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30년대의 황순원 동요· 동시와 그 영향

        강정구(Kang, Jeong-gu),김종회(Kim, Jong-hoi) 한국아동문학학회 2016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1

        1930년대의 황순원 동요·동시 48편에 영향을 받은 작품집으로써 시집 『방가』와 『골동품』을 재해석할 때에, 그가 일생 동안 보여 준 순수문학이 기원하고 형성되는 지점과 그 논리가 잘 파악됐다. 이러한 검토는 황순원 순수문학의 기원과 형성을 규명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적·작가론적인 의미와 가치가 있었다. 그동안의 연구사에서 1930년대의 황순원 시에 대해서는 서정주의적인 요소와 함께 민족주의·사회주의 · 아나키즘적인 면모가 강조됐는데, 이 논문에서는 황순원 순수문학의 기원을 그의 동요·동시 48편 중 일부 작품으로 본 뒤에 그 동요·동시의 영향으로 시집 『방가』와『골동품』에서 그의 순수문학이 형성됐음을 자세히 검토했다. 먼저, 황순원 순수문학의 기원이 동요 · 동시 48편 중 순수 관념의 경향 작품에 있음을 탐색했다. 동요·동시 48편 중 순수 관념의 경향 작품에서는 순수 관념다운 분명한 태도와 스타일을 갖췄고, 황순원 자신이 미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지니는 부르주아의 감각 · 태도 · 인식을 보여 줬기 때문이다. 이 순수 관념은 반계몽주의적 · 반계급주의적이면서도 미에 대한 열정을 지닌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라는 탈이데올로기의 역설을 분명히 지녔다. 그리고 황순원 동요 · 동시의 영향을 통해서 순수 관념이 삶의 현실을 바라보고 구성하는 하나의 환상 프레임으로 작동하여 순수문학이 형성하는 지점을 시집 『방가』와『골동품』으로 분석했다. 첫째, 시집 『방가』에서 영원한 생명력이라는 순수 관념이 정치적 · 경제적 · 문화적인 현실의 기표를 누비는 이데올로기의 누빔점이 되는 양상을 검토했다. 황순원은 시적 화자와 만유가 민족주의 · 사회주의 · 아나키즘 등의 이데올로기의 맥락에서 벗어나서 영원한 생명력이라는 순수 관념을 지녔다는 인식이나 지녀야 한다는 의지를 주목ㆍ서술했다. 둘째, 시집『골동품』에서 인간의 보편적인 동심이라는 순수 관념이 식민지 부르주아의 일상을 부각시키고 프롤레타리아의 일상을 은폐하는 풍경으로 되는 양상을 살펴봤다. 황순원이 만든 시집 속의 풍경은 식민지의 부조리와 모순 등과 같은 외적인것에 무관심한 내적 인간인 부르주아의 시각으로 가능했고, 프롤레타리아의 역사적 · 사회적인 일상 · 환경—가난 · 실업 · 굶주림 · 절망 · 비참, 식민지 수탈로 인한 지역의 피폐화ㆍ황폐화 — 이 은폐된 결과였다. 황순원의 순수문학은 1930년대의 주요 문학 경향들, 특히 시문학파의 순수 관념 경향을 동요 · 동시에서 모작 · 창작하는 과정에서 기원됐고, 시집 『방가』와『골동품』의 시편을 쓰는 동안 서서히 현실을 바라보고 구성하는 하나의 환상 프레임으로 만들어지면서 형성됐다. 이러한 논문의 결론은 황순원 순수문학의 전체적인 흐름에서 그 기원과 형성 시기와 논리를 규명한 것이다. This essay is a study on the Hwang, Sun-won’s children’s songs and their influence with the origin of purity-literature andits formation. Hwang, Sun-won’s children’s songs is discovered in the 2011 years, so we can re-read Singing Loudly and A Curio written by Hwang, Sun-won in the 1930’s. The origin of Hwang, Sun-won’s purity-literature is his children’s songs of 1931 years. Some children’s songs shows the ideology of purity obscurely, which is represented in passions of beauty and written by the bourgeoisie’s thought and senses. The children’s songs is the paradox of ideology, and give influence to Singing Loudly, A Curio. The paradox of ideology makes the fantastical frame of ideology in the Singing Loudly. Singing Loudly shows the ideological quilt, a sort of the fantastical frame of ideology. Hwang, Sun-won quilt his political and economical reality to purity ideology. And A Curio is a landscape, a sort of the fantastical frame of ideology too. Hwang, Sun-won emphasizes his bourgeoisie’s reality and hides the proletariat’s reality.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에서 순수직관의 문제

