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콘크리트 수분관련 수축에 관한 다중물리모델

        이창수,박종혁,Lee. Chang-Soo,Park. Jong-Hyok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2

        물-결합재비 0.4이하의 고성능 콘크리트 수축 변형을 파악하기 위해 전체 수축을 수분의 외부이동에 의한 건조수축과 수분의 내부소모에 의한 자기수축으로 분리한 후, 자기건조에 의한 상대습도 변화와 변형률의 관계를 묘사하기 위하여 계면역학적 접근법에 의한 습도-변형률 관계를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자기수축 시험체에서의 습도-수축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연구 모델인 Tazawa, CEB-FIP 모델에 비하여 측정값과 가장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의 자기수축모델은 자기건조에 따른 자기수축은 선형성을 나타내는 수분의 외부이동에 의한 수축과는 달리 지수적 관계를 갖는 특성과 초기재령에서의 급속한 자기수축 발현 특성을 적절히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후 본 연구의 수분이동-수축 모델을 반영하여 온도, 수분이동, 변형률 해석의 다중물리 모델 해석과 모형시험체 측정을 수행한 결과 매우 유사한 값을 나타내어 본 연구를 통해 측정된 수분의 내부소모에 의한 습도와 수축변형률을 고려한 다중물리모델은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Water binder ratio combine high-performance concrete shrinkage of less than 0.4 to determine the transformation to a total shrinkage of water to move outside and internal consumption of moisture due to drying shrinkage and autogenous shrinkage, and then, the relative humidity changes and strain to be approached by surface physics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siccation and autogenous shrinkage was set. To verify the self-desiccation in the humidity shrinkage and humidity measurements performed, and the research model, Tazawa, CEB-FIP model than to let the measure and the most similar results in this study based on self-desiccation model, autogenous shrinkage didn`t represent the linear shrinkage by the drying shrinkage of the external moving but exponential relationships, unlike with the nature and rapid in the early age properly describes the attributes in shrinkage could see. After this research to move moisture and to reflect the shrinkage model, temperature, moisture transfer, strain analysis by multi-physics model is very similar to the results of mock-up specimen measurements performed for this research, the value measured by the internal consumption of moisture, therefore self-desiccation and a multi-physics model considering autogenous shrinkage might be relevant.

      • KCI등재

        GeoDetector 모형과 회색모형을 이용한 중국 도시수축(Urban Shrinkage)의 분포와 응집 분석

        원동림,황지욱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3 지역개발연구 Vol.55 No.2

        중국 도시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인구 유출입에 기인한 도시수축은 중국의 도시화 과정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되었다. 이를 배경으로 중국의 336개 도시를 대상으로 시계열 과정 속에서 도시수축 문제와 공간적 분포패턴을 분석·예측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중국 도시별 인구 변화율을 활용해 도시수축 지수를 구축했다. 첫째로, Moran’s I에 근거해 수축도시의 군집 특성을 시각화하고 정량화한 뒤, GeoDetector 모형을 사용하여 도시수축의 원인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회색모형을 사용하여 2025년과 2030년 도시수축 추세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1) 2000∼2005년에 수축도시는 52개였으며 2005∼2010년와 2010∼2015년에 수축도시는 114개, 2015∼2020년에 수축도시는 159개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시수축 규모는 주로 I등급(-1∼-5%)과 II등급(-6∼-10%)에 집중되었다. (2) 2010년∼2015년에는 Global Moran's I가 다른 기간보다 높고 수축도시의 집적 패턴은 L-L형 위주였다. (3) 도시수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요인 중 상위 3개는 재정 지출, 3차 산업의 노동 인구 비율, 그리고 GDP 성장률이었다. (4) 2020-2025년 수축돤 도시 수는 114개에 달하고 2025-2030년 수축된 도시의 수는 134개에 달하였다.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볼 때 향후 중국은 도시정책의 전환기에 돌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즉, 성장과 도시화 발전 위주의 정책에서 인구감소와 도시수축을 고려한 도시관리 정책의 보완과 수축도시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도시기반시설 건설 및 산업 재배치 등의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가변 광도 중합에 따른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 관한 연구

