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재삼 시의 시적 주체와 타자

        장만호(Jang, Man-ho)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1

        이 논문은 시적 주체의 태도가 먼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적 대상, 즉 타자의 존재와 성격이 시적 주체로 하여금 일종의 태도를 결정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전제하였다. 이 점에 착안하여 타자의 성격과 시적 주체의 반응, 타자와 시적 주체의 연관성을 통해 박재삼적 서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의식은 항상 "무엇에 대한" 의식이듯, 시적 주체의 언술 역시 항상, (심지어 그 자신에 대한 언술이라 할지라도) "어떠한 대상(타자)"에 대한 언술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시에 나타나는 "대상(타자)"과 시적 주체와의 관계성에 의해 시적 주체의 위치와 성격이 부여된다. 우리가 박재삼적 서정을 논하고자 할 때 타자의 존재와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아야 할 이유의 하나가 여기에 있는 셈이다. 그리고 이것은 둘 사이의 "동사성"(관계성), 즉 양자가 어떻게 관계 맺고 연관되는가에 주목하는 일이다. 시적 주체가 타자를 결정하는 것도, 그렇다고 타자가 시적 주체를 결정하는 것도 아니라면 중요한 것은 시적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인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은 박재삼 시에 나타나는 타자의 양상을 살피고 이에 반응하는 시적 주체의 반응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assumed that it is not the attitude of poetic subject that is decided first, but the poetic target, in other words, the existence and characteristics of others are the ones that make a poetic subject decide a type of attitude. Based on this point, the lyrics of Park, Jae-Sam style was intended to be confirmed through others" characteristics and response, and relevance of poetic subject. As consciousness is always for "what about", the discourse of a poetic subject should always (Even if it is a discourse of himself) be nothing but a discourse about "a certain target (others". Therefore, the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poetic subject is granted by the relationships of "target (others)" and the poetic subject appeared in a poetry. When we discuss the lyrics of Park, Jae-Sam style, one of the reasons to examine the existence and characteristics of others is right here. And thi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namely paying attention to how both are related and associated. What is importan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poetic subject and other if neither a poetic subject decides others nor others decide a poetic subject.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others revealed in a poetry of Park, Jae-Sam, and the response of poetic subject is considered.

      • KCI등재

        윤동주의 시 「간(肝)」에 나타난 '시적주체’의 지평

        박군석(Park, Gun-seok)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71 No.-

        시인은 자신에게 주어진 현실의 모순을 인식하면서 시적 발화를 통해 새로운 삶을 지향하는 시적 주체를 내세운다. 텍스트의 발화를 이끌어가는 시적 주체는 자신이 서 있는 지평을 펼쳐 보임으로써 자기 존재를 드러낸다. 시 「간(肝)」은 내재적 구조를 이해의 근본 토대로 삼으면서도 전체적인 시작품이 전개되는 과정과 시작품이 생성되는 문화적 맥락 사이에서 읽혀질 때 시적 주체의 지평이 새롭게 재현될 수 있다. 윤동주의 시작품이 전개되는 과정은 연희전문학교 입학 이전과 입학이후, 일본 유학시절 등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는 학생 신분으로 일생을 보냈는데 자기 세계와 현실 인식 사이에서 새로운 시적 세계를 구축해 나간다. 기독교와 유년 시절의 체험에서 형성된 자기 세계는 윤동주의 시적 추구를 이끌어가는 근간이 되었다. 연희전문학교 시절, 그는 타자와 자신의 모순에서 형성되는 자기 분열의 현상을 의식 지평에서 낱낱이 펼쳐 봄으로써 확고한 삶의 지향을 결의한다. 일본 유학은 그 자체가 확고해진 자기 신념의 실천이었다. 시 「간」도 이러한 시적 전개 과정 속에서 형성된 시적 발화임을 알 수 있다. 시 「간」의 시적 주체 “나”는 “거북이”, “독수리”, “프로메테우스”를 직접 호명하며 2인칭의 대화 상대로 삼고 있으며, 비유의 대상으로 언급되는 토끼“처럼” 간을 잃을 위기에서 벗어난 자이다. 시적 주체가 호명하는 대화 상대는 실제 시인의 실존적 상황에서 접하는 타자를 상징하고 있다. 당대에 널리 유행한 활자본 「토끼전」을 살펴 볼 때, “거북이”는 당대의 권력 구조 내에서 자기 정체성의 근거를 확보한 자이다. 프로메테우스의 상징성은 서구 사회에서 알려진 그리스 희곡의 원전과, 당대에 쓰여진 채만식의 희곡 「제향(祭饗)날」과 김오성의 논문 「時代와 知性의 葛藤-프로메듀스的事態」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의 6연은 「프로메테우스」신화와 신약성서 「마태복음」18절이 결합되어 있다. 시적 주체“나”는 불완전한 지식을 전수하는 프로메테우스의 행위가 “어린 아이”를 “실족케 하는 일”이라고 본 것이다. 3연에 나타난 “내가 오래 기르던여읜 독수리”는 시인의 내면에 주어진 혜안(慧眼)으로서 “나”의 고통 속에서 성장하여 하늘 높이 힘차게 비상하여 더 넓은 시적 지평으로 자기 의식을 이끌어 간다. 시인은 당시 지식인들이 “소자(小子)”의 소박한 삶들을 도외시하고 계몽의 이름으로 자신들의 인식 세계에 동조하도록 그들에게 독려하는 행위를 비판한다. 시인이 추구해온 '어린 마음’(동심)은 인간이 소중히 간직해야하는 선험적 지평이라 할 수 있다. 시 「간」의 시적 주체는 프로메테우스를 단죄하는 목소리를 통해 당대 지식인의 모순된 현실을 펼쳐 보인다. 동시에 그 목소리가 발현하는 시적 지평의 경계에서 다가오는 엄연한 역사의 주체, 공적 담론에서 소외되어 온 “소자(小子)”의 존재를 드러낸다. 이 “소자”는 인간이 회복해야하는 주체의 본래 모습이며 자기정립의 근원적 지평에 서 있다. 윤동주는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입지의 가능성을 모두 희생해가면서 시적 사유를 통해 한국인이 근대적 주체를 정립할 수 있는 의식 지평의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A horizon of poetic subject in the poem 「Liver」can be recreated by the reading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text, and also unfolding between a cultural context and the stream of Yun Dong-Ju’s poetry. The poetic subject “I” in the poem 「Liver」say to “the turtle”, “the eagle” and “the prometheus”, regarding them to second-person in the conversation. “I” am a man who escaped from the crisis of losing liver “like rabbit“ in the classical novel. The my calling guys in the poem 「Liver」are a symbol of others that the poet was a tangent in the existential situation. According to the novel 「rabbit」widely read that time, “the turtle” was a man who waked up the self-identity within the power structur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Prometheus can be known from Greece plays written in the ancient times widely read in Western society, Chae Man-shik’s play of 「The Memorial Day」, and Kim Oh-sung’s thesis 「The conflict between The age and The intelligence」a series over the sixth inning in the Chosun Ilbo. In the 6 stanza in this poem, Section 18 in 「St. Matthew’s Gospel」and the myth 「Prometheus」are combined in the flowing of context. In the 3 stanza in this poem, “the Eagle” is symbol of poet’s inner wisdom. The period division in the deployment process of Yun Dong-Ju’s poetry are greatly divided before admissions of entrance in the Yeon-Hee University, after entrance, and the time of studying in Japanese University. the self-world formed in Christianity and childhood experience perpetuates poetic pursuit. The poet opens his eyes in a invisibility that is Transparent appearing and disappeared in the visibility. The poem 「Liver」is a speech-act formed in the deployment process of Yun Dong-Ju’s poetry. At that time, intellectuals forced the people of the rustic life to receive their perceived world in the name of enlightenment. 'The innocence of childhood' that he pursued during his lifetime, is a priori horizons that humans must keep it as a treasure. The poetic subject in the he poem 「Liver」seems to unfold visibility in the poetic horizons through the voice that condemn Prometheus. At same time, a invisibility in the poetic horizon that the voice sounds, manifests defending the people that was alienated from public discourse.