        강기호(Kang, Ki-Ho)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순수이성비판』에서 순수직관은 그 의미와 성격이 아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적어도 『순수이성비판』 안에서 순수직관과 관련한 불일치한 논증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칸트는 <선험적 감성론>에서 무한양으로서 순수직관(직관의 형식)은 전체가 부분을 선행하며 부분이 전체를 전제한다고 주장하고, 반면에 <선험적 분석론>에서(형식적 직관과 관련되는) 외연양으로서 순수직관은 경험적 직관과 마찬가지로 공간과 시간도 그것의 부분을 총괄해줄 종합을 전제한다는 주장을 도입한다. 직관의 형식으로서 시·공간이 통일을 가지지 않는다면 한갓 수다성에 불과할 것이다. 시·공간은 순수직관으로서 통일을 가진다. <감성론>에서 이 필연적 통일은 마치 시·공간에 고유한 속성인 것처럼 다루어지고 있지만, 순수한 직관으로서 시·공간이 통일을 가질 수 있는 것은 감각에 의거할 수 없는 자발적인 종합작용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일은 시·공간이라는 순수한 직관과 더불어 주어지지만 그렇다고 순수직관들 속에 포함된 본성으로서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시·공간의 통일은 각지의 종합의 선천적 조건이다. 이로써 칸트의 불일치한 논증구조의 이유가 밝혀진다. 즉 <감성론>에서 칸트는 무한양으로서 순수직관 즉 직관의 형식으로서 시·공간은 모든 감각에 논리적으로 선행한다는 점을 주로 설명하고자 했으며, 선천적 직관표상의 근원적 획득의 문제는 자발성의 능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는 <선험적 분석론>에서 다루고자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수직관에 관한 이러한 불일치 내지 모순은 칸트가 <선험적 감성론>과 <선험적 분석론>에서 행하는 과제상의 차이에 기인할 뿐이다. The mean and character of pure intuition in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are of important but different. This indicates that kant"s arguments on pure intuition are discordant. In the Aesthetic kant asserts that whole precedes parts and parts premises whole as the character of pure intuitions as infinity quantity. On the other, he asserts in the Analytic that pure intuition as extensive quantity(involved in formal intuition) premises a synthesis of spatial and temporal parts. Space and time as forms of intuition are a mere multiplicity without unity. It is only as pure intuitions that they possess unity. This necessary unity was treated in the Aesthetic as if it belonged to space and time in their own right, but space and time, as pure intuitions, possess unity only because they presuppose a synthesis which does not belong to sense at all. Unity therefore given along with the pure intuitions of space and time, but it is not given in these intuitions. This unity space and time is an a priori condition of the synthesis of apprehension. Hereby the cause of kant"s discordant arguments is clarified. In the Aesthetic kant explained mainly that space and time(as infinity quantity) as form of intuition premises all sense logically. In the Analytic which deals with function of spontaneity, he treated the problem of pure intuitive representation. Therefore, kant"s discordance on pure intuition do only come from a difference in the Aesthetic and the Analytic.

      • KCI등재

        순수시의 계보와 한계 -시론과 시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권혁웅 ( Hyuck Woong Kwon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1

        이 논문은 한국 현대시에서 순수시를 표방한 논의 곧 순수시론의 의의와 한계를 그 시적 성과와 함께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순수시란 언어 바깥에 어떤 것을 상정하지 않고 화자나 저자에 종속되지 않으며 사물을 명명하거나 표상하지 않고 의미의 매개물로 격하되지 않는 것을 자신의 이상으로 삼는다. 이것은 순수시가 무(無)의 산물이라는 뜻이며, 자신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수단을 결여하고 있음을 뜻한다. 순수시는 실현불가능성을 조건으로 삼는다. 김춘수의 무의미시에는 참여시와 대비되는 운동으로서의 순수시, 불순한 관념의 오염을 차단한 존재론적 순수시, 실제의 의미를 정지시킨 의미론적 순수시의 세 차원이 겹쳐 있다. 첫 번째 순수시는 그 자신을 오염된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 번째 순수시는 언어 내부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출현하는 의미를 차단할 수 없다는 점에서 모순이다. 두 번째 의미의 순수시, 곧 말들의 배합이나 충돌이 만들어내는 소리의 결, 전언을 배제한 기표들이 만들어내는 제2의 의미로 구축되어 있는 시가 순수시의 본질에 가장 가깝다. 오규원의 날이미지시는 그 논리적 근거를 무의미시와 야콥슨의 언어 모델에서 구했다. 오규원은 김춘수의 의미(=관념=불순)/무의미(=존재론=순수)라는 도식을 언어의 두 축인 은유, 환유에 연결 짓고, 전자를 부정하고 후자를 추구하는 시론을 정립하였다. 그런데 실제의 날이미지시에는 관념이 배제되어 있지 않으며 주체의 해석(혹은 그것의 유력한 수단인 은유)이 추방되어 있지도 않다. 오규원이 이런 시론을 구축하게 된 것은, 어조가 만들어내는 환영의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이승훈의 비대상시 역시 무의미시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는 시에서 구체적인 대상을 배제하고자 했는데, 이것의 논리적 귀결은 모든 현실, 대상, 자아의 소멸이며, 그로 인한 불안의식의 전면화다. 그런데 “시적인 것도 없고 시도 없다”는 주장은 순수시의 맥락에서는 벗어난 것이다. 순수시는 언어 바깥에서 자신의 존재근거를 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비대상시와 동일하나, 바로 그 ‘구하지 않음(무)’에서 실존적이고 독자적인 자신의 본질을 정초하기 때문이다. 성찬경의 밀핵시는 의미의 밀도를 최대한으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앞의 논의들과 차별된다. 그러나 그 결과로 언어의 침묵에 최대한 가까이 다가간 일자시가 출현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순수시의 맥락에 있다. 그런데 일자시가 추구하는 어감, 어상, 뉘앙스와 같은 의미가 이미 오염되어 있다는 점, 일자시에 이른 후에도 수많은 각주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밀핵시 역시 자신의 이상을 실현불가능성에 걸어두고 있다는 점이 드러난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pure poetry and poetics in modern Korean poetry. Pure poetry believes it ideal that poetic words are not downgraded to the mere vehicle of meaning, neither being subordinate to a narrator or an author, nor calling or representing an object. These conditions suggest that pure poetry lacks the means to realize its ideal. The nonsense poetry of Kim Chun-su have three overlapping layers of pure poetry: pure poetry as opposed to society-participatory poetry; ontological pure poetry that blocks contamination of impure concepts; and semantic poetry, which stops real meaning. The closest to the essence of pure poetry is the second type of poetry which consists of another meaning conveyed by the signifiant; Signifiant, in this case, excludes the tone of sound or the message in the poem as an integration of the context of the poem, resulting from the combination or collision of poetic words. Oh Kyu-Won connected the diagram of meaning (=concept=impure) versus meaninglessness (=ontology=pure) of Kim Chun-Su to the axes of metaphor and metonymy. He established his poetics denying the former and pursuing the latter. Oh Kyu-Won’s raw image poetry, however, does not exclude concept or expel interpretation (or metaphor as a strong vehicle of it) of a subject. Lee Seung-Hoon tried to exclude a specific object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re is nothing poetic, nor is there a poem.” Pure poetry is like Beedaesang (objectless) Poetry given that it does not seek the rationale for existence outside the language. Pure poetry is different, however, in that it establishes its existential and independent essence through “not seeking.”Sung Chan-Kyung pursued the maximum density of meaning. However, the fact that connotation, nuance and appearance of word sound sought after by Ilja (one letter) Poetry are already contaminated and Ilja Poetry requires countless footnotes reveals that Milhaek (meaning of poetic words being highly condensed) Poetry has its ideal at an unattainable level.

