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 앱(App)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으로서의 미술교육 사례 연구

        정병흠(Jeong, Byung Heu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3

        본고는 미술교육에서 스마트 러닝의 일환으로 학습자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App)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제작 능력, 수업 참여도, 만족도 등의 긍정적 결과를 확인하여 학교현장 교육에서 스마트 러닝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교육적 효용을 논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 활용 수업을 실시한 후 참여도, 흥미도, 만족도 등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시각문화에 대한 교육을 강조하는 최근의 미술교육에서 스마트폰 앱은 교육용 앱 뿐만 아니라 일반 앱을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이러한 표현교육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효용을 네 가지로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기기를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여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수업 내용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둘째, 학습자 주변의 다양한 시각문화 환경에 자연스럽게 노출시켜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창조 과정을 경험하게 한다. 셋째, 표현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여 미술교과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학습 효과를 높여준다. 이를 통해 미술교과 내용 전반에 걸쳐 학습자 생활에서의 활용 방법과 필요성을 일깨워 주고 교과에 대한 인식 전환의 기회가 된다. 마지막으로 앱 활용 과정에서의 자기주도 학습을 통해 다양하고 장의적인 탐구와 시도, 수정의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문제해결력이 향상 되며 확산적이고 유연한 사고능력을 기를 수 있다. This study alms to identify how art education as a part of smart learning using smart. phone apps readily accessible to students has an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rests in learning. their ability to produce. voluntary participation in activities in class. satisfaction with learning and so on. and to suggest the ways to expand smart learning in educational practice. and to discus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these. a poll of 204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rates of participation. interests. satisfaction and so on after using the smart. phone apps to the class. In art education which recently emphasizes education on a visual culture. not only general apps but also educational apps in Smartphones enable students to express themselves in a variety of ways. and thereby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re improved. Art education using the smart. phone apps is effective in four different areas. First. by utilizing the equipment familiar with students in class. their interest and curiosity are aroused. their motivation on learning is increased. and that lead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Second. the leaners are naturally exposed to the environment of visual culture around them and experience the creative process of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world around them and voluntary involvement in it. Third. positive attitude on expressive activities improves interests in art. self-confidence and learning effects. This helps learners to find out art education necessary and useful in their lives and change the way they understand things. Finally. the self-directed learning while students use smart phone app allows them to repeat the diverse and creative exploration and attempt.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raise the divergent and flexible thinking abilities.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의 스마트러닝 전략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4

        Our society is requiring creative fusion-type talents who cover flexible and liberal way of thinking, and artistic sensitivity when we are stepping in a 21st century convergence era. Therefore, Korean government is investing a lot of economic resources in the STEAM education from 2011. On the other hand, smart trend from smart phone is making blow a hot wind in the area of education, so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putting huge budgets into the smart education. STEAM education and smart learning have several common features in the aspect of objectives of them.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mart learning strategies for STEAM education. Accordingly, 15 basic strategy elements of smart learning for STEAM education were developed. These 15 elements are self-directed learning, social learning, situation based learning for S, mobile learning, making-directed learning, mixed learning, measurable learning for M, adaptive learning, application based learning, automated learning for A, relation-directed learning, realistic learning for R, technology based learning, transfer-sharing learning, trial&error learning for T. And then we explored how these 15 elements can be matched with activity standards of STEAM education. Finally, We suggested smart learning strategies for STEAM Education which combined with smart infrastructures, smart contents, and smart technologies, and we verified a validity for developed contents through 15 experts. 21세기 융복합시대에 접어들면서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방식, 예술적 감수성 등을 아우르는 창의적 융합형 인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11년부터 융합인재교육(STEAM)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의 출현으로 시작된 스마트 트렌드는 교육 분야에도 스마트러닝의 열풍을 불게 하여 교육과학기술부는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여 추진하고 있다. 융합인재교육(STEAM)과 스마트러닝은 목표 측면에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서 이 두 가지 키워드의 융합 가능성 또한 매우 높다. 이 연구는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 전략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본 전략 요소 15개를 개발하였다. 스마트러닝 기본 전략 요소 15개는 자기주도형 학습, 소셜 러닝, 상황기반 학습, 이동형 학습, 산출지향형 학습, 융합 학습, 측정가능 학습, 맞춤식 학습, 앱기반 학습, 자동화 학습, 관계지향형 학습, 실제적 학습, 기술기반 학습, 전이-공유형 학습, 시행착오 학습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전략이 융합인재교육(STEAM) 활동 준거 요소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내용과 이론적 탐색을 토대로 하여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콘텐츠, 스마트기술 등과 결합된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스마트러닝 전략을 최종적으로 제안하였고, 개발된 내용에 대해 전문가 15인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KCI등재

