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적 접근으로 바라본 시각문화미술교육

        이재영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3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는 시각 이미지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인문학적 가치를 탐구하는 다원적 관점에서 전개되어야 한다.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 관련 논문은 비판적 사고와 역량강화라는 제한된 일부 영역에 치중되고 있다. 이런 제한성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논문은 시각문화미술교육을 바라보는 인식의 폭을 확장시키고자 한다. 더 나아가 미술교육에 대한 논의가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전개되어야 하는 근거를 시각문화미술교육과 결부시켜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인문학적 관점의 필요성을 먼저 논의한다. 그리고 시각문화에 대한 원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방향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마지막 부분은 논의된 인문학적 가치를 반영한 예시적 적용 아이디어 두 가지를 간략한 제안 수준에서 제안해 본다. 먼저 일상에서 접하는 시각문화 경험에 대한 개별적인 탐구 활동을 인문학적 가치 중심으로 이해하는 접근법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시각 이미지 해체 작업이 학생들의 일상성에 대한 비평적 탐구가 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논의한다. This paper argues the need for humanistic approaches in order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t addresses more diverse ways realizing the impact of visual images on the foundation and conduct of our daily life as one of the essential goal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Emphasizing the cultivation of critical thinking and empowering students to take socially appropriate actions is pervasive and dominant. However, this article elucidates that this emphasis is limited because recent trajectory and boundarie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all for more plural ways of highlighting the humanistic value of our inquiry into visual images. Taking this into account, the primary focus of this paper aims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rom humanistic viewpoint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discusses the need for humanistic approaches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t then offers the direction of humanistic approaches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while trying to determine the humanistic principle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proposes two exemplar ideas reflecting the humanistic approaches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e first example discusses a way in which we can utilize visual images in our daily life in order to examine their humanistic roles and values. The second example reveals how visual image deconstruction can be a critical pathway for delving into the foundation and directions of our daily life as an active reflection upon visual images that surround us.

      • KCI등재후보

        시각문화의 발달에서 오는 문제점과 이의 해결 방법으로서의 미술교육 방안 연구

        이부연 ( Boo Yun Le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0 예술교육연구 Vol.8 No.1

        본문시각문화의 발달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특히 한국은 IT강국으로 또한 시각문화의 혁명이라 할 정도로 그 발달이 가속화되고 있다. 시각문화에 관한 이론과 연구는 스베틀라나 앨퍼스(Svetlana Alpers)를 선두로 시대의 요구에 따라 다양화 되었다. 과학 기술의 발달과 미술 영역의 진화로 미술의 새로운 장르가 시각문화의 형태로 새롭게 구축되었으며 현재도 진행 중에 있다. 시각문화의 발달은 청소년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각문화의 과도한 노출로 인한 중독, 범죄, 정신적 병리 현상에 이르기까지 시각문화에서 파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시각문화의 재 개념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재 개념화로서의 시각문화는 그 영역을 확대하여 인간 회복의 영역 즉 BT와 ET의 문화를 포함한 웰빙 시각문화, 그린 시각문화롤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과도한 과학과 시각문화의 발달과 활용으로 오는 인간 피폐에서 오는 회복을 시각문화의 재 개념화를 통한 미술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 그 해결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The visual culture is a worldwide trend in the art world. Korea, in particular, as one of the strongest countries in IT field, has undergone rapid development in this field, and we call this movement as revolution of the visual culture. The study of the visual culture and its theory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by Svetlana Alpers and is studied by many other scholars as the trends of the society are changed. The new genres of the visual cultures are being created today and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as technology and art are evolved. The development of visual culture has profound effect on the youth of today. We need to re-conceptualize visual culture education to solve problems that are caused by rapid development of visual culture, such as internet addition, rise in crime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e re-conceptualized visual culture needs to extend its scope to the field of BT and ET, as well as in "wellness" and "green" sectors.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solutions against the lessening of the humanities caused by overly developed scientific techniques and visual culture.