      • KCI등재

        진흥왕순수비 건립의 의의

        박초롱(cho-rong, Park)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8

        이 글은 왜 진흥왕은 巡狩碑를 건립하였는가라는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진흥왕 이전에도 삼국의 국왕들은 순수를 행했으나 순수비를 건립하였다는 기록도 현전하는 비문도 없다. 또 진흥왕순수비의 형식은 이전의 신라비나 고구려비에서 예를 찾을 수 없는 것이었다. 위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에 순수비가 건립된 선례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글에서는 중국의 사례와 진흥왕순수비를 비교 검토해보았다. 1장에서 중국의 巡狩개념과 의례가 성립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2장에서는 중국의 순수비 건립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신라에서 순수비를 건립할 당시 진시황의 순수 이후 건립된 刻石과 북위의 순수비를 참고했을 것으로 보았다. 또 순수의 근거로서 자주 제시되는 『尙書(書經)』가 진흥왕순수비 작성에 중요 자료가 되었으리라 보았다. 이를 통해 진흥왕 순수비를 순수 儀禮라는 관점에서 재검토해보았다. 이어서 진흥왕의 순수비 건립이 갖는 사회적 의미도 밝혀보고자 했다. 순수비가 『상서』에 근거한 왕도정치 이념을 표방한 이유를 지방지배체제의 변화와 연관지어 해석하였다. 德化로 민심을 획득하려 한 배경에는 새로 편입된 지역의 피복속민을 6세기에 국왕의 公民으로 인식하게 된 사회적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왜 중국의 순수 개념에 근거하여 순수를 행하고 비문을 작성하였는지에 대한 대답이 될 것이다. 중국의 순수 개념에 따르면 순수는 祭儀를 통해 天子가 권위를 확인받고 民政시찰을 통해 지배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신라는 새로 확보된 지역과 民에 대하여 국왕 지배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보편적인 논리로서 중국의 순수를 차용한 것이었다. 실제 이러한 이념은 순수 의례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공표되었을 것이다. 진흥왕순수비는 그 순수 의례의 최종결과물이자 상징으로서 건립되었다. This study originates from the question of why King Jinheung established sunsubi (monuments commemorating the king’s tour). The kings of the Three Kingdoms before King Jinheung had also performed sunsu (tour of the country), but there are no records or epitaphs proving that they had established sunsubi. In addition, the form of Jinheungwang Sunsubi is unprecedented in previous Silla or Goguryeo monuments. Chapter 2 examined the process in which sunsu (巡狩) rites were established in China, as well as cases in which sunsubi was constructed. This provided a reference of square stones (刻石) built after the sunsu by Qin Shi Huang when sunsubi was built in Silla, and sunsubi of the north latitude. Moreover, 『Classic of Documents (尙書Sangseo or 書經Seogyeong)』 that is presented frequently as the evidence of sunsu may have serv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Jinheungwang Sunsubi. Chapter 3 reviewed Jinheungwang Sunsubi in the perspective of sunsu rites (儀禮), assuming that King Jinheung’s sunsu was performed after accepting China’s concept of sunsu.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ed to clarify the social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of King Jinheung’s sunsu. The reason why sunsubi claimed to advocate the ideology of royal politics based on 『Classic of Documents』 was interpreted in line with the change in the local ruling system. The attempt to win popularity from the public with moral influence (德化) was grounded on the social and ideological change in which the subjugated class under the indirect rule during the era of Maripgan was perceived as the citizens (公民) of the king in the 6th century. This perception will be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sunsu was performed and the epitaph was written based on China’s concept of sunsu. According to China’s concept of sunsu, the term refers to how the emperor (天子) confirms his authority through a memorial service (祭儀) and secure legitimacy to rule by inspecting civil affairs (民政). Accordingly, China’s sunsu was adopted by Silla as a universal logic to support the legitimacy of the king’s rule over the newly acquired regions and the people (民). In fact, this ideology might have been proclaim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process of sunsu rites. Jinheungwang Sunsubi was established as the final output and symbol of such sunsu rites.

