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픔은 어디에서 오는가?

        김경호(Kim Kyungh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2 철학탐구 Vol.31 No.-

        이 글은 슬픔의 메커니즘과 슬픔의 이해 방식을 알아보고, 우리는 슬픔을 어떻게 개념화하여 긍정적인 힘으로 바꾸어나갈 것인가를 모색한다.필자는 슬픔이라고 하는 추상적 감정은 신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경험화되고 개념화되어 일상적으로 나타나지만, 항구적으로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결국은 사라지는 감정이라는 관점을 취한다. 이 글은 먼저, 레이코프와 존슨이 제안하고 있는 ‘신체화된 마음 (embodied mind)’의 개념을 통해 ‘슬픔의 신체성’을 논의하고, 다마지오의 인지생물학적 논거를 반으로 ‘슬픔(감정)의 발현 메커니즘’을 조망한다. 아울러 언어철학과 인지언어학 분야의 논의를 근거로 슬픔의 개념화 방식과 이해의 가능성을 고찰한다. 또한 신체를 기반으로 한 슬픔의 양상을 ‘주체-자아’ 은유와 ‘행위-위치’ 은유를 적용하여 상실과 좌절의 두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고, 자연적 감정인 슬픔을 ‘도덕적 슬픔’으로 포착하고 있는 맹자의 시도를 ‘슬픔의 도덕화’란 관점에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현재적 슬픔을 넘어서려는 적극적 시도를 ‘슬픔의 상징화 과정’으로 파악하고, 이를 ‘슬픔의 파도타기’라는 맥락에서 논의한다. 왜곡된 수동적 슬픔으로부터 균형 잡힌 슬픔으로 전환시키려는 실존적 분투는 타자와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타자로서의 자신과도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량이자 치유적 힘이다. This paper tries to know the mechanism of sadness and a way of understanding sadness, and to explore how sadness is changed into affirmative power through conceptualization of sadness. Above all, this writing, based on experientialism perspective which sees "embodied mind" as its core, suggested by Lakoff and Johnson, explores sadness which is an aspect of "embodied mind". And this study views "mechanism of emotional manifestation" to explore how sadness is manifested based on the basic argument of cognitive biology of A. Damasio. Furthermore, based on the discussion in the fields of Philosophy of Language and Cognitive Linguisti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ay in which conceptualizing sadness is made. Through exploration for emotion of sadness based on human body, two layers of sadness are reviewed. This study also looks into trial where emotion of sadness is moralized from the point of ‘moral sadness’, ‘moralizing sadness’, and ‘moral imagination’ by Mencius. Finally, instead of conclusion, ‘process of symbolizing sadness’ is proceeded with discussion of ‘rolling on the waves with sadness’. I have this point of view that abstract emotion of "sadness" is originated from "embodied mind" and sadness is reproduced - amplified or reduced - but does not continue forever, in the end, will disappear.