        임미영,조경모,홍찬의 대한치과보존학회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1

        본 연구는 광중합형 복합레진 중합 시 기존의 중합법과 가변광도 중합형인 soft start 중합법 및 exponential 중합법 간의 중합수축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3종의 복합레진 (Synergy Duo Shade, Z250, Filtek Supreme) 및 3종의 광조사기 (Spectrum 800, Elipar Highlight, Elipar Trilight)를 사용하였다. 총 중합시간은 40초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선형 중합수축률의 측정은 linometer를 이용하였으며, 90초간의 선형 수축률을 0.5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재료별로 각 중합 방법별 시간에 따른 중합수축률을 one-way ANOVA test로 분석하여 최종 중합수축률에 도달하는 시간을 산출하였고, 90초 후 최종 선형 중합수축률을 two-way ANOVA test를 이용하여 재료, 광조사 방법, 재료 및 광조사 방법의 교호작용이 중합수축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90초까지의 선형 중합수축률에 대한 20초까지의 선형 중합수축률의 비를 two-way ANOVA로 비교하고, 각각의 통계치를 95% Scheffe test로 검증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upreme을 제외한 다른 군에서는 재료 및 광조사 방법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중합 수축이 광조사 후 20초 이내에 이루어졌다 (p < 0.05). 2. 90초 후, 최종 중합수축률은 재료 (p = 0.000)와 광조사 방법 (p = 0.003) 모두 유의성 있는 영향을 끼쳤으나, 재료와 광조사 방법 상호간의 작용은 영향이 없었다. 3. 90초 후 최종 중합수축률은 총 광에너지가 가장 낮은 exponential 중합법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5). 4. 20초까지의 초기 수축률은 soft start와 exponential 중합법 등 가변광도 중합이 conventional 중합법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은 수축률을 보였다 (p < 0.05). 본 실험 결과만을 토대로 볼 때, 가변광도 중합법은 초기 중합수축 속도를 감소시켜 수축응력을 감소시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총 조사 광에너지의 차이로 인해 그 물리적 성질에 영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더 많은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exponential curing method with conventional curing and soft start curing method on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s. Three brands of composite resins (Synergy Duo Shade, Z250, Filtek Supreme) and three brands of light curing units (Spectrum 800, Elipar Highlight, Elipar Trilight) were used. 40 seconds curing time was given. The shrinkage was measured using linometer for 90 seconds. The effect of time on polymerization shrinkage was analysed by one-way ANOVA and the effect of curing modes and materials on polymerization shrinkage at the time of 90s were analysed by two-way ANOVA. The shrinkage ratios at the time of 20s to 90s were taken and analysed the same w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the groups except Supreme shrank almost within 20s. Supreme cured by soft start and exponential curing had no further shrinkage after 30s (p < 0.05). 2.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polymerization shrinkage varied among materials (p = 0.000) and curing modes (p = 0.003).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material and curing mode. 3. The groups cured by exponential curing showed the statistically lower polymerization shrinkage at 90s than the groups cured by conventional curing and soft start curing (p < 0.05). 4. The initial shrinkage ratios of soft start and exponential curing were statistically lower than conventional curing (p < 0.05). From this study, the use of low initial light intensities may reduce the polymerization rate and, as a result, reduce the stress of polymerization shrinkage.

      • KCI등재

        도시 수축 :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

        강인호(Kang, In Ho),이영철(Lee, Yung Chul),염대봉(Yeom, Dae Bong) 서울행정학회 2015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6 No.3

        도시수축은 서구 선진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는 현상이나, 오늘날에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 되었다. 현재 한국의 많은 중 · 소도시가 도시수축을 경험하고 있으나, 한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도시재생 방안은 여전히 도시성장관리를 기초로 하고 있다. 현재 절대적인 인구감소의 진행에 따라 도시수축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상황의 전개 속에서 오늘날 도시수축을 겪고 있는 도시들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개발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며, 중 · 소도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시쇠퇴와 도시재생 패러다임에 입각한 정책보다는 도시수축을 전제로 한 도시관리 정책의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의 도시재생과 관련된 연구는 도시성장, 혹은 회복을 전제로 한 도시재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도시수축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수축이 대규모로 일어날 경우에 대비하여 살만한 도시재생방안을 연구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며 긴급한 과제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도시수축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도시수축의 원인과 대응방안 그리고 미국의 대표적 축소도시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980년대 초반부터 유럽의 여러 도시들은 도시쇠퇴와 수축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도시재생전략을 실행하여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도시수축은 무분별하고 과도하게 성장해 왔던 도시를 잘 짜여진, 살만한, 다양성 넘치는 도시로 형성해 나가려는 기회를 내포하고 있다. Urban shrinkage started in advanced countries and it has become widespread throughout the world. Many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also suffer from urban shrinkage. Yet, in Korea, the debate over urban regeneration is still based on the premise of continual urban growth. We argue that many current problems in small cities are better approached on the premise of urban shrinka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to examine the concept of urban shrinkage &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urban shrinkage; second, to discuss strategies to deal with urban strategy and illustrate the cases of significant urban shrinkage and policy responses to urban shrinkage. This paper concludes that we need to reconsider current urban strategy on the premise of urban shrinkage.

