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백제 식기(食器)의 양상과 식사문화

        정수옥(Jung, Su-Ock)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7

        본고는 백제 한성기~웅진·사비기 식기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당대의 식사문화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식기는 넓은 의미로는 먹을 것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구, 먹는 장소에서 쓰는 기구와 기명도 포함된다. 또한 재질별, 용도별로 분류될 수 있는데, 재질별로는 토제, 목제, 금속 제, 유리제 등이 있으며, 용도별로 분류해 보면 배식기, 저장기, 조리기 그리고 식사 시 사용되는 식사구가 있다. 백제시기 식기의 변화는 크게는 2차에 걸친 획기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차 획기로 보이는 백제 한성기에는 배류, 완류, 접시류 등 동일 기종 내에서도 세부 형태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평저에 굽이 없거나 낮은 굽이 일부 확인되는 양상을 띠는 배식기가 유행하고 있다. 즉 중국의 식기 문화가 도입되면서 중국 자기들의 영향으로 기존의 토착문화 속에서 중국 자기를 모방하면서 새롭고 다양한 기종이 융합하여 제작된 것이다. 이후 사비기에 들어서면서 중국과 고구려 식기의 영향이 더해짐으로써 2차 획기가 나타난다. 고배, 삼족기 등의 토기가 감소하고 굽이 높은 대부, 평저 양식의 식기가 유행한다. 특히 대부완은 중앙지역에서만 나타나는 고급식기류로 이는 백제 사비기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귀족층들의 선호도가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완은 고대 한국, 중국, 일본의 식기 중에서 중심 식기로 등장한다. 작은 완을 이용한 식사 방법은 음식의 개별 분배 방식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으며, 匙箸를 사용하는 동아시아에 매우 적합한 형태의 식기였던 것이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좌식의 飯床문화가 보급되는데, 이는 중국의 漢代~魏晋代까지의 식사양식으로 한국과 일본의 식사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반상문화는 백제의 경우 좌식의 식사문화가 지속되고 이후 시기까지 이어지지만, 중국은 唐代부터 입식의 식 탁문화로 변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백제의 식기와 식사문화의 변화상을 살펴본 결과 식사 문화가 계층화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백제의 사회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ware of the Baekje Dynasty from the Hanseong to Ungjin and Sabi periods and thereby restore the contemporary dining culture. In a broad sense, tableware includes utensils and appliances needed to make food, as well as cutlery and dinnerware used to eat food. It may be classified by material and purpose. By material, it includes earthenware, woodenware, metalware, and glassware, while by purpose, it includes dispensing, storage, cooking, and eating. Meanwhile, bowls characteristically constitute major tableware in the tableware from the ancient periods of Korea, China, and Japan. This shows that the dining method using smaller bowls has to do with how food is served to individuals, thus suggesting that it was the most appropriate tableware for East Asia where people use spoon and chopsticks. And the culture with on-floor level dining table was introduced to all three countries, a dining style that prevailed from Han Dynasty through Wei and Jin Dynasties, which influenced the dining culture of Korea and Japan. As for the use of on-floor level dining table, the floor dining continued through Baekje and beyond, whereas in China it changed to the use of dining table and chairs from Tang Dynasty. The study aims to bring light on the dining culture of the Baekje Dynasty through tableware and floor dining table, which previously failed to draw attention from archeology. By focusing on the use of tableware and floor dining table, I have made it clear that the period saw the stratification of the contemporary dining culture. I expect that this thesis will serve as a method to describe social change from various perspectives.