        국내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2011년-2018년을 중심으로

        배윤주 ( Bae Yoon Ju ),박정아 ( Park Jeong-ah ),김성은 ( Kim Sung Eun ),두민영 ( Doo Min 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를 종합 정리하여, 교수-학습 측면에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 주요 논문검색 데이터베이스 및 교수-학습 분야의 저널을 활용하여, 2011년 1월부터2018년 10월까지 발간된 스마트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물을 수집하였다. 중복 연구, 주제와 관련성이 낮은 연구 등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연구물 258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는 2014년에 가장 활발했으며, 2015년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둘째, 스마트교육에서 교사 및 예비교원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초등학생 대상의 연구도 활발하였다. 셋째, 스마트교육의 학습내용에서는 과학/수학/STEM 영역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스마트교육이 다양한 학습영역에 적용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점이다. 넷째, 스마트교육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교수-학습방법은 문제기반학습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습자 및 학습내용에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 마지막으로, 테크놀로지(미디어 활용 유형) 측면에서는 스마트교육 연구에서 교육용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모바일 러닝에 해당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반면, 4차 산업혁명 테크놀로지인 AR/VR/MR 및 3D 프린팅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했다. 향후, 4차 산업혁명의 스마트 테크놀로지가 일상생활과 교육 분야에 확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smart education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perspectives. Research about smart education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1 and October 2018 in Korea were searched using academic databases and manual search for major journals in the education field. As a result, a total of 258 studies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after deleting redundant or irrelevant research from the initial search. The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highest number of research in smart education was published in 2014, however the volume of research was decreased since 2015. In smart education research, the most popular participants turned out to be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Also, science/mathematics/STEAM were the learning content that most rigorously researched in smar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the most popular instructional method in smart education. Last, in terms of technology used in smart education, there were many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learning applications(i.e. software). Smartphones and tablet PCs also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from smart education researchers.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about smart technologies of industry 4.0 for smart education, such as AR/VR/MR, IoT and 3D printing technology. However, as smart technologies permeate all aspects of our lives, the research about examining smart technologies for learning will be expected to increase in future.

      • KCI등재

        특수교사의 스마트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스마트 기기 활용 실태

        김호연(Kim, hoyeon),김은하(Kim, eun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스마트 교육에 대한 인식과 활용실태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1명의 서울, 경기지역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2월에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18년 2월~4월에 토론 내용을 의미단위로 나누어서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의 스마트 교육과 스마트 기기에 대한 인식 부분에서는 스마트 교육과 스마트 기기에 대해 교사개인성향과 학교의 분위기에 따라 그 인식이 다름이 밝혀졌다. 스마트 기기의 활용 실태에서는 교사가 교수 학습 상황에서 주도적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면과 학생이 자기주도 학습을 위해 활용하는 면으로 다양한 활용 실태가 나타났고, 장애 특성에 따른 활용 특성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기기 활용상의 제한 점에 대해 서는 스마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제반 환경이 갖추어지지 않은 점과 스마트 기기활용의 유의점을 고려해야하며, 교육용 콘텐츠의 개발·관리 부족이 지적되었고,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구체적 활용 정보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smart education and the status on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in special education. For the current study,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in February 2018 for 11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Based on this, discussion contents were divided into semantic units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smart education and smart device revealed that the range of teachers perceptions and not only personality but also the school conditions were influential. The actual use of smart devices, there are two aspect according to the teachers and students. The teachers use smart devices for enhancing the motivation or individual education and so on, and students use smart devices for self control study. In terms of limitations on the use of smart devices, the lack of facilities, lack of contents, and lack of information appeared.