      • KCI등재

        콘크리트 배합조건에 따른 수축저감제의 건조수축 특성

        김영선 ( Kim Young-sun ),김광기 ( Kim Kwang-ki ),박순전 ( Park Soon-jeon ),김정선 ( Kim Jung-su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7 No.3

        최근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대형마트, 아울렛 및 물류창고 등과 같은 구조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물들은 초평탄 바닥부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소성 및 건조수축에 의한 슬래브 부재의 균열 억제 관리를 철저하게 실시한다. 슬래브 부재의 균열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화학적 균열저감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수축저감제에 대한 사용검토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국내 연구결과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축특성과 배합요인 변동에 따른 건조수축 특성을 검토하였다. 국내 수축저감제는 해외 고급형 수축저감제와 성능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축저감제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건조수축 억제 효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축저감제 1.5%를 사용한 시험체는 재령 100일에서 수축저감제를 사용하지 않은 시험체에 비해 건조수축량이 약 절반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화재료 사용에 대해 특별한 성능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ecently, structures such as large retailers, outlets and warehouses have been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Since these structures include ultra-flat slab members, they are thoroughly managed to control slab cracking by the plastic and drying shrinkage. In order to control the cracking of the slab member, a chemical crack reduction method is used. In particular, the use of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has been examined. However, domestic research results are limited. In this study, the shrinkage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shrinkage reducing agent and the drying shrinkag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mixing factors were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domestic shrinkage reducing agent was appeared similar to that of overseas high-grade shrinkage reducing agent. As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usage increased, the drying shrinkage reduction effect increased. At the age of 100 days, the dry shrinkage rate of specimen with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of 1.5%was shown about half that of the specimen without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was gound to have no specific performance change for the use of the admixture.

      • KCI등재

        치과용 레진 시멘트의 중합 수축률 특성에 관한 연구

        김태훈,양재호,이재봉,한중석,김성훈,Kim, Tae-Hoon,Yang, Jae-Ho,Lee, Jai-Bong,Han, Jung-Suk,Kim, Sung-Hu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1