      • KCI등재

        이색 시에 나타나는 ‘노년/노쇠함’의 시적 자아와 그 성격

        장진엽 ( Jang Jin-youp ) 한국한문고전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3 No.1

        牧隱 李穡은 질병 및 정치적 소외로 인해 오십 대부터 자신을 노년으로 인식하였다. 오십 대 초중반에 해당하는 多作期의 작품들에는 작가 자신의 삶을 제재로 한 시들이 많은데, 여기에 ‘노년/노쇠함’이라는 특질을 가진 시적 화자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이색의 작품 속에서 노쇠함은 시적 대상이라기보다는 시적 화자의 목소리를 규정하는 주된 특질로서 나타난다. 이 점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 ‘노쇠한 시적 자아’의 성격과 태도를 살펴보는 방식을 통해 이색 한시에 나타나는 노년/노쇠함의 문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학적 주체’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문학적/시적 주체’는 “작가 및 현실 세계의 부분적 반영인 동시에 그것과 분리되어 존재하는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목소리로서, 한 작가의 전체 작품 속에서 연관된 속성을 지니며 상호 간에 계열 관계를 이루며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적 자아 또는 작품 속 발화자”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색 한시에서 ‘노쇠함’의 시적 자아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성격의 주체로 나타난다. 첫째는 회고와 탄식의 주체이다. 이 주체는 국자감 유학과 한림원 재직 시절을 자랑스럽게 회고하기도 하고, 원나라의 쇠망에 대해 통한하거나 공민왕에 대한 그리움을 표출하기도 한다. 이처럼 시적 자아의 ‘노쇠함’은 상실한 것들을 떠올리게 만드는 자질인데, 각각의 대상에 따라 발현하는 정서는 조금씩 달라진다. 두 번째는 성찰과 관조의 주체이다. 성찰의 주체는 명리를 좇았던 지난날을 반성하며 삶의 유한성을 덤덤히 받아들이는 한편, 귀거래하지 못하고 현실에 매여 있는 자신을 책망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城南에서 한적한 생활을 영위하며 機心을 잊은 物外의 존재로 자신을 형상화하고, 存心養性의 내면 수양에 정진할 것을 다짐하기도 한다. 이 두 가지 태도는 노쇠함과 정치적 소외라는 현실적 난관을 문학적으로 수용, 극복하려는 기제로서, 세상 만물을 ‘관조’하는 흔들리지 않는 자아의 수립을 지향한다. 성찰의 주체가 관조의 주체로 비약한 것이다. 세 번째는 수용과 긍정의 주체이다. 이색의 노년시에는 老境의 한가로운 정취와 고요한 내면, 詩作 능력에 대한 자부심이 종종 표현된다. 수용의 주체는 노쇠함으로 인해 얻게 된 것들을 긍정적으로 의미화한다. 이런 작품들에서 시적 자아는 도연명과 같은 지극한 경지에 도달해 있다. 이는 작가 이색의 실제 모습이라기보다는 시인의 염원을 구체화한 하나의 가상이라는 성격이 짙다. 그러나 문학적 주체의 기능을 염두에 둘 때, 이와 같은 자기 긍정은 노쇠한 시적 자아의 성취인 동시에 ‘노쇠함’이라는 현실의 난관에 맞서 자신의 중심을 수립하려는 작가 이색의 ‘문학적’ 성취라고 할 수 있다. 두 가지 남은 문제는 다음과 같다. 하나는 이색의 육십 대 작품에 나타나는 노년의 모습이다. 작품 분량상 균형이 맞지 않아 일률적으로 논할 수는 없지만, 유배기의 작품에서도 성찰과 관조, 수용과 긍정의 주체가 여전히 발견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어떤 면에서는 무력한 자신의 처지를 분명히 받아들인, 보다 안정된 자의식을 가진 시적 자아가 느껴지기도 한다. 또 하나의 문제는 한시 문학에서의 주체 개념의 유효성 문제이다. 주체 개념의 활용은 한시에서의 작가와 표현의 문제에 대한 탐색의 일환으로 시도된 것이다. 향후 이에 관한 발전적인 논의를 제출할 것을 기약한다. Mok Ŭn Yi Saek regarded himself to be old from his fifties, due to illness and political marginalization. During his prolific period, from early to mid fifties, a lot of his poetry concerned his own life. In those poems, a poetic narrator who is characterized as old and decrepit appears frequently. In Yi Saek’s works, decrepitude is less of a poetic object, and more of a primary trait that characterizes the voice of the poetic narrator. Based on this observ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issue of senility/decrepitude that appears in Yi Saek’s poetry, by probing the traits and attitudes of ‘decrepit poetic self’. In order to do so, the concept of ‘literary subject’ is introduced; ‘poetic/literary subject’ can be defined as “an independent voice which partially reflects the author and reality, while at the same time existing separately from them; it is a poetic self or a narrator inside the work who maintains a consistent property within the works of one author, forms associative relations with one another, and practices a specific function”. In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of Yi Saek, the poetic self of ‘decrepitude’ appears as a subject with following three characters. First is the subject of retrospection and lamentation. This subject proudly looks back to the time when he studied at Guozijian, or when he worked at Hallimwŏn, but also laments the downfall of Yuan dynasty or expresses longing for King Gongmin. Here, the ‘decrepitude’ of poetic self is an attribute which reminds him of loss, but the sentiment that manifests tends to differ to some degree based on the object. The second is the subject of introspection and contemplation. On one hand, the subject of introspection reflects on the past days, when he chased after fame and wealth, and calmly embraces mortality. On the other hand, it represents itself as a transcendent being without a contriving mind (機心), leading the life of repose in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and renews the resolve to pursue inner cultivation of preserving mental constitution and nourishing the nature (存心養性). These two attitudes are mechanisms developed to accept and overcome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decrepitude and political marginalization, and seeks to form an ego that ‘contemplates’ all things but does not oscillate. It is the subject of introspection evolving to the subject of contemplation. The third is the subject of acceptance and positivity. Poetry from the later stages of Yi Saek’s life often features the peaceful mood, silent inner mind, and pride in his poetry skills. The subject of acceptance shines a positive light on the things he gained by becoming decrepit. In these works, the poetic self has reached an apex, akin to Tao Yuanming; but rather than it being a representation of Yi Saek’s true self, it could be characterized more as an imaginative figure that is an actualization of the poet’s wishes. However, considering the functions of literary subject, such self-positivity could be construed as an accomplishment of ‘decrepit poetic self’, and the writer Yi Saek’s ‘literary’ accomplishment, who sought to establish his foundation in spite of practical adversities. Two remaining questions are as follows. One is the depictions of senility as appears in works written in his sixties. Although they can not be discussed here in tandem due to difference in quantities, the works produced during his exile still feature the subject of introspection and contemplation, as well as the subject of acceptance and positivity. Sometimes, the poetic self with more stable sense of identity is palpable. Another question is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subject’ in the study of classical Chinese poetry. The concept of ‘subject’ was utilized here in an attempt to explore the problem of author and expression in classical Chinese poetry; hopefully, a more developed argument on this matter will be submitted in the future.