      • KCI등재

        슬픔 얼리기와 문학 창작 교육

        김효주 ( Kim Hyo-joo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이 글은 슬픔 얼리기 프로그램을 통해 문학 창작과 문학치료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슬픔 얼리기란 슬픔에 대한 거리두기를 뜻한다. 슬픔 얼리기는 자신이 겪은 슬픔에 대해 좋다 나쁘다 등과 같은 분별을 하거나 성급한 판단을 하지 않는 것이다. 또, 자신의 슬픔을 암시하는 것이지 풀어서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진정한 마음의 치료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시 읽기라는 간접 경험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이 투영된 시를 자신이 직접 창작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한다. 그리고 시 쓰기가 치료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 슬픔에 대해 고민한 흔적을 시 속에 담을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방적으로 시 쓰기를 권할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점진적 쓰기 단계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줄글쓰기와 시 쓰기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슬픔에 대해 점진적으로 다가갈 수 있게 하였다. 줄글 쓰기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슬픔을 일정부분 드러내게 하는 전략이다. 학습자들은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겪은 슬픔의 경험을 추체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슬픔 얼리기 방식으로는 시 쓰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렇듯 이 글에서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완급강약을 조절하면서 자기 슬픔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 슬픔이라는 것을 온전히 드러내는 것도, 그렇다고 온전히 숨기는 것도 옳지 않다. 드러내기와 숨기기 사이를 조절할 줄 아는 능력, 그것이 슬픔을 대할 때 가장 필요한 태도이다. 그런 점에서 시를 읽고 쓰는 교육이 소중하다. 시는 적절히 보여주고 적절히 숨겨주는 비법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 시대 슬픔의 치료는 문학에서 시작하여 일정기간 치료 과정을 거쳐 다시 문학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반복되어야 한다. This paper tried to seek for a plan to closely connect creative writing to literary therapy through Freezing Sorrow Program. Freezing sorrow refers to distancing from sorrow. Freezing sorrow is neither differentiating nor hastily judging sorrow one has felt : i.e. it is good or bad. Also, it is implying his or her sorrow not revealing that. This paper attaches importance to the point that one has to create poems to which his or her experiences are reflected by him or herself rather than indirect experiences of reading poems so that a true healing of the mind can be made. In addition, for writing poems to function as healing, one should be able to include the traces of concerns with his or her own sorrow in the poem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gradual writing step to it rather than to force to write poems. This paper allowed learners to gradually approach their own sorrow through `prose writing` and `poetry writing`. Prose writing is a strategy that allows learners to reveal their own sorrow to some extent. The learners can re-experience their experiences of sorrow through this process. Next, poetry writ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the method of freezing sorrow. Like this, this paper tried to seek for a plan to allow the learners themselves to control speed and dynamics by presenting a concrete program to overcome their sorrow. In the world we are living in, neither is right to fully reveal sorrow nor to completely hide it. An ability to control between revealing and hiding is an attitude that is most necessary when one faces sorrow. In that sense, it is precious to teach reading and writing poetry. This is because poetry possesses a secret to properly show and hide. After all, healing sorrow of this epoch of ours should begin from literature, go through a process of heal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proceed back to literature. And this process should be repeated.

      • KCI등재

        슬픔에 관하여

        오흥명(Oh, Heung-M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69 No.-

        슬픔은 인간이 경험하는 주요하고 보편적인 감정들 가운데 하나다. 그러나 동일한 표현으로 개념화된다고 해서, 모든 슬픔이 질적으로 동종적인 것은 아니다. 어떤 슬픔은 인간이 경험하는 일상적 희노애락의 경계를 넘어서서, 그 자체로 철학의 탄생을 매개하는 특별한 내면적 사건으로 발생한다. 이 논문은 하나의 다층적 감정인 슬픔에 대한, 그 가운데서도 형이상학적 함축을 띠고 있는 비극적 슬픔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다. 크게 두 가지 물음이 천착될 것이다. 본론의 전반부에서는, 슬픔이란 어떤 감정이며 그 철학적 함축은 무엇인지, 다마지오의 생물심리학을 바탕으로 경험적 차원에서의 분석을 시도한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나아가, 하나의 형이상학적 감정으로서 비극적 슬픔의 개념을 해명하기 위하여, 오이디푸스에 대한 형이상학적 분석과 칸트의 숭고 개념을 활용한 비극적 슬픔의 선험적 해명이 시도될 것이다. 본론의 후반부에서는, 이렇게 해명된 비극적 슬픔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니체의 예술가 형이상학과 케노시스 기독론을 통해 모색해보게 될 것이다. Sadness is one of the major and universal emotions that humans experience. However, albeit conceptualized under the same expression, not every sadness is qualitatively of the same sort. A certain sadness as such takes place in itself as an internal event mediating the birth of philosophy, transcending the horizon of our ordinary feelings. This paper philosophically considers sadness as a multilayered emotion, among others tragic sadness with metaphysical implication. Mainly, two questions are explored. In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questions about what kind of emotion sadness is and what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 is will be analyzed in the empirical dimension by means of Damasio’s biopsychology. Following this analysis, a transcendental elucidation will be attempted with the aid of a metaphysical analysis of Oedipus and Kant’s concept of the sublime. In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I will try to find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ragic sadness elucidated by means of Nietzsche’s artist’s metaphysics and kenotic Christology.