        연구 목적: 치과용 레진시멘트의 중합 수축은 수복물이 치아에 정확하게 합착되는 것을 방해하고, 내부 응력의 원인이 되어 치아에 여러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임상적인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하는 치과용 레진시멘트의 중합 수축률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몇 가지 레진시멘트의 시간에 따른 중합 수축률을 측정, 서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종류의 자가 중합형 레진시멘트(Fujicem, Superbond, M bond)와 3종류의 이원 중합형 레진시멘트(Maxcem, Panavia F, Variolink II) 별로 각각 5개의 시편을 이용하였다. 각 재료의 중합 수축률은 Bonded disk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안쪽 직경 16 mm, 두께 1 mm 의 동으로 제작된 링을 유리판 ($74\;mm\;{\times}\;25\;mm\;{\times}\;3\;mm$) 위의 중앙에 위치시켜 부착하고, 그 유리판 중앙에 실험 재료를 구 형태로 만들어 올리고, 다른 유리판으로 눌러서 원판 형태 (직경 8 mm, 두께 1 mm)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의 중합 수축률은 재료가 중합이 시작된 후 120분동안, $23^{\circ}C$에서 측정하였다. 시간에 따른 수축량에 대한 kinetics curve를얻고, 각 실험 재료의 수축률의 평균값 (%)과 표준편차를 구한 뒤, one-way ANOVA 및 Scheffe post hoc test를 유의수준 0.05 에서 처리하여 그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1. 실험에 사용된 Fujicem, Maxcem, M bond, Panavia F, Superbond, Variolink II 은 중합이 시작 된 120 분 후의 중합 수축률이 각각 3.72%, 4.19%, 4.13%, 2.44%, 7.57%, 2.90%의 값을 보였다. 2. Panavia F가 중합 수축률이 가장 작았고, Superbond가 중합 수축률이 가장 컸다 (P<.05). 3. Maxcem 과 M Bond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5). 4. 6종류의 레진 시멘트에서 90% 이상의 대부분의 수축은 중합이 개시된 30분 내에 거의 일어났다. 결론: 자가 중합형 레진시멘트의 혼합 후 나타나는 중합 수축이 이원 중합형 레진시멘트보다 천천히 일어나지만, 혼합 120분 뒤의 중합 수축은 이원 중합형 레진 시멘트 보다 유의할 정도로 높았다. 치과용 레진시멘트의 중합 수축은 혼합한 후 30 분내에 대부분 일어난다. Purpose: The shrinkage of dental resin cement may cause several clinical problems such as distortion that may jeopardize the accurate fit to the prepared tooth and internal stress within the restorations. It is important to know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of dental resin cement to reduce clinical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of six commercially available dental resin cements. Material and methods: Three self-cure resin cements (Fujicem, Superbond, M-bond) and three dual-cure resin cements (Maxcem, Panavia-F, Variolink II) were investigated. Time dependent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of the materials were measured by the Bonded-disk method as a function of time at $23^{\circ}C$, with values particularly noted at 1, 5, 10, 30, 60, 120 min after mixing. Five recordings were taken for each material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 hoc 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values were 3.72%, 4.19%, 4.13%, 2.44%, 7.57%, 2.90% for Fujicem, Maxcem, M bond, Panavia F, Superbond, Variolink II, respectively at 120 minutes after the start of mixing. Panavia F exhibited maximum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values, but Superbond showed minimum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values among the investigated materials (P < .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hrinkage-strain value between Maxcem and M bond at 120 minutes after the start of mixing (P > .05). Most shrinkage of the resin cement materials investigated occurred in the first 30 minutes after the start of mixing. Conclusion: The onse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of self-cure resin cements was slower than that of dual-cure resin cements after mixing, but the net shrinkage strain values of self-cure resin cements was higher than that of dual-cure resin cements at 120 minutes after mixing. Most shrinkage of the dental resin cements occurred in the first 30 minutes after mixing.

      • 과소 CaO 팽창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송태협,박지선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자기수축은 시멘트 재료적인 특성과 사용하는 혼수량에 따라 발생의 정도가 변화할 수 있다. 건조수축은 콘크리트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정한 물이 투입되지만 이러한 물이 전량 수화과정에 필요한 것이 아니고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공극수로 남는다. 자기수축은 시멘트의 수화에 의해 초결 이후 거시적으로 생긴 체적 감소현상으로 일반적으로 건조수축에 비하여 1/10정도로 작기 때문에 균열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자기수축은 건조수축과 달리 W/C가 낮고, 단위 시멘트량이 높은 콘크리트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성능 저하 원인인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수축량을 예건하여 초기 사전 팽창성을 부여함으로써 건조수축 보상을 실시하는 방법과 단위 수량을 감소하여 건조 수축량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고, 최근에는 균열 발생 후 특정한 환경 조건을 부여할 경우 균열을 스스로 치유하는 자기치유콘크리트의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설 후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존 CaO를 과소(Dead Burn)화 한 팽창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과소 CaO 함유율을 결합재량의 최소 4%에서 최대 8% 까지 혼입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 흐름치로 측정한 유동성은 모두 200mm 전후로 발현되어 동등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설계기준 강도 27 MPa에 맞는 압축강도 발현을 하였다. 건조수축성능을 평가한 결과 Plain 시험체가 최대 –600×10-6의 건조수축을 발현하였으며 과소 CaO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건조수축은 낮아져 8%를 첨가할 경우 –200×10-6으로 나타나 건조수축 제어에 효과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축 특성

        최효은,최소영,김일순,양은익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4 No.1

        콘크리트의 수축현상은 체적 변화를 발생시키며 균열의 원인이 되어 구조물 내구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콘크리트의 수축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특히 골재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변형을 구속하여 수축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골재의 특성은 수축 현상에서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하는 부분이다. 한편, 골재 부족 현상으로 인해 천연 골재 대체재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 되는 재료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한 콘크리 트의 수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축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수축 예측 모델을 비교하여 기존 예측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함에 따라 수축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수축 저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예측 모델과의 비교 시 건조수축과 자기수축 각각 GL2000 모델과 Tazawa 모델이 가장 유사한 예측값을 나타냈으나,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골재 및 혼화재의 물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causes of concrete shrinkage are very diverse, in particular, aggregates impact the characteristics of shrinkage in concrete by constraining the shrinkage of cement paste. Meanwhile, owing to the lack of natural aggregate, various alternative aggregates are being developed, and their application in concrete also becomes more diverse. This study aimed to experimentally evaluate the drying and autogenous shrinkage in concrete that was composed of electric arc furnace slag as coarse aggregat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diction models. From the results, the application of electric arc furnace slag can reduce the drying and autogenous shrinkage. In particular, autogenous shrinkage is greatly decreased. The predictions using GL2000 for drying shrinkage and Tazawa model for autogenous shrinkage were similar to the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the most prediction models do not consider the impact of aggregates, hence, the new prediction model should be developed or improved.