      • KCI등재

        김수영의 「꽃잎」에 내재된 운동성과 정동

        이미경(Lee Mi-kyoung)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7 No.-

        This paper explores the motility inherent in the poem Flower Leaves written by Kim Soo-young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 First, we want to consider what determines the affect of a poetic subject, and discuss what variations the poetic subject exhibits by the affect that arise from it, and how it forms poetic meaning. Kim Soo-young dreamed of a revolution that changed the reality by recognizing the reality that was obscured by ideological order throughout his life and increasing his existential ability from that perception. His poems are a figment of such a revolutionary process and an act of freedom. This is why Kim Soo-young s poems are constantly struggling in terms of no consciousness and existence as political ideologies.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 such struggles are a process from new perceptions to the realization of power that has arisen. This is inherent in Kim Soo-young s poetry as motility. Flower Leaves consists of three chapters. Chapter 1 unfolds the potential world due to the inner agitation of the poetic subject. Chapter 2 requests that active variations of poetic subjects be conscious of the recognition of new reality. This request applies not only to the poetical subject himself but also to the community as a whole. In Chapter 3, the poetical subject is affetted by Sunja , resulting in a different time penetration into the Chronos. As a result, soonja becomes an eventful being and the poetic subject realizes a new poetic truth. This realization is that the people who have been victimized by modernity are constantly changing, creating and latent. Also, the revolution is only possible with the added vitality of the people. These poetic reasons unfold through chapters 1, 2 and 3 are expressed from the affect of the poetic subject. In each chapter, the poetic subject is affected by obtaining a suitable recognition from notio communis , which shapes Simulacre . Thus, the motility inherent in flower leaves can be attributed to the affect of poetic subjects who desire creative improvement. 본고는 김수영의 「꽃잎」에 내재하는 운동성을 정동의 관점에서 탐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시적 주체의 정동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찰하고, 그로부터 발생한 정동으로부터 시적 주체가 어떤 변용을 보이며, 그것이 어떻게 시적 의미를 형성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김수영은 이데올로기적 질서에 의해 가려진 현실을 인식하여, 그 인식으로부터 존재론적 능력을 상승시킴으로써 현실을 바꾸어 나가는 혁명을 꿈꾸었다. 그의 시는 이에 대한 형상화이며, 그러므로 자유의 이행이다. 그는 “진정한 참여시”를 지향하였기에 그의 시 텍스트에는 무의식과 실존의 차원에서의 부단한 고투가 벌어진다. 정동의 관점에서 보면, 그 고투는 어떤 질서 속에서 관계들이 일치하거나 불일치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 즉 통념-관념에 의해 정동된 시적 주체가 정동적 사유를 통해 시적 진리-행동에의 계시-에 이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시 텍스트에 운동성으로 내재한다. 「꽃잎」은 총 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장은 형성하고자 하는 시적 의미에 따라 발화 양태를 달리한다. 1장에서는 1인칭 독백체의 형식으로 “옥수수잎”에 정동된 시적 주체의 내적 동요와 그로 인해 열린 잠재적 세계가 펼쳐진다. 2장에서는 일상적인 혁명이 공동체의 혁명으로 현실화되는 일종의 방법론이 펼쳐진다. 존재 내부의 변이와 생성의 힘이, 새로움의 인식으로 의식화되어 공동체 전체로 확장됨으로써 공동체의 혁명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이전 질서에 대한 잊음과 새로움의 인식에 대한 믿음도 요구된다. 이러한 시적 전언은 “꽃”의 이미지 운동에 의해 형식적으로도 구현된다. 2장의 발화 형식이 청자를 특정하지 않은 대화체가 사용된 것 역시 이러한 의미 구축과 관계가 깊다. 3장에서는 시적 주체가 “순자”와의 불일치하는 통념-관념에 의해 정동된다. 주체의 정동으로 ‘다른 시간’이 틈입하고 이로써 “순자”는 사건적 존재가 되어 타자로서의 ‘민중’을 제유하게 된다. 시적 주체는 이를 통해 혁명을 완성시키는 것은 현재에 잠재된 ‘민중’의 생명력을 발견하고 결합하는 것이라는 시적 진리를 발견한다. “순자”를 특정하여 대화체로 시상을 전개한 것은 이러한 의미의 형성과 관계된다. 1, 2, 3장을 통해 전개되는 「꽃잎」의 내용은 시적 주체의 정동과 그로부터 발현된 정동적 사유라 할 수 있다. 시적 주체는 다른 신체와 일치, 혹은 불일치의 통념-관념에 의해 능동적으로 정동되어 잠재적 세계를 형상화하면서 시적 진리를 발견하는 것이다. 따라서 「꽃잎」의 텍스트에 내재된 운동성은 시적 주체의 정동으로부터 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서정시의 고고(孤高)한 길’, 혹은 창조적 주체의 길