      • KCI등재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이재영(Jae-young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1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시각 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시각이미지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시각 생태론 (visual ecology) 을 개념화하고 적절한 미술교육적 방안을 이론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시각 이미지는 삶의 중요한 생태환경으로 전제하고 이에 대한 시각문화미술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시각 이미지가 제공하는 생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사회/이미지간의 역동적 상관성에 초점을 둔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이끌어 낸다 이는 삶의 공간에서 시각 이미지가 인간의 인지와 의식에 작용하는 영향력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필요성을 근거로 한다. 제시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시각식 생태학, 문화적 생태학, 가상적(환영적) 생태학, 심층적(의식적) 생태학으로 구체화시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에 근거한 새로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이끌어 낸다.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범주를 보다 일상적인 삶의 장연과 관계된 생태 인식과 공간에서 검토한 본 연구는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의 범주를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how to expand the scop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How we respond to visual images impacts our consciousness.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visual images and ourselves crates an ecosystem within which visual culture evolves as well as our knowledge. beliefs, values. interests. and consciousness are constructed. Based on this ecological approach. this paper explores the notion of ecological aspects of visual images. It primarily conceptualizes the needs for our investigation into visual ecology. The goal of VCAE does not need to be limited way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empower students to be active participants. More attempts to explore both the value and meaning of visual images and the visual environment as a habitat-where our understanding of the self. community. and society is constructed-is necessary. as this research proposes. Visual images construct a visual environment, fertilizing our evolution and adaptation of self-understanding. It makes sense of the visual ecology. The impact of the dynamic interconnection among humans, society, and images is well established. Meanings and values of this impact require our deliberation from socio-cultural. semiotic, phenomenological. epistemological. and even ontological points of view. In order to highlight this deliberation, more ecological analyses of visual culture, such as visual ecology, cultural ecology. digital ecology, virtual(illusory) ecology, and deep ecology, are established. The result of this theoretical discussion opens humanistic approaches to VCAE that are expected to expand our current landscape of VCAE toward visual ecology within our living context, interplayed with visual images.

      • KCI등재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디자인 수업의 가능성 연구

        안인기(Ahn Ink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미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각문화교육은 미술교육 개념들에 대한 전환을 요구한다. 시각문화교육은 순수미술 중심의 교육 내용구성을 대중문화, 인공물과 전자매체 환경, 물질문화 현상을 포함한 광범위한 시각문화 영역을 수용할 것을 주장한다. 이런 견해는 기존 미술교육의 범주에서 디자인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디자인 영역은 미술과 일상생활을 매개하면서도 오늘날의 시각환경을 구성하는 주요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시각문화교육은 학생의 일상생활 경험을 교육의 출발점으로 삼아 학생들에게 시각문화에 대한 비판의식을 형성하고 새로운 시각문화 언어를 창조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려는 입장을 갖는다. 일상의 환경을 구성하는 디자인 영역은 시각문화교육의 주요한 대상이 된다. 본 연구는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디자인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연구는 시각문화교육의 개념과 디자인교육의 연관성을 밝히고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실시한 교육경험과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디자인교육은 산업자본이 요구했던 생산자를 위한 디자인 능력, 해결책으로서의 디자인 지식의 제공에 치우치기 보다는 현대소비자의 일원으로서 학생들의 합리적 의사소통과 민주적 공동체 형성을 지지하는 비판적 이해로서의 디자인 지식으로 재편됨으로써 시각문화교육의 가능성을 확장한다.   Visual culture education, which begins to be considered as a new paradigm of art education, demands to change the existing concepts of art education. Visual culture education paradigm insists that we should accept a broad field of visual culture such as mass culture, digital media and material cultures within art education curriculum.<BR>  This idea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design teaching within art education. Design filed is a very important condition of contemporary visual cultures mediating art and everyday lives. Visual culture education aims to help students build critical thinking on visual cultures and create a new language of visual culture, starting from their own everyday life experiences. Design field surrounding everyday life is essential in this education.<BR>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sign teaching as a part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 will clarify the connection between visual culture education and design teaching and illustrate the examples of education working with design teachers. In conclusion, design teaching should be rethought as a design knowledge for critical understanding which supports rational communication and democratic community of the modern consumers rather than as designing skills for industrial productions and design knowledge for problem solving.