      • KCI등재

        슬픔은 어디에서 오는가? - 신체화된 마음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2 철학탐구 Vol.31 No.-

        <P>&nbsp;&nbsp;이 글은 슬픔의 메커니즘과 슬픔의 이해 방식을 알아보고, 우리는 슬픔을 어떻게 개념화하여 긍정적인 힘으로 바꾸어나갈 것인가를 모색한다.필자는 슬픔이라고 하는 추상적 감정은 신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경험화되고 개념화되어 일상적으로 나타나지만, 항구적으로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결국은 사라지는 감정이라는 관점을 취한다.</P><P>&nbsp;&nbsp;이 글은 먼저, 레이코프와 존슨이 제안하고 있는 ‘신체화된 마음 (embodied mind)’의 개념을 통해 ‘슬픔의 신체성’을 논의하고, 다마지오의 인지생물학적 논거를 반으로 ‘슬픔(감정)의 발현 메커니즘’을 조망한다. 아울러 언어철학과 인지언어학 분야의 논의를 근거로 슬픔의 개념화 방식과 이해의 가능성을 고찰한다.</P><P> 또한 신체를 기반으로 한 슬픔의 양상을 ‘주체-자아’ 은유와 ‘행위-위치’ 은유를 적용하여 상실과 좌절의 두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고, 자연적 감정인 슬픔을 ‘도덕적 슬픔’으로 포착하고 있는 맹자의 시도를 ‘슬픔의 도덕화’란 관점에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현재적 슬픔을 넘어서려는 적극적 시도를 ‘슬픔의 상징화 과정’으로 파악하고, 이를 ‘슬픔의 파도타기’라는 맥락에서 논의한다. 왜곡된 수동적 슬픔으로부터 균형 잡힌 슬픔으로 전환시키려는 실존적 분투는 타자와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타자로서의 자신과도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량이자 치유적 힘이다.</P><P></P>

      • KCI등재

        박재삼 초기 시에서의 ‘슬픔’에 대한 심미적 탐색 연구

        류순태(Ryu, Sun-tae)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0 No.-

        이 글의 목적은 시인 박재삼(1933~1997)이 그의 초기 시에서 보여주었던 ‘슬픔’에 대한 관심을 ‘슬픔’에 대한 시인의 심미적 탐색 활동으로 바라보고 그 방법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박재삼은 야나기 무네요시가 말한 ‘비애미’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그의 시에 ‘가장 슬픈 것’을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담아내려고 하였다. 그런데 시인의 ‘슬픔’에 대한 심미적 탐색은 방법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통해 이루어졌다. 첫째, ‘한’으로 대표되는 ‘한국적 슬픔’을 심미적 차원에서 관조하는 단계이다. 둘째, ‘슬픔’이 지닌 진실성을 심미적 차원에서 자각하고 그것을 구현해내는 단계이다. 셋째, ‘슬픔’의 본질을 심미적 차원에서 생의 원동력으로 재정립해 내는 단계이다. 박재삼은 이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슬픔’을 심미적 차원에서 탐색함으로써 ‘슬픔’이 ‘아름다움’으로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들뿐만 아니라 근대적 세계에서도 존재해야만 하는 이유를 분명하게 제시하여 주었다. 그 결과, 박재삼의 초기 시에서 이루어진 ‘슬픔’에 대한 심미적 탐색은 독특한 ‘슬픔 시학’으로서 한국현대시문학사에서 중요한 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k Jae-sam’s aesthetic exploration of ‘sorrow’ in his early poems. Based on his sympathy for ‘beauty of sorrow’ mentioned by Yanagi Muneyoshi(柳宗悅, 1889~1961), Park Jae-sam tried to capture ‘the saddest thing’ as ‘the most beautiful thing’ in his early poems. By the way, his aesthetic exploration of ‘sorrow’ was made through the following steps in the methodological level. First, it is a stage to contemplate ‘Korean sorrow’ represented by ‘Han’ in line with pursuing the most beautiful thing. Second, it is the step of realizing and capturing the embodied aspect of ‘sorrow’ in line with pursuing the most beautiful thing accompanied by the truth. Third, it is a step to redefine the essence of ‘sorrow’ as the driving force of life in line with pursuing the most beautiful thing. Through these steps, Park Jae-sam clearly presented both various possibilities that ‘sorrow’ can exist as a beauty and the reason why it should exist in the modern world. As a result, Park Jae-sam’s aesthetic exploration of ‘sorrow’ in his early poems was able to take a important place as a unique poetics for sorrow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 KCI등재