        강웅식(Kang, Woong-Si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7 No.-

        이 논문은 박용철의 시론을 구성하고 있는 세 가지 구성적 계기들(시적 주체, 시적 체험, 시적 표현)을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그 계기들과 관련하여 박용철이 주장하는 바를 세 개의 명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인은 절대적 부정성이라는 주체성의 형식을 자신의 본성으로 한다(혹은 적어도 스스로를 그렇게 규정해야 한다). 둘째, 시의 기원은 심미적 체험으로서의 시적 체험이다. 셋째, 시는 최고도로 발휘돼야 할 언어 능력의 탐구다. 필자는 이와 같은 명제들 각각에 대한 해명과 함께 시적 주체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시적 체험과 시적 표현의 교호작용이라는 문제 역시 해명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그 문제는 시에 대한 박용철의 이해의 핵심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박용철이 시적 체험과 시적 표현 사이의 교호작용에 내재해 있는 이율배반의 문제를 포착하였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이율배반의 문제는 시적 체험과 시적 표현 사이에 노정돼 있는 해소될 수 없는 간극을 가리킨다. 그 간극은 시의 주체가 시적 표현의 유일한 매개로 삼을 수밖에 없는 언어 자체의 한계에서 비롯한다. 라캉이 지적한 바와 같이, 기호로서의 언어는 사물을 살해한다. 사물이 언어를 통해 상징화되는 순간 사물은 그 풍부한 실재성을 상실한다. 언어와 사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시적 표현과 시적 체험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시적 표현은 그것의 원인인 시적 체험을 그것의 온전한 상태 그대로 재현해내지 못한다. 사물이 언어를 통해 상징화되는 순간 사물의 풍부한 실재성이 상실되듯이, 시적 체험이 시적 표현을 통하여 상징화되는 순간 시적 체험의 온전함이 파괴된다. 박용철은 시적 체험과 시적 표현 사이에 내재한 이율배반의 문제를 포착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바로 시와 시인의 존재이유가 된다는 사실도 함께 통찰하였다. 언어가 충만한 것이라면 시인은 존재할 이유가 없다. 그 자체로서 충만한 언어는 시적 체험의 완벽한 수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최고도로 발휘돼야 할 언어 능력의 탐구로서의 시도 시의 주체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언어는 그 본질상 공허한 것이다. 시와 시인이 필요한 것은 바로 언어의 그런 공허함 때문이다. 모든 시인은 언어의 공허함을 그 충만함의 조건으로 받아들이는 순간에 비로소 시인이 된다. 시적 표현이 그것의 기원인 시적 체험을 따라잡을 수 없다는 사실, 그런 불가능성을 오히려 유일한 가능성의 조건으로 받아들일 때 비로소 시인이 탄생한다. 박용철의 시론이 중요한 이유는 시인의 시작 과정에서 야기되는 이율배반의 문제와 그것의 역설적 기능을 분명하게 파악했다는 데 있다. In this paper, I intended to examine three constitutive elements in Park, Yong-Cheol’s Poetics. They are poetic subject, poetic experience, and poetic expression. His arguments on those elements are possible to be summarized as three theses : first, a poet has the form of subjectivity of the absolute negativity as his identity(or he have to define himself as such); second, a poem is originated in poetic experiences as aesthetic experience; third, the poetry is a quest for the linguistic competence that a poet must attain for succeeding in express his poetic experience. Those theses demonstrate that Park, Yong-Cheol understanded fundamental problems in the poetry. Furthermore, he grasped an antinomy that is inherent in the interaction between poetic experience and poetic expression. That antinomy is related to a irresolvable gap that is immanent in the interaction. The gap is due to a limit of the language. The language as a symbol, as Lacan put it, murders things. Things lose their vitality in the course of being symbolized by the language. The same kind of deprivation occurs in the cour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poetic experience and poetic expression. The vitality and abundance of poetic experiences are divested of at the moment of being represented by poetic expression. The very deprivation is the meaning of the gap, which is inherent in the interaction between poetic experience and poetic expression. Poetic expression can not succeed in representing poetic experiences. But Park, Yong-Cheol understood the fact that the very im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is the condition of possibility in the poetry. That condition is also the reason of the being of the poet and the poetry. Perhaps Park, Yong-Cheol is the only poem who has grasped the paradoxical function of the antinomy in the interaction between poetic experience and poetic expression before the advent of Kim, Soo-Young’ poetics in 1960s. In the very point, it is likely to be said that Park, Yong-Cheol’s Poetics is extremely modern.

      • KCI등재

        서정시의 화자 개념과 갈래적 특성 고찰

        박현수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 어문론총 Vol.85 No.-

        Existing research on the 'poetic speaker'(poetic I) has a limitation that it has neglected to clarify its essence by focusing on typology and utility theory.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paper supplemented the preceding discussions related to the speaker concept by confining to lyric poetry, and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ed the poetic speaker from the speakers of other genres were identified. First, in terms of conceptual historical supplementation, the errors made by the existing research were corrected: The problem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persona, the inaccuracy of lyrical I and poetic I concepts, and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시적 주체(poetic subject)’ as a translation of a poetic speaker. And the 'poetic personality' of Yang Ju-dong was discovered and introduced as a pioneering concept of poetic speaker. Next, a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speaker, ‘pan-contextualized subject’, ‘substitutable subject’, and ‘elevated subject’ were suggested. The 'pan-contextualized subject' is a generalized and abstract self in which the poetic speaker does not have a specific spatio-temporal background and does not have a specific identity such as a clear identity or name. The 'substitutable subject' is the self that the reader can easily substitute for the 'I' in the poem, and the 'elevated subject' is the self in which the 'I' in the poem is superior to the actual poet. ‘시적 화자’에 대한 기존 연구는 유형론, 효용론적 측면에 치중하여 그것의 본질에 대한 규명에 소홀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고는 서정시에 한정하여 화자 개념 관련 선행 논의를 보완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적 화자가 다른 갈래의 화자와 구별되는 특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개념사적 보완에 있어서는 기존 연구가 범한 오류를 바로잡았다. 화자와 퍼소나의 구별이 지닌 문제, 서정적 자아와 시적 자아 개념의 부정확성, ‘시적 주체’라는 개념이 지닌 한계 등을 지적하였으며, 시적 화자의 선구적 개념으로서 양주동의 ‘시적 인격’을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시적 화자의 갈래적 특성으로는 ‘범맥락화된 주체’, ‘치환 가능한 주체’, ‘고양된 주체’를 제시하였다. 범맥락화된 주체는 시적 화자가 구체적인 시공간적 배경을 지니지 않고, 명확한 신분이나 이름과 같은 구체적인 정체성도 가지지 않는 일반화되고 추상적인 자아라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치환 가능한 주체는 시 속의 ‘나’에 독자가 쉽게 자신을 기입할 수 있는 특성을, 고양된 주체는 시 속의 ‘나’가 실제 시인보다 더 우월한 자아로 나타난다는 특성을 지적한 것이다.