      • KCI등재

        음식의 시각적 맛과 식기 색채에 관한 연구

        김정원(Jung Won Kim)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3

        음식과 식기의 색채 조화는 음식을 맛있게 보이게 하고 식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음식을 식기에 담을 때 가장 중요한 점은 그 음식의 맛을 잘 표출할 수 있는 색채의 식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음식과 식기의 배색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색의 기본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음식과 식기의 배색 스타일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의 맛을 시각적으로 가장 잘 느낄 수 있게 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 “음식과 식기의 색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각각의 고유한 맛을 가지고 있는 음식들이 어떤 색채의 식기 위에 놓였을 때 가장 먹음직스럽고 그 맛을 잘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조사를 통하여 선정된 5가지 맛 별 대표 음식을 음식의 색과 색채 배색 조화에 근거를 두어 선정한 5가지 색의 그릇에 담아 그 맛을 가장 잘 표현하는 식기의 색채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5가지 맛에 따른 식기 색채의 이상방향 도출을 통하여, 어떤 색채의 그릇에 음식을 담았을 때 그 음식의 맛이 시각적으로 가장 잘 표현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담백한 맛 두부>의 경우에는 유사배색인 연두색 식기와의 어울림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단맛 케이크>의 경우에는 유사배색인 빨간색 식기와의 어울림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보였다. <매운맛 낙지볶음>의 경우에는 흰색 식기가 낙지볶음의 붉은색을 선명하게 부각시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신선한 맛 샐러드>의 경우에는 한가지의 결과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노란색 식기와 흰색 식기가 모두 좋게 평가 되었다. 그리고 <시원한 맛 냉면>의 경우에는 흰색 식기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외식업체에서 식기를 선정하거나 음식 사진을 연출할 때, 음식의 시각적인 맛과 그 맛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식기의 색채 선정 및 스타일링 작업에 기초가 되는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harmony of colors between food and tableware plays a role to look food delicious and stimulate the appetite. One of the important point when presenting a food on tableware is the selection of tableware that can best express the taste of the food it present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best effect by way of color arrangement of food and tableware, basic understanding on colors and color-arrangement styling of food/tableware based on objective information are essentially required. This study focused on the “colors of food and tableware” among the various elements that enhance the visual appreciation of food tas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lor combination of tableware and foods so that the tableware with food can express the unique taste of food while making the food look tasty and delicious. Five representative foods each with unique taste and tableware with unique colors were selected by preliminary survey. The col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tudy which explored best harmony between the food color and tableware color. Then the tableware colors, which best express the food taste, were analyzed. In addition, ideal views of tableware colors dependent on five different food tastes were studied and drawn. These views visually express the food taste in the best way possible when the foods are presented in tableware with relevant color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olor of tableware that represented the tastes of food for 5 flavors, in the case of tofu with simple flavor, the harmony with yellowish green of similar coloration showed most desirable arrangement, and in the case of cake with sweet flavor, the harmony with the red plate of similar coloration looked most positive. In the case of panbroiled octopus with spicy flavor, the white plate was evaluated best since it emphasized red color of panbroiled octopus. For salad with fresh flavor, one result was not definitely showed and the yellow plate and the white plate both evaluated good. For naengmyeon (cold noodle) with cool taste the white bowl was most desir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the selection of tableware by restaurants and in the production of best foodstyling.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providing with objective information which can become valuable data in the styling work and color selection of tableware to maximize the taste and visual appreciation of foods.