      • KCI등재

        진흥왕순수비의 재검토

        최영성(Choi, Young-sung) 한국고전번역원 2014 民族文化 Vol.43 No.-

        진흥왕순수비에 대한 전문 연구가 있어온 지 오래되었다. 그러나 종합적 연구는 매우 드물고, 사상적 측면에서 접근한 것은 전무하다시피하다. 필자는 진흥왕순수비를 사상의 관점에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순수비의 내용을 보면 유교사상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민족 고유사상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표명되어 있다. 최치원(崔致遠)이 말한 ‘풍류(風流)’의 실재를 증언한 것이 황초령비와 마운령비다. 진흥왕순수비에서는 ‘순수한 바람’(純風)과 ‘오묘한 변화’(玄化)를 말하면서 ‘바람’과 ‘변화’의 철학을 가지고 정치의 도리를 논하였다. 순수비 내용은 한 마디로 『주역』관괘(觀卦)에 나오는 ‘성방관민(省方觀民)’ 바로 그것이다. 『주역』관괘의 내용은 임금의 ‘순수’ 행위를 철학적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진흥왕순수비와 관련시켜 볼 수 있다. 순수비에 기록된 내용은 유가 계열의 고전으로 꼽히는 『백호통의(白虎通義)』「순수(巡狩)」조에 나오는 것을 실천한 것이다. 먼저 순수의 목적이 ‘민심 탐방’(訪採民心)에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네 계절의 가운데 달(四仲月)인 8월에 맞추어 순수를 하였으며, 돌을 깎아 기념물을 세우는 행사를 그대로 실천하였다. 『백호통의』내용이 6세기 신라에서 실행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re have long been professional researches on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 However, comprehensive ones are very rare and almost none is done with approach from ideological aspects. The author thinks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 should be examined from the ide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ntents of Sunsubi Monument, positive attention on nation’s own t houghts is e xpressed while i ts m ainstream is f ormed with Confucian ideas. What testifies the existence of ‘Poongryu’ (風流) mentioned by Choi Chi-won is Hwangchoryeong Monument and Maunryeong Monument.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 states ‘pure wind’ (純風) and ‘subtle change’ (玄化) and it discusses reason of politics with philosophies of ‘wind’ and ‘change.’ The content of Sunsubi Monument, in a word, is ‘Seongbang-gwanmin’ (省方觀民, looking around every direction and studying people’s lives) which is on Gu?ngua on Zhouyi. The content of Gu?ngua on Zhouyi can be related to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 in that it philosophically explains King’s act of ‘Sunsu’ (King’s examining around the country). What is documented on Sunsubi Monument is the practice of the article Sunsu on Bai hu tong i (白虎通義) which is considered a Confucian c lassic. First, it clarifies that the purpose of Sunsu is to ‘examine public sentiment’ (訪採民心). In addition, Sunsu was conducted on August, the middle month in four seasons, and the ceremony to erect a memorial by carving out a stone was also fulfilled. It should be noticed that the content of Bai hu tong i was implemented in 6th century Silla.