      • KCI등재

        김수영 시에서 시적 실천의 문제와 미학적 가능성

        여태천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80 No.-

        우리는 김수영의 시에서 현실성을 투명하게 드러내면서 시적인 힘을 발휘하는 언어를 어렵지 않게 감지할 수 있다. 동시에 그의 시에서 시적 실천이 주체의 움직임을 만들고, 나아가 주체의 움직임이 텍스트의 움직임을 이루어내는 일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여기에 주목하여 김수영의 시적 태도로 규정되는 자기 부정의 정신이 어떻게 시적 실천으로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시적 실천이 어떻게 존재의 변모를 가능하게 하는지, 마지막으로 언어 그 자체의 움직임만으로 시적 실천의 진경이 어떻게 펼쳐지고, 그것이 미학적 가능성과 연결되는지를 그의 시와 산문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김수영의 시에서 실천적 경험에 따른 설움과 비애의 풍경은 자기 부정을 통한 시적 실천과 연관된다. 시가 완성되는 과정의 어려움은 그의 시에서 흔히 발견되는 상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설움과 비애의 상처들이야말로 그의 시쓰기가 지난한 삶의 과정이었음을 반증한다. 시적 실천의 과정은 시쓰기 주체의 움직임으로, 다시 시쓰기 주체와 텍스트의 겹침으로 나타난다. 시가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것이라고 김수영이 말했을 때, 그 '온몸'의 의미는 실천에 있다. 시적 실천은 주체의 자기 부정과 반성의 움직임을 통해 하나의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김수영은 탁월한 통찰력으로 역사와 자연, 그리고 개인적 삶속에 내재하는 움직임을 읽어냈으며, 그 내부의 움직임을 시의 움직임으로 밀고 나갔다. 진리와 미를 온몸으로 실천하는 김수영의 시에는 그의 시적 윤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의 시에서 시쓰기 주체의 움직임과 시의 움직임이 종종 겹쳐지는데, 그 지점은 시적 실천이 미학적 글쓰기와 만나는 곳이다. We could find out the power of poetic language to demonstrate transparently revealing reality, and could discover poetic practice is to make the movement of subject, also find the movement of the subject is to attain the text movement in Kim Su-Young's poem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check some facts through Kim Su-Young's poems and proses. The first how the spirit of self-negation which Kim Su-Young's poetic attitude, communicating with the poetic practice. The second how does poetic practice enable the subject to transform. The last how the poetic practice unfolded only if the movement of language itself. The landscape of the sorrow and sadness according to practical experience, are associated with poetic practice through self-negation Kim Su-Young's poem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ompletion of the work is often found to be resolved through the injury in his poems. The injury of sorrow and sadness disprove the writing of poem had been the difficult process of his life. The process of poetic practice is shown by the movement of the poetic subject. And overlap of the poetic subject and the text appears. When Kim Su-Young says 'the poem is the whole body is pushed forward', the 'whole body' has the meaning of the practice. Poetic practice, through self-negation and reflection of the subject's movement, appears to move one. Kim Su-Young reads the movement inherent in personal life, history and nature with the help of an excellent insight, and pursues within the movement in his mind with movement of the poem. Kim Su-Young's poetic ethics of his poem has fully embedded. The point of overlapping the movement of poem with the poetic subject's movement, is the place aesthetic writing meets poetic practice in Kim Su-Young's poems.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 구현 양상 연구