        체육수업 슬픔 지각-조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우성,천종문,이병준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how well students perceive the sadness they experienc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how well they control their sadness when they are in the situation. Method: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was divided into a scale development stage and a validation stage. In the scale development stage, the situation of sadness was extracted from isolation of bad dancer, the last of performance evaluation, teacher's scolding, the exposure of the botto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sadness content analysis physical education class(Kim,, Li, & Lee). In order to measure the sadness perception intensity of the respondents, the facial expressions of anger, sadness, disgust, fear, and happy were presented with the intensity of 0%, 20%, 40%, 60%, 80%, and 100% using Abrosoft FantaMorph program. Emotional regulation has been proposed to answer three types of sadness suppression, sadness expression, and sadness regulation. In the preliminary survey, 190 respondents were asked to respond, and frequency analysis,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teacher's scolding were eliminated. The final scales were answered by 117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by gender, school class, and exercise type after school. The final scales were answered by 117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by gender, school, and after exercise. Results: The sadness perception and sadness intensity in sex differen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than boys in all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boys are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higher the sadness perception, sadness situation-facial expression match, and the sadness intensity. Higher sports, which are interactions in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showed less sadness than lower sports. Conclus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valid.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수업에서 학생들이 슬픔을 지각-조절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척도개발 5단계를 척도 개발 단계와 타당성 검사 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척도개발 단계에서는 체육 수업 슬픈 내용 분석(김동환, 이주욱, 이병준, 2009)을 통해 몸치 소외, 수행 평가 꼴찌, 교사의 훈계, 꼴찌 노출의 상황을 추출하였다. 응답자의 슬픔 지각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Abrosoft FantaMorph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0 %, 20 %, 40 %, 60 %, 80 % 및 100 %의 강도로 분노, 슬픔, 혐오감, 두려움 및 행복감의 표정이 변화하는 것을 추출하여 제시하였다. 정서조절은 슬픔 억제, 슬픔 표현 및 슬픔 조절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제시되었다. 예비 조사에서 190 명의 ​​응답자의 자료를 통해 개발된 척도에 대한 빈도 분석과 변별도 및 난이도가 분석되었다. 빈도 분석 결과로 교사의 훈계는 다른 정서로 인식되어 제거되었다. 최종 척도는 1175 명의 초중고 학생이 응답했으며 성별, 학교 수업 및 방과 후 운동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했다. 성별 차이에서의 슬픔 지각 및 슬픔의 강도는 모든 상황에서 남학생보다 남학생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여학생들은 학교 수준이 높아질수록 슬픔 지각, 슬픔 표정 인식 능력 및 슬픔 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서 상호작용이 높은 팀스포츠가 낮은 스포츠에 비해 슬픔이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슬픔을 지각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키위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출발점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1920년대 한국 근대가곡에 내재되어 있는 슬픔의 서사와 그 역설

        신혜승 ( Hye Seung Shi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이화음악논집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가곡을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예술로서가 아니라, 시대상황을 끊임없이 성찰해 가는 과정을 통해 완성된 복합적인 사회문화 현상으로 보고,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실체로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920년대 근대 한국인들의 삶에서 노래가 주었던 정서적 역할이 무엇이었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곡과 동요를 통해 근대 한국인의 심상이 어떻게 표출되었는지를 슬픔을 매개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1920년대의 가곡과 동요의 가사를 추출하여 서사의 원형을 탐색하였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나라를 잃은 슬픔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어서 이야기의 결합성에 있어서는 높은 서사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어 슬픔에 관한 관점의 변화를 시도하여, 종래의 허무주의적이고 무기력한 슬픔이 아닌 `죠흔 슬픔`, `최고의 덕이자 최선의 반항으로서의 슬픔`의 의미를 가지고 가곡과 동요에 대한 새로운 서사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슬픔도 시대를 사는 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가곡을 통해 전하고, 한국 근대사 인물들이 냉혹한 슬픔, 쓰라린 슬픔, 고독한 슬픔, 거룩한 슬픔 속에서 살았지만 종국에는 사람들을 힘들게 했던 그 슬픔이 결국 삶의 힘이 되었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근대 한국인이 느꼈을 정서와 감성을 슬픔을 매개로 재구성함으로써 과거의 노래들이 시공간을 초월하여 소통되고 공감되고 향유되기를, 노래가 가지고 있는 슬픔의 메시지가 다양하게 변주되어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Each song which speaks for any aspect of the time is not just a static work of music. It is instead a dynamic event of complex phenomenon which shows the convergence of materials in various departments of study. In this research, modern Korean songs that were compo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1920s will be used as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rrative of sorrow and its paradox, song lyrics in the 1920s will be selected in order to explore the archetype of narrations. Next, by viewing historical facts with subjectivity and imagination, I will draw out various inherent emotions of sorrow and reconstruct cultural truth and establish narratives with a new perspective. Korean figures share the same pain of losing their country, and therefore their stories can be combined and concentrated to present an epic narrative. The message that sorrow can become the strength and motivation for life is delivered through song. Korean figures in modern history tries to convey that although they have lived through many different types of sorrow ranging from bitterness to loneliness, it was this very factor that became their strength. This would mean that even today, we can feel great sympathy from their sorrow. The reconstruction of the emotion and sensibility of historical viewpoints by Korean figures in modern history transcends space and time. I anticipate the future where music can communicates its deep, intrinsic messages of both sympathy and enjoyment.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구의 분노·슬픔 지원반응의 중재효과