      • KCI등재

        미니멀리즘 순수성 연구 -댄 플래빈 작품의 순수성 중심으로-

        권오길,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Minimalist work is not dependent on its artist and exists as the identity of pure object itself, giving meaning to the instant perception experienced by viewers. Through study of minimalism criticism and the purity of minimalism - a purity of things, nonrelational purity, and a purity of presence – one can see the anonymity, succession, and fine artistic expandability of a minimalist work that exists with no meaning due to the absence of artist concept. (Method)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modernist painting and minimalism, the expansion and locality of sculpture, and the influence of minimalism on contemporary art based on a theoretical critique of minimalism. We investigated purity as elucidated in a “proposal” from artist Dan Flavin, presented specific purity, and examined the cases matching each section. The final chapter of our study summarizes discussion and presents a summary of the implications of our study on purity as proposed by Dan Flavin.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work of artists who fall under the category of minimalism and exhibit purity in the vein of the works of Dan Flavin. Purity as discussed in this study is confined in scope to works of minimalis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purity in the minimalism of Dan Flavin exhibits such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as anonymity, thingness, and inhumanity. The works use light and color to strongly express purity, and the purity of presence (relationship with the viewers) expresses the present and spatiality together, which are further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and minimalistic purity found through analyses of minimalism in the works of Dan Flavin, one of the most prominent minimalist artists. Minimalistic purity was found to embody the composition perceived by viewers as a pure object not embedded with symbols and signs, breaking the link with modernism. In particular, the purity of presence in minimalism shows how objects that lost their usability have both spatial expandability and specificity of location and how fine art form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place and expands into the realm of architect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its presentation of purity inherent in minimalist work and the purity of Dan Flavin's proposal.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reate an opportunity to further examine the purity of minimalism, one that shifts the emphasis in a work of art from the artist (proposal of art) to viewers (contemplation of art). (연구배경 및 목적) 미니멀리즘의 작품은 작가에게 종속되지 않고 순수한 사물 자체가 가지는 독자성으로 존재하며, 관람자가 작품과 마주한 상황에서 경험하는 즉각적 인식에 의미를 부여한다. 미니멀리즘의 비평과 미니멀리즘이 가지고 있는 순수성-사물의 순수성, 작가와 비관계로서의 순수성, 현전의 순수성 연구를 통해 작가의 개념이 부재하여 어떤 의미도 없이 존재하는 미니멀리즘 작품이 가지고 있는 미술의 확장성을 알 수 있다. (연구방법) 미니멀리즘과 관련된 이론적 비평 연구를 통해 모더니즘 회화와 미니멀리즘의 차이, 조각의 확장과 장소성, 미니멀리즘이 현대 미술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댄 플래빈의 제안(proposal)으로서의 순수성을 연구하여 구체적인 순수성을 제시하고 각 항에 맞는 사례를 살펴본다. 마지막 장에서는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여 댄 플래빈의 제안(proposal)으로서의 순수성 연구의 의의를 정리한다. 연구범위는 미니멀리즘에 포함되는 작가의 작품과 댄 플래빈의 작품으로 순수성을 제시하며 논의되는 순수성은 미니멀리즘의 작품 범위로 한정한다. (결과) 작품 분석의 결과 댄 플래빈 작품이 가지고 있는 순수성은 미니멀리즘의 특성, 순수성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니멀리즘 특성 중에서 익명성, 사물성, 비인간성은 댄 플래빈의 모든 작품에서 표출되었다. 빛과 색의 도구로서의 순수성, 현전의 순수성(관람자와의 관계)이 강한 작품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인 현전성과 공간성이 모두 표출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미니멀리즘과 미니멀리즘 대표 작가인 댄 플래빈 작품 분석에서 나타나는 미니멀리즘의 특성과 미니멀리즘의 순수성과의 관계를 알 수 있었고 미니멀리즘의 순수성이 미니멀리즘 순수성의 특성 방식으로 미니멀리즘 작품과 댄 플래빈 작품에서 표출됨을 알 수 있었다. 미니멀리즘의 현전의 순수성은 사물의 유용성을 상실한 사물이 어떻게 공간으로의 확장, 장소 특정성을 가지게 되는 지를 보여주며 미술이 장소와 유기적 관계를 맺고 건축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는데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순수성과 댄 플래빈의 제안(proposal)의 순수성을 제시함에 의의를 갖으며 작가-예술의 제안-에게서 관람자-예술의 완성-에게 전이되어 나타나는 미니멀리즘의 순수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마틴 스콜세지의 「순수의 시대」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연구