      • KCI등재

        비주얼 리터러시의 미술교육적 접근 -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다큐멘터리 사진의 제작과 활용을 중심으로

        박상돈(Park Sang dorn),이성도(Yi Sung Do)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2

          오늘날 시각문화는 문화의 다양한 스팩트럼과 광범위한 범주를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시각적 인지를 통한 정보 전달과 수용이라는 단편성을 벗어나 복합 매체적 특징을 모두 아우르는 새로운 범주를 스스로 형성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저작 매체의 발달과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시각문화 생산과 공유의 대중화를 가져왔고 청소년들은 이러한 시각문화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수용자이자 다양한 시각문화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매체적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 시각문화가 곧 문화로 직결되는 이러한 상황에서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에 대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현재의 미술교육은 시각문화와 비주얼 리터러시를 교실수업의 상황에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의 당면 과제는 시각문화에 대한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고 비주얼 리터러시를 신장시킬 수 있는 실제적 교육과정을 확립하는데 있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시각문화 교육을 미술이라는 교과영역에서 수용해야 하는 당위성과 비주얼 리터러시의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법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청소년들의 삶 속에 일상화 되어있는 매체인 휴대폰 카메라를 활용하여 시각문화와 비주얼 리터러시를 논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 사진을 제작하고 활용하는 수업방안의 예시가 바로 그것이다.   Today, visual culture has developed systematically, embracing a vast and various cultural spectrum with extensive categories. It has developed new categories that covers all traits not only as a media for only delivering information or getting information through visual cognition but as multiple media.<BR>  The development of the image making mediums and the fast development of Internet use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and share visual culture easily. Youth culture has taken a major role as an active producer as well as active consumer of visual cultures easily. They have been shown the powerful use of this medium by producing and using various visual culture tools .<BR>  Visual culture in the digital age leads to a culture where students exist in a culture where they are exposed to and use visual images for communication.<BR>  This has created an educational necessity for instruction in visual literacy. but visual literacy and visual culture have not been used as a curriculum actively in today’s art classes. therefore the main work that art education has to accomplish is to establish real curriculum which can increase visual literacy and also to look for educational uses for visual culture.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a concrete educational method to increase visual literacy and the justifiability that visual culture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art classes. This is the lesson plan which consists of students using camera phones to take and use documentary photographs which we can utilize to discuss visual cultures and visual literacy. the medium to be used by the students is the camera phone due to its common usage and availability.