      • KCI등재

        재질에 따른 반찬 식기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선미(Kim, Seon-Mir) 한국식공간학회 2015 식공간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백화점 식품매장에서 영업을 하는 반찬전문점의 식기 재질에 따른 선호도 조사를 통해서 각 식기의 재질의 특성 및 식기 재질이 반찬을 진열 판매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지 또한 식기 재질에 따라서 반찬의 가치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반찬 및 시판 HMR 음식에 대한 가치 평가 및 매출에 식기의 재질이 과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봄으로써 백화점 및 기타 HMR 판매에 있어 식기의 역할과 알맞은 식기 재질의 활용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가겨대의 서울 4대 백화점(갤러리아 백화점,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의 반찬 판매 전문점의 대형 진열 판매용 식기를 사진으로 담아온 후, 그것을 외식 관련 직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을 가진 전문가 집단 10인에게 제시하였고, 각각의 식기 재질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식기에 대한 선호도, 선호 이유, 그리고 특히 반찬과 어울리는 식기에 대한 선택, 식기가 반찬의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심층 토론을 거쳤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식기 재질에 따라 반찬의 고급스러움, 위생성, 안전성을 확보하며 구매를 자극한다. (2) 식기 재질에 따라서 반찬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반찬의 가치도 올라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minister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the side dish at the side dish specialized stores situated at the department stores’ food sec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tainer materials used in order to assess whether characteristics of each container’s material and container materials are adequate for displaying and selling side dish.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how consumers’ perceived value of side dish is affected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tainer materials used.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ontainer materials on the consumers’ perceived value of side dish and of the commercially sold HMR food, and on the revenue, this study seeks to recommend container’s role and use of adequate container materials when it comes to department store and sales of other HMR products. This study photographed containers for large scale display and sales at the side dish specialized stores situated in four leading department stores in Seoul (Galleria Department Store, Lotte Department Store, Shinsegae Department Store and Hyundai Department Store) of the same price levels. Then, the photographs were presented to 10 experts who have at least three year long experience in foodservice industry, and in-depth discussions were held on the preference for container, reasons for preference and selection of the container that is suitable for certain side dish, effect of container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of side dish in particular based on their basic knowledge of each container material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Purchase is stimulated depending on container materials used by securing side dish’s high quality look, sanitation and safety. (2) Sense of trust towards side dish’s safety and perceived value of side dish increase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tainer materials used.

      • KCI등재

        한국 상차림을 위한 시대별 식기유형 연구

        박은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1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for a study on Korean tableware and was conceived by the need to raise awareness of the value of traditional Korean cuisine and prepare policy frameworks to promote and globalize traditional culture. As the functional and symbolic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tableware have vague standards, the researcher came to focus on the identity and applicability of Korean tableware. There was a need to develop a standard for the contemporary design of tableware fit for a Korean table setting, as well as a need to study the functional and symbolic aspects of tableware used in the past within the cultural context. The types of tableware used in traditional Korean table setting are reviewed in light of the tableware during the Silla, Baekje and Goguryeo dynasties, the Goryeo dynasty when ceramics-related technology was at its peak and the Joseon dynasty when Korean ceramics added a new level of sophisti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onduct the follow-up study that would focus on concluding the application standards of the functional and symbolic aspects of tableware in Korean table settings, a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used to extract the basic units of tableware for each period. By analyzing behavioral settings, the meaning of the functionality and symbolism will be extracted to be further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n the end the standard reference for the meaning and form for each case of application will be presented.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propose a standard for application of table setting and forms of tableware that fit each case, by extracting the form and meaning elements. Therefore, research was conducted on how appropriate tableware for each scenario is composed as part of the Korean table setting. According to the need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extent of the study included the eras of Guguryeo, Baekje, Silla, Goryeo and Joseon dynasties for a more traditional approach to a study of Korean tableware. 본 연구는 한국 상차림의 식기에 대한 연구를 위한 선행연구로서 우리나라의 한식문화(韓食文化)가치 및 인식을 확산시키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전통문화의 대중화 및 세계화에 이르는 연구의 필요성에 의한 것이다. 이 가운데 현대적 한국 상차림에 대한 식기의 기능성과 상징성의 활용기준이 모호함으로써 그 정체성과 활용성에 대한 연구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한국 상차림을 위한 식기의 현대적 디자인을 위한 기준 발굴을 위한 탐구가 필요하였으며, 이를 위해 과거의 상차림에 사용되었던 식기 형태와 문화적 맥락을 통한 기능성과 상징성에 대한 연구로 연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현대 한국전통 상차림에 대한 식기 유형을 한국의 화려한 문화를 꽃피웠던 삼국시대와 도자예술의 절정기였던 고려시대, 도자의 완성도를 보여준 조선시대 식기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두 번째 추후 연구로 연구자가 주목하게 된 현대적 한국 상차림에 대한 식기의 기능성과 상징성의 활용기준을 도출하기 위해 근거이론방법을 분석 적용하여 시대별 식기의 형태소를 추출하고, 행동장면분석을 통해 기능성·상징성의 의미소를 추출하여 근거이론방법을 분석 적용할 것이며, 활용사례에 따른 형태소와 의미소의 기준을 제시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형태소와 의미소를 추출하여 사례에 맞는 식기의 형태와 상차림에 대한 활용 기준을 제안하려고 하기위한 선행연구다. 따라서 본 연구로 한국 상차림의 구성 요소로서 적절한 식기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였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상차림에 대한 한 요소로써 식기에 대한 연구 범위를 보다 전통적인 한국 식기연구를 위해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과 고려, 조선 시대로 하여 연구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공방 도자식기 문양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송미림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1