        차성환(Cha, Shung-hwan)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5

        백석이 구현하고 있는 ‘시적 주체’는 확고한 의미를 가진 ‘나’가 아니라 끊임없이 유동하고 의미와 담론을 생성하는 ‘나’이다. ‘시적 주체’는 텍스트 내외의 다양한 담론들이 중첩되어 있는 장소이고 독자의 참여를 통해 자유롭게 해석되어질 수 있다. 백석의 시세계는 근원적 고향인 ‘북방’ 지향의 서사를 통해 일관된 성향의 ‘시적 주체’를 구현하고 있다. 「북방北方에서」는 백석의 시세계를 되비쳐보는 자기 반영적 텍스트로 『사슴』시편, 유랑시편, 만주시편으로 이어지는 그의 시적 변모양상과 유사한 흐름을 가진다. 백석 시의 ‘시적 주체’는 식민지 현실의 비극적 상황에서 자신을 위무해줄 상상적 시공간으로의 고향을 상정한 후 그 고향을 잃어버린 자가 방황하는 이야기를 통해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구축해간다. 「북방北方에서」의 ‘시적 주체’는 당대 지식인/시인으로서 스스로에게 부과하는 윤리적 의무와 대타자(민족, 지배 담론)의 응시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북방北方에서」는 민족-만주 담론의 자장 안에 있으면서 동시에 그것의 모순과 허상을 간파하고 ‘북방’이 시적 주체가 스스로 구축한 허구적 재현물이었음을 보여준다. 시적 주체가 ‘북방’의 허상을 깨달은 후에 황폐화된 내면과 상실의 슬픔을 전면에 드러내는 것, 즉 서사의 중지 상태에서 ‘갈매나무’와 같이 고립된 자기 표상을 구현하는 것 자체가 백석이 스스로에게 부과한 혹은 시대가 요구한 당대 지식인이자 시인으로서의 책무에 대한 윤리적 실천이라고 볼 수 있다. 「북방北方에서」는 시적 주체가 ‘북방’ 중심의 자기 서사를 통해 의미화해온 과정이 사실은 고향 없는 현실을 견디기 위한 일종의 허구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은 식민지 근대를 온 몸으로 앓고 있는 지식인/시인이 잃어버린 근원적 고향에 대한 애도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Baekseok indicated ‘poetic identity’ which is that not me who has concreted meaning but who drafts and creates meaning and discourse endlessly. ‘Poetic identity’ is a space where overlap various discourses and is freely interpreted by reader’s engagement. Poetic world of Baekseok’s poems materializes consistent ‘poetic identity’ with narrative of ‘northen’, his basic home, directivity. Bukbangeseo(In northen, collection of poems) including self-reflection text alluding poetic world of Baekseok has a comparable flow with his poetic changes from poems of deer, poems of wander to poems of Manchuria. ‘Poetic identity’ of Baekseok’s poems cultivates self-identity through stories of a man who lose his home and roam. That home is postulated as an imaginative space time for consoling his own self in tragic circumstance of colonial reality. ‘Poetic identity’ of Bukbangeseo consists of ethical duty posing on selfness and gaze of the other as a intellectual/poet in his time. Bukbangeseo shows that ‘northen’ is a fictional representation which poetic identity itself makes after it twig contradictions and delusion of the field of race-Manchuria in that field. Itself, poetic identity reveal sorrow of losing and desolated mind after it realized delusion of ‘northen’ that is, poetic identity materializes isolated self-icon in state of ceasing narrative like ‘Galmaenamu’, is showed ethical fulfill on duty Baekseok posing on himself or the era posing on an intellectual and poet in his time. Bukbangeseo shows that the courses poetic identity makes meaning with self-narrative in ‘northen’ are kinds of fiction for enduring homeless reality. Also which are the courses of condolences on lost basic home in intellectuals/poets suffered from colonial modern.

      • KCI등재

        프랑스 상징주의 이후 현대시의 특징

        곽민석 ( Kwak Min-Seok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7 유럽사회문화 Vol.0 No.19

        19세기 초반까지 프랑스의 전통적 시 문학에서 우리는 ‘시적 주체’(sujet poetique)와 ‘시적 대상’(objet poetique) 사이에서 ‘선구자’, ‘초월자’, ‘투시자’ 등의 이미지를 지닌 시적 주체, 즉 오르페우적 시인의 우월성을 대부분의 시인과 시 작품들에서 엿 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프랑스 문학에 있어 현대 문학의 시작이라 일컫는 보들레르의 문학 세계는 전통적인 ‘문학 법칙’(regle litteraire)에 충실한 ‘고전 문학’(litterature classique)으로부터 벗어나, 현대 세계에 적합한 문학적 형식과 소재의 추구를 보여준다 할 수 있다. 보들레르가 자신의 문학 세계를 통해 보여준 문학적 ‘현대성’(modernie)은 바로 문학 언어에 있어 ‘형식’(forme)과 ‘내용’(contenu)에 대한 ‘새로움’의 추구일 것이다. 