      • KCI등재후보

        미술교육담론과 시각문화교육

        박정애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07 미술과 교육 Vol.8 No.2

        In this paper the rationale for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s explored under the assumption that art education is cultural education. Art is defined as meaning making, text, intertextuality and interpretation, and thus is also an open concept, which can be conceptualized as visual culture. Visual culture education in art education implies for the purpose and methods, because the concept of culture plays key role in visual culture education. Culture's interpretative characteristics which direct toward meaning making indicates that the study of visual culture takes into account the centrality of vision in everyday experience and the production of meaning. Therefore,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tudies in art provide some foundations for the current focus on visual culture education.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tudy of art is an analysis of cultural forms and social processes which is produced in a certain period by a specific group of people. Therefore in order to introduce and implement visual culture education in the art classroom, the definitions and content of art should be revised in the curriculum to meet current discourses in contemporary art world. 이 글에서는 미술교육이 문화교육이라는 전제에 기초하여 시각문화교육의 학교 교육과정에의 도입과 실행을 검토하였다. 미술은 의미 만들기, 텍스트, 텍스트 상호교류성, 그리고 해석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미술은 열린 개념이다. 열린 개념으로서의 미술은 또한 시각문화로 재개념화가 가능하다. 시각문화교육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것이 문화의 개념이므로 미술교육에서 시각문화교육은 교육목표와 방법을 시사한다. 의미 만들기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의 해석적 성격은 시각문화의 학습이 매밀 매일의 경험과 의미의 생산에서 시각성의 핵심을 설명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그러므로 미술에서의 사회학적, 인류학적 학습은 시각문화교육으로의 전환점에서 중요한 초석을 제공한다. 미술의 사회학적, 인류학적 학습은 특정한 시대에 특정한 사함들에 의해 생산된 문화적 형태와 사회적 과정을 분석한다. 그러므로 미술 수업에서 시각문화교육을 도입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미술의 정의와 내용이 현대 미술계에서 구체화된 담론들을 담은 교육과정으로 개정될 때 가능한 것임을 파악하게 된다.

      • KCI등재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현행 교과서 내용 분석

        김예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of discourse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new art textbook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tudies and to analyze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relevant textbook units by restructuring the goals and content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n the literature, a researcher have us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to conduct studies. Results The literature search showed that most of the sections of art textbooks related to visual culture mainly featured content that sought to understand the mode of transmission of visual images,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visual culture, the meaning of visual images in a social context. However, content on the exchange between artwork and the visual culture of the narrow meaning and the experience of visual images that can foster visual enjoyment were lacking. Conclusions When developing a new art textbook that applies the 2022 curriculum, the textbook should reflect recent academic trends related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o that more elements of content that are not covered in the art textbooks based on the 2015 curriculum can be included. 목적 본 연구는 시각문화 미술교육 담론에 근거한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새로운 미술교과서 개발시 그 결과를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이를 반영한 시각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요소를 재구성하여교육과정과 교과서 단원 내용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문헌 연구 중에서도 질적 내용 분석의 방법으로 연구를진행하였다. 결과 문헌 연구 결과, 시각문화 관련 미술교과서 단원에서는 대부분 시각이미지의 전달 방식, 시각문화의 매체 특성, 사회적 맥락속에서 시각이미지의 의미 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미술작품과 협의적 의미의 시각문화 간의교류, 시각적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는 시각이미지의 체험 등의 내용은 부족하였다. 결론 2022년 교육과정을 적용한 새로운 미술교과서를 개발할 경우 시각문화 미술교육과 관련된 최근의 학문적 동향을 반영하고2015 교육과정에 기반한 미술교과서에서 다루지 못한 내용 요소들을 좀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시각문화교육과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