        Most of ceramics graduates are running self-management studi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make potteries as their economic activities. Majority of potteries are tableware. The function of tableware is an important tool as a basis of communication in 21st century and its main code is patter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decoration technique. Tableware pattern is a nature friendly topic which allows to share a bond of sympathy of communication in short period of time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value that the value of analog life which desires rest in this digital world can also be shared. This research discusses the pattern that can satisfy new customer’s preference code and to provide improvement plans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of self-management studio pottery tableware as a cultural product which can strengthen higher valu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s craft culture industry in the future, literatures were investigated regarding patterns of Korean pottery tableware’s definition form, 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preference of studio tableware pattern, 100 of Korean women in their early twenties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in pottery tableware were surveyed with patterns of currently commercialized self-management studio tableware in picture. As a result, the most preferred tableware was the one with a pattern followed by white porcelain type which visualizes cleanliness, the most important thing as a tableware as holding foods, and the third was a plant pattern, and the forth was a tableware with cobalt color. For the investigation of cobalt tableware pattern preference which was the most preferred in the fifth question 13, currently commercialized cobalt pattern tableware were proposed as an example from question 17 to 22. New craft culture industry of Korean tableware can make a new leap forward by developing new patterns of 21st century studio pottery tableware which can share a sympathy across the world under the institutional protection. 도예과를 졸업한 졸업생들의 대부분의 경제활동은 자영공방을 운영하며 교육 참여와 상품제작을 한다. 상품의 대부분은 식기이다. 식기의 기능은 21c 소통의 바탕을 이루는 중요한 도구이며 가장 중요한 장식기법의 주요 코드는 문양이다. 식기문양은 짧은 시간에 소통의 공감대를 나눌 수 있는 자연친화적 주제이며 디지털 세상에서 휴식을 원하고 있는 아날로그적 삶의 가치를 나눌 수 있는 가치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소비자의 기호코드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문양에 대해 논의하고 자영공방 도자 식기가 앞으로 공예문화산업으로서 국가 경쟁력의 고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문화상품으로서 도자식기 상품의 마케팅 전략을 세우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한국 도자식기 문양의 정의 양식 기법에 대해 문헌을 고찰하고 공방 도자 식기 문양의 선호도 조사와 분석을 위해 한국의 20대 초반 여성 도자식기에 대해 전문 지식을 갖추지 않은 100명을 대상으로 현재 상품화되고 있는 공방 도자 식기의 문양을 예제 그림으로 개인의 문양 선호도를 설문 조사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양이 있는 식기 둘째, 음식을 담는 식기로서의 가장 중요한 청결함을 시각화한 백자소지의 발색 셋째, 식물문양, 넷째, 코발트 발색의 식기 선호가 높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으며 다섯째, 질문 13에서 가장 선호가 높았던 코발트 식기의 문양 선호도 조사를 위해 현재 상품화 된 코발트 문양 식기를 질문 17에서 22번까지 예제질문으로 제시하였다. 21c 공방도자 식기가 제도적 보호아래 세계인과 공감을 나눌 수 있는 문양이 새롭게 개발되어 한국식기의 새로운 공예문화산업이 도약되기를 기대 한다.

