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의 경제적 역할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

        신용재 한국항공경영학회 2020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8 No.3

        The transportation industry is related to the input of resources procurement when producing goods and services. Swiftness, accuracy, and efficiency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maximize the profit of the enterprises. In particular,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is one of the most crucial industries internationally as well as domestically. Because it connects the world and promotes the flows of trade, tourism, and investment. However, the unprecedented disasters such as the current COVID-19 negatively impacts on this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To properly cope with this situation, the impacts of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and the roles of this sector,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the Korea economy need to be proceeded. This study analyzes the Demand-driven model, the Supply-driven model, the Leontief price model, and the Inter-industry linkage analysis, which are the main models of the Input-Output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role of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and its impacts on other indust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on other industries were 1.344, 0.551, and 0.206 which are resulting from the production inducing effects resulting, value-added inducing effects, and employee compensation inducing effects, respectively, based on the Demand-driven model. The supply shortage effect was 1.350 which is tested by the supply-driven model. The effect of inflation was 0.719% which was tested based on the Leontief price model. In terms of inter-industry linkage effects, we found two effects that named the forward effect and the backward effect. The results were 0.558, and 1.078,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demand industry. Overall, our results provide the insights that Korea’s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has grown into the more significant industry since its economic roles and its impacts have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Moreo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inducing effect and supply shortage effec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s study shows that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became an important domain as a role of cargo transportation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directions of the COVID-19 aid policy such as size and method of supports need to be developed depending on the effects of the industries which affected by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By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and the quantitative impacts on the other industries,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policy to minimize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the losses of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운송서비스산업은 하나의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할 때 투입되는 자원의 조달과 관련되는 것으로 이것을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가는 기업의 이윤극대화 측면에서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중에서 항공운송서비스산업은 전 세계를 연결하며 무역, 관광 및 투자의 흐름을 촉진하기 때문에 세계적,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다. 하지만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은 전례 없는 COVID-19로 인하여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이 한국경제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한국경제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적 역할과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산업연관분석의 주요 모델인 수요유도모형, 공급유도모형, 레온티에프 모형, 산업연쇄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이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수요유도모형의 결과인 생산유발효과의경우 1.344원, 부가가치유발효과 0.551원, 피용자보수유발효과 0.206원으로 나타났고 공급유도모형의공급지장효과는 1.350원,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의 물가파급효과는 0.719%, 산업연쇄효과에서 전방연쇄효과는 0.558, 후방연쇄효과는 1.078로 최종수요적 산업의 특성을 나타냈다. 산업연쇄효과를 제외한나머지 효과들은 1원의 투자 또는 생산이 이루어질 때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들로써 생산유발효과와공급지장효과의 경우 1을 상회하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2010년에 발표된 연구와 비교했을 때 한국의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역할과 그 영향력이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와 공급지장유발효과의 결과를 살펴보면, 항공운송서비스 분야 중 화물운송과 관련된 부문 역시 중요성이 증대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항공운송서비스 산업 및 이와 관련된 산업에 대한 투자 또는 지원을 함에 있어 산업의 세부 분야별로지원 규모 및 방법을 다르게 정책 방향이 수립되어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과 분석결과는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의 역할을 파악하고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의 피해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핵심요소산업의 구조와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신용재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software supply development and computer related services, which are the core industr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analysis the production inducing effects and the value added inducing effects through the demand-driven model. Also, I analyzed the front and back linkage effects through interindustry linkage effect and supply shortage effects throught supply driven effects. As a result of analysis, both industries show that domestically produced goods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than imports. According to the demand-driven model, the production inducing effect is higher than the software development supply 1.476 won, which is 1.846 won for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computer related service in 2014. On the other hand, the adde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is higher than the sum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software development supply 0.206 won in 2014 and 0.640 won in computer related service. In addition, the supply shortage effect caused by the supply-driven model showed a great difference in 2014 when the computer related service was 1.402 won and the software development supply was 0.434 won. In the case of the interindustry linkage effects, both industri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final demand. 4차 산업혁명 핵심요소산업인 소프트웨어공급개발과 컴퓨터관련서비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위해 수요유도모형을 통해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를 알아보았고, 공급유도모형을 통해 공급지장효과 그리고 산업연쇄효과를 통해 전후방연쇄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산업 모두 수요, 공급유도모형의 결과 국산이 수입에 비해 한국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 핵심요소산업의 수요유도모형 결과를 살펴보면, 생산유발효과는 2014년 기준 컴퓨터관련서비스가 직·간접효과 합 1.846원으로 소프트웨어개발공급 1.476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부가가치유발효과는 2014년 기준 소프트웨어개발공급 직·간접효과 합이 0.806원, 컴퓨터관련서비스 0.640원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공급유도모형에 따른 공급지장효과는 2014년 컴퓨터관련서비스가 1.402원, 소프트웨어개발공급이 0.434원으로 큰 차이를 나타냈다. 산업연쇄효과의 경우 두 산업은 모두 최종 수요재의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민용식(Yong Sik Min),임응순(Eung Soon Lim),곽소윤(So Yoon Kwak) 한국아시아학회 2008 아시아연구 Vol.10 No.3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살펴본다. 아울러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방송산업의 공급지장효과 및 물가파급효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은 모두 방송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방송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산업의 1엔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9653엔 만큼 유발하며, 타 산업의 부가가치를 0.5323엔 만큼 유발한다. 한편 방송산업에서 1엔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타 산업에서는 1.7383엔의 생산차질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방송산업 산출물의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5596%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which have been rarely used. These analyses pay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the broadcasting industry of Japan by taking it as exogenous rather than endogenous. Some interesting findings emerge from the study. First, the production of 1.0 ye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induces the production of 0.9653 yen and the value-added of 0.5323 yen in other industries. Second, the supply shortage of 1.0 ye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disables other industries to produce 1.7383 yen. Finally, an increase of 10% in price level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raises the overall price level by 0.5596%.

      • KCI등재후보
      • 바이오가스 공급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백민지,조용철,민서현,유승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바이오가스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방안 중 하나이기에 신재생연료 혼합의무화제도(RFS, Renewable Fuel Standard)의 도입의 대상으로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2년에 발표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RFS 도입이 가져올 바이오가스 공급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은 액화석유가스 부문과 도시가스 부문으로 구성된다. 경제적 파급효과로 우선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여 바이오가스 공급확대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각각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의 공급차질로 인한 부정적 파급효과를 의미하는 공급지장효과 및 바이오가스 공급부문 제품가격 변동이 가져올 물가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에서의 1원의 투자 혹은 생산이 가져오는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각각0.0565원 및 0.1320원이다. 아울러 10억원 투자 혹은 생산의 취업유발효과는 0.9716명, 바이오가스 공급부문의 공급지장효과는 1.7349원, 바이오가스 공급부문 산출물 가격 10% 인상의 물가파급효과는 0.1451%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정보는 바이오가스에 대한 공급확대의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