        정락길(Chung, Lak-Ki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6

        1993년의 스콜세지의 영화 「순수의 시대」는 이디스 워튼의 『순수의 시대』를 각색한 영화이다. 그의 영화의 비평적 관심이 주로 뉴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표현주의적 흐름의 영화들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 논문은 그의 작품 중 각색 영화들 중 하나인 「순수의 시대」를 주요한 논의의 중심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순수의 시대」를 분석할 때 필연적으로 원작과의 반복과 차이는 무엇인가 하는 논의가 요구되어 진다. 무엇보다 「순수의 시대」라는 영화 텍스트는 문학과 회화 작품과의 흥미롭고 복합적인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스콜세지는 「순수의 시대」라는 작품을 통해 문학 작품인 원작에다 원작에 부재하는 다양한 회화 작품을 인용하거나 이 회화 작품들로부터 독특한 영화적 변형을 행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변형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다. 스콜세지의 「순수의 시대」는 원작을 아주 충실히 재현해내고 있다. 하지만 소설이 뉴욕 상류층의 관습과 허위의식, 그리고 여성의 억압에 대한 온건한 비판을 행하고 있다면 영화는 매우 감각적인 멜로드라마의 형식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속에서 영화는 아처의 눈을 통해 본 불행하지만 사랑스러운 여인에 대한 이야기를 스콜세지적 시선으로 포착하고 있다. 이 시선은 여성을 대상화하고 주변화 하는 남성 판타즘 으로서가 아니라 여성을 남성이 도저히 알 수 없는 타자로서 질문을 던지는 남성적 시선의 한계로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시선은 스콜세지의 창조적인 회화 유산의 변형을 통해 풍요롭게 구현되고 있다. 서사적 변형으로부터 영화의 미적 깊이를 부여하는 것은 다양한 회화작품들의 인용을 통한 영화적 재구축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스콜세지는 의도적으로 타블로 쇼트를 배치해 서사의 흐름을 정지시키고 관객으로 하여금 정서적 집중을 요구하고 작품의 의미 자체를 사유케 하는 순간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The Age of Innocence, 1993 American film adaptation of Edith Wharton"s 1920 novel of the same title, has been neglected in comparison with other Scorsese"s fil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mainly The Age of Innocence. Because the film is adaptation of a novel, we should ask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bove all, this filmic text of Scorsese maintained complex relations with the original work. Scorsese did not content to simply adapt the original text. Starting from his model narrative, he raised a confrontation between cinema and painting. He undertakes an investigation on the pictorial material and its possible reconstruction in the space of the film . In the intertextual relations, there is an interesting transformation. In this article, we question how this process of transformation is made. Of these directions of research, the first one is to envisage the relation between the film and the original novel. Scorsese follows faithfully the narrative line of the novel. In thematic perspective, we can say that the film of Scorsese is close to the melodramatic shape, whereas the characteristic of the novel is the critique on the social habit of the upper class, on their false consciousness and on the oppression of women. The story of film unfolds according to the gaze of Archer, the main character who desires its object of the love, the woman. But, Archer"s gaze is not the male gaze of voyeurism, nor fetishism. We insist that Ellen, the main character feminine exists as reflec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The gaze of Archer appears as a question on ‘the other’ as limit of the male gaze. Besides, the device of The Age of Innocence shows us the complex aspects of this gaze, by sharing the film between two alternated series: on one side, a narrative series, where settle the conflicts, the passions between the characters ; and on the other, without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previous one, a pictorial series consisted by the reconstruction of paintings belonging to different paints. In particular, for Scorsese, the importance of the tableau-shot reflects both the indecision of its narrative status and its relationship with painting. If the tableau-shot offers a spectacular attention, we use the term "dialogism" to highlight the ambivalence of such a plan, that Pascal Bonitzer considered fundamentally a-narrative. 1993년의 스콜세지의 영화 「순수의 시대」는 이디스 워튼의 『순수의 시대』를 각색한 영화이다. 그의 영화의 비평적 관심이 주로 뉴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표현주의적 흐름의 영화들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 논문은 그의 작품 중 각색 영화들 중 하나인 「순수의 시대」를 주요한 논의의 중심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순수의 시대」를 분석할 때 필연적으로 원작과의 반복과 차이는 무엇인가 하는 논의가 요구되어 진다. 무엇보다 「순수의 시대」라는 영화 텍스트는 문학과 회화 작품과의 흥미롭고 복합적인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스콜세지는 「순수의 시대」라는 작품을 통해 문학 작품인 원작에다 원작에 부재하는 다양한 회화 작품을 인용하거나 이 회화 작품들로부터 독특한 영화적 변형을 행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변형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다. 스콜세지의 「순수의 시대」는 원작을 아주 충실히 재현해내고 있다. 하지만 소설이 뉴욕 상류층의 관습과 허위의식, 그리고 여성의 억압에 대한 온건한 비판을 행하고 있다면 영화는 매우 감각적인 멜로드라마의 형식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속에서 영화는 아처의 눈을 통해 본 불행하지만 사랑스러운 여인에 대한 이야기를 스콜세지적 시선으로 포착하고 있다. 이 시선은 여성을 대상화하고 주변화 하는 남성 판타즘 으로서가 아니라 여성을 남성이 도저히 알 수 없는 타자로서 질문을 던지는 남성적 시선의 한계로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시선은 스콜세지의 창조적인 회화 유산의 변형을 통해 풍요롭게 구현되고 있다. 서사적 변형으로부터 영화의 미적 깊이를 부여하는 것은 다양한 회화작품들의 인용을 통한 영화적 재구축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스콜세지는 의도적으로 타블로 쇼트를 배치해 서사의 흐름을 정지시키고 관객으로 하여금 정서적 집중을 요구하고 작품의 의미 자체를 사유케 하는 순간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The Age of Innocence, 1993 American film adaptation of Edith Wharton"s 1920 novel of the same title, has been neglected in comparison with other Scorsese"s fil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mainly The Age of Innocence. Because the film is adaptation of a novel, we should ask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bove all, this filmic text of Scorsese maintained complex relations with the original work. Scorsese did not content to simply adapt the original text. Starting from his model narrative, he raised a confrontation between cinema and painting. He undertakes an investigation on the pictorial material and its possible reconstruction in the space of the film . In the intertextual relations, there is an interesting transformation. In this article, we question how this process of transformation is made. Of these directions of research, the first one is to envisage the relation between the film and the original novel. Scorsese follows faithfully the narrative line of the novel. In thematic perspective, we can say that the film of Scorsese is close to the melodramatic shape, whereas the characteristic of the novel is the critique on the social habit of the upper class, on their false consciousness and on the oppression of women. The story of film unfolds according to the gaze of Archer, the main character who desires its object of the love, the woman. But, Archer"s gaze is not the male gaze of voyeurism, nor fetishism. We insist that Ellen, the main character feminine exists as reflec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The gaze of Archer appears as a question on ‘the other’ as limit of the male gaze. Besides, the device of The Age of Innocence shows us the complex aspects of this gaze, by sharing the film between two alternated series: on one side, a narrative series, where settle the conflicts, the passions between the characters ; and on the other, without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previous one, a pictorial series consisted by the reconstruction of paintings belonging to different paints. In particular, for Scorsese, the importance of the tableau-shot reflects both the indecision of its narrative status and its relationship with painting. If the tableau-shot offers a spectacular attention, we use the term "dialogism" to highlight the ambivalence of such a plan, that Pascal Bonitzer considered fundamentally a-narrative.