      • KCI등재

        도자 식기 상품 패턴에 관한 연구 -20대 남성의 패턴 선호도를 중심으로-

        송미림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Recognizing the trend of ceramic tableware patterns in the 21st century simply as a characteristic of the decoration function of tools, is no longer a meaningless multi-trend era.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in the production of products for minority enthusiasts is to read individual emotion code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the pattern of porcelain products preferred by men in their 20s as of 2020, ceramic products with the theme of pattern design that understands the consumption culture of tableware related to purchasing intentions of men and women of mixed races who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search on analyzing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preference of tableware patterns of ceramic products for 50 men in their 20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to be a basis for making tableware, as a result of research, the tableware of ceramic products In response to the question “Do you have any experience in purchasing?”, 47 respondents said they had experience in purchasing “Does the pattern act as a motivation to purchase ceramic items?”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the pattern to do?” Answered that 41 people were geometrical. The most favorable pattern of multifaceted pattern was 31% of respondents saying that it was a plant door, and the preferred pattern among ceramic product tableware patterns was 41% of the analysis result of the most favored plant items. A stereotyped image rather than a realistic expression image It was analyzed to prefer a free image rather than a question in this paper. Do you have any opinions on the pattern of ceramic items? Do you want to design a masculine image pattern and a cartoon character who can know the emotions of men in their 20s? The analysis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at a pattern design of images would be desirable was drawn. In the era of expressing the sensibility of the producers of tableware, the tableware pattern has now become a member of the population with a variety of sensibility. The size of each sensibility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 of this article will be a small basis to complement the new tableware pattern culture by analyzing keywords of patterns toward consumers with different emotions. It is also expected to understand the pattern phenomena of males and serve as a basis for creating high added value in design. 21세기의 도자 식기상품 패턴 트렌드를 단순히 도구의 장식 기능의 특성으로만 인지하는 것은 더 이상무의미한 멀티 트렌드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소수 매니아층을 위한 상품 제작에서 가장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할 점은 개인의 감성코드를 읽어내는 일이라할 수 있다. 2020년 현재 20대 남성이 선호하는 도자식기 상품패턴 관련 설문조사를 통해 향 후 점점 더 증가 추세에 있는 혼족 남성들의 최근 도자상품 식기 소비문화를 이해하고 구매 의도에 연계한 패턴디자인을 주제로 한 도자 식기상품제작에 기반이 되고자 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20대 남성 50명을 대상으로 도자 식기상품 패턴 선호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 조사 결과를 분석함을 연구의 방법으로 진행한 결과 도자상품 식기를 직접 구매한 경험이 있으십니까? 라는 설문의 답은 47명이 구매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도자 식기상품 구매 시 패턴이 구매 동기로 작용합니까? 라는 설문은 41명이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도자식기상품 패턴 중 가장 선호하는 패턴은 무엇입니까? 라는 설문의 답은 41명이 기하문이라고 응답했다. 만약 자연 문중에 호감도가 있다면 가장 호감도가 높은패턴은 식물문이란 응답이 31%였으며 도자 식기상품패턴 중 선호 패턴이 만약 식물 문중 가장 선호도가높은 분석결과는 나무 이미지가 41%였다. 사실적 표현 이미지보다는 단순한 이미지를 틀에 박힌 이미지보다는 자유로운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설문 외에 ‘도자 식기상품 패턴에 대한의견이 있으십니까?’라는 설문의 응답 중에 ‘남성적인이미지의 패턴이 디자인되었으면 좋겠다’와 20대 남성들의 정서를 알 수 있는 ‘만화 주인공 이미지의 패턴디자인도 있었으면 좋겠다’라는 설문의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식기 패턴은 식기를 제작하는 생산자의 감성을 표현하던 시대에서 이제 다양한 감성을 가진 구매 인구구성원으로 바뀌었다. 그중 홀로 사는 20대 남성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이 시대 각각의 감성의 크기와 정서 주체가 다른 소비자를 향한 패턴의 키워드를 분석하여 새로운 식기 패턴 문화를 보완하는 데 본 논문의 분석결과가 작은 기반이 되기를 기대하며 본 논문의 결과 분석의 자료가 도자 식기상품 패턴 트렌드에민감한 20대 남성의 패턴 현상을 이해하여 디자인의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근거에 역할이 되기를또한 기대한다.