        박유신(Park Yoo Shi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5

        시각문화교육은 포스트 모더니즘 이후, 미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볼 수 있다. 시각문화교육은 전통적인 미술교육에서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시각 환경으로 그 관심의 폭을 확대하였으며, 전통적인 순수예술에서 대중문화 및 영상예술 등으로 미술교육의 관심을 폭넓게 확장해 왔다. 시각문화교육은 이미지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에 주목하고, 비주얼 리터러시 능력을 강조하며 구성주의적인 학습을 강조한다는 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이슈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으며, 실제로 문화예술교육의 주요한 이론적 배경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와 더불어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시각문화교육의 이론적 배경 및 이슈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애니메이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시각문화교육은 1970년대 이후의 진보적인 문화적 배경 아래에서 탄생하였으며, 그 요지는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삶의 개선을 위해 시각적 인공물과 그 행위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문화교육은 시각문화 양상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 중이며, 현재에는 시각문화에서의 미적 체험교육이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의미 구성등으로 그 관심을 확장하는 중이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시각환경에서 애니메이션은 시각문화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은 하나의 예술장르, 혹은 테크놀러지를 넘어 시각문화 전반에 걸쳐 이미지가 구현되는 형식이기도 하다. 그간 시각적 의사소통 및 비판적 문화 읽기 등을 강조해온 시각문화교육 또한 미술교육의 체험에서 이해, 감상에 이르기까지 전 영역에 있어서 디지털-애니메이션 시각문화의 새로운 양상을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애니메이션 교육 영역의 확장, 범교과적 접근, 사회재건주의적 교육철학, 애니메이션 리터러시 등을 강조하였다. 시각문화교육적 관점에 기초한 애니메이션 교육의 연구는 애니메이션 교육의 정립에 이론적 토대가 될 뿐 아니라 전통적인 비판적으로 텍스트 읽기 중심의 시각문화교육을 내용적으로 풍부하고 동시대적이고 미래적인 방향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 seems to be the new paradigm for art education after postmodernism. Getting beyond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VCAE has expanded its scope of interest to include the visual environment that surrounds our life, thus pushing the boundary of art education beyond the traditional fine arts to cover pop culture and visual art. VCAE shares the issues as well as a lot of element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in fact serves as a major theoretic background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at it pays attention to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images and emphasizes visual literacy and constructionist learning.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lated issues of VCAE with a view to presenting a direction for animation education, which is gaining in importance coming into the Age of Digital Media. VCAE was born in the progressive cultural atmosphere from the 1970s and thereafter, and its gist consists in figuring out visual artifacts and their action in order to improve individual and social life. Yet, VCAE continues with it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hanging aspects of visual culture, and currently, it is expanding its scope of interest to cover the esthetic, experiential education in visual culture and 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digital story-telling. In the visual environment of the Digital Age, animation is establishing itself as the center of the visual culture, being a form that goes beyond an art genre or technology to realize images throughout the visual culture. Also, VCAE, which has so far emphasized visual communication and critical reading of culture, would need to reflect the new aspects of the visual culture in digital animation across the entire gamut from experiencing to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art education. In this paper, I emphasize on Cross-Curricula, social reconstruction, the expansion of animation education, interests in animation as a digital media, and animation literacy. A study of animatio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CAE will not only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establishing animation education, but also enrich the content of VCAE, traditionally focused on critical text reading, and promote its contemporary and futuristic orientation.

      • KCI등재

        시각문화교육의 정의와 담론 구분에 대한 연구

        안인기(Ahn Ink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1

          본 연구는 시각문화교육의 필요성이 확대되는 최근 연구를 검토하며 우리 교육 현실에 적합한 시각문화교육의 이론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즉 시각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정의로부터 시각문화교육으로 불리고 언급되는 미술교육 담론들에 대한 검토와 분석을 통해 그것을 보는 관점을 구성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시각문화교육이 대중문화중심담론, 생활중심담론, 미디어중심담론의 틀에서 조명될 수 있으며. 각 담론의 장단점을 이해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시각문화교육 이론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art education reacts to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s visual culture becomes prevalent. Visual culture education constitutes the discourses which insist the need to understand and to be aware of the new media environment such as popular culture, art and life. I distinguished the discourses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nto popular culture-based discourse. life-based discourse, media-based discourse. The perspective on visual culture education depends on the phenomenal aspect. relation with life. the interest in the visual language of visual culture. This can be termed as education about visual culture. education through visual culture, education of visual culture. The popular culture-based discourse aims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n visual culture phenomena. This aims to raise critical awareness on popular culture. to build the ability of the visual communication through visual language, and to educate as a member of democratic society through the link of extra-school experiences and within school education.<BR>  The life-based discourse understands visual culture education as a proces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lives in order to diversify the experiences. to respect different ways of lives and to increase soci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through art. This will grow the ability to experience. question and change the world and link between people. The media-based discourse aims to grow the ability to use the media, to analyze.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visual culture media by focusing on the wide influences of media. Through the education of digital media. the learners can become familiar with media environment.<BR>  I tried to show that visual culture education is related with the ontological growth of learners. synthesis of life and art. creation of new visual language offering enormous educational possibilities. Visual culture education. not merely the academic discipline on visual culture. concerns the multiple relations of life as education strives to realize life.