      • KCI등재후보

        1930년대 초반의 황순원 동요·동시에 나타난 순수성 고찰

        강정구(Kang, Jeong-gu) 한국아동문학학회 2016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0

        이 논문에서는 1930년대 초반의 황순원 동요ㆍ동시가 당대의 지배적인 문학 경향인 계몽주의ㆍ휴머니즘과 계급주의뿐만 아니라 그와 구별되는 순수 관념에 많은 영향을 받았고, 사회적인 관계를 벗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분적으로 지닌 작품 속의 아동과 세계 표상이 현실을 나름대로 재구성한 것이었음을 검토했다. 이러한 검토는 황순원의 순수문학이 1930년대 초반의 동요ㆍ동시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나아가서 순수문학에서 말하는 순수성이 일체의 현실적인 연관으로부터 해방되려는 지향일지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현실을 해체ㆍ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일정한 현실적인 연관이 숨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먼저, 황순원이 당대 동요ㆍ동시의 주요 세 경향을 구별하여 모작ㆍ창작했고 순수 관념의 경향에 비중을 뒀다는 점과 그 의미를 검토했다. 황순원은 그의 동요ㆍ동시에서 계몽주의ㆍ휴머니즘, 계급주의, 순수관념의 경향을 모작ㆍ창작할 때에 그 경향에 알맞은 소재, 화자의 성격과 시적 분위기ㆍ내용을 구별했다. 각 경향에 따라서 현실을 바라보는 일정한 인식론적인 틀이 있음을 알았고, 그 틀에 따라 재구성했던 것이다. 그리고, 순수 관념의 경향 작품을 중심으로 해서 사회적인 관계를 벗어난 것처럼 보이는 작품 속의 아동과 세계 표상이 현실을 부분적으로 재구성한 것이었음을 살펴봤다. 동요ㆍ동시 속의 순수성은 사회적인 관계를 벗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분적으로 지닌 아동 화자의 역설적인 모습에서 잘 드러났다. 아동 화자는 봄싹, 수양버들, 살구꽃, 복사꽃 등의 식물을 그의 현실 속에서 관계 맺고 바라볼 법한 아동의 비유물로, 그리고 버들개지, 딸기, 할미꽃 등의 식물을 그의 현실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인간의 비유물로 표현했다. 또한 동요ㆍ동시 속의 순수성은 작품 속에서 표현된 존재의 힘을 가진 세계에서도 엿보였다. 아침, 먼동, 바람, 저녁, 먹구름 등이나 봄, 여름, 가을 등의 세계는 그 자체로 아동이 바라볼 법한 서경이면서, 동시에 존재의 힘을 드러내어서 타자를 변화시키는 현실 공간의 특징을 지녔다. 이렇게 볼 때에 1930년대 초반의 황순원 동요ㆍ동시에 나타난 순수성은 순수 관념에 영향을 받아 일체의 현실적인 연관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지향을 지니면서도 현실을 해체ㆍ재구성하는 역설적인 태도에서 잘 찾아진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순수성과 순수문학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근본적으로 재고하게 만들고, 나아가서 순수문학이 그 출현 시대의 이데올로기와 밀접하고 역설적인 연관이 있음을 암시해준다. This essay shows the purity of Hwang, Sun-won’s children’s song and poem is caused by group Simunhak and hints the re-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children’s song and poem. This analysis means the pure literature that head for purity itself is relative to reality. This thought re-interpret korean pure literature. This essay proves the purity is a sort of the re-construction of reality in Hwang, Sun-won’s children’s song and poem. Firsty the essay talk about three waves which is enlightenment and humanism, proletarian literature, and group Simunhak, of Hwang, Sun-won’s children’s song and poem. He re-constructs each reality of three waves. And I analysis the purity of Hwang, Sun-won’s children’s song and poem. A plant is compare to human, and nature is compare human nature. Nature in his children’s song and poem is result to the re-construction of reality.