      • KCI등재

        교사의 개인배경 및 이해수준이 스마트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성열 ( Sung Youl Park ),김재훈 ( Jae Hoon Kim ),임걸 ( Keol L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정부주도하에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수행될 스마트교육 계획에 비추어 볼 때, 교육의 주요한 주체인 교사관련 변인들에 대한 선행연구의 미비 및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2012년 현재 시점에서 교사들의 성별, 연령, 기기 보유여부 등의 개인변인과 스마트교육 이해수준이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 및 경기권 중등교사가 참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64부의 설문결과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전반적인 스마트교육 이해수준은 상당히 낮은 편이었으며, 태도 역시 비교적 긍정적이지 않았다. 스마트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로는 이해수준을 비롯하여 연령이 주요한 변인으로 확인된 한편, 교사의 성별 및 기기 보유여부는 유의미한 변인이 아니었다. 이 같은 결과에 기반하여 향후 스마트교육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이해 및 태도수준의 향상, 교사의 연령을 고려한 탄력적 교육 등이 요구되었으며, 학생 및 학부모 등으로 확대된 스마트교육 관련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considering current little research and needs on teacher variable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for the government`s plan for the ``Smart Education 2015``. According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nd understandings on attitudes towards Smart Education. A total of 264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from the participants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did not understand Smart Education much and there needed to be improvements on attitudes toward Smart Education as well, Meanwhile, age was a significant variable for attitudes, however, gender and possession of smart devices were no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enhancement of understandings and attitudes, professional developments considering ages, and further research on the issue for students and par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분류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유용성, 학습민첩성, 학업성취도의 차이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성은모 ( Eun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전략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21세기라는 시대적 사회적 학습의 흐름에 따라 스마트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형학습과 더불어 비정형학습이 보다 확산되고 변화하는 지식과 정보를 적시에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는 고등교육의 특성상 스마트미디어의 최적정 교육적 활용은 중요한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이를 위해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이 학습을 위해 스마트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는가를 분석하는 과제는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에서 학습을 위해 대학생들이 스마트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 유형을 분류하고, 그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에 따라 스마트미디어를 인식하는 유용성, 지속적인 학습을 추구하는 학습민첩성, 그리고 대학교육의 교육과정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고등교육에서 대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연구<sub>II</sub>’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746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미디어활용 유형은 ‘다기능 고활용형’, ‘정보활용형’, ‘학습 및 관리 도구 활용형’, ‘소극적 저활용형’ 등과 같이 네 개의 잠재계층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유용성, 학습민첩성, 그리고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미디어 유용성과 학습민첩성에 있어서는 다기능 고활용형이 다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정보활용형이 다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이 스마트미디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대학교육에서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질을 향상사키기 위한 스마트미디어의 활용방안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types on smart media usag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mart media usefulness, learning ag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he latent classes of smart media usage in higher education. To address those goals, the data, the questionnaires of smart media usage, smart media usefulness, learning ag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collected from ‘A Study on Korean Youth Competency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I: IEA ICCS 2016’.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746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the types on smart media usage in university students with latent class were classified 4 classes such as Multiple high-using(class 3) Information using(class 4), Learning & management tool using(class 2), and Passive low-using(class 1). ANOVA was employ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mart media usefulness, learning ag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4 classes of smart media usage. As a result, the Multiple high-us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on smart media usefulness and learning agility. Also, Information us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other groups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some suggestions for strategical using the smart media in higher education were proposed at the conclusion.

      • 스마트교육 운영을 위한 학교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이재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4 교육정책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초등학교 스마트교육 정책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고 있는 스마트 교육 공간 환경에 있어 그 이용 특성을 분석하여 학생 소통과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교육 환경을 조성 할 수 있도록 각 실의 환경적 특성을 제시함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 교수 학습을 위한 수업 특성과 일반학급 및 특별교실 공간 환경의 이용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교실 외 생활공간의 역할과 옥외 공간의 위치 등에 대해 학생 상호간 소통 중심의 공간 환경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to create the environment for SMART education in which students are available to communicate and to achieve self-motivated learning by analyzing use-character of SMART Education Environment of Space. As a result, class-attributes for SMART education and use-attributes of space for general and special classroom were suggested. This paper proposes characteristics of Space Environment for student's communication concerning the role of outside space in school.

      • KCI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재개념화와 구현 방안

        홍은실 ( Eun Sil Hong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스마트교육 시대에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지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혼재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였다. 스마트교육은 정책적 차원에서 상호작용, 협력, 주도성 등의 가치를 지향하는 교수-학습 체제로, 스마트러닝은 스마트기기와 인프라를 활용한 학습 방법으로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러닝을 한국어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기존 스마트기기와 인프라 활용, 전용 콘텐츠 신규 개발, 기존 콘텐츠 변형을 제안하고 각각을 한국어교육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스마트러닝을 한국어교육에 적용했을 때의 효과, 스마트러닝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의 유형, 기존 콘텐츠 변형의 절차와 원리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strategies for realizing smart learning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second language. I re-defined the terminology firstly. ‘SMART Education’ is a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pursuing values such as collaboration, autonomy and interactivity. Meanwhile, ‘smart learning’ is a type of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and infra. Next, I suggested three ways to adopt smart learning for teaching Korean: exploiting the existing devices and infra, developing new smart learning contents and modifying existing contents into smart learning contents. For the each way I showed practical options for teach-ing Korean classes. We lastly suggested the followings for the further studies; effects of smart learning in teaching Korean language, typ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y and principles of modifying various contents into smart learning contents.