      • KCI등재

        옻칠을 이용한 금속식기(食器) 표면처리 연구

        문정현(Moon Jung hy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2

        빠른 속도로 변모하고 있는 현대의 생활문화는 식문화에도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식기에 대한 인식도 변모하게 되었다. 식기는 더 이상 단순히 음식 섭취만을 위한 도구가 아니다. 삶의 즐거움을 전달해 줄 수 있고 생활에서의 아름다움을 배가 시킬 수 있는 공예품으로서의 생활식기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식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부터 시작한다. 일반 대중에게까지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는 유기제품을 비롯하여 금속식기는 다른 공예품들과 함께 조선시대까지의 생활양식을 주도하였다. 한국의 정서와 미의식이 한데 어우러진'멋'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서구 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 구조의 변화로 말미암아 생활문화의 근간을 이루어 왔던 유기를 비롯한 금속식기 문화의 전통은 무형문화재에 의해 간신히 그 전통을 이어가는 형편이다. 이것은 서양문화의 무분별한 수용과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에 대한 노력의 부족으로 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과제는 단순히 전승되고 있는 전통문화를 우리의 참 문화로 새롭게 창출하고자 하는 의식과 전통공예문화의 참다운 계승, 발전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공정 과정이 까다롭고 복잡한 옻칠의 칠 과정을 단순화 시키려 힘썼으며, 금속공예에 있어 가장 수공예 적이라 할 수 있는 단금기법으로 식기를 제작함으로서 수공예의 온기를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The rapidly changing lifestyle in modern society has influenced the food culture and the perception of tableware has shifted accordingly. Tableware is no longer a mere tool that helps us to eat but a craft that is expected to bring happiness and decorate our lives. This study begins from this change of perception on tableware. Metal tableware, including the commonly used brassware, had led the lifestyle with other crafts until the Joseon Dynasty representing the Korean 'beauty' that is a minglement of national sentiment and aesthetic sense. However, today, due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that has brought social structure change, brassware and other metal tableware cultures and traditions are barely carrying on the legacy. This may have resulted from the undiscerning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and lack of effort to inherit and develop cultural traditions. This study begins from the awareness to recreate the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being merely transmitted, and the interest in the tru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raft culture. This study endeavors to simplify the delicate and complicated painting process of Ottchil and experiencing the warmth of handicraft in daily life by using raising technique which could be referred as the most handicraft technique in metal craft to create tableware.