        김나현,김희화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s supportive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ysregulation of anger and sadness and problem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418 adolescents who were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s in pusan. Data analysis methods included Cronbach’s α,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friend’s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Second, most of friend’s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correlated with problem behaviors significantly except for saddess-magnify reactions.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s supportive reactions to early adolescents’ anger and sadn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ysregulation of anger and sadness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as significant respectively.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청소년기는 친구가 부정적 정서를 다루어주는 사회자라는 점과 차별적 정서사회화 관점을 고려하여 분노와 슬픔에 대한 친구반응으로 구분하여 첫째,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친구반응을 파악하여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자한다. 둘째,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과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친구의 어떤 반응이 청소년 의 문제행동과 관련되는지 상세히 살펴보아 우정관계에서 친구의 정서적 역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구의 분노‧슬픔지원반응이 각각 중재하는지 살펴보고자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본 연구는 단순집락표집에 의해 추출된 중학생 41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에 의해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9월과 10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담임교사가 종례 후에 분노와 슬픔에 대한 친구반응과 청소년 변인에 대한 질문지를 조사하였다. 총 440부를 배포해 435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435부 중 오류가 있는 17부를 제외하고 418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청소년의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 청소년의 분노과잉표출 및 슬픔과잉표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청소년 보고용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Cronbach’s α,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1. 청소년의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에서 유의한 성별차이가 있었다. 분노지원반응과 분노 과민반응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분노외현적 괴롭힘 반응에서는 남학 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슬픔지원반응과 슬픔과민반응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슬픔관계적 괴롭힘 반응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2. 청소년의 분노‧슬픔에 대한 친구반응 대부분이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 났다. 분노과민반응은 문제행동과 정적 관련이, 슬픔과민반응은 내재화 문제행동과 부적 관련 이 있었다. 3. 청소년의 분노‧슬픔과잉표출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구의 분노‧슬픔 지원 반응의 중재효과가 각각 나타났다.

      • KCI등재

        고정희와 정호승의 시에 내재된 슬픔의 미학

        전창석 춘원연구학회 2022 춘원연구학보 Vol.- No.23

        1980년대 시인인 고정희와 정호승의 시에는 신학 세계에 바탕을 둔 ‘슬픔’이 작동되고 있다. 먼저 고정희 시에선 믿음과 소망의 ‘슬픔’이 자리한다. 그녀의 시에서 짙게 내재된 슬픔을 발견하게 된다. 그녀의 슬픔은 허무감이나 좌절감이 거부되고 활력과 소망이 연결되어 있다. 그녀의 시에는 역동적인 힘이 있다. 슬픔의 힘이다. 슬픔은 그를 나약하게 하지 않고 오히려 활력을 넘치게 한다. 그에게 역동적인 이 힘은 슬픔에 용해되어 역사와 사회에 믿음, 소망, 사랑과 생명을 잉태시킨다. 둘째, 정호승의 시에서는 슬픔과 고통을 통한 희망과 사랑의 변증법적 슬픔이 작동된다. 그의 시에 나타난 ‘슬픔’은 격렬한 감정변화가 없고 한결같이 차분하고 관조적인 성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정호승의 슬픔은 가난하고 지극히 작은 자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사랑하는 삶이다. 정호승의 사랑은 지식과 관념적인 것이 아니라 실천하는 삶이다. 그의 진정한 사랑은 슬픔과 고통을 동반한 화해와 용서를 통해 완성된다. “사랑 없는 고통은 있어도 고통 없는 사랑은 없다”와 같이 ‘하나가 있음으로 해서 다른 하나가 의미를 가지게 된다’는 사랑의 변증법적 슬픔이 작동된다. 고정희와 정호승의 시에 내재된 눈물과 ‘슬픔’을 통해 이 시대의 진정한 위로와 소망이 무엇인가를 통찰하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두 시인의 신학 세계에 바탕을 둔 ‘슬픔’의 미학에 대한 분석으로, 슬픔의 세계 너머에 있는 눈물과 애통함의 소중함을 통찰하게 되고 기쁨과 평안의 길에 이르게 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정희의 ‘슬픔의 힘’과 정호승의 ‘변증법적 슬픔’의 시에서 ‘슬픔’에 대한 논의를 신학 세계로 확장하고, 이 시대에 이웃을 위해 애통하며 우는 자가 위로를 받게 되고, 믿음, 소망과 사랑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신학적 시각으로 재해석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크다 할 것이다.