      • KCI등재

        스마트교육의 속성과 구현 실태에 관한 연구

        윤가영 ( Yun Ga-young ),이효진 ( Lee Hyo-jin ),박인우 ( Park Inn-woo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스마트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스마트 매체의 등장은 개인의 학습 환경과 학교교육 현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정부는 학습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했고, 스마트교육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등장시켰다. 이후 정부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하고자 다양한 정책이 실행되어 왔으며,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이라는 개념이 등장한지 6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스마트교육은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안고 있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일선현장의 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을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스마트교육은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이론적 기틀 마련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스마트교육의 속성을 정의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연구 가운데 실증 및 사례 연구를 검토·분석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이 어떤 속성들을 중심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도출된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T), 열린 학습 환경(E), 자기주도 학습(S), 맞춤형 학습(C), 소셜 러닝(SL)의 5가지로 나타났다. 실증 및 사례연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기기 및 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 학습, 맞춤형 학습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Since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various Smart media, a learning environment for individual learners and the school has been changing. In the stream of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s, in 2011, the government announced SMART education strategies, introducing the term officially, “SMART education.” With the governments` efforts to develop and implement SMART education in school, many policies has been enacted and man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nd increased gradually. However, as policies of SMART education have initiated in situation where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in regard of SMART education, many researchers and teachers confused of SMART education and its identity and attributes, even though it has been 6 years since the concept was introduced. Unfortunately, SMART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s one type of instructional methodology as utilizing Smart technology. Thus,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build theoretical foundation of SMART education through analyzing former research on SMART education to define the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To examine how SMART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terms of its attributes, also, we analyzed research that conducted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n SMART education in actual learning environments. As the results of former research analysis, the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includ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pen learning environment, self-directed learning, customized learning, and social learning. In majority of research, SMART education focused on utilizing Smart technology and media in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but self-directed, and customized learning were less adapted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following research, how to improve educational benefits of SMART education through adapting original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need to be examined.

      • KCI등재

        한국어교육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홍은실 ( Eun Sil Hong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4 No.-

        이러닝, 모바일러닝을 넘어 ``스마트러닝``이 화두가 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러닝의 개념, 실현 기술, 구현 방식 등 모두 초창기이기 때문에 완전한 정의는 아직 없다. 여러 논의를 종합하면 스마트러닝은 ``정보기술 및 기기를 활용해 자기 수준과 적성, 요구에 맞는 협력 학습 및 개별학습, 형식학습 및 비형식학습을 통해 자기주도적, 창의적 학습역량 개발이 가능한 교육 패러다임이자 이를 실현하는 교육 방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외국어교육이 흔한 것은 아니나 휴대전화, PDAs, 아이팟, 앱 등을 활용한 사례가 있다.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와 구현하는 조건에 따라 학습 성과가 달라지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학습자들은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국어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은 현재 앱이나 팟캐스트 등을 통해 가능하다. 개발되어 있는 앱이나 팟캐스트의 숫자가 적지 않음을 통해 스마트러닝과 한국어교육이 융합되어 성과를 낼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앞으로 학습자의 편의성, 접근성, 사용성을 고려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어교육의 스마트러닝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먼저 앱과 팟캐스트의 형식이 다양화되어야 한다. 주교재, 보조교재 등 다양한 쓰임새가 고려되어야 하며, 학습 대상, 학습 목적, 학습 내용이 다양해지고 특화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의 자원을 활용해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러닝의 새로운 유형들을 고민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육 전문가들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 고양과 전문가와의 협업 그리고 관련 정부부처들간 일관된 정책이 요구된다. SMART Learning is emerging. There is no settled definition about SMART Learning yet because it is in the embryonic stage. However, synthesizing various discussions about SMART Learning we can conceptualize it. SMART Learning is a paradigm and learning system at the same time. SMART Learning makes students learn autonomously in compliance with their needs, levels and aptitude through collaborative and individual learning using technologies. Currently SMART Learning for Korean can be implemented with some Apps and podcasts. It is hopeful that there is lots of apps and podcasts for learning Korean as foreign and second language. However, we need to consider some points for the effective convergence of SMART Learning and Korean education as below. First we should develop various formations of apps and podcasts. Also we should think of various uses of contents and specialized contents according to learners` purpose of learning and learning items. New ways of SMART Learning using existing technologies should be devised. Lastly Korean teaching professionals should be award of the age of SMART Learning and should cooperate with SMART Learning professionals while studying deeply into the effects and variables of it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