      •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공간 가변형 식기 건조대 디자인을 위한 연구

        조현성 ( Jo Hyeon Seong ),강범규 ( Kang Byum Kyu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식기건조대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사용자의 Needs와 Wants를 만족 시켜주는 새로운 식기 건조대를 디자인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식기 건조대와의 차별점을 둔 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기존 식기 건조대의 기초 조사와 분류 분석을 진행하고, 사용자 환경 조사와 관찰 조사를 진행하여 분석한 토대를 기준으로 컨셉 설정 후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기존 식기 건조대의 사용 분석 결과,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공간 부족, 물 때 등이 대표적 문제점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향으로 3가지 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부식과 물 때에 대한 재질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제작하여 부식과 물 때를 보완한다. 둘째, 공간의 문제점으로 수납공간의 부족은 다양한 부가적 거치대를 활용하고, 수저나컵 같은 작은 식기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셋째, 사용자 환경마다 다른 공간의 문제점으로 1단과 2단의 분리 결합, 본체의 높낮이 조절, 크기 조절 등으로 보완한다. 이러한 개선 방향으로 공간 활용이라는 컨셉을 잡아 두 가지의 디자인 컨셉을 진행하여 기존 식기 건조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차별화된 새로운 식기 건조대 디자인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ableware drying and to develop the design of a new tableware drying table that satisfies the needs and desires of the user. To propose a design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ableware dryer, the basic survey and classification analysis of the existing tableware drying stand were conducted theoretically, and the user environment survey and observation survey we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design based on the analyzed foundation. Analysis on the use of existing tableware drying stand shows that three measures were derived as typical problems such as space shortage and water stain. First, materials for corrosion and water stain are made of stainless steel to complement corrosion and water stain. Second, the shortage of storage space as a problem of space makes use of a variety of additional bases, and makes room for storing small dishes such as soups and cups. Third, it is supplemented by the separation of 1st and 2nd layers, the height of the body, and the size adjustment due to the problems of different user environments. Taking the concept of space utilization in this direction of improvement, we proceed with two design concep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ableware drying table and present a differentiated new tableware drying table design.

      • KCI등재

        신선로의 원형에 대한 기초 연구

        강병길 ( Byung Kil Kang ),박은희 ( Eun Hee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식기 형태는 각국의 문화, 사회, 경제발달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 되었으며, 그 나라의 식문화에 따라 각기 다른 용도와 기능을 형성 하게 되었다. 이렇듯 식기의 형태가 다른 것은 식기의 담겨지는 내용에 따른 용도가 직접적 영향이며, 식기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음식문화 및 전통성과 깊은 연관이 있다. 현재의 신선로 형태는 조선시대로부터 비롯되었으며 중국으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문화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여러 측면에서 중국 및 일본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져 있다. 이처럼 유사한 환경이면서도 특색 있는 삼국의 음식문화는 먹는 방법에 따라 식기도 달라지고 그에 따른 예의나 식탁문화도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 식기는 중국의 영향을 일부 받았다고 할 수는 있어도 원천적으로 중국의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더욱이 신선로는 원형으로의 토기 유물들이 삼국시대 이전부터 많이 발견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신선로의 형태와 구조적 기능 및 특징과 연관되는 식도구를 추적 조사하여 신선로 원형의 진화의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신선로 원형에 대한 역사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지만, 신선로가 한국의 고대시대 토기에 나타난 토기의 원형이라는 추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선로 형태의 토기 유물들이 원삼국시대(BC1000~200)로부터 삼국시대의 신라(AD100~800)에 이르기까지 많이 발견되어 왔다. 이는 중국에서 비슷한 형태의 식기가 사용된 자료가 있으나 형태도 다소 다르며 사용한 시기도 삼국시대 쯤으로 밝혀진다. 둘째, 투공이 있고 굽다리 위에 솥과 같은 몸체가 올려져 있으며 몸체 가운데 원통형 관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대 신선로 형태의 특징과 비슷하다. 셋째, 신선로가 화로형 식기라는 특성이 있으며 조선시대에서 오늘날까지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고대의 신선로 형의 토기의 용도와 기능은 자료가 없어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지금의 신선로 형태와 많이 닮아 있는 것으로 보아 비슷할 것으로 추정한다. The shapes of tablewares have developed diversely depending on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each country, and the tablewares perform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ood culture of countries. Thus, the differences in the shapes of tablewares are affected by the contents in the tablewares and they are deeply related with the food culture and the tradition of those who use those dishes. It is known that the shape of today`s Shinseollo has passed down from Chosun and originated from China. Culture of Korea has a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China and Japan in many respects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respect of the food cultures of those three countries which have similar yet distinguished environments, the tablewares vary depending on the ways of eating, and the table manners and table culture also vary accordingly. The tableware of our country is partially influenced by China, but it does not originally belong to China. Furthermore, Shinseollo is all the more so, because the pottery artifacts, the prototypes of Shinseollo, have been discovered often before the era of Three Kingdom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tablewares relating to the shape of Shinseollo and its structural features and attributes, and then reveal the evolution of the prototype of Shinseollo. The historical grounds about the prototype of Shinseollo is not clear enough, but the inference that Shinseollo is the prototype of earthenware pottery in the Korea`s ancient times are as follows. First, many earthenware potteries in the shape of Shinseollo have bee discovered from Proto- Three Kingdom Era (BC1000 ~ 200) to Shilla, in Three Kingdoms era (AD100 ~ 800). There are some data showing the similar tablewares were used in China, but the shape is somewhat different and the time when they were used was about Three Kingdom era. Second, judging from the holes in the heels, and the body above the curved legs and the cylindrical tube in the center of body, it is similar to the attributes of Shinseollo in the ancient times. Third, Shinseollo has the attributes of the tableware for the brazier and have been used for the similar functions from Chosun till today. The usage and the function of Shinseollo in the ancient times are not clearly known due to the absence of the relevant data, but it is estimated to be very similar to the shape of today`s Shinseollo.