      • KCI등재

        신경숙의『깊은 슬픔』에 나타난 사랑과 슬픔의 의미 연구

        오주리 ( Ju Ri Oh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신경숙의『깊은 슬픔』은 한(恨)이라는 정서를 연상시킨다. 그녀의 문학은 1인칭의 문학으로 내면성의 가치를 옹호하되 슬픔이라는 정서의 보편성으로 집단무의식까지 뒤흔든다. 이 논문은『깊은 슬픔』의 중심인물의 애정관계 분석을 통해 사랑과 슬픔의 의미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메타텍스트의 자기반영성을 통해 드러나는 사랑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의 문제를 다뤘다. 메타텍스트로서의「프롤로그」와 「에필로그」는 금기에 부딪혀 사랑에 실패한 ``그녀``를 ``글 쓰는 나``가 위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타나토스가 지배하는 세계를 향유하는 ``그녀``를 옹호하는 것이다. 메타텍스트성은 사랑에 대한 세상의 시각에 대항하여 작가의 시각을 내세우는 역할을 한다. 3장에서는 사랑의 삼자관계 형식의 반복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불완전한 극복의 문제를 다뤘다.『깊은 슬픔』은 ``은서-세-완`` 세 명의 인물의 삼자관계가 중심을 이룬다. 이 관계는 유년시절 ``은서-아버지-어머니``의 삼자관계와 같은 형식을 가지고 있다. 즉, 은서는 항상 자신을 버리는 자를 사랑하게 되는데, 그것은 어머니라는 사랑의 대상에 대한 실패가 은서의 모든 사랑의 대상에 대한 태도를 고착시켰기 때문이다. 4장에서는 사랑과 금기에 대한 태도를 통해 나타나는 남성성과 여성성을 다뤘다. 은서의 결혼 이후의 사랑에서는 금기와의 충돌이 전면화 된다. 그것은 남성의 여성에 대한 폭력을 유발하고, 사도마조히즘적인 여성들은 자살충동에 빠진다. 남성은 금기에 의한 사랑의 좌절에서 법의 지위에 섬으로써 남성성을 드러내고, 여성은 자기희생을 통해 여성성을 드러낸다. 5장에서는 사랑의 슬픔에 의한 카타르시스의 효과와 그 윤리적·미학적 가치를 다뤘다.『깊은 슬픔』은 슬픔을 옹호하고 있다. 슬픔은 병리적인 것으로 치유되어야 할 대상이 아니다. 슬픔이 흘러넘치도록 내버려둠으로써 오히려 치유에 이른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것은 이른바카타르시스 이론이다. 슬픔은 다른 정서와 달리 내면의 통일성과 감정의 동일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공격성을 여과하여 선(善)을 옹호하며, 그 승화된 에너지는 예술가의 창조적 힘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the meaning of love and sorrow in Shin`s『Deep sorrow』. ``Deep sorrow`` reminds us of Han(恨). Shin`s literature defends the value of interiority. In addition she shakes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The 2nd chapter covers the self-reflexiveness of「prologue」and 「epilogue」as the metatexts. In the metatexts, ``Writing I`` protect ``She(Eunseo)`` who failed in love against taboo. The 3rd chapter covers the tripartite relationship of love. Eunseo doesn`t overcome completely Oedipus complex in her girlhood. The tripartite relationship repeats the failure of love. The 4th chapter covers the masculinity and the feminity of the attitude to the taboo of love. Sadomasochism is also an important concept in this chapter. Man is in the position of the law and woman is in the position of self-sacrifice. The 5th chapter covers the effect of catharsis and the ethical and esthetical value in the sorrow of love. Deep sorrow sublimates all the negative affections in the good and the beauti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