      • KCI등재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 특성

        고경택(Koh Kyung Taek),박정준(Park Jung Jun),류금성(Ryu Gum Sung),강수태(Kang Su Tae)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6 No.4A

        고성능 콘크리트는 물-결합재비를 작게 하고, 단위결합재량을 다량으로 시용하므로 콘크리트의 수화열 및 자기수축이 증대 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저감 기술을 구축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팽창재와 수축저감제 사용이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팽창쟁와 수축저감제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을 저감시키는 데 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수축 저감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공성, 강도 및 수축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팽창재 5.0%와 수축저감제 1.0%의 조합이 적정배합으로 분석되었다. Generally, high performance concrete has characteristics such as low water-cementitious material ratio, lots of unit binder powder, thus the heat of hydration, autogenous shrinkage are tend to be increase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expansive additive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on the shrinkage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as a study to develop the reduction technology of the concrete shrinkag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xpansive additive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were effective the reduction of shrinkage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Especially, the using method in combination with expansive additive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eparately using method of that. Also, it analyzed that the combination of expansive additive of 5%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of 1% was the most suitable mixture, considering to the fluidity, strength and shrinkage properties.

      • KCI등재

        Silorane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의 동력학

        권영철,이인복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1

        복합레진이 개발된 이후 많은 물성의 향상이 이루어졌으나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주요 단점으로 남아있다. 중합수축이 적은 복합레진을 만들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고, 최근에 기존의 methacrylate 기질이 아닌 silorane 기질의 복합레진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ilorane 기질의 복합레진과 methacrylate 기질의 복합레진의 중합수축거동을 측정하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온도변화에 민감하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복합레진의 체적 중합수축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5종의 methacrylate 기질의 수복용 복합레진(Beautifil, Z100, Z250, Z350, Gradia X)과 silorane 기질 복합레진 (P90)의 중합수축을 10분 동안 측정하여, 중합수축량, 최대 중합수축률 그리고 최대수축시간을 비교하였다.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은 제품별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Silorane 기질의 P90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이 1.48%로 가장 낮았고 Beautifil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이 2.80%로 가장 높았다. Methacrylate 계열의 복합레진 사이에도 중합수축량에 제품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최대 중합수축률은 P90이 0.13%/s로 가장 낮았고 Z100이 0.34%/s로 가장 높았다. 최대 수축시간은 methacrylate기질의 복합레진(2.4-3.1초)에 비해, silorane 기질의 P90 복합레진이 6.7초로 두 배 이상 길었다. 최대중합수축률은 중합수축과 최대수축시간의 역수를 곱한 값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95). Dental composites have improved significantly in physical properties over the past few decades. However,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stress is still the major drawback of composites, limiting its use to selected cases.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make low shrinking composites to overcome this issue and silorane-based composite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to the marke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volumetric polymerization shrinkage kinetics of a silorane-based composite and compare it with conventional methacrylate-based composites in order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in reducing polymerization shrinkage. Five commercial methacrylate-based (Beautifil, Z100, Z250, Z350 and Gradia X) and a silorane-based (P90)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The volumetric change of the composites during light polymerization was detected continuously as buoyancy change in distilled water by means of Archemedes' principle, using a newly made volume shrinkage measurement instrument. The null hypothesis was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olymerization shrinkage, peak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and peak shrinkage time between the silorane-based composite and methacrylate-based composi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rinkage of silorane-based (P90) composites was the lowest (1.48%), and that of Beautifil composite was the highest (2.80%).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rands among the methacrylate-based composites. 2. Peak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was the lowest in P90 (0.13%/s) and the highest in Z100 (0.34%/s). 3. The time to reach peak shrinkage rate of the silorane-based composite (P90) was longer (6.7 s) than those of the methacrylate-based composites (2.4-3.1 s). 4. Peak shrinkage rate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oduc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the inverse of peak shrinkage time (R = 0.9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