      • KCI등재

        조선후기 사행록에 나타난 동아시아의 시각문화 : 조선후기 시각문화론의 발생과 전개에 관한 초보적 탐색

        정훈식(Jung Hun sikHan),한태문(Han Tai moon)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8 No.-

        이 글의 목적은 조선후기 사행록에 기록된 동아시아의 시각문화의 구체적인 실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는 조선후기 시각문화의 발생과 전개를 논의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로 수행된다. 조선후기와 동시대 중국과 일본은 상업문화의 발달, 활발한 대외 교류와 함께 빛, 색상, 조형을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수많은 문물 즉 시각 텍스트가 대량 생산되고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었다. 이것은 사실상 중세에 최고조로 발달한 시각문화다. 그리고 이를 여행자의 시점에서 풍부하고 자세하게 기록해놓은 것이 사행록이다. 시각문화의 핵심적인 공간은 대로다. 일본과 중국의 발달한 성시에 종횡으로 뻗은 대로는 화려한 채색과 눈부신 빛을 발하는 조형물과 상품이 즐비하며, 그 속에서 사람들은 무언가를 보여주고 또 구경한다. 대로는 시각적 충격과 즐거움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시각문화의 요람이다. 그 대로에서 사람들은 풍부한 볼거리를 생산하고 향유하였다. 대로는 그 자체로 화려한 시각문화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그 일대에서는 더욱 다양한 시각 텍스트가 함께 전시되거나 연출되고 있었다. 관등(觀燈), 환술, 지포, 장희(場戱), 서화 등이 그것이다. 이것을 기록한 저자들은 그것들의 시각성에 주목하고 그것을 보며 일어나는 감정 상태, 형상과 장면, 그리고 그것의 의미를 찾고 맥락을 짚어보려는 모든 과정을 자세히 기록해 놓았는데, 곧 당시 시각문화를 해석하고자 하는 비평가적 자세를 취하고 있었다. 사행은 구경의 주체이기도 했지만 객체가 되기도 하였다. 중국과 일본의 대로를 지나가는 사행 자체가 현지인들에게 하나의 시각적 이벤트이자 퍼포먼스였다. 이러한 상황을 자각하고 사행원이 구경거리가 되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사행이 현지 사람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성찰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각문화를 관찰하면서 사행원들 사이에 장관론이 일종의 담론이나 풍습으로 형성되어 전해온다. 곧 노정에서 가장 볼만했던 것을 서로 이야기 하면서 그 여정을 평하는 시간인데, 이것은 사행에서 자연스레 형성된 일종의 시각문화론에 해당한다. 이를 초보적으로 탐색해본 결과 사행에서 형성된 시각문화론은 비단 중국과 일본의 시각문화에 대한 실상을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조선의 인식론과 시각론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쳤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nsider the visual culture in detail recorded in the ‘Sahaengnok’ writt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China and Japan of the same age with the late Chosun Dynasty, There is the mass production and the rapid proliferation of numerous visual texts centered around light, colors, and moulding, which i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ommercial culture and the vigorous interchanges with the Western civilization. The written document in the richness and detail relating to the visual texts in the view of a culture critic is the‘Sahaengnok’. The main street as the core space of the visual culture, the Lantern Festival produced in that space, illusion, fireworks, plays, writings, and paintings varied the eastern asian visual culture. Sahaeng went into the center of the developed visual culture, and they were aware of making a spectacle of themselves by the locals. They also used The nature and meaning of sahaeng as an opportunity of reflection. There was a great change in the theory of knowledge and vision by the formation of the discussion of the visual culture such as 'the discourse of a grand sight' among sahaeng who experienced those visu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