      • KCI등재

        한국 전통의 도자 식기에서 느껴지는 대표 감성

        박은정 (사)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2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1 No.8

        It is necessary to discover Korea’s diverse traditional culture and publicize it to the world to continue the Korean Wave and develop it in a more positive direction. The present study proposes methods for publicizing little-known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by focusing on Hansik,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the British Oxford Dictionary among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nd can best represent Korean food.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measured cultural recipients’ emotions regarding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to derive the ‘representative emotions felt regarding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as a method to reflect it in the design. First, the Delphi Technique was carried out based on 182 emotional vocabulary items collected from existing studies to create 33 groups of emotional vocabularies with similar concepts. In addition, among the emotional vocabularies included in each of the 33 groups, those of overlapping concepts were regrou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and the most appropriate emotional vocabularies were extracted and reduced to 75.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35 cultural recipients experienced with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to derive 32 representative emotions felt regarding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Finally, from the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of 32 representative emotions, this study classified vocabulary into six emotion categories including ‘aesthetic, pleasure, freshness, ownership, satisfaction, and comfort’. The six emotion categories and 32 representative emotions derived from this study’s results can be utilized to measure emotional levels felt by cultural recipients while using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한류의 열풍을 지속하고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의 다양한 전통문화를 발굴하여 세계인에게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문화 중에서 영국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가장 많이 추가로 실린 한식에 착안하여 한식을 가장 돋보이게 담아낼 수 있으나, 미쳐 알려지지 않은 ‘한국 전통의 도자 식기’를 널리 알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전통의 도자 식기에서 문화수용자의 감성을 측정하여 디자인에 반영할 방안으로 ‘한국 전통의 도자 식기에서 느껴지는 대표 감성’을 도출하였다. 우선 기존 연구에서 수집된 감성 어휘 182개를 기반으로 델파이 기법을 실시하여 유사한 개념의 감성 어휘를 33개로 그룹화하였다. 또한 33개의 그룹마다 포함된 감성 어휘 중에서 한국 전통의 도자 식기의 특성을 중심으로 중복되는 개념의 감성 어휘들을 다시 그룹화하고 가장 적합한 감성어휘를 추출하여 최종 75개로 축약하였다. 또한 한국 전통의 도자 식기를 체험한 경험이 있는 문화수용자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한국 전통의 도자 식기에서 느껴지는 대표 감성 32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32개의 대표 감성을 분석한 결과 ‘심미감, 유쾌감, 신선감, 소유감, 만족감, 안락감’ 등 6개의 감성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6개의 감성 카테고리와 32개의 대표 감성은 한국 전통의 도자 식기를 사용하면서 문화수용자들이 느껴지는 감성 정도를 측정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