한편으론, 당시의 산업사회 발달로 인한 인간의 소외, 고독, 외로움, 빈곤, 개인주의와 자본주의를 통해 드러나는 현대인들의 일상성 등이 그것들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전의 전통적인 문학 언어의 틀에서 벗어나 19세기 중반의 사회적 현대성과 작가의 창조성을 담아낼 수 있는 문학적 형식에 대한 부단한 추구를 통해 그들의 문학 세계가 보여주는 ‘일탈’, ‘파괴’, ‘낯섦’과 같은 문학적 틀의 혁신에 주로 집중되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적인 주된 시적 주체였던 시인의 ‘자아’(moi)는 전통적으로 시인이 창조하는 모든 시적 작업의 중심에 서 있었다. 하지만 프랑스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19세기와 더불어 급격한 사회 변혁과 인간의 인식 변화는 시인의 전통적인 존재론적 양상에 본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특히 시문학에 있어 보들레르 이후의 시 세계는 이러한 ‘주관적 자아’가 ‘익명성’ ‘자율성’을 통해 표현되기 시작했고, 이러한 ‘주관적 자아’는 점차 사회와 세계 속에서 ‘자율적 자아’, 즉 일종의 ‘객관적 자아’로 변화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시인은 자신의 작품 세계의 모든 것을 창조하면서 그 세계를 통제하는 절대적 주체로부터 이제 자신의 작품 세계의 한 구성 요소가 되는 일종의 ‘객관화’ 또는 ‘자율화’의 위상 변화를 겪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시의 모든 것을 지배하는 전지전능한 시적주체가 그 위상을 잃어버리고 - 다른 의미에선 의도적으로 - 다른 시 요소들과의 상호 작용과 침투를 통해 새로운 모습의 시적 자아를 획득하게 된다. 전통적인 시적 주체가 다른 시 요소들과의 관계에서 이제 일방적인 관계가 아닌 상호 등가적인 시적 위상을 확보함으로써, 시적 요소들은 시인의 주관적인 틀과 통제에서 벗어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위상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시적 요소들 사이에 소위 ‘잠재적’ 이면서도 동시에 ‘자율적’인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들레르부터 시작하는 현대시를 우리는 ‘무의미’(l’insignification), ‘의미 상실’(la perte du sens), ‘비완결성’(lenon-fini) 그리고 ‘자율성’(l’autonomie)과 ‘파편화’(le fragmentaire) 등으로 특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내용에 있어 이러한 시적 자율성의 확보는 동시에 시 형식에도 의미 있는 변화를 야기하게 된다. 특히, 시 형식에 있어 ‘반복’과 ‘파편’과 같은 현대시의 특징들은 시적 주체의 정체성과 결부되고, 특히 20세기 시 작품에서의 ‘주체로서의 시인의 사라짐’(disparition du poete comme sujet)이라는 미학적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La poesie moderne de la France se revele par la volonte d'etre actuel, bien de son temps, ou en avance sur celui-ci, et aussi parfois par la determination de rompre avec une maniere d'ecrire jugee desuete, par la repudiation d'une esthetique perimee. De ce fait, de ses tendances generales de la poesie moderne a travers la modernite esthetique, on peux tirer deux grands caracteres: l'exploration de l'objet choisi et la recherche d'une nouvelle forme ou langue afin de l'exprimer, qui seront manifestees plus clairement par les successeurs de Baudelaire. Pour cette raison, dans la poesie du XXe siecle, on insiste bien sur la notion de la liberte: liberte du vers, du poeme et du poete. On pourrait tout aussi bien parler d'un principe d'egalite: autonomie du mot, de l'image, du vers, du poeme, abandon de la logique rhetorique ou syntaxique; concretement, utilisation de l'element phonetique, jeux de mots, calligrammes, calembours, anagrammes, etc. De la vient le caractere paradigmatique de la poesie moderne, qui est aussi un des traits de la poesie moderne. En ce sens, la poetique moderne n'est pas simplement la reforme, le renouvellement ou la destruction de la vieillerie poetique. Elle n'est ni une theorie ni une loi, mais bien plutot un courant, une pratique, c'est-a-dire une sorte d'ideologie qui ne cesse de changer pour s'acheminer vers l'infini non explore en tant que verite que l'on chercher sans cesse dans l'ensemble de la vie humaine, pour decouvrir ce qu'on ne comprend pas, et qu'on essaie de cacher par toutes les formes du savoir. Pour le poete, la poeticite moderne, en particulier depuis le XXe siecle, est une fonction du temps qui exprime l'actualite sentimentale de certains objets dont la nouveaute essentielle n'est pas la caracteristique, mais dont l'efficacite tient a la decouverte recente de leur valeur d'expression, comme on le dit deja plus haut. Elle reclame donc non seulement la nouveaute mais aussi le recommencement, la reconstruction poetique.