      • KCI등재

        조병화의 시집 『개구리의 명상』에 나타난 순수성 고찰

        강정구(Kang Jeong-gu)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4

        이 논문에서는 조병화의 시집 『개구리의 명상』을 대상으로 해서 문학적인 순수성을 규명했다. 조병화가 53권의 시집을 출간한 한국의 대표적인 순수시인임에도 순수문학계의 지형도 속에서 그에 대한 평가가 미진했던 것이 이 논문의 계기가 되었다. 조병화는 순수문학계의 지형도 속에서 김동리ㆍ조지훈ㆍ황순원ㆍ박재삼 등의 중심적인 순수문학 계열과 유사하면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지닌 순수성을 드러냈는데, 여기에서는 그러한 순수성을 세 가지로 나눠서 고찰했다. 먼저 조병화의 문학은 한국 순수문학계에서 중심적인 순수문학 계열에 비해서 그 출발점부터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립ㆍ갈등이라는 현실의 연관으로부터 해방되려는 좀 더 극단적인 지향을 보여준 주변적인 순수문학 계열에 속했다. 그리고 조병화 문학 속의 어머니는 순수문학계의 내ㆍ외부와 비교해 볼 때에 구체적인 현실 속의 모습 이전에 존재할 법한 상당히 근원적ㆍ보편적ㆍ포괄적인 코라와 같은 표상이었다. 마지막으로 조병화의 문학에서 고향(특수성)이란 부분 침묵이나 알레고리 등의 방식으로 구체적인 현실에서 지울 수 있는 것들은 최대한 다 지워서 소재 자체를 추상화하는 방식으로 문학적인 보편성을 탐구한 것이었다. 이렇게 볼 때에 조병화 문학에 나타난 순수성은 순수문학계의 지형도 속에서 일체의 현실적인 연관을 일탈하는 순수 관념의 의도를 좀 더 극명하고 분명하게 드러낸 데에서 찾아진다. 조병화의 문학은 중심적인 순수문학 계열과 순수 관념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면서도 좀 더 극단적ㆍ근원적ㆍ보편적ㆍ추상적이라는 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지닌다. This essay shows Joo Byeong-hwa’s purity of literature on the A Frog’s Crying. Joo Byeong-hwa’s literature represents korean poet of purity, but such a nature of purity is not discussed. So this dissertation discusses on the nature of purity on the A Frog’s Crying. I think that Joo Byeong-hwa’s literature is located in the surrounding literature of purity, not the centering literature of purity. His literature has more extreme purity than the centering literature of purity including Kim Dong-ri, Hwang Sun-won, or Park Jea-sam. His nature of purity is real purity in meaning of realiy-deviation. In conclusion, I say Joo Byeong-hwa’s literature of purity on the A Frog’s Crying shows a extremism of korean purity. The more purity of literature than the centering literature of purity lies in the Joo Byeong-hwa’s literature.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에서 순수직관 개념의 다의성

        강기호(Kang, Ki-Ho)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2 No.2

        『순수이성비판』에서 순수직관은 다양한 의미와 표현을 가진다. 즉 직관의 형식, 선천적 다양, 형식적 직관 등이 그것이다. 순수직관은 〈선험적 감성론〉 내에서 보다 포괄적인 함축성을 가지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감각들의 형식적 관계 즉 현상의 형식 내지 직관의 형식을 의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 관계를 구성하는 ‘선천적 다양’ 즉 순수직관의 내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직관의 형식은 그 안에서 현상들이 존립하는 관계들(혹은 관계들의 체계)이며, 이 관계들은 선천적 다양과 동일한 관계들, 즉 감성적 현상들로부터 추상된 그리고 하나의 개별적 전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결합된 관계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간과 시간은 직관의 형식이면서, 동시에 순수직관의 내용이어야 한다. 또한 〈선험적 분석론〉에서 형식적 직관은 직관의 형식과 다른 의미를 가진다. 형식적직관은 직관의 형식 이상의 것, 곧 감성의 형식에 따라 주어진 다양의 하나의 직관적인 표상의 통괄을 내용으로 가지기 때문에, 표상의 통일을 제공하며, 이 통일에 의해 (오성이 감성을 규정함으로써) 공간과 시간은 비로소 직관으로서 주어진다. 그러므로 순수직관으로서 직관의 형식은 규정되지 않은 선천적 다양의 관계들의 필연적 조건을 이루며, 기하학적 형태의 표상과 같은 ‘형식적 직관’에 대해서도 그 근저에 놓여있다. 따라서 〈선험적 감성론〉에서 그 자체 순수직관으로서 공간과 시간의 순수다양 혹은 선천적 다양은 근원적으로 주어지지만, 〈선험적 분석론〉에서의 공간과 시간의 통일을 수반하는 형식적 직관은 궁극적으로 선험적 통각의 산물이라는 점이 밝혀진다. I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 pure intuition has various meanings and expressions. That is, form of intuition, a priori manifold, formal intuition, etc. In the Aesthetic, the pure intuition has inclusive implication. It means form of intuition, On the other hand, it means a priori manifold which composes the relations. The form of intuition is the relations(or system of relations) in which appearances stand. The contend of pure intuition is these same relations, abstracted from sensible appearances, and taken together as forming one individual whole. Therefore, space and time are at once form of intuition and the content of pure intuition. In the Analytic, the formal intuition as pure intuition has a different meaning to the form of intuition. It contains more than mere form of intuition. It also contains combination of the manifold, given according to the form of sensibility, in an intuitive representation. It gives unity of representations. By this unity(in the understanding determines the sensibility), space and time are first given as intuitions. In conclusion, the form of intuition as pure intui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of the relations. It also underlie the formal intuition. Therefore, the a priori manifold as pure intuition is originally given in us, but the formal intuition as unity of space and time is a product of transcendental apper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