일우(八紘一宇)를 통해 일본 중심의 근대초극(서구의 근대주의를 부정하는)을 추구하는 것을 목도하는 가운데 그에 맹목화되지 않으려는, 지식인의 내면풍경을 보이고 있다는 점은 소중한 서사적 자산이 아닐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