      • KCI등재

        L’écriture de l’autonomie dans la poétique moderne depuis Baudelaire

        Kwak, Min-Se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19세기 초반까지 프랑스의 전통적 시 문학에서 우리는 ‘시적 주체sujet poetique’와 ‘시적 대상 objet poetique’ 사이에서 ‘선구자’, ‘초월자’, ‘투시자’ 등의 이미지를 지닌 시적 주체, 즉 오르페우적 시인의 우월성을 대부분의 시인과 시 작품들에서 엿 볼 수 있다. 그리고 프랑스 현대 문학의 시작이라 일컫는 보들레르의 문학세계는 전통적인 ‘문학 법칙 regle litteraire’에 충실한 ‘고전 문학 litterature classique’으로부터 벗어나, 현대 세계에 적합한 문학적 형식과 소재의 추구를 보여주고 있다. 고전적인 주된 시적 주체였던 시인의 ‘자아 moi’는 전통적으로 시인이 창조하는 모든 시적 작업의 중심에 서 있었다. 하지만 프랑스에서는 19세기에 급격한 사회 변혁과 인간의 인식 변화는 시인의 전통적인 존재론적 양상에 본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특히 시문학에 있어 보들레르 이후의 시 세계는 이러한 ‘주관적 자아’가 ‘익명성’ ‘자율성’을 통해 표현되기 시작했고, 이러한 ‘주관적 자아’는 점차 사회와 세계 속에서 ‘자율적 자아’, 즉 일종의 ‘객관적 자아’로 변화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시의 모든 것을 지배하는 전지전능한 시적 주체가 그 위상을 잃어버리고 - 다른 의미에선 의도적으로 - 다른 시 요소들과의 상호 작용과 침투를 통해 새로운 모습의 시적 자아를 획득하게 된다. 전통적인 시적 주체가 다른 시 요소들과의 관계에서 이제 일방적인 관계가 아닌 상호 등가적인 시적 위상을 확보함으로써, 시적 요소들은 시인의 주관적인 틀과 통제에서 벗어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위상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시적 요소들 사이에 소위 ‘잠재적’ 이면서도 동시에 ‘자율적’인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보들레르부터 시작하는 이러한 현대시를 우리는 ‘비완결성 le non-fini’, ‘파편화 le fragmentaire’, ‘무의미 l’insignification’ 또는 ‘의미 상실 la perte du sens’, ‘자율성 l’autonomie’ 등으로 특징 지울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내용에 있어 이러한 시적 자율성의 확보는 동시에 시 형식에도 의미있는 변화를 야기하게 된다. 특히, 시 형식에 있어 ‘반복’과 ‘파편’과 같은 현대시의 특징들은 시적 주체의 정체성과 결부되고, 특히 20세기 시 작품에서의 ‘주체로서의 시인의 사라짐 disparition du poete comme sujet’